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S 어린이 마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OS 어린이 마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아들을 돕기 위해 오스트리아 군인 헤르만 그마이너가 1949년 설립한 국제 아동 복지 기관이다. 전쟁, 빈곤, 질병 등으로 가족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가족 형태의 양육 환경을 제공하며, 현재 전 세계 130개 이상의 국가에서 570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SOS 어린이 마을은 유엔 아동 권리 협약, 유엔 아동 양육 대안 지침,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등 국제적 틀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아동 양육, 교육, 의료, 지역 사회 강화,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SOS 어린이 마을 | |
---|---|
개요 | |
이름 | SOS 어린이 마을 |
원어 이름 | 영어: SOS Children's Villages 독일어: SOS-Kinderdorf |
유형 | 국제 비정부 기구 |
상태 | 활동 중 |
목적 | 인도주의 |
본부 | 인스브루크, 오스트리아 |
설립일 | 1949년 |
창립자 | Hermann Gmeiner |
대표 | 데레제 워도파 |
재정 | |
수입 | 알 수 없음 |
지출 | 알 수 없음 |
자산 | 알 수 없음 |
기타 정보 | |
직원 수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많은 아이들이 집을 잃고 고아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긴 헤르만 그마이너는 1949년 오스트리아 임스트에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을 설립하였다.[10] 이후 SOS 어린이 마을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1960년, 전 세계의 모든 국가 협회를 감독하기 위한 상위 조직인 '''SOS-어린이 마을 인터내셔널'''이 설립되었다. 같은 해 남아메리카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 조직이 우루과이에 설립되었고, 1963년에는 대한민국과 인도에 최초의 프로그램이 설립되면서 아시아에 진출했다.[10] 7년 후에는 아프리카 프로그램이 코트디부아르, 케냐, 가나, 시에라리온에 설립되었다.[10] 북아메리카에서는 1991년 미국에 최초의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11]
2006년, 코스타리카 산타 아나에 있는 "''콜레히오 인터나시오날 SOS 헤르만 그마이너''"는 코스타리카 연합 세계 대학으로 재개교하여 11번째 연합 세계 대학이자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의 유일한 UWC가 되었다. 더 이상 SOS 어린이 마을의 후원 아래 운영되지는 않지만, 이 대학은 SOS 어린이 마을 학생들을 위한 전액 장학금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 단체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50명 이상의 SOS 어린이 마을 학생들이 이 학교를 졸업했다.[12][13][14]
2. 1. 설립 배경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많은 아이들이 집을 잃고 고아가 되었다. 헤르만 그마이너(1919년 6월 23일 – 1986년 4월 26일)는 전쟁에 참전한 오스트리아 군인으로, 1949년 마리아 호퍼, 요제프 예스틀, 루드비히 쾨겔, 헤르베르트 프판너, 헤드비히 바인가르트너와 함께 오스트리아 티롤 연방주의 임스트에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을 설립했다.[10] SOS 어린이 마을은 원래 제2차 세계 대전의 고아들을 돌보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이후 버려지고 방치되거나 학대받은 다른 아이들도 돌보기 시작했다.[10]2. 2. 오스트리아에서의 시작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많은 아이들이 집을 잃고 고아가 되었다. 헤르만 그마이너는 오스트리아 군인으로 전쟁에 참전한 경험을 바탕으로, 1949년 마리아 호퍼, 요제프 예스틀, 루드비히 쾨겔, 헤르베르트 프판너, 헤드비히 바인가르트너와 함께 오스트리아 티롤 연방주의 임스트에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을 설립했다.[10] 원래 SOS 어린이 마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고아들을 돌보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이후 버려지거나 방치, 학대받은 다른 아이들도 돌보기 시작했다.[10]SOS 어린이 마을의 첫 번째 양육자는 마리아 베버(1919–2011)였다.
최초의 후원자는 베아트리스 폰 보흐-갈하우(1914–2011)였다. 그녀는 자신의 재산을 털어 독일 힐브링겐/자르의 첫 SOS 어린이 마을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 정치 및 사업적 인맥을 활용하여 이 아이디어를 홍보했다.
2. 3. 유럽으로의 확장
20세기 후반, SOS 어린이 마을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1959년,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에 SOS 어린이 마을의 국가 협회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 청소년 시설이 설립되었다.[10]2. 4. 국제적 성장
1960년, 전 세계의 모든 국가 협회를 감독하기 위한 상위 조직인 '''SOS-어린이 마을 인터내셔널'''이 설립되었다. 같은 해 남아메리카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 조직이 우루과이에 설립되었다.[10] 1963년에는 대한민국과 인도에 최초의 프로그램이 설립되면서 아시아에 진출했다.[10] 7년 후, 이 단체는 코트디부아르, 케냐, 가나, 시에라리온에 아프리카 프로그램을 설립했다.[10] 북아메리카에서는 1991년 미국에 최초의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11] 현재 135개 국가 및 지역에 570개 이상의 SOS 어린이 마을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11]2. 5. 한국 SOS 어린이 마을
1963년 아시아에서는 인도와 함께 대한민국에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10]2. 6. 역대 회장
헤르만 그마이너는 1985년까지 SOS 어린이 마을의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1949년 오스트리아 임스트에 최초의 SOS 어린이 마을을 설립했다.[10]1985년, 헬무트 쿠틴이 헤르만 그마이너의 뒤를 이어 회장직을 맡았다. 1941년 이탈리아 볼차노에서 태어난 헬무트 쿠틴은 SOS 오스트리아에 처음 입학한 아이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27년간 SOS 어린이 마을 인터내셔널을 이끌었다.[15]
2012년에는 시다르타 카울이 헬무트 쿠틴의 뒤를 이어 회장이 되었다. 시다르타 카울은 1951년 인도 필라니에서 태어났다.[15][16]
3. 운영 및 구조
SOS 어린이 마을의 운영 및 구조는 다음과 같다. 118개국에 있는 각 국가별 SOS 어린이 마을 협회는 국제 기구의 임무, 프로토콜, 정책을 수행한다. 지역 사무소는 이러한 작업을 안내하고, 필요에 따라 국가 사무소에 모금, 마케팅,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조직의 전반적인 관리 및 행정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 있는 본부에서 담당한다.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총회이며, 회장, 부회장 및 국제 상원 의원을 선출한다. 22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국제 상원은 모든 SOS의 작업을 안내하고 모니터링하며, 정책 수립, 정책 변경 및 절차 지침을 공식화한다. 국제 상원의 작업은 회장이 의장을 맡고 회원 협회에서 온 8명의 대표로 구성된 관리 위원회에서 조정한다. 관리 위원회는 상원 결정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시하고, 관리팀이 개발한 업무 계획을 승인하며, 연맹의 목표를 정의한다. 사무국은 오스트리아의 국제 사무소와 기타 지역 사무소로 구성되며, 전략적 결정을 실행하고, 조직의 품질 표준을 개발 및 모니터링하며, 국제 커뮤니케이션 및 포럼에서 조직을 대표한다.
SOS는 부모의 이혼, 학대,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한 부모 사망, AIDS 등 질병으로 인해 가족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생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환경에 놓인 아동들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받고, 고독, 학대, 착취, 인권 침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는다.
SOS는 약 5만 명의 아이들과 약 1만 5천 명의 청소년들이 항구적인 새로운 가족과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SOS 어머니에 의한 가족적인 생활이 24시간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개발 도상국에서는) 한 하우스에서 약 10명의 아이가 SOS 어머니와 함께 그룹을 이루며, 10채에서 40채의 하우스와 공유 시설로 "마을"이 구성된다.
3. 1. 운영 원칙
SOS 어린이 마을은 부모의 이혼, 학대,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한 부모 사망, AIDS 등 질병으로 인해 가족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생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환경에 놓인 아동들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받고, 고독, 학대, 착취, 인권 침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는다.SOS는 약 5만 명의 아이들과 약 1만 5천 명의 청소년들이 항구적인 새로운 가족과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OS에서는 SOS 어머니에 의한 가족적인 생활이 24시간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개발 도상국에서는) 한 하우스에서 약 10명의 아이가 SOS 어머니와 함께 그룹을 이루며, 10채에서 40채의 하우스와 공유 시설로 "마을"이 구성된다. 한번 구성된 가족 집단은 우선적으로 유지된다.[1]
3. 2. 조직 구조
SOS 어린이 마을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 118개국에 있는 각 국가별 SOS 어린이 마을 협회는 국제 기구의 임무, 프로토콜, 정책을 수행한다. 지역 사무소는 이러한 작업을 안내하고, 필요에 따라 국가 사무소에 모금, 마케팅,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조직의 전반적인 관리 및 행정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 있는 본부에서 담당한다.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총회이며, 회장, 부회장 및 국제 상원 의원을 선출한다. 22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국제 상원은 모든 SOS의 작업을 안내하고 모니터링하며, 정책 수립, 정책 변경 및 절차 지침을 공식화한다.
국제 상원의 작업은 회장이 의장을 맡고 회원 협회에서 온 8명의 대표로 구성된 관리 위원회에서 조정한다. 관리 위원회는 상원 결정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시하고, 관리팀이 개발한 업무 계획을 승인하며, 연맹의 목표를 정의한다.
사무국은 오스트리아의 국제 사무소와 기타 지역 사무소로 구성되며, 전략적 결정을 실행하고, 조직의 품질 표준을 개발 및 모니터링하며, 국제 커뮤니케이션 및 포럼에서 조직을 대표한다.
4. 국제 협력
SOS 어린이 마을은 1989년에 채택된 유엔 아동 권리 협약(UNCRC), 2009년에 채택된 유엔 아동 양육 대안 지침, 2015년에 채택되어 2030년까지 유효한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등 세 가지 국제적 틀을 활동 지침으로 삼고 있다.[17]
4. 1. 유엔 아동 권리 협약
이 단체는 활동 지침이 되는 세 가지 국제적 틀을 따른다. 1989년에 채택된 유엔 아동 권리 협약(UNCRC)은 아동의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건강 및 문화적 권리를 규정하는 인권 조약이다. 2009년에 채택된 유엔 아동 양육 대안 지침은 적절한 부모의 보호 없이 자라는 아동에게 대안적인 보호를 인정하고 제공하기 위한 정부의 틀을 제공한다.[17] 2015년에 채택되어 2030년까지 유효한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SOS 어린이 마을의 활동이 주로 취약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아동과 가족에 초점을 맞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4. 2. 유엔 아동 양육 대안 지침
SOS 어린이 마을은 세 가지 국제적 틀을 활동 지침으로 삼고 있다. 1989년 채택된 유엔 아동 권리 협약(UNCRC)은 아동의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건강 및 문화적 권리를 규정하는 인권 조약이다. 2009년 채택된 유엔 아동 양육 대안 지침은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자라는 아동에게 대안적인 보호를 인정하고 제공하기 위한 정부의 틀을 제공한다.[17] 2015년 채택되어 2030년까지 유효한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SOS 어린이 마을의 활동이 주로 취약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아동과 가족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4. 3.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OS 어린이 마을은 활동 지침으로 세 가지 국제적 틀을 따른다. 1989년에 채택된 유엔 아동 권리 협약(UNCRC)은 아동의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건강 및 문화적 권리를 규정하는 인권 조약이다. 2009년에 채택된 유엔 아동 양육 대안 지침은 적절한 부모의 보호 없이 자라는 아동에게 대안적인 보호를 인정하고 제공하기 위한 정부의 틀을 제공한다.[17] 2015년에 채택되어 2030년까지 유효한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SOS 어린이 마을의 활동이 주로 취약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아동과 가족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5. 주요 활동 및 프로그램
SOS 어린이 마을은 전 세계 450개 이상 운영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있거나 빈곤한 가정의 생활을 장기간 개선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 SOS는 가족 유대감 강화를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으로 개발도상국에서 192개 학교 및 의료 센터를 운영하여 약 100만 명의 어린이를 지원하고, 거리의 아이들, 소년병, 재해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도 실행하고 있다.[1]
5. 1. 아동 양육
SOS 어린이 마을은 부모의 이혼, 학대,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한 부모 사망, AIDS 등 질병으로 인해 가족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생활을 제공하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아이들은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고독, 학대, 착취, 인권 침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는다.SOS는 약 5만 명의 아이들과 약 1만 5천 명의 청소년들이 새로운 가족과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SOS에서는 24시간 SOS 어머니에 의한 가족적인 생활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개발 도상국에서는 약 10명의 아이가 SOS 어머니와 함께 한 그룹을 이루어 생활하며, 10채에서 40채의 하우스와 공유 시설로 "마을"이 구성된다. 한번 구성된 가족 집단은 우선적으로 유지된다.
5. 2. 교육 지원
SOS는 가족 간 유대 강화를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으로 약 100만 명의 어린이를 지원하고자 개발도상국 전체에서 192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5. 3. 의료 지원
SOS 어린이 마을은 전 세계 450개 이상 운영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어렵거나 가난한 가정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 SOS는 가족 유대감 강화를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에 속한 약 100만 명의 어린이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도상국 전체에서 192개 학교와 의료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1]5. 4. 지역사회 강화
SOS 어린이 마을은 전 세계 450개 이상 운영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있거나 빈곤한 가정의 생활을 장기간 개선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SOS는 가족의 유대감을 강화하기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에서 192개 학교 및 의료 센터를 운영하여 약 100만 명의 어린이를 지원하고, 거리의 아이들, 소년병, 재해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도 실행하고 있다.[1]5. 5. 캠페인
SOS 어린이 마을은 2009년에 위탁 보호 종료를 앞둔 청소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나는 중요하다''" 캠페인을 시작했다.[18]2012년에는 대체 아동 보호에 대한 연구와 평가를 장려하고, 아동 인권 침해로부터 아동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 아이들을 위한 보호!(Care For ME!)'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을 통해 참여 국가들은 자국의 대체 아동 보호 시스템이 유엔 아동 보호 지침을 준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19]
2017년에는 전 세계 어린이 10명 중 1명(2억 2천만 명)이 홀로 성장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는 혼자 자라서는 안 됩니다' 캠페인을 시작했다. '돌봄 효과'라는 글로벌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보살핌 없이 자라는 아이들은 아동 노동, 폭력, 성매매 등 বিভিন্ন 인권 침해에 취약하다.[20]
보고서는 "취약한 환경에 처한 아이들에게 보살핌을 제공하고 학습과 생존 기술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제공한다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21]
6. 논란
2018년 1월, 에티오피아의 SOS 어린이 마을 지부는 어린이들에게 개종 강요를 하는 등 이슬람교를 지원했다는 혐의를 받았다.[27] 단체 측은 이 혐의를 부인했지만, SOS 부지에 모스크(현재 폐쇄됨)가 건설된 것은 정책에 위배된다고 인정했다.[28]
7. 저명한 후원자
최초의 저명한 후원자는 독일 사업가이자 빌레로이&보흐 최대 주주의 아내인 Beatrice von Boch-Galhau|베아트리스 폰 보흐-갈라우de였다. 그녀는 헤르만 그마이너와 친구가 되어 1959년 자신의 재산을 사용해 독일 메르치히에 최초의 어린이 마을을 건설하는 데 자금을 지원했다. 또한 남편의 정치적 인맥을 활용하여 SOS 어린이 마을 아이디어를 홍보했다.
주요 후원자로는 넬슨 만델라, 달라이 라마, 축구 선수 카하 칼라제, 안드리 셰우첸코, 뱅상 콩파니, 뤼트 판 니스텔로이, 세스크 파브레가스, 하비에르 사네티, 오페라 가수 안나 네트레브코, 작가 헤닝 만켈, 테니스 선수 킴 클레이스터르스, 프랑스 작가이자 배우 Anny Duperey|애니 뒤프레프랑스어, 사라 퍼거슨, 영국 아역 배우 조지 헨리, 전 모델 Princess Salimah Aga Khan|살리마 아가 칸 공주영어, 배우이자 가수 셰어, 사업가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Mike Holmes|마이크 홈스영어, 준 카터 캐시와 조니 캐시 등이 있다. 조니 캐시는 SOS 어린이 마을의 전 세계 사업을 위한 추모 기금을 제공했다.
SOS 어린이 마을은 2002년 콘래드 N. 힐튼 인도주의상을 수상했다.[29] 또한 젠워스 파이낸셜의 Putts4Charity 이니셔티브를 통해 상당한 자금을 지원받고 있으며, 이는 유러피언 투어 골프 대회에서 진행된다.
참조
[1]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contributing to nation-building'"
https://www.thenews.[...]
[2]
웹사이트
SOS Village goes a long way
https://www.telegrap[...]
[3]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Radisson to protect vulnerable youths
http://thenationonli[...]
2018-09-06
[4]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to begin work in Iraq
https://reliefweb.in[...]
2016-12-19
[5]
웹사이트
Facts & Figures
https://www.sos-chil[...]
[6]
웹사이트
Supporting refugees and reuniting families through the cloud
http://customers.mic[...]
[7]
웹사이트
International Annual Report 2020
https://www.sos-chil[...]
[8]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 Hilton Humanitarian Prize
https://www.hiltonfo[...]
2018-10-16
[9]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wins Princess of Asturias Award
https://www.youtube.[...]
2016-09-06
[10]
뉴스
HERMANN GMEINER OF AUSTRIA, 66; ESTABLISHED SHELTERS FOR CHILDREN
https://www.nytimes.[...]
1986-04-27
[11]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History
https://www.sos-chil[...]
[12]
웹사이트
UWC Costa Rica
https://www.uwc.org/[...]
[13]
웹사이트
United World College Costa Rica
https://theexcellige[...]
2022-11-26
[14]
웹사이트
Creating Young Agents of Change Through World-Class Education {{!}} UWC Costa Rica
https://theknowledge[...]
2022-11-26
[15]
웹사이트
Helmut Kutin
https://worldofchild[...]
[16]
웹사이트
President of SOS Children's Villages International
https://www.sos-chil[...]
[17]
웹사이트
Guidelines for the Alternative Care of Children
https://www.unicef.o[...]
[18]
웹사이트
SALTO-YOUTH - Otlas - the partner-finding tool - Otlas - SOS Children's Villages Albania
https://www.salto-yo[...]
2018-10-16
[19]
웹사이트
Behance
https://www.behance.[...]
2018-10-16
[20]
웹사이트
No Child Should Grow Up Alone 2016 {{!}} Bonka circus
https://www.bonkacir[...]
2018-10-16
[21]
웹사이트
The 'Care Effect'
https://www.sos-chil[...]
[22]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in Africa
http://www.sos-child[...]
[23]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in the Americas
http://www.sos-child[...]
[24]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in Asia
http://www.sos-child[...]
[25]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in Europe
http://www.sos-child[...]
[26]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in Oceania
http://www.sos-child[...]
[27]
웹사이트
Small Christian orphans converted to Islam
http://www.fides.org[...]
[28]
웹사이트
SOS Children's Villages reaffirms its commitment to children at risk
http://www.fides.org[...]
[29]
간행물
CEMEX and SOS Children's Villages Partner to Provide Long-Term Care for Orphans of...
https://web.archive.[...]
Reuters
2008-06-26
[30]
서적
Global organisations
http://media.ft.com/[...]
Financial Times
[31]
간행물
CEMEX and SOS Children's Villages Partner to Provide Long-Term Care for Orphans of...
http://www.reuters.c[...]
Reuters
2008-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