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taiji and Boys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태지와 아이들 1집은 1992년 3월 23일에 발매되어 대한민국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이다. 랩, 테크노, 록 등 다양한 장르를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으며, 17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데뷔 앨범 최다 판매 기록을 세웠다. 이 앨범은 대중과 평론가들에게 모두 호평을 받았으며, 2007년 15주년 기념판으로 발매되었고, 디지털 형태로 해외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태지와 아이들의 음반 - Seotaiji and Boys 2
서태지와 아이들의 두 번째 정규 앨범 《Seotaiji and Boys II》는 전자 음악 요소를 적극 도입하고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여 실험적인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태평소 가락을 샘플링한 타이틀곡 〈하여가〉로 대중적 성공과 음악적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 서태지와 아이들의 음반 - Seotaiji and Boys 3
서태지와 아이들의 세 번째 정규 앨범 《Seotaiji and Boys 3》는 록, 헤비 메탈, 발라드 위주로 구성되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가사가 특징이며, 타이틀곡 〈발해를 꿈꾸며〉와 〈교실 이데아〉가 대표적이다. - 팝 록 음반 - 나방의 꿈
이선희 데뷔 20주년 기념 음반 《나방의 꿈》은 이승기의 데뷔곡 〈내 여자라니까〉를 타이틀곡으로, 싸이가 작사, 작곡 및 랩 피처링에 참여한 후속곡 〈나방의 꿈〉과 〈아버지〉, 그리고 이선희의 대표곡 〈J에게〉 리메이크 버전을 수록했다. - 팝 록 음반 - This Is Where I Came In
This Is Where I Came In은 비 지스가 2001년에 발매한 스튜디오 앨범으로, 세 형제의 보컬 참여와 록, 사랑 노래, 유로팝, 1930년대 멜로디 오마주 등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담은 12곡이 수록되어 있다. - 1992년 데뷔 음반 - The Chronic
The Chronic은 1992년 닥터 드레가 데스 로우 레코드를 설립하고 제작한 데뷔 솔로 앨범으로, G-펑크 사운드를 확립하며 웨스트 코스트 힙합을 재정의하고 갱스터 랩의 상업적 성공을 이끌었다. - 1992년 데뷔 음반 - Kim Gun Mo
김건모는 총 13곡, 53분 01초 분량으로 구성된 앨범으로, 김창환이 프로듀싱하고 다양한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이별 뒤에 그린 그림〉,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 등의 곡들을 수록하고 있다.
Seotaiji and Boys 1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종류 | 정규 음반 |
가수 | 서태지와 아이들 |
발매일 | 1992년 3월 23일 |
녹음 | 1991년–1992년 |
장르 | K-pop 뉴 잭 스윙 댄스 음악 컨템포러리 R&B 힙합 음악 |
길이 | 33분 18초 |
언어 | 한국어 |
레이블 | 반도음반 |
프로듀서 | 유대영, 서태지 |
싱글 | |
싱글 1 | I Know |
싱글 1 발매일 | 1992년 3월 23일 |
싱글 2 | 환상 속의 그대 |
싱글 2 발매일 | 1992년 3월 23일 |
추가 정보 | |
다음 음반 | Seo Taiji and Boys II |
다음 음반 발매일 | 1993년 |
2. 역사적 배경
1990년대 초반 대한민국의 음반 시장은 트로트와 팝 발라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댄스 음악은 아직 대중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메탈밴드 시나위의 베이시스트였던 서태지가 양현석, 이주노와 함께 '서태지와 아이들'을 결성하면서 댄스 음악이 주류 음악 시장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이들의 1집 앨범은 10대 청소년들을 음반 시장의 주요 구매층으로 끌어들이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서태지와 아이들은 대한민국 아이돌 스타의 원조가 되었다.
2. 1. 데뷔 및 초기 활동
1990년대 초반 대한민국의 음반 시장은 트로트와 팝 발라드 위주였으며, 댄스 음악은 완전한 주류는 아니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메탈밴드 시나위의 베이시스트 출신 서태지가 주축이 되어 양현석, 이주노와 함께 결성한 팀 ‘서태지와 아이들’의 1집은 달랐다. 이 앨범 이후 댄스 음악이 주류 음악시장에 자리잡았고, 10대 청소년들도 음반 시장의 주요 구매층으로 편입되었다. 데뷔 앨범의 큰 성공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은 대한민국 아이돌 스타의 원조격이 되었다.
뮤직 비디오로 제작된 곡은 〈난 알아요〉와 〈환상 속의 그대〉로 두 곡 모두 당시로서는 생소한 랩을 사용한 강한 비트의 댄스 곡이다. 이 외에도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이 밤이 깊어가지만〉 등의 발라드 곡도 팬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1집은 1992년 3월 23일에 발매되었으며, 170만 장 가량의 판매고를 기록했고, 이는 대한민국에서 데뷔 앨범으로는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다. 앨범 수록곡 전체가 50위 안에 포함되는 진기록을 세웠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2년 4월 11일 MBC의 연예정보 프로그램 〈TV 특종연예〉의 〈신곡무대〉 코너를 통해 지석진 등과 함께 소개되며 첫 TV출연을 했다. 이 날 방송에는 작곡가 하광훈, 작사가 양인자, 가수 전영록, 연예평론가 이상벽이 출연해 신곡을 듣고 평가와 점수를 매겼는데, 평균 7.8점을 받았다. 하지만 이 방송이 기폭제가 되어 ‘서태지와 아이들’이라는 이름을 알리게 된다. SBS E!의 프로그램 《컴백쇼 톱10》에 이주노가 출연했는데, 이 날 같이 출연한 하광훈은 19년만에 당시 방송을 언급하며 "당시 프로그램에서 본인은 10점 만점에 7점대 이상을 줄 수 없었으며, 점수를 약하게 주며 가수들에게 박하게 하는 게 콘셉트여서 어쩔 수 없었다"라는 발언을 남기기도 했다[19].
6월에는 리서치 앤 리서치에서 진행한 서울지역 무작위 추출로 15세 이상 남녀 3백여 명 대상 전화 설문조사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이 1992년 상반기 신인가수 부문 1위를 차지했다[20]. 7월 24일에는 멤버 이주노가 급성 맹장염으로 서울 구로구 성 베드로 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바람에 활동을 중단하게 되었으며[21], 이 시기에 매니저인 유대영과 결별하고 반도음반과 직할 체계를 갖추게 된다[22]. 8월 11일에는 SBS 인기가요에 출연하면서 팀이 이주노의 맹장 수술 이후 방송 복귀를 하게 된다[23].
2. 2. 멤버 부상 및 활동 중단
1992년 7월 24일, 멤버 이주노가 급성 맹장염으로 서울 구로구 성 베드로 병원에서 수술을 받아 활동을 중단했다.[21] 이 시기에 매니저인 유대영과 결별하고 반도음반과 직할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22] 8월 11일, SBS 인기가요에 출연하면서 이주노의 맹장 수술 이후 방송에 복귀했다.[23] 8월 14일, MBC 라디오의 <가요선정위원회>에서 7월 25일 이후 수차례 라디오 방송을 펑크냈다는 이유로 서태지와 아이들에 대해 무기한 출연 정지 조치를 하고 그들의 노래를 방송하지 않기로 결정했다.[24]2. 3. 활동 재개 및 콘서트
1992년 8월 11일, SBS 인기가요에 출연하면서 이주노의 맹장 수술 이후 팀 활동을 재개했다.[23] 8월 16일 오후 1시, 서울 잠실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최초의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여 6천~1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25][26]1집 활동 기간 동안 서태지와 아이들은 꾸준히 콘서트를 열었으며, 공연 실황은 《Live & Techno Mix》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시나위에서 서태지와 함께 활동한 신대철이 기타 세션으로, 김종서가 코러스로 참여했다.
3. 음악 스타일 및 평가
1990년대 초반 대한민국 음반 시장은 트로트와 팝 발라드가 주류였고, 댄스 음악은 비주류였다. 그러나 시나위의 베이시스트 출신 서태지가 양현석, 이주노와 함께 서태지와 아이들을 결성, 1집을 발표하면서 댄스 음악이 주류로 자리 잡았다. 이 앨범은 10대 청소년을 음반 시장의 주요 구매층으로 끌어들였으며, 서태지와 아이들은 아이돌 스타의 원조가 되었다.
〈난 알아요〉와 〈환상 속의 그대〉는 뮤직비디오로 제작되었으며, 당시 생소했던 랩을 사용한 강한 비트의 댄스 곡이었다.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이 밤이 깊어가지만〉 등 발라드 곡도 인기를 얻었다.
3. 1. 음악 스타일
서태지와 아이들 1집은 1990년대 초반 트로트와 팝 발라드가 주류였던 대한민국 음반 시장에 댄스 음악을 주류로 끌어올린 음반이다. 서태지는 시나위의 베이시스트 출신으로, 양현석, 이주노와 함께 서태지와 아이들을 결성하여 랩, 테크노, 록 등 다양한 장르를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다.뮤직비디오로 제작된 〈난 알아요〉와 〈환상 속의 그대〉는 당시로서는 생소한 랩을 사용한 강한 비트의 댄스 곡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27]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이제는〉과 같은 발라드 곡들도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3. 2. 대중적, 음악적 평가
빌보드는 이 앨범이 16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고 보도했으며,[4] 이후 180만 장 이상 판매되어 대한민국 역대 음반 판매량 순위 최상위권에 올랐다.[5] 경향신문은 2007년 '대한민국 100대 명반' 목록에서 이 앨범을 24위로 선정했다.[6] 2020년 피치포크는 이 앨범에 10점 만점에 8.3점을 부여하며, "랩, 테크노, 록의 교묘한 결합은 곧 K팝의 새벽으로 여겨질 것"이라고 평가했다.[7]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2년 "난 알아요"로 골든 디스크를 수상했다.[8]출판 매체 | 목록 | 순위 | 연도 |
---|---|---|---|
Serv 매거진 | 한국 앨범 100선 | 25 | 1998[9] |
MBC 라디오 | 역대 최고의 앨범 | 순위권 진입 | 2001[10] |
경향신문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 24 | 2007[11] |
멜론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22 | 2018[12] |
빌보드 | 지난 30년간 최고의 보이 밴드 앨범 30선 | 11 | 2020[13] |
uDiscoverMusic | 1992년 최고의 앨범 | 40 | 2021[14] |
4. 수록곡 목록
서태지가 대부분의 곡을 작사, 작곡했다. 5번 트랙 〈이 밤이 깊어가지만〉은 양현석이 작사, 8번 트랙 Blind Love영어는 William. B영어가 작사, 9번 트랙 Rock'N Roll Dance영어는 앵거스 영이 작곡했다.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1 | Yo! Taiji!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0:39 |
2 | 난 알아요 (Club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48 |
3 | 환상속의 그대 | 서태지 | 서태지 | 4:25 |
4 |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 서태지 | 서태지 | 4:21 |
5 | 이 밤이 깊어가지만 | 양현석 | 서태지 | 3:54 |
6 | 내 모든 것 (Live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4:49 |
7 | 이제는 | 서태지 | 서태지 | 4:18 |
8 | Blind Love영어 (English Version영어) | William. B영어 | 서태지 | 3:58 |
9 | RockN Roll Dance영어 (92 Heavy Mix영어) | 서태지 | 앵거스 영 | 3:11 |
10 | Missing영어 | 서태지 | 1:08 |
2007년 서태지 15주년 기념 박스세트에 포함된 버전은 2009년에 개별 재발매되었다. 히든트랙으로 《Live & Techno Mix》, 《Seotaiji Live Tour Zero》 앨범 수록곡과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 TV 출연 당시 사용한 〈난 알아요〉 음원이 추가되었다.[27]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1 | Yo! Taiji!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0:39 |
2 | 난 알아요 (Club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48 |
3 | 환상속의 그대 | 서태지 | 서태지 | 4:25 |
4 |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 서태지 | 서태지 | 4:21 |
5 | 이 밤이 깊어가지만 | 양현석 | 서태지 | 3:54 |
6 | 내 모든 것 (Live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4:49 |
7 | 이제는 | 서태지 | 서태지 | 4:18 |
8 | Blind Love영어 (English Version영어) | William. B영어 | 서태지 | 3:58 |
9 | RockN Roll Dance영어 (92 Heavy Mix영어) | 서태지 | 앵거스 영 | 3:11 |
10 | Missing영어 | 서태지 | 1:08 | |
11 | 환상속의 그대 Part 3영어 (Live & Techno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43 |
12 | 이 밤이 깊어가지만 (Live & Techno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5:14 |
13 | Rock'N Roll Dance영어 (Live & Techno Mix영어) | 서태지 | 앵거스 영 | 5:16 |
14 | 난 알아요 ('04 Zero Live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4:26 |
15 | '92영어 난 알아요 (TV Edit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24 |
4. 1. 정규 앨범
Yo! Taiji!영어 : 도입부 연주곡으로, 정규 앨범마다 그 앨범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고편 역할을 한다.- 난 알아요 : 첫 번째 뮤직비디오 발표곡. 2002년 ETPFEST 공연때 10주년을 기념하여 Rock 버전으로 편곡하여 부른 적이 있으며, 2004 ZERO LIVE에서 10주년때의 Rock 버전을 좀 더 매끄럽게 편곡하여 불렀다.
- 환상속의 그대 : 두 번째 뮤직 비디오 발표곡. 2000 - 2001 태지의 화 공연때 Rock 버전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2018년에는 장기하와 얼굴들이 자신들의 5집 음반 《mono》의 타이틀곡 〈그건 니 생각이고〉에서 이 곡 가사의 일부분인 '그대의 머리 위를 뛰어다니는'을 차용해서 삽입하기도 했으며, 탤런트 권오중이 안무를 제작하기도 했다.[27]
-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 감성적인 발라드 곡으로, 2001년 서태지가 발표한 라이브 앨범 《태지의 화》의 마지막 곡이기도 하다. 뫼비우스 2009 공연에서는 록버전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 이 밤이 깊어가지만 : 서태지와 아이들 멤버인 양현석이 작사하였으며, 2004 제로투어 공연에서 록버전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 내 모든 것: 2013년 tvN의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삽입되었다. 2014 - 2015 콰이어트 나이트 공연에서 Rock 버전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 이제는: 감성적인 발라드 곡으로, 1995 다른 하늘이 열리고 공연에서는 2집 수록곡 너에게 와 합쳐져 아름다운 하나의 발라드곡으로 재탄생하였으며, 2008 ETPFEST 에서는 록버전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 Blind Love영어 : 난 알아요의 영어 버전이다. 서태지와 아이들 때의 각종 공연에서는 난 알아요의 가사와 섞어서 부르기도 했다.
- Rock'N Roll Dance영어 : 9집 Intro영어와 함께 서태지가 작곡하지 않은 곡이다. 2000 - 2001 태지의 화 공연에서 Rock 버전을 선보였다.
- Missing영어 : 연주곡으로 테이프의 A면과 B면의 길이 조정을 위해 삽입되었다.
전체 작사는 서태지가 맡았으며, 5번 트랙의 작사는 양현석, 8번 트랙의 작사는 William B.영어, 9번 트랙의 작곡은 앵거스 영이 맡았다.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1 | Yo! Taiji!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0:39 |
2 | 난 알아요 (Club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48 |
3 | 환상속의 그대 | 서태지 | 서태지 | 4:25 |
4 |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 서태지 | 서태지 | 4:21 |
5 | 이 밤이 깊어가지만 | 양현석 | 서태지 | 3:54 |
6 | 내 모든 것 (Live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4:49 |
7 | 이제는 | 서태지 | 서태지 | 4:18 |
8 | Blind Love영어 (English Version영어) | William. B영어 | 서태지 | 3:58 |
9 | RockN Roll Dance영어 (92 Heavy Mix영어) | 서태지 | 앵거스 영 | 3:11 |
10 | Missing영어 | 서태지 | 1:08 |
2007년 발매된 서태지 15주년 기념 박스세트에 포함된 버전이 2009년에 개별적으로 재발매되었다. 앨범의 히든트랙으로는 《Live & Techno Mix》, 《Seotaiji Live Tour Zero》앨범에서 몇 곡이 선정되어 실렸고,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이 TV 출연했을 때 사용하던 〈난 알아요〉 음원도 수록되었다.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1 | Yo! Taiji!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0:39 |
2 | 난 알아요 (Club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48 |
3 | 환상속의 그대 | 서태지 | 서태지 | 4:25 |
4 | 너와 함께한 시간 속에서 | 서태지 | 서태지 | 4:21 |
5 | 이 밤이 깊어가지만 | 양현석 | 서태지 | 3:54 |
6 | 내 모든 것 (Live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4:49 |
7 | 이제는 | 서태지 | 서태지 | 4:18 |
8 | Blind Love영어 (English Version영어) | William. B영어 | 서태지 | 3:58 |
9 | RockN Roll Dance영어 (92 Heavy Mix영어) | 서태지 | 앵거스 영 | 3:11 |
10 | Missing영어 | 서태지 | 1:08 | |
11 | 환상속의 그대 Part 3영어 (Live & Techno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43 |
12 | 이 밤이 깊어가지만 (Live & Techno Mix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5:14 |
13 | Rock'N Roll Dance영어 (Live & Techno Mix영어) | 서태지 | 앵거스 영 | 5:16 |
14 | 난 알아요 ('04 Zero Live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4:26 |
15 | '92영어 난 알아요 (TV Edit영어) | 서태지 | 서태지 | 3:24 |
4. 2. 15주년 기념판/2009 리마스터 재발매판
2007년 발매된 서태지 15주년 기념 박스세트에 포함된 버전이 2009년에 다시 개별적으로 재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히든트랙으로 《Live & Techno Mix》, 《Seotaiji Live Tour Zero》 앨범에서 선정한 몇 곡과,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이 TV 출연 당시 사용했던 〈난 알아요〉 음원이 추가되었다.[27]수록된 히든 트랙은 다음과 같다.
- 환상 속의 그대 Part 3 (Live & Techno Mix)
- 이 밤이 깊어가지만 (Live & Techno Mix)
- Rock'N Roll Dance (Live & Techno Mix)
- 난 알아요 ('04 Zero Live)
- 92 난 알아요 (TV Edit)
5. 제작진
참여자 | 역할 |
---|---|
서태지 | 랩, 보컬, 작사(트랙 5 제외)·작곡(트랙 9 제외)·편곡,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기기타(2, 3, 8), 신시사이저[28] |
양현석 | 작사(트랙 5), 랩, 코러스, 안무[28] |
이주노 | 랩, 코러스, 안무[28] |
신대철 | 기타(9)[28] |
손무현 | 기타(6)[28] |
김종서 | 코러스[28] |
장혜진 | 코러스[28] |
이정식 | 색소폰[28] |
스태프 | 역할 |
유대영 | 프로듀서[28] |
서상환 | 녹음 기술자[28] |
최성원 | 앨범 커버 디자이너[28] |
5. 1.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 랩, 보컬, 작사(트랙 5 제외)·작곡(트랙 9 제외)·편곡,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기기타(2, 3, 8), 신시사이저[28]양현석: 작사(트랙 5), 랩, 코러스, 안무[28]
이주노: 랩, 코러스, 안무[28]
5. 2. 참여 음악인
5. 3. 스태프
- 유대영: 프로듀서[28]
- 서상환: 녹음 기술자[28]
- 최성원: 앨범 커버 디자이너[28]
6. 수상 목록
서태지와 아이들은 1집 활동으로 다음 상들을 수상했다.[19]
상 | 결과 |
---|---|
TV 저널 올해의 스타상 대상 | 수상 |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 수상 |
서울가요대상 최고 인기가수상 | 수상 |
골든디스크 본상 | 수상[8] |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 | 수상 |
MBC 10대 가수가요제 최고 인기가요상 | 수상 |
MBC 10대 가수가요제 신인가수상 | 수상 |
SBS 가요대전 대상 | 수상 |
참조
[1]
웹사이트
Seo Tai-Ji
http://www.allmusic.[...]
allmusic.com
2014-01-25
[2]
웹사이트
Seo Taiji And Boys – Goodbye Best Album
http://www.discogs.c[...]
discogs.com
2014-01-25
[3]
웹사이트
K-pop still feels impact of Seo Taiji & Boys
http://www.koreahera[...]
koreaherald.com
2014-01-25
[4]
간행물
Seoul Music: Rockin' in Korea
https://books.google[...]
1996-04-20
[5]
뉴스
이주노와 양현석...이들 활동했던 '서태지와 아이들'에 관심 집중
http://www.kookje.co[...]
2018-01-31
[6]
웹사이트
"[대중음악 100대 명반]24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
http://news.khan.co.[...]
2007-11-15
[7]
웹사이트
Seo Taiji and Boys: Seo Taiji and Boys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21-09-30
[8]
웹사이트
역대수상자 골든디스크
http://isplus.live.j[...]
2017-06-16
[9]
웹사이트
【화제】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https://entertain.na[...]
Naver
2022-12-09
[10]
웹사이트
"대중음악 전문가들 한국 최고 가요 선정"
https://entertain.na[...]
Naver
2022-12-10
[11]
웹사이트
"[커버스토리]대중음악 100대 명반 '들국화'1위"
https://n.news.naver[...]
Naver
2022-12-08
[12]
웹사이트
한국 대중 음악 명반 100
https://www.melon.co[...]
Melon
2020-08-03
[13]
간행물
The 30 Best Boy Band Albums of the Past 30 Years: Staff Picks
https://www.billboar[...]
2022-12-08
[14]
웹사이트
The Best Albums Of 1992: 72 Records Worth Your Time
https://www.udiscove[...]
2022-12-08
[15]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1집
http://www.maniadb.c[...]
[16]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1집
http://music.daum.ne[...]
[17]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1집
https://vibe.naver.c[...]
[18]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1집
http://music.cyworld[...]
[19]
뉴스
하광훈, “서태지와 아이들 데뷔무대 심사 조작된 것” 폭로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1-11-16
[20]
뉴스
신인은 손지창(탤런트) 서태지(가수) 이영자(코미디)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06-25
[21]
뉴스
지난 24일 맹장수술을 받아 활동을 중단한 그룹「서태지와 아이들」의 이주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07-26
[22]
뉴스
「서태지와 아이들」인기街道(가도)"빨간불"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08-02
[23]
뉴스
「서태지와…」방송출연 재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08-11
[24]
뉴스
그룹 서태지와 아이들 M라디오서 출연정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2-08-14
[25]
뉴스
"서태지오빠 사랑해요"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08-17
[26]
뉴스
제2의「뉴키즈」소동 서태지公演(공연) 아비규환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2-08-17
[27]
뉴스
"'궁민남편' 권오중, 서태지와 아이들 안무제작?… 화려한 '과거'"
https://entertain.na[...]
머니S
2021-01-28
[28]
문서
Seotaiji and Boy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