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S-068 이순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S-068 이순신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잠수함으로, 독일에서 도입한 209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980년대 말 해군의 전력 증강 계획에 따라 도입되었으며, 1200형 잠수함으로 장보고급 잠수함으로 명명되었다. 이 잠수함들은 독일제 센서와 무기를 탑재하고 있다.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취역했으며, 선체 연장, 하푼 미사일 발사 능력 추가, 예인 소나 추가 등의 개량을 거쳤다. 이순신함은 무의공 이순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선박 - DDH-973 양만춘
    DDH-973 양만춘은 대한민국 해군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3번함으로, 노후 구축함 대체 및 해군 전력 투사 능력 향상을 위해 건조되어 2000년 취역 후 림팩 훈련 참가, 자이툰 부대 철수 지원 등의 작전에 참여했으며, 성능 개량 개수를 통해 전투 능력을 향상시켰다.
  • 1998년 선박 - JS 사미다레 (DD-106)
    JS 사미다레 (DD-106)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무라사메급 구축함으로, 레이더 반사 면적 감소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2000년 취역하여 대테러 작전, 연합 훈련, 해적 퇴치 작전에 참여했다.
  • 장보고급 잠수함 - SS-069 나대용
    SS-069 나대용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했던 장보고급 잠수함으로, 2000년에 취역하여 하푼 미사일 등을 탑재하고 림팩 훈련에 참가했다.
  • 장보고급 잠수함 - SS-071 이억기
    SS-071 이억기는 대한민국 해군이 자체 개발한 초고장력강판으로 건조되어 외화 절감에 기여한 장보고급 잠수함으로, 장거리 단독 항해 및 림팩 훈련 참가 등 다양한 해상 훈련에 참여했다.
SS-068 이순신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진주만에 입항하는 이순신함
진주만에 입항하는 이순신함
함명이순신 (I Sun-sin)
함번SS-068
함종장보고급 잠수함
별칭이순신함
제원
배수량수상 1,180톤, 수중 1,290톤
전장55.9 미터
선폭6.2 미터
추진
엔진디젤 엔진 1,760 kW
속력
수상11 노트 (20 km/h)
수중21.5 노트 (40 km/h)
잠항 심도
깊이500 미터
항속 거리
수상10 노트, 10,000 해리 (19,000 km)
수중 스노클10 노트, 8000 해리 (15,000 km)
수중 배터리 (20 노트)20 해리 (37 km)
수중 배터리 (4 노트)400 해리 (740 km)
장갑
재질HY80 고장력강
승조원
인원33명
무장
기뢰있음
어뢰 발사관533mm 어뢰 발사관 X 8
어뢰 재장전6발
건조 정보
제작자대우조선해양
취역1999년
정보 (영문 위키백과)
기공1976년 8월 12일
진수1998년 5월 21일
취역 (영문)2000년 2월 1일
상태현역
건조사DSME
명명 유래이순신
함 종류 (영문)장보고급 잠수함
배수량 (영문)수상 1,180톤, 수중 1,285톤
전장 (영문)55.9 미터
선폭 (영문)6.4 미터
흘수 (영문)5.9 미터
추진 (영문)MTU Type 12V493 AZ80 GA31L 디젤 엔진 4기, 지멘스 전기 모터 1기, 1축 추진
마력4,600 마력
속력 (영문)수상 11 노트, 수중 21 노트
항속 거리 (영문)수상 11,300 해리 (4 노트)
항해 가능 일수50일
승조원 (영문)장교 5명, 사병 26명
어뢰 발사관 (영문)21 인치 (533 mm) 어뢰 발사관 8문
어뢰SST-4 어뢰 14발

2. 개발

장보고급은 209급de 1200형 잠수함으로, 독일제 센서와 무기를 탑재한 터키의 '아틸레이'급 잠수함 6척과 대체로 유사하다.[1] 이후 노후된 잠수함들은 1400형 길이로 선체를 연장하고, 어뢰 발사관에서 하푼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으며, 예인 소나가 추가되었다.[2]

2. 1. 도입 배경

대한민국 해군은 1980년대 말부터 전반적인 역량 개선을 시작하면서 더욱 진보된 함정을 운용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최초의 잠수함으로 독일제 209급을 구매했는데, 이는 1200형 잠수함으로, 장보고급으로 명명되었다. 이 잠수함들은 독일제 센서와 무기를 탑재한 터키의 6척의 '아틸레이'급 잠수함과 대체로 유사하다.[1]

1987년 말에 발주된 첫 번째 주문은 3척의 잠수함으로, 1척은 독일에서, 나머지 2척은 독일에서 공급받은 키트를 사용하여 대한민국에서 건조될 예정이었다. 그 후 1989년 10월과 1994년 1월에 대한민국 건조 잠수함 3척씩의 추가 주문이 있었다. 이 잠수함들은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취역했다.

노후된 잠수함들은 개량되었는데, 개량에는 1400형 길이로의 선체 연장, 어뢰 발사관에서 하푼 미사일 발사 능력 추가, 그리고 예인 소나 추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2. 2. 건조 과정

대한민국 해군은 1980년대 말부터 전반적인 역량 개선을 시작하여 더욱 진보된 함정을 운용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최초의 잠수함으로 독일제 209급을 구매했는데, 이는 1200형 잠수함으로, '장보고'급으로 명명되었다. 이 잠수함들은 독일제 센서와 무기를 탑재한 터키의 '아틸레이'급 잠수함 6척과 대체로 유사하다.[1]

1987년 말에 발주된 첫 번째 주문은 잠수함 3척으로, 1척은 독일에서, 나머지 2척은 독일에서 공급받은 키트를 사용하여 대한민국에서 건조될 예정이었다. 그 후 1989년 10월과 1994년 1월에 대한민국에서 건조하는 잠수함 3척씩의 추가 주문이 있었다. 이 잠수함들은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취역했다.

3. 성능 개량

SS-068 이순신함은 성능 개량을 통해 전투 능력이 향상되었다. 노후된 잠수함들은 개량되었는데, 여기에는 1400형 길이로의 선체 연장, 어뢰 발사관에서 하푼 미사일 발사 능력 추가, 예인 소나 추가 등이 포함되었다.[2]

3. 1. 선체 연장

대한민국 해군은 1980년대 말부터 전반적인 역량 개선을 시작하여 더욱 진보된 함정을 운용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최초의 잠수함으로 독일제 209급(1200형)을 구매하여 '장보고'급으로 명명했다. 이 잠수함들은 독일제 센서와 무기를 탑재한 터키의 '아틸레이'급 잠수함 6척과 대체로 유사하다.[1]

1987년 말에 발주된 첫 번째 주문은 잠수함 3척이었고, 1척은 독일에서, 나머지 2척은 독일에서 공급받은 키트를 사용하여 대한민국에서 건조될 예정이었다. 이후 1989년 10월과 1994년 1월에 대한민국 건조 잠수함 3척씩 추가 주문이 있었다. 이 잠수함들은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취역했다.

노후된 잠수함들은 개량되었는데, 개량에는 1400형 길이로의 선체 연장, 어뢰 발사관에서 하푼 미사일 발사 능력 추가, 예인 소나 추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3. 2. 하푼 미사일 발사 능력

SS-069 나대용, SS-071 이억기함과 함께 SS-068 이순신함은 8문의 어뢰관 중 4문에서 하푼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으며, 6발을 재장전하여 모두 10발의 하푼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3]

2015년 11월 18일 미국 국무부는 1.1억달러(약 1280억)에 UGM-84L 하푼 블록 II 18발을 한국에 수출 허가했다. 잠수함에서 함정이나 지상의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고, 사거리도 기존에 배치된 것보다 2배 늘어난 248km다.[3] UGM-84L 하푼 블록 II는 장보고급 잠수함에도 탑재가 가능하다.[4]

이스라엘은 미국의 잠수함용 하푼 미사일 100여 발을 수입해, 독자 개발한 핵탄두를 장착해 돌핀급 잠수함에 탑재했다. 한국은 핵탄두가 없지만, 이스라엘의 사례를 참고하면, 장보고급 잠수함에서 10발의 하푼 핵미사일 공격이 가능하다.

3. 3. 기타 개량

대한민국 해군은 1980년대 말부터 전반적인 역량 개선을 시작하여 더욱 진보된 함정을 운용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최초의 잠수함으로 독일제 209급(1200형) 잠수함을 구매했는데, 이는 '장보고'급으로 명명되었다. 이 잠수함들은 독일제 센서와 무기를 탑재한 터키의 '아틸레이'급 잠수함 6척과 대체로 유사하다.[1]

노후된 잠수함들은 개량되었는데, 개량에는 1400형 길이로의 선체 연장, 어뢰 발사관에서 하푼 미사일 발사 능력 추가, 그리고 예인 소나 추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4. 함명

이순신함은 일반인들이 충무공 이순신이 아닌 무의공 이순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4. 1. 이순신함

이순신함은 보통 사람들이 충무공 이순신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무의공 이순신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이다.

4. 2. 기타 함명

이순신함은 일반인들이 충무공 이순신의 이름을 딴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무의공 이순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ROKN Chang Bogo Class Submarines https://www.naval-te[...] 2020-08-15
[2] 웹사이트 South Korea Submarine Capabilities {{!}} NTI https://www.nti.org/[...] 2020-08-15
[3] 뉴스 美, 하푼 미사일 한국 수출 승인 조선일보 2015-11-20
[4] 뉴스 '잠수함서 지상 타격 가능' 신형 하푼 미사일 도입 MBC 2015-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