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F 만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F 만화는 과학적, 기술적, 미래적인 요소를 주제로 하는 만화 장르이다. 1907년 A.D. 콘도의 '화성에서 온 미스터 스카이개크'를 시작으로, '벅 로저스', '플래시 고든'과 같은 작품들이 등장하며 발전했다.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에서 SF 만화가 제작되었으며, 각기 다른 스타일과 특징을 보인다. 특히 일본의 '아톰', '은하철도 999', '아키라' 등은 SF 만화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웹툰의 등장으로 온라인에서도 SF 만화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그래픽 노블 형식으로도 발전하고 있다.

2. 역사

SF 만화의 역사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1907년 A.D. 콘도의 개그 만화 ''화성에서 온 미스터 스카이개크''가 신문에 게재되면서 SF 만화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2] 1929년 최초의 비유머 SF 코믹 스트립 ''벅 로저스''가 등장했고,[3] 1938년 ''슈퍼맨''의 등장은 슈퍼히어로 장르를 탄생시켰다. 플래시 고든과 같이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도 인기를 얻었다.

1950년대 EC 코믹스는 SF 만화를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프레드릭 워섬의 저서 ''무죄의 유혹''으로 인해 만화 배척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 히피 언더그라운드 코믹스의 영향으로 성인용 SF 만화가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 테즈카 오사무의 ''아톰''이 SF를 중심으로 한 최초의 주요 만화 중 하나였다.[1][2] 이후 마츠모토 레이지 (''은하철도 999''), 오토모 가츠히로 (''아키라''), 시로 마사무네 (''공각기동대'') 등 다양한 작가들이 SF 만화를 발전시켰다.

영국에서는 1950년 이글에 댄 데어가 연재되면서 SF 만화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 중반에는 돈 로렌스가 그린 트리간 제국이 룩 앤 런에 게재되었다. 1970년대에는 2000 AD에서 스포츠나 전쟁 등 인기 있는 소재에 SF적인 요소를 가미한 이야기들을 정기적으로 선보였다.[5]

프랑스에서는 1935년 지그 에 퓨스 오 제21세기가 프랑스 최초의 SF 만화로 출판되었다.[1] 1937년부터 1938년까지 만화 잡지 ''주니어''에 연재된 ''퓨토로폴리스''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최초의 프랑스 SF 만화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점령군이 ''플래시 고든''의 프랑스 수입을 금지하자, ''르 라용 U''가 제작되었다.[1]

한국에서 SF 만화는 1950년대 김용환의 '코주부'와 같은 작품들을 통해 처음으로 SF적인 요소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고유성의 '로봇 찌빠'와 같은 작품들이 인기를 얻었다.[7] 1970년대1980년대에는 로봇 태권V와 같은 로봇 만화들이 큰 인기를 끌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SF 만화도 등장했는데,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정비 사업을 풍자한 최규석의 '울기엔 좀 애매한'과 같은 작품들이 그 예시이다.[7]

인터넷의 발명으로 여러 SF 만화가 주로 온라인으로 출판되었다. 1994년 ''폴리머 시티 크로니클스''는 초기 SF 웹코믹 중 하나였다. ''슐록 머시너리''와 ''스타슬립 크라이시스''도 주목할 만한 웹코믹이다.

2. 1. 미국

1907년 A.D. 콘도의 개그 만화 ''화성에서 온 미스터 스카이개크''가 신문에 게재되면서 SF 만화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2] 1929년 최초의 비유머 SF 코믹 스트립 ''벅 로저스''가 등장했고,[3] ''플래시 고든'', ''브릭 브래드포드'' 등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이 인기를 끌었다. 1938년 ''슈퍼맨''의 등장은 슈퍼히어로 장르를 탄생시켰고, SF 요소가 포함된 슈퍼히어로물이 다수 등장했다.

1950년대 EC 코믹스는 SF 만화를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프레드릭 워섬의 저서 ''무죄의 유혹''으로 인해 만화 배척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 히피 언더그라운드 코믹스의 영향으로 성인용 SF 만화가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

2. 2. 일본

1950년대 테즈카 오사무의 ''아톰''은 SF를 중심으로 한 최초의 주요 만화 중 하나였다.[1][2] 이후 마츠모토 레이지 (''은하철도 999''), 오토모 가츠히로 (''아키라''), 시로 마사무네 (''공각기동대'') 등 다양한 작가들이 SF 만화를 발전시켰다.

2. 3. 영국

영국에서는 1950년 이글에 댄 데어가 연재되면서 SF 만화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 중반에는 돈 로렌스가 그린 트리간 제국이 룩 앤 런에 게재되었다. 1970년대에는 2000 AD에서 스포츠나 전쟁 등 인기 있는 소재에 SF적인 요소를 가미한 이야기들을 정기적으로 선보였다.[5]

2. 4. 프랑스

1935년 지그 에 퓨스 오 제21세기가 프랑스 최초의 SF 만화로 출판되었다.[1] 이는 1925년에 처음 만들어진 십 대 캐릭터 지그와 퓨스의 모험 중 하나였다. 1937년부터 1938년까지 만화 잡지 ''주니어''에 연재된 ''퓨토로폴리스''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최초의 프랑스 SF 만화였다.[1] 1940년에는 ''퓨토로폴리스''의 속편 격인 ''엘렉트로폴리스''가 나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점령군이 ''플래시 고든''의 프랑스 수입을 금지하자, ''르 라용 U'' (U 레이)가 이전 작품을 연재했던 잡지 ''브라보''를 대체하기 위해 제작되었다.[1] 1943년에 데뷔한 다른 프랑스 SF 만화로는 강력한 로봇이 등장하는 ''오토목스''가 ''피크 에 니크''에 연재되었고, ''스피루'' 잡지에 연재된 ''레페르비에 블루'' (푸른 매)가 있다.[1] SF 영웅만을 다룬 최초의 프랑스 만화 잡지는 1947년에 창간되었으나 비교적 짧게 존속한 ''레이더''였다.[1] 1953년부터 1964년까지 출판된 소형 포맷의 ''메테오''는 훨씬 더 오래 지속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레 콩케랑 드 레스파스'' (우주의 정복자들)였다.[1] 그 이후 주목할 만한 프랑스 SF 작품으로는 ''메탈 위를랑''과 같은 출판물과 앙키 빌랄 (예: 니코폴 삼부작) 및 뫼비우스와 같은 작가들이 있다.[1]

2. 5. 한국

한국에서 SF 만화는 1950년대 김용환의 '코주부'와 같은 작품들을 통해 처음으로 SF적인 요소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고유성의 '로봇 찌빠'와 같은 작품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SF 만화의 발전을 보여주었다.[7]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로봇 태권V와 같은 로봇 만화들이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로봇 만화의 인기는 박정희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과도 관련이 있는데, 국가 주도로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자 했던 당시의 열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7]

1990년대 이후에는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SF 만화도 등장했다.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정비 사업을 풍자한 최규석의 '울기엔 좀 애매한'과 같은 작품들이 그 예시이다. 웹툰 시장이 성장하면서 다양한 SF 웹툰이 등장하며, 한국 SF 만화는 장르적으로 더욱 발전하고 있다.[7]

2. 6. 웹코믹

인터넷의 발명으로 여러 SF 만화가 주로 온라인으로 출판되었다. 1994년 ''폴리머 시티 크로니클스''는 초기 SF 웹코믹 중 하나였다. 다른 주목할 만한 만화로는 ''슐록 머시너리''와 ''스타슬립 크라이시스''가 있다.

3. 그래픽 노블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그래픽 노블' 용어는 1978년 윌 아이스너의 "신과의 계약: 그리고 다른 세입자 이야기... 그래픽 노블"에서 처음 사용되었지만, 그래픽 노블 자체는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 이 용어가 나오기 전인 1951년, 오사무 테즈카의 SF 기반 그래픽 노블 《아톰》이 출판되었으며, 여기에는 2003년에 활성화된 어린아이 같은 로봇 아톰이 등장한다.

4. 주요 SF 만화 목록

다음은 ''미국 만화의 완전한 역사''를 기반으로 한 주요 SF 만화 목록이다.[6]

제목연도
위어드 판타지1950
위어드 사이언스1950
스트레인지 어드벤처스1950
스트레인지 월즈1950
플라잉 소서1950
미스터리 인 스페이스1951
하우스 오브 미스터리1951
위어드 스릴러스1951
어스맨 온 비너스1951
스페이스 디텍티브1951
스페이스 어드벤처스1952
스페이스 버스터스1952
스페이스 웨스턴 코믹스1952
미스터리즈 앤 언익스플로어드 워즈1956
아우터 스페이스1958
테일즈 투 어스토니쉬1959
스페이스 맨1962
아우터 리미츠1964
스타 트렉1967
아우터 스페이스1968
혹성 탈출1968
월즈 언노운1973
언노운 월즈 오브 사이언스 픽션1975
스페이스: 19991975
둠스데이 + 11975
스타 리치1975
이매진1976
스타스트림1976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976
2000 AD1977
헤비 메탈1977
스타워즈1977
스페이스 워1978
마이크로너츠1979
스타블레이저1979
에일리언 인카운터스1981
에일리언 월즈1985
맨 인 블랙1990


5. 해외 주요 SF 만화가

참조

[1] 웹사이트 Mr. Skygack, From Mars. http://filsonhistori[...] The Filson Historical Society 2010-09-28
[2] 웹사이트 MR. SKYGACK: SCI-FI COMICS START HERE! http://www.barnaclep[...] Barnacle Press 2012-08-31
[3] 백과사전 Buck Rogers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Popular Press
[4] 서적 The Golden Age of Science Fiction Pen & Sword History 2019
[5] 간행물 Great British Comics: Nostalgia Ain't What It Used To Be http://www.paulgrave[...]
[6] 서적 A complete history of American comic books 2008
[7] 웹사이트 Great British Comics: Nostalgia Ain't What It Used To Be http://www.paulgrave[...] Comics International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