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taiji and Boys 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eotaiji and Boys 2》는 1993년 발매된 서태지와 아이들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이다. 랩, 댄스 음악을 기반으로 헤비메탈, 일렉트로니카, 국악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여 음악적 실험을 보여주었으며, 22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하여가〉, 〈수시아〉, 〈죽음의 늪〉, 〈너에게〉 등의 수록곡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와 대중적인 감성을 모두 담아냈다. 이 앨범은 음악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앨범으로 평가받으며 한국 대중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2007년과 2009년에 재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태지와 아이들의 음반 - Seotaiji and Boys 3
서태지와 아이들의 세 번째 정규 앨범 《Seotaiji and Boys 3》는 록, 헤비 메탈, 발라드 위주로 구성되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가사가 특징이며, 타이틀곡 〈발해를 꿈꾸며〉와 〈교실 이데아〉가 대표적이다. - 서태지와 아이들의 음반 - Seotaiji and Boys 1
《Seotaiji and Boys 1》은 서태지와 아이들이 1992년에 발표한 데뷔 앨범으로, 혁신적인 반향과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며 대한민국 가요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평론가들에게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 랩 록 음반 - Collision Course
린킨 파크와 제이 지의 협업 앨범인 Collision Course는 MTV 매쉬업 쇼를 통해 탄생했으며, 기존 곡과 랩을 결합하여 빌보드 200 차트 1위 및 그래미 어워드 수상 등 상업적, 음악적 성공을 거둔 매시업 EP 앨범이다. - 랩 록 음반 - Rage Against the Machine (음반)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의 데뷔 음반은 1992년에 발매되어 펑크와 헤비 메탈을 결합한 정치적 가사와 틱꽝득의 분신 자살 사진을 앨범 커버로 사용했으며,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고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 팝 록 음반 - 나방의 꿈
이선희 데뷔 20주년 기념 음반 《나방의 꿈》은 이승기의 데뷔곡 〈내 여자라니까〉를 타이틀곡으로, 싸이가 작사, 작곡 및 랩 피처링에 참여한 후속곡 〈나방의 꿈〉과 〈아버지〉, 그리고 이선희의 대표곡 〈J에게〉 리메이크 버전을 수록했다. - 팝 록 음반 - This Is Where I Came In
This Is Where I Came In은 비 지스가 2001년에 발매한 스튜디오 앨범으로, 세 형제의 보컬 참여와 록, 사랑 노래, 유로팝, 1930년대 멜로디 오마주 등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담은 12곡이 수록되어 있다.
Seotaiji and Boys 2 - [음악]에 관한 문서 | |
---|---|
Seo Taiji and Boys II | |
![]() | |
음반 정보 | |
종류 | 정규 음반 |
가수 | 서태지와 아이들 |
발매일 | 1993년 6월 21일 |
녹음 | 1993년 |
녹음 장소 | 테크노 태지 스튜디오, 서울 |
장르 | R&B 팝 뉴 잭 스윙 팝 랩 |
언어 | 한국어 |
길이 | 30분 36초 |
레이블 | 반도음반 |
프로듀서 | 서태지 |
싱글 정보 | |
싱글 1 | 아무튼 그렇다 |
싱글 1 발매일 | 1993년 6월 21일 |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Seo Taiji and Boys (1992) |
다음 음반 | Seo Taiji and Boys III (1994) |
2. 발매 배경 및 활동
1집의 성공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의 두 번째 앨범 역시 큰 기대를 모았다. 2집에서는 랩과 화려한 댄스 음악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강렬한 기타 사운드와 헤비메탈 곡에서 들을 법한 기타 솔로, 태평소 소리를 삽입해 당시 큰 화제가 되었던 〈하여가〉, 일렉트로니카 장르의 〈수시아〉, 마약 문제를 다룬 〈죽음의 늪〉, 서태지와 아이들 특유의 감성적인 팝 발라드 〈너에게〉 등 더 다양하고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며 1집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1] 뮤직 비디오는 〈하여가〉와 〈너에게〉 두 곡이 제작되었다.
서태지와 아이들 2집은 랩과 댄스 음악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헤비메탈, 일렉트로니카, 국악 등 다양한 장르의 요소를 도입하여 실험적인 사운드를 구현했다. 〈하여가〉는 강렬한 기타 사운드와 태평소 소리의 조화가 돋보이는 곡으로, 당시 큰 화제가 되었다. 〈수시아〉는 일렉트로니카 장르의 곡으로, 당시 한국 대중음악에서는 드물었던 시도를 보여주었다. 〈죽음의 늪〉은 마약 문제를 다룬 곡으로,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데, 이는 진보 진영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너에게〉는 서태지와 아이들 특유의 감성적인 팝 발라드 곡으로,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뮤직 비디오는 〈하여가〉와 〈너에게〉가 제작되었다.[1]
2집 활동 기간의 공연 실황은 《'93 마지막 축제》로 발매되었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2집 홍보 기간 동안 귀걸이, 찢어진 청바지, 드레드락 등의 파격적인 패션을 선보였는데, 이로 인해 KBS를 포함한 일부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이 금지되기도 했다.[2][3][4]
3. 음악적 특징
3. 1. 주요 수록곡 해설
4. 평가 및 영향
서태지와 아이들 2집은 음악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앨범으로 평가받으며, 한국 대중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3년 골든 디스크 시상식에서 음반 본상을 수상했으며, 서울가요대상 대상을 수상했다.[12] 1996년 빌보드는 이 앨범이 16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고 보도했으며,[9] 이후 220만 장 이상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10] 2007년 경향신문은 이 앨범을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중 30위로 선정했다.[11]
여러 매체에서 한국 대중음악 명반으로 선정되었으며, 특히 '하여가'는 MBC 라디오 역대 최고의 한국 노래, Music Y 역대 댄스곡 120선 등에 선정되었다.
2013년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 2집 수록곡들이 삽입되면서 다시 한번 주목받았다. 특히, 성시경이 리메이크한 〈너에게〉는 큰 인기를 얻었으며, 서태지는 이에 대한 감사의 편지를 자필로 공개하기도 했다.[22]
연도 | 시상식 | 부문 | 결과 |
---|---|---|---|
1993 | 골든 디스크 | 음반 본상 | 수상 |
음반 대상 | 후보 | ||
서울가요대상 | 대상 | 수상 |
출판 | 목록 | 순위 | 연도 |
---|---|---|---|
Serv Magazine | 한국 앨범 100선 | 37 | 1998[13] |
MBC 라디오 | 역대 최고의 한국 노래 ("하여가") | 순위권 진입 | 2001[14] |
경향신문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30 | 2007[15] |
Music Y | 역대 댄스곡 120선 ("하여가") | 12 | 2014[16] |
멜론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52 | 2018[17] |
5. 재발매
2007년 발매된 서태지 15주년 기념 박스세트에 포함된 버전이 2009년에 개별적으로 재발매되었다. 앨범의 히든트랙으로는 《'93 마지막 축제》, 《Seotaiji Live Tour Zero》 앨범의 라이브 음원 몇 곡과 〈하여가〉의 리믹스 버전 등이 추가 수록되었다. 〈하여가〉의 리믹스 버전은 1993년 서태지와 아이들이 TV에 출연했을 때 사용하던 음원과 힙합버전으로 다시 녹음한 버전이다.[1]
6. 수록곡 목록
Seotaiji and Boys 2영어의 모든 수록곡은 서태지가 작사, 작곡, 편곡을 맡았다. 3번 트랙 '우리들만의 추억'의 랩 작사는 윌리엄 변이 참여했다.
1993년에 발매된 오리지널 버전은 총 8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에는 서태지 데뷔 15주년을 기념하여 리마스터링 버전이 발매되었는데, 여기에는 오리지널 8곡 외에 '93 마지막 축제 및 '04 Zero Live' 공연 실황 음원, 리믹스 버전 등이 추가되었다.
6. 1. 오리지널 (CD, LP, TAPE)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Yo! Taiji (연주곡) | 서태지 | 서태지 | 0:51 |
하여가 | 서태지 | 서태지 | 5:15 |
우리들만의 추억 | 서태지 | 서태지 | 3:52 |
죽음의 늪 | 서태지 | 서태지 | 3:28 |
너에게 | 서태지 | 서태지 | 4:36 |
수시아 (誰是我) | 서태지 | 서태지 | 4:05 |
마지막 축제 | 서태지 | 서태지 | 4:38 |
우리들만의 추억 (Instrumental) | 서태지 | 3:52 |
6. 2. 15주년 기념판 (2007) / 리마스터 (2009)
2007년 서태지 15주년 기념 박스세트에 포함된 버전이 2009년에 다시 개별적으로 재발매되었다. 앨범의 히든트랙으로는 《'93 마지막 축제》, 《Seotaiji Live Tour Zero》 앨범에서 라이브 음원 몇 곡이 선정되어 실렸다. 〈하여가〉의 경우에는 1993년 서태지와 아이들이 TV에 출연했을 때 사용하던 음원과 힙합 버전으로 다시 녹음한 버전 모두 수록되었다.[1]순서 | 곡 제목 | 비고 |
---|---|---|
1 | Yo! Taiji | 연주곡 |
2 | 하여가 (何如歌) | |
3 | 우리들만의 추억 | |
4 | 죽음의 늪 | |
5 | 너에게 | |
6 | 수시아 (誰是我) | |
7 | 마지막 축제 | |
8 | 우리들만의 추억 | instrumental |
9 | Opening | The Taiji Boys, '93 마지막 축제 |
10 | 마지막 축제 | '93 마지막 축제 |
11 | 수시아 | '93 마지막 축제 |
12 | 우리들만의 추억 Part 1 | '93 마지막 축제 |
13 | 우리들만의 추억 Part 2 | '93 마지막 축제 |
14 | '93 하여가 Remix | HipHop Ver |
15 | 죽음의 늪 | '04 Zero Live |
16 | '93 하여가 | TV Edit |
7. 참여
이 음반에는 서태지와 아이들 멤버들을 비롯하여 김종서, 김덕수 등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하였다. 2번 트랙에는 김종서가 백킹 보컬을, 김덕수가 사물놀이와 태평소 연주를 맡았으며, William Byun은 영어 랩 작사를 담당했다.[23]
7. 1. 오리지널 앨범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에서 발췌하였다.[23]참여 인물 | 역할 |
---|---|
서태지 | 프로듀서, 랩, 보컬, 작사·작곡·편곡, 샘플링, 기술, 비트박스(2), 기타(2), 베이스 기타(2, 3, 5, 7, 8) |
양현석, 이주노 | 랩, 보컬, 백킹 보컬, 안무 |
김종서 | 백킹 보컬(2) |
김덕수 | 사물놀이, 태평소(2) |
이태섭 | 기타(2) |
William Byun | 영어 랩 작사(트랙 3) |
Ito | 기타(3~5, 7, 8) |
이정식 | 색소폰(5) |
스탭 | 역할 |
녹음/믹싱 스튜디오 | 테크노 태지 스튜디오 (Techno Taiji Studio) |
유재학 | 사진 |
Ivy 프로덕션 | 디자인 |
7. 2. 2007/2009 리마스터링 재발매판
이 목록은 해당 앨범의 부클릿에서 발췌하였다.[23]참여자 | 역할 |
---|---|
서태지 | 프로듀서, 랩, 보컬, 작사·작곡·편곡, 샘플링, 기술, 비트박스(2), 기타(2), 베이스 기타(2, 3, 5, 7, 8) |
양현석, 이주노 | 랩, 보컬, 백킹 보컬, 안무 |
김종서 | 백킹 보컬(2) |
김덕수 | 사물놀이, 태평소(2) |
이태섭 | 기타(2) |
William Byun | 영어 랩 작사(트랙 3) |
Ito | 기타(3~5, 7, 8) |
이정식 | 색소폰(5) |
'''스탭'''
- 녹음/믹싱 스튜디오: 테크노 태지 스튜디오 (Techno Taiji Studio)
- 유재학: 사진
- Ivy 프로덕션: 디자인
- 서태지: 프로듀서,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Tower Mastering studio(로스엔젤레스), Techno-T studio: 마스터링 스튜디오
참조
[1]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19일 TV복귀"
https://n.news.naver[...]
Naver
1993-06-18
[2]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KBS 출연정지
https://n.news.naver[...]
Naver
1993-06-25
[3]
서적
Global Noise: Rap and Hip Hop Outside the USA
https://books.google[...]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2-01-01
[4]
서적
The Korean Popular Culture Reader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4
[5]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최진실.이경규 인기 높아
https://n.news.naver[...]
Naver
1993-09-27
[6]
웹사이트
MBC노조, 방송구조개편안 반대성명
https://n.news.naver[...]
Naver
1993-11-30
[7]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goldendi[...]
2022-05-07
[8]
웹사이트
각종 시상식 잇달아
https://news.naver.c[...]
Naver
1993-12-13
[9]
서적
Seoul Music: Rockin' in Korea; April 20, 1996
https://books.google[...]
Billboard
[10]
뉴스
이주노와 양현석...이들 활동했던 '서태지와 아이들'에 관심 집중
http://www.kookje.co[...]
2018-01-31
[11]
웹사이트
"[대중음악 100대 명반]30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II'"
http://news.khan.co.[...]
2007-12-06
[12]
웹사이트
제 15회 서울 가요대상, 다음달 10일 개최
https://entertain.na[...]
Naver
2004-11-07
[13]
웹사이트
【화제】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https://entertain.na[...]
Naver
2005-06-02
[14]
웹사이트
"대중음악 전문가들 한국 최고 가요 선정"
https://entertain.na[...]
Naver
2001-07-22
[15]
웹사이트
"[커버스토리]대중음악 100대 명반 '들국화'1위"
https://n.news.naver[...]
Naver
2007-08-23
[16]
웹사이트
Music Y – Dance Track 120 List
http://musicy.kr/?c=[...]
2014-07-29
[17]
웹사이트
한국 대중 음악 명반 100
https://www.melon.co[...]
Melon
2018-08-28
[18]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2집"
http://www.maniadb.c[...]
[19]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2집"
http://music.daum.ne[...]
[20]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2집"
https://vibe.naver.c[...]
[21]
웹사이트
"서태지와 아이들 - 서태지와 아이들 2집"
http://music.cyworld[...]
[22]
뉴스
‘응답하라 1994 OST’ 서태지, 성시경에 자필편지 “추억이 많은 노래…”
https://news.naver.c[...]
MBN
2013-11-02
[23]
문서
Seotaiji and Boys II
라이너 노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