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BWA Worldwid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BWA Worldwide는 1970년 파리에서 설립된 글로벌 광고 대행사로, 각 창립자의 이름 첫 글자를 따서 명명되었다. 1993년 옴니콤 그룹에 인수되었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세계적으로 확장하여 여러 글로벌 계정을 확보했다. TBWA는 2018년, 2021년, 2022년 Adweek의 올해의 글로벌 에이전시로 선정되었고, 2019년 Fast Company의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TBWA는 대한민국에 TBWA\KOREA를 설립하여 SK텔레콤, SK텔레텍, 애플코리아, 대림산업, 현대카드 등의 광고를 제작했다. TBWA는 Disruption과 미디어 아트라는 광고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앱솔루트 보드카 광고, "해밀턴의 타이어를 펑크내라" 캠페인, 타코 벨 치와와 광고 소송, 하겐다즈 인도 캠페인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설립된 기업 - 한샘
    한샘은 1970년 조창걸 명예회장이 설립하여 대한민국 부엌 문화를 현대식으로 바꾸는 데 기여한 부엌 및 실내 가구 제조, 유통 기업으로, 2021년 IMM PE에 인수된 후 2023년부터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과거 사내 성폭력 사건과 인스타그램 이벤트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기도 했다.
  • 1970년 설립된 기업 -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1970년 협우실업으로 설립되어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며 롯데하이마트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 뉴욕의 기업 - 비즈니스 인사이더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케빈 P. 라이언 등이 2007년 뉴욕에서 설립한 미국의 온라인 경제 매체로, 비즈니스 뉴스 외 다양한 주제의 기사를 제공하며, 국제적 확장 및 유료 구독 서비스, 테크·마켓 인사이더 등의 사업 부문을 운영한다.
  • 뉴욕의 기업 - 버즈피드
    버즈피드는 2006년 조나 퍼레티가 설립한 미국의 인터넷 뉴스 및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회사로, 바이럴 콘텐츠에서 저널리즘으로 확장했으나, 2021년 상장 후 어려움을 겪으며 2023년 뉴스 부문을 폐쇄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다.
  • 미국의 기업 - IBM
    IBM은 1911년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기술 기업으로, 컴퓨팅 기술 발전을 선도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미국의 기업 - 엔비디아
    엔비디아는 1993년 설립된 미국의 반도체 회사로, GeForce 256을 통해 GPU라는 용어를 대중화하고 딥러닝 기술 발전에 힘입어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며 성장하여 2024년 6월에는 시가총액 세계 1위 기업에 올랐다.
TBWA Worldwide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명칭TBWA 월드와이드
이전 명칭(이전 명칭 없음)
TBWA 월드와이드 로고
TBWA 월드와이드 로고
유형자회사
설립일1970년 2월 13일
설립 장소프랑스, 파리
창립자(창립자 정보 없음)
본사 위치미국, 뉴욕, 뉴욕 시, 220 E 42nd Street
산업광고
모기업옴니콤 그룹
웹사이트TBWA 월드와이드 공식 웹사이트
서비스 제공 지역114개국 307개 사무소

2. 역사

TBWA는 1970년 프랑스 파리에서 4명의 공동 창립자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회사 이름은 각 창립자의 성(姓) 첫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2] 1993년에는 세계적인 광고 그룹인 옴니콤 그룹에 인수되었다.[3]

옴니콤 그룹 편입 이후 1990년대 중반부터 TBWA는 세계 시장으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마스터 푸드(Master Foods)와 같은 글로벌 고객사를 유치하며 규모와 전문성을 키워나갔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2004년 Advertising Age로부터 '올해의 글로벌 에이전시 네트워크'로 선정되었으며, 2010년에는 Advertising Agency에 의해 '지난 10년간 최고의 에이전시 10곳' 중 하나로 꼽혔다.[4] 이후에도 Adweek으로부터 2018년, 2021년, 2022년 '올해의 글로벌 에이전시'로 선정되었고,[5] 2019년에는 Fast Company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목록에 이름을 올리는 등 국제적인 광고 회사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 1. 설립

TBWA는 1970년 프랑스 파리에서 윌리엄 G. '''T'''라고스(그리스계 미국인, 경영), 클로드 '''B'''오낭주(프랑스, 마케팅), 울리 '''W'''이젠댕거(스위스, 크리에이티브), 파올로 '''A'''이롤디(이탈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스)가 공동으로 설립하였다.[2] 회사 이름은 각 창립자의 성(姓) 첫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1993년에는 옴니콤 그룹에 인수되었다.[3]

2. 2. 옴니콤 그룹 편입

TBWA는 1993년 옴니콤 그룹에 인수되었다.[3] 이 인수를 계기로 TBWA는 1990년대 중반부터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장하기 시작했다. 마스터 푸드(Master Foods)와 같은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하며 사업 영역과 전문성을 넓혀나갔다.

2. 3. 국제적 확장

1990년대 중반, TBWA는 세계적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마스터 푸드(Master Foods)와 같은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하며 서비스의 범위와 깊이를 더해 나갔다. 이러한 성장을 바탕으로 2004년에는 Advertising Age로부터 '올해의 글로벌 에이전시 네트워크'로 선정되었다.

2010년에는 Advertising Agency에 의해 지난 10년간 최고의 에이전시 10곳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4] 이후 Adweek은 TBWA\Worldwide를 2018년, 2021년, 2022년에 '올해의 글로벌 에이전시'로 선정하며 그 성과를 인정했다.[5] 또한 2019년에는 Fast Company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목록에 포함되었다.

3. 대한민국과의 관계

1998년 12월 SK그룹의 광고 계열사인 태광멀티애드를 인수하며 대한민국 시장에 진출, TBWA KOREA를 설립하였다. 이후 SK텔레콤, 애플코리아, 대림산업, 현대카드 등 주요 기업들의 광고를 제작하며 한국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3. 1. TBWA\KOREA 설립

1998년 12월 SK그룹의 태광멀티애드를 인수하여 TBWA \ KOREA를 설립했다.

3. 2. 국내 주요 광고

TBWA가 제작한 대표적인 광고 캠페인으로는 SK텔레콤의 SPEED 011, TTL, T, SK텔레텍의 SKY It's different, MUST HAVE_, 애플 코리아 광고, 대림산업의 '진심이 짓는다', 현대카드의 알파벳 마케팅 등이 있다.

4. 국제 지사

TBWA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 중이며[6][7], 각 지역에서는 현지 시장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브랜드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한다.[6]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우,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화권으로 운영 지역을 나누고 있으며 본부는 싱가포르로 이전했다.[6] 또한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도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7]

4. 1. 미국

미국에서 TBWA는 TBWA\Chiat\Day를 통해 운영되며, 로스앤젤레스, 뉴욕, 내슈빌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6]

4. 2. 남아프리카 공화국

TBWA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TBWA\Hunt\Lascaris라는 이름으로 운영된다. 이 에이전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다수의 수상 경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3. 서아프리카 (나이지리아)

TBWA는 서아프리카 지역, 특히 나이지리아에서는 TBWA\CONCEPT UNIT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된다. 이 에이전시는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상을 받은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로 알려져 있다.[6]

4. 4. 일본

일본에서는 덴츠에 이어 일본 내 두 번째 규모의 크리에이티브 에이전시인 TBWA\HAKUHODO라는 이름으로 운영된다.[6]

4. 5. 중동 및 북아프리카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에서는 TBWA\RAAD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며, 이 지역을 담당하는 신흥 기업으로 활동하고 있다.[6]

4. 6. 아시아 태평양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운영은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화권의 세 지역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본부는 기존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이전하였다.[6]

4. 7. 라틴 아메리카

TBWA의 네트워크는 라틴 아메리카 전역으로도 확장되어 있다. 주요 협력 관계의 예시로는 멕시코 몬테레이에 위치한 디자인 및 광고 에이전시인 Brands&People을 들 수 있다.[7]

5. 광고 철학

TBWA는 장 마리 드루가 창안한 'Disruption'(파괴적 혁신)과 '미디어 아트'(Media Arts)라는 독특한 광고 철학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이 두 가지 개념은 TBWA의 모든 광고 캠페인과 전략 수립의 근간을 이룬다.

5. 1. Disruption (파괴적 혁신)

TBWA는 1992년 5월 1일 장 마리 드루가 프랑스 광고 대행사 BDDP(현재 BDDP&Fils)에서 근무할 때 창안한 Disruption과 미디어 아트라는 철학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8]

이 'Disruption' 철학은 장 마리 드루가 쓴 여러 책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Disruption'', ''How Disruption Brought Order'', ''Beyond Disruption: Changing the Rules in the Marketplace'' 등이 있다.[9]

5. 2. Media Arts (미디어 아트)

TBWA는 1992년 5월 1일 장 마리 드루가 BDDP(현재 BDDP&Fils로 불리는 프랑스 광고 대행사)에서 근무할 때 만들어진 Disruption과 미디어 아트(Media Arts)라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8]

이 철학은 장 마리 드루의 여러 저서, 예를 들어 "''Disruption''", "''How Disruption Brought Order''", "''Beyond Disruption: Changing the Rules in the Marketplace''"에서 설명되어 있다.[9]

6. 논란

TBWA는 광고 캠페인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논란에 휩싸였다. 2008년 멕시코에서는 앱솔루트 보드카 광고가 미국-멕시코 전쟁 이전의 영토를 묘사하여 미국 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같은 해 스페인에서는 포뮬러 원 선수 루이스 해밀턴을 겨냥한 웹사이트 캠페인이 인종차별적 내용으로 비판받고 폐쇄되었다.[10] 또한, 1997년 시작된 타코 벨의 치와와 광고 캠페인은 아이디어 도용 소송으로 이어져 법적 분쟁을 겪었으며,[11] 2009년 인도에서는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캠페인이 인도의 식민지 시대를 연상시키는 문구로 인해 현지에서 큰 반발을 사고 결국 하겐다즈와의 관계 단절로 이어졌다.[12] 이러한 사건들은 광고 제작 시 문화적, 역사적 민감성과 윤리적 고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6. 1. 앱솔루트 보드카 광고 논란

2008년 4월, 멕시코의 광고 대행사 테란/TBWA는 앱솔루트 보드카를 위한 광고를 제작하여 공개했다. 이 광고는 19세기 미국-멕시코 전쟁 이전의 멕시코 영토, 즉 현재 미국의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등을 포함하는 더 넓었던 지역을 "앱솔루트 월드"라는 이름의 가상적인 "완벽한 세상"으로 풍자적으로 묘사했다. 해당 광고판은 멕시코 시티에 설치되었으나 곧 철거되었다. 이후 미국의 한 우익 성향 블로그에 이 광고 이미지가 게시되면서 일부 미국 언론에서 논란이 일었다.

6. 2. "해밀턴의 타이어를 펑크내라" 캠페인 논란

''핀차 라 루에다 데 해밀턴''(Pincha la Rueda de Hamilton, '해밀턴의 타이어를 펑크내라')은 TBWA가 운영하던 스페인 웹사이트로, 2008년 10월에 문을 열었다. 이 사이트는 사용자들이 가상의 경주 트랙 위에 물건을 놓아, 당시 포뮬러 원 시즌 선두를 달리던 루이스 해밀턴 선수가 마지막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우승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게임을 제공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이 혼혈인 해밀턴 선수를 대상으로 "잡종"과 같은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쏟아내면서 심각한 논란이 발생했다. 결국 이 문제는 커져 2008년 11월 해당 웹사이트는 폐쇄되었다. 스포츠 관리 기구인 국제 자동차 연맹(FIA)과 해밀턴 선수의 소속팀인 맥라렌은 이러한 인종차별적 발언에 대해 "모욕적이고 혐오스럽다"고 강하게 비판했다.[10]

6. 3. 타코 벨 치와와 광고 소송

1997년, TBWA는 타코 벨을 위해 치와와를 모델로 한 광고 캠페인을 개발했다. 그러나 이 광고 콘셉트는 이전에 타코 벨 측에 동일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던 미시간 출신 남성 두 명이 먼저 고안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워너 노크로스 앤 저드 LLP를 법률 대리인으로 선임하여 타코 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003년, 배심원단은 이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타코 벨이 3000만달러를 배상해야 한다고 평결했으며, 담당 판사는 여기에 이자 1200만달러를 추가로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 판결 이후, 타코 벨은 광고를 제작한 TBWA가 이러한 콘셉트 도용 분쟁의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TBWA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2009년, 미국 연방 항소 법원의 판사 3명으로 구성된 재판부는 타코 벨의 주장을 기각하며 TBWA의 손을 들어주는 판결을 내렸다.[11]

6. 4. 하겐다즈 인도 캠페인 논란

2009년 12월, TBWA는 인도에서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 캠페인에서는 "국제 여행객을 위한 독점 미리보기 - 국제 여권 소지자만 접근 가능"이라는 문구가 적힌 여러 개의 배너를 사용하였다. 이는 단순한 배타성을 넘어, 과거 인도의 식민지 시대에 특정 지역 접근이 영국 백인 식민 통치자들에게만 제한되었던 아픈 역사를 상기시키며 현지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인해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자, 하겐다즈는 결국 TBWA와의 관계를 단절했다.[12]

참조

[1] 웹사이트 Contact Us http://www.tbwa.com/[...] TBWA Worldwide 2010-07-08
[2] 웹사이트 TBWA history http://www.fundingun[...] Funding Universe
[3] 뉴스 AdWeek http://www.adweek.co[...] 1993-03-29
[4] 웹사이트 Book of Tens: Agencies of the Decade http://adage.com/art[...] AdAge 2016-02-08
[5] 웹사이트 TBWA Is Adweek's 2021 Global Agency of the Year https://www.adweek.c[...] AdAge 2021-12-18
[6] 뉴스 TBWA moves Asia HQ from Hong Kong to Singapore http://www.marketing[...] marketing-interactive.com 2015-03-28
[7] 웹사이트 TBWA {{!}} Brands&People https://www.brands.m[...] 2021-05-21
[8] 웹사이트 Disruption http://www.tbwa.com/[...] TBWA 2013-08-07
[9] 서적 Beyond Disruption: changing the rules in the marketplace https://books.google[...] Wiley
[10] 뉴스 Website at the centre of racist attacks on Lewis Hamilton is owned by the world's biggest advertising agency https://www.telegrap[...] Telegraph 2008-11-01
[11] 뉴스 Taco Bell Loses Chihuahua Case--Again http://amlawdaily.ty[...] Amlaw Daily 2009-01-26
[12] 뉴스 Economic Times http://economictimes[...] Economic 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