맨위로가기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는 릭 웨이크먼이 1974년 앨범 《지구 속 여행》을 기반으로 제작한 1999년 컨셉 앨범이다. 쥘 베른의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200년 후를 배경으로 세 명의 탐험가가 지구 중심으로 향하는 여정을 그린다. 오지 오스본, 보니 타일러, 패트릭 스튜어트 등 다양한 음악가와 배우가 참여했으며,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앨범 발매 후, 웨이크먼은 영국과 캐나다에서 라이브 공연을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 속 여행을 바탕으로 한 작품 - Journey to the Centre of the Earth
    릭 웨이크먼이 쥘 베른의 소설을 바탕으로 1974년에 제작한 컨셉 앨범 《Journey to the Centre of the Earth》는 아이슬란드 화산을 배경으로 지구 속으로 모험을 떠나는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하여 상업적으로 성공했으며, 2012년 재녹음 버전과 1999년 일본 속편 앨범이 발매되었다.
  • 1999년 음반 - 해줄 수 없는 일
    박효신의 데뷔 앨범인 《해줄 수 없는 일》은 동명의 타이틀곡을 포함한 11곡과 드라마 OST 참여곡 2곡이 수록된 앨범이다.
  • 1999년 음반 - MONOCROM
    MONOCROM은 신해철과 크리스 샹그리디가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으로, 락, 테크노에 국악을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으며, 앨범 《MONOCROM》을 발표하고 수록곡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는 밴드 크래쉬가 리메이크했으며, 크리스 샹그리디는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지저 세계로의 귀환
원어 제목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종류스튜디오 음반
음악가릭 웨이크먼
발매일1999년 3월 15일
녹음 기간1998년 3월 - 12월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길이76분 51초
레이블EMI 클래식스
프로듀서릭 웨이크먼
관련 정보
이전 음반Themes
이전 음반 발매 연도1998년
다음 음반The Natural World Trilogy
다음 음반 발매 연도1999년
녹음 장소 정보
녹음 장소POP Sound (산타모니카, 캘리포니아)

2. 배경

1974년, 릭 웨이크먼쥘 베른의 과학 소설 지구 속 여행을 바탕으로 한 컨셉 앨범 《지구 속 여행》을 발매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 이 앨범은 연금술사 아르네 사크누셈이 발견한 지구 중심부로 가는 통로를 따라가는 린덴브로크 교수와 그의 조카 악셀, 안내자 한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속편 제작 아이디어는 1991년 이탈리아 투어 중 한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시작되었는데, 그 기자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지구 속 여행》의 새 버전을 녹음하라고 제안했다.[1] 1994년, 웨이크먼은 오리지널 앨범 발매 20주년을 기념하여 새로운 버전의 《지구 속 여행》을 녹음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아리스타 레코드에서 그의 아이디어를 거절하면서 무산되었다.[1]

1996년, 여러 레코드 회사로부터 새로운 "대작" 앨범 제작 제안을 받으면서 속편 제작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1] 웨이크먼은 스티븐 스필버그의 속편 영화 제작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원작 소설의 설정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이야기와 등장인물을 도입하는 방식을 구상했다.[1][4] 원작으로부터 200년 후를 배경으로, 세 명의 탐험가가 지구 중심으로 향하는 새로운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를 담았다.[2]

웨이크먼은 데모 테이프를 제작하고 여러 과정을 거쳐 EMI 클래식과 계약을 체결하였다.[1][3] 자켓 그림은 로저 딘이 그렸으며, 오지 오스본, 보니 타일러 등 여러 음악가가 게스트로 참여했다.[16] 오스본이 부른 「생매장」은 스웨덴에서 싱글 히트를 기록했다.[18] 웨이크먼은 1974년 당시 장비에 만족하지 못했지만, 이후 기술 발달로 "다시 지구 속 여행에 출발"할 마음이 들었다고 회고했다.[17]

3. 녹음

1998년 3월, 릭 웨이크먼은 자신의 자택 스튜디오인 Bajonor를 포함한 6곳에서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의 녹음을 시작했다.[4] 앨범의 원래 러닝 타임은 126분이었으나, 싱글 CD에 맞춰 약 80분으로 축소되었다.[10] 웨이크먼은 13개의 다른 건반 악기를 사용하여 소니 48트랙 머신으로 녹음했다.[2]

이번 앨범에서 웨이크먼은 이전까지 함께 작업한 적 없는 음악가들과 협업하여 새로운 시도를 했다.[10] 그는 리드 보컬리스트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으며, 카트리나 레스카니치, 토니 미첼, 오지 오스본, 보니 타일러, 트레버 라빈, 저스틴 헤이워드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했다.[2][4][10]

패트릭 스튜어트


내레이션은 배우 패트릭 스튜어트가 맡았다.[10] 1998년 8월 캘리포니아 산타 모니카의 POP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녹음 세션은 예정보다 길어져 하루 종일 진행되었다.[10]

녹음 도중 웨이크먼은 이중 폐렴과 흉막염 진단을 받고 병원에 입원하여, 1998년 12월로 오케스트라 녹음 세션이 연기되기도 했다.[10]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잉글리시 챔버 콰이어의 녹음은 런던 웸블리의 CTS 스튜디오에서 이틀간 진행되었다.[2][10] 웨이크먼은 이 경험을 자신의 음악 경력에서 가장 긴장되는 순간으로 회상했다.[10]

앨범 커버는 여러 예스 앨범의 아트워크를 담당했던 로저 딘이 디자인했다.[2]

4. 곡 목록

음악, 내레이션, 가사는 모두 릭 웨이크먼(Rick Wakeman)이 작사, 작곡, 프로듀싱했으며, 홀수 트랙의 내레이션은 패트릭 스튜어트(Patrick Stewart)가 맡았다.[4]

번호제목참여 아티스트시간
1비전(A Vision)2:34
2귀환 서곡(The Return Overture)2:39
3마더 어스(Mother Earth)
4산 채로 매장됨(Buried Alive)오지 오스본(Ozzy Osbourne)6:01
5수수께끼(The Enigma)1:18
6거기 누구 없소?(Is Anybody There?)보니 타일러(Bonnie Tyler)6:35
7협곡(The Ravine)0:49
8천 개의 빛의 춤(The Dance of a Thousand Lights)5:41
9양치기(The Shepherd)2:01
10미스터 슬로우(Mr. Slow)토니 미첼(Tony Mitchell)3:47
11시간의 다리(Bridge of Time)1:12
12영원히 먼 시간(Never is a Long, Long Time)트레버 라빈(Trevor Rabin)5:19
13린덴브룩 해에서 온 이야기(Tales from the Lindenbrook Sea)
14죽음(The Kill)5:23
15영원한 역사(Timeless History)1:10
16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Still Waters Run Deep)저스틴 헤이워드(Justin Hayward)5:21
17시간 속의 시간(Time Within Time)
18당신의 삶의 질주(Ride of Your Life)카트리나 레스카니치(Katrina Leskanich)6:01
19부유(Floating)
20홍수 화염(Floodflames)2:00
21화산(The Volcano)
22귀환의 끝(The End of the Return)5:23


4. 1. 트랙 목록 (한국어)

음악, 내레이션, 가사는 모두 릭 웨이크먼(Rick Wakeman)이 작사, 작곡, 프로듀싱했으며, 홀수 트랙의 내레이션은 패트릭 스튜어트(Patrick Stewart)가 맡았다.[4]

번호제목참여 아티스트시간
1비전(A Vision)2:34
2귀환 서곡(The Return Overture)2:39
3마더 어스(Mother Earth)
4산 채로 매장됨(Buried Alive)오지 오스본(Ozzy Osbourne)6:01
5수수께끼(The Enigma)1:18
6거기 누구 없소?(Is Anybody There?)보니 타일러(Bonnie Tyler)6:35
7협곡(The Ravine)0:49
8천 개의 빛의 춤(The Dance of a Thousand Lights)5:41
9양치기(The Shepherd)2:01
10미스터 슬로우(Mr. Slow)토니 미첼(Tony Mitchell)3:47
11시간의 다리(Bridge of Time)1:12
12영원히 먼 시간(Never is a Long, Long Time)트레버 라빈(Trevor Rabin)5:19
13린덴브룩 해에서 온 이야기(Tales from the Lindenbrook Sea)
14죽음(The Kill)5:23
15영원한 역사(Timeless History)1:10
16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Still Waters Run Deep)저스틴 헤이워드(Justin Hayward)5:21
17시간 속의 시간(Time Within Time)
18당신의 삶의 질주(Ride of Your Life)카트리나 레스카니치(Katrina Leskanich)6:01
19부유(Floating)
20홍수 화염(Floodflames)2:00
21화산(The Volcano)
22귀환의 끝(The End of the Return)5:23


4. 2. 참여 음악가 (한국어)

음반의 CD 라이너 노트를 참조하여 제작진을 소개한다.[4]

  • 릭 웨이크먼 – Korg 01/W ProX, Roland JD-800, Kurzweil K2500R, Korg Trinity ProX, Korg X5DR, Technics WSA, Steinway 콘서트 그랜드 피아노, Minimoog 신시사이저, Fatar SL 880, GEM PRO 2
  • 저스틴 헤이워드 – "Still Waters Run Deep"의 리드 보컬
  • 카트리나 레스카니치 – "Ride of Your Life"의 리드 보컬
  • 토니 미첼 – "Mr. Slow"의 리드 보컬
  • 오지 오스본 – "Buried Alive"의 리드 보컬
  • 보니 타일러 – "Is Anybody There?"의 리드 보컬
  • 트레버 라빈 – "Never is a Long, Long Time"의 리드 보컬, 기타
  • 프레이저 손리크로프트-스미스 – 기타
  • 필 윌리엄스 – 베이스
  • 사이먼 핸슨 – 드럼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데이비드 스넬 – 오케스트라 지휘자
  • 잉글리시 챔버 합창단 – 합창단
  • 가이 프로제로 – 합창단 지휘자


'''추가 참여 인력'''

5. 평가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9][20][21][22] 버밍엄 이브닝 메일은 이 앨범이 원작보다 "두 배나 길고 야심차다"고 평가하며 패트릭 스튜어트의 "정확한 내레이션"을 높이 평가했다.[7]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은 "열정적으로 임했다"고 평했지만, "2001년에 펑크 록 반발을 예상하라"는 말로 리뷰를 마무리했다.[7]

반면, 보스턴 헤럴드의 케빈 R. 컨베이는 앨범에 5점 만점에 1.5점을 주면서, 내레이션에 "완전히 어리석은 대본"과 "웃음거리" 가사가 담겨 있으며 "원작만큼이나 거만하고 과장되었다"고 비판했다.[8] 그는 "''Journey''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마 이것도 즐길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두통을 유발할 더 창의적인 방법을 찾고 싶을 것이다."라고 결론지었다.[8]

About.com의 숀 페리는 패트릭 스튜어트의 내레이션에서 "전염성 있는 정확성"과 앨범 시작 부분의 "풍성한 오케스트라"를 칭찬했다.[6] 하지만 앨범이 "전달할 만한 특별한 중심 주제가 없는... 환상적인 톤"을 취한다고 평가하면서도, 보니 타일러와 저스틴 헤이워드의 노래를 하이라이트로 꼽았다.[6]

대한민국에서는 2023년 9월 29일, '올댓뮤직' 유튜브 채널의 '명반 로드' 코너에서 이 앨범을 소개하며 "과장된 웅장함 속에서도 탁월한 멜로디와 연주 실력을 엿볼 수 있는 수작"으로 평가했다.

6. 라이브 공연

앨범 발매 후, 웨이크먼은 영국 전역의 교회와 대성당에서 'Half a Century' 투어를 진행하며 앨범의 일부 곡을 라이브로 선보였다.[13] 처음에는 스페인 테네리페 섬의 테이데 산에서 테네리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공연할 계획이었으나, 생태 지역에서의 공연이 어려워 취소되었다.[1]

웨이크먼은 2001년과 2006년, 두 번에 걸쳐 캐나다 퀘벡에서 앨범 전체를 라이브로 공연했다. 2001년 6월 30일 트루아 리비에르에서 열린 첫 공연에는 잉글리시 록 앙상블, 애덤 와이케먼, 기타리스트 앤트 글린, 베이시스트 리 포메로이, 드러머 토니 페르난데스, 보컬 럭 메르빌과 파비올라 투팽이 참여했다. 2006년 7월 15일 퀘벡 시티 아브라함 평원에서 열린 퀘벡 시티 여름 축제 공연에는 질 벨마레가 지휘하는 45인조 오케스트라, 20인조 Vocalys 앙상블 합창단, 잉글리시 록 앙상블, 그리고 존 앤더슨, 애니 빌뇌브, 빈센트 마로이스, 가이 나동이 함께했다. 이 공연은 대형 스크린, 조명, 불꽃놀이 쇼가 동반된 화려한 무대였다.

7. 차트

순위스코틀랜드70영국34


참조

[1] 웹사이트 Rick Wakeman – Interview – Madrid, 21th [sic] April 1999 http://yesmuseum.org[...] YesMuseum.org 1999-04-21
[2] 웹사이트 Rick Wakeman: Recording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https://www.soundons[...] 1999-07
[3] 간행물 Rick Wakeman: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 Part II http://www.pertout.c[...] 2003-02-05
[4] AV media notes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EMI Classics 1999
[5] 문서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press release" 1998-10-01
[6] 웹사이트 Rick Wakeman –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http://www.vintagero[...] Vintage Rock (About.com) 1999-10
[7] 뉴스 Single of the Week 1999-03-16
[8] 뉴스 Band hopes 'Astro' will also be a Smash; SMASHMOUTH Astro Lounge (Interscope) 3 1/2 stars. https://www.highbeam[...] 1999-06-13
[9] AllMusic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review https://www.allmusic[...] 2009-10-03
[10] 웹사이트 The Return of Rick Wakeman! http://www.progressi[...] Progressiveworld.net 2000-01-22
[11] 뉴스 Rock; BARENAKED Ambition https://www.highbeam[...] 1999-02-19
[12] 뉴스 The fall guy and the Yes man https://www.highbeam[...] 1999-03-05
[13] 뉴스 'Prog rocker' tours houses of the holy https://www.highbeam[...] 1999-06-02
[14] 문서 CD英文ブックレット
[15] ChartArchive Rick Wakeman http://chartarchive.[...]
[16] Discogs Rick Wakeman -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CD, Album) http://www.discogs.c[...]
[17] 라이너노트 日本盤CD(TOCP-65164)ライナーノーツ 1999
[18] Swedishcharts Ozzy Osbourne & Rick Wakeman - Buried Alive http://swedishcharts[...]
[19] 웹인용 Rick Wakeman –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http://www.vintagero[...] Vintage Rock (About.com) 2017-01-30
[20] 뉴스 Single of the Week https://www.highbeam[...] 2017-01-30
[21] 뉴스 Band hopes 'Astro' will also be a Smash; SMASHMOUTH Astro Lounge (Interscope) 3 1/2 stars. https://www.highbeam[...] 2017-01-30
[22] 올뮤직 Return to the Centre of the Earth review https://www.allmusic[...] 2009-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