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he Times They Are a-Changin'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은 밥 딜런의 1964년 발매된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1963년 뉴욕에서 녹음되었으며, 동명의 타이틀곡을 포함하여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와 개인적인 감성을 담은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앨범은 발매 당시 비평가들의 주목을 받았으며, 딜런은 이 앨범을 통해 저항 가수의 이미지를 넘어 새로운 음악적 방향을 제시했다. 앨범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20위, 영국 앨범 차트에서 4위를 기록했으며, 미국과 영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다. 이 앨범은 한국, 일본 등 여러 나라의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음반 - 12 X 5
    12 X 5는 1964년 시카고에서 녹음된 롤링 스톤스의 두 번째 미국 스튜디오 앨범으로, R&B 커버 곡, 자작곡, EP 수록곡 등을 포함하며, 발매 당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빌보드 차트 3위에 올랐다.
  • 1964년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 밥 딜런의 음반 - Oh Mercy
    밥 딜런의 26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Oh Mercy는 다니엘 라노이스의 프로듀싱으로 딜런이 작곡하고 뉴올리언스에서 녹음하여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딜런의 컴백 앨범으로 여겨진 앨범이다.
  • 밥 딜런의 음반 - Blonde on Blonde
    1966년 발매된 밥 딜런의 더블 앨범 Blonde on Blonde는 포크 록 스타일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Rainy Day Women ♯12 & 35", "Visions of Johanna", "I Want You" 등의 대표곡을 수록, 평단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둔 1960년대 록 음악의 중요한 작품이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The Times They Are a-Changin'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밥 딜런 - 시대는 변한다 앨범 커버
시대는 변한다 앨범 커버
장르포크
길이45분 36초
레이블컬럼비아
프로듀서톰 윌슨
발매 정보
발매일1964년 2월 10일
녹음일1963년 8월 6일 – 10월 31일
녹음 장소컬럼비아 7번가 (뉴욕 시)
싱글
싱글 제목시대는 변한다
발매일1965년 3월 8일
관련 앨범
이전 앨범프리휠링 밥 딜런 (1963년)
다음 앨범어나더 사이드 오브 밥 딜런 (1964년)

2. 음반 녹음 과정

밥 딜런은 1963년 8월 6일, 뉴욕 7번가 799번지에 위치한 컬럼비아 레코드의 스튜디오 A에서 세 번째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며, 톰 윌슨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8월 6일 첫 세션에서는 〈North Country Blues〉가 마스터 테이크로 선정되었다. 〈Seven Curses〉도 녹음되었지만 최종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8월 7일에는 〈Ballad of Hollis Brown〉, 〈With God on Our Side〉, 〈Only a Pawn in Their Game〉, 〈Boots of Spanish Leather〉가 녹음되었다.

8월 12일 세션에서는 〈Paths of Victory〉, 〈Moonshine Blues〉, 〈Only a Hobo〉가 녹음되어 ''부트렉 시리즈 1~3집 (희귀 & 미발표 곡) 1961–1991''에 수록되었다.

두 달 후, 딜런은 조안 바에즈와의 투어를 마치고 10월 23일 스튜디오로 돌아와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 〈When the Ship Comes In〉, 그리고 ''Biograph''에 수록된 〈Percy's Song〉을 녹음했다.

10월 24일에는 〈The Times They Are a-Changin'〉과 〈One Too Many Mornings〉, 그리고 ''Biograph''에 수록된 〈Lay Down Your Weary Tune〉이 녹음되었다. 또한 〈Eternal Circle〉과 〈Suze (The Cough Song)〉는 ''부트렉 시리즈 1–3집 (희귀 & 미발표 곡) 1961–1991''에 수록되었다.

10월 31일, 아일랜드-스코틀랜드 민요 〈The Parting Glass〉에서 멜로디를 가져온 〈Restless Farewell〉이 녹음되었다.

2. 1. 주요 녹음 세션

밥 딜런은 1963년 8월 6일, 뉴욕 7번가 799번지에 위치한 컬럼비아 레코드의 스튜디오 A에서 세 번째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며, 톰 윌슨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8월 6일 첫 세션에서는 〈North Country Blues〉가 마스터 테이크로 선정되었다. 〈Seven Curses〉도 녹음되었지만 최종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8월 7일에는 〈Ballad of Hollis Brown〉, 〈With God on Our Side〉, 〈Only a Pawn in Their Game〉, 〈Boots of Spanish Leather〉가 녹음되었다.

8월 12일 세션에서는 〈Paths of Victory〉, 〈Moonshine Blues〉, 〈Only a Hobo〉가 녹음되어 ''부트렉 시리즈 1~3집 (희귀 & 미발표 곡) 1961–1991''에 수록되었다.

두 달 후, 딜런은 조안 바에즈와의 투어를 마치고 10월 23일 스튜디오로 돌아와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 〈When the Ship Comes In〉, 그리고 ''Biograph''에 수록된 〈Percy's Song〉을 녹음했다.

10월 24일에는 〈The Times They Are a-Changin'〉과 〈One Too Many Mornings〉, 그리고 ''Biograph''에 수록된 〈Lay Down Your Weary Tune〉이 녹음되었다. 또한 〈Eternal Circle〉과 〈Suze (The Cough Song)〉는 ''부트렉 시리즈 1–3집 (희귀 & 미발표 곡) 1961–1991''에 수록되었다.

10월 31일, 아일랜드-스코틀랜드 민요 〈The Parting Glass〉에서 멜로디를 가져온 〈Restless Farewell〉이 녹음되었다.

3. 수록곡 해설

밥 딜런이 작사/작곡한 Side 1의 첫 번째 곡은 앨범과 동명의 타이틀곡인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이다.[4] 이 곡은 당시의 변화에 대한 찬가로 만들려는 의도적인 시도로 쓰여졌으며, 딜런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발라드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4] 특히 마지막 구절의 "The order is rapidly fadin'/ And the first one now/ Will later be last/ For the times they are a-changin'(질서는 빠르게 사라지고/ 지금 첫 번째가/ 나중에는 마지막이 될 거야/ 왜냐하면 시대가 변하고 있으니까)"는 마가 복음 10:31절을 연상시키는 성경적인 울림을 지닌다.

Ballad of Hollis Brown은 굶주린 가족을 죽이는 아버지에 대한 암울하고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With God on Our Side는 전쟁의 역사에서 항상 '신의 가호'를 명분으로 내세우는 위선을 비판한다. 이 곡의 멜로디는 도미닉 베한의 The Patriot Game과 유사하며,[22] 팀 라일리는 이 곡이 "정치적 식견과 세대적 순진함을 결합하여 목소리를 낸다"고 평가했다.

One Too Many Mornings는 부드럽고 절제된 발라드로, 라일리는 "후회를 품기에는 사랑에 너무 빠졌고, 재회를 고려하기에는 너무 독립적인 사람의 소리"라고 표현했다.

North Country Blues는 광산 회사가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로 운영을 아웃소싱하면서 쇠퇴하는 광산촌과 광부들의 고통을 그린 노래이다.[5] 이 곡은 딜런이 광부의 아내, 즉 일자리를 잃은 전 아내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쓴 첫 번째 곡이며, 딜런의 고향인 미네소타주 히빙을 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5]

밥 딜런이 작사/작곡한 Side 2는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개인적인 감정을 담은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Only a Pawn in Their Game"은 백인 우월주의 사회에서 희생된 흑인 민권 운동가 메드거 에버스의 죽음을 다루며, 인종 차별의 비극성과 그 이면에 숨겨진 권력 구조의 문제를 지적한다.[6] 이 곡은 1963년 미시시피주 그린우드에서 열린 유권자 등록 집회에서 처음 공연되었으며, 당시 시민 운동가였던 버니스 존슨은 "가난한 백인이 가난한 흑인만큼 차별의 희생자라는 것을 보여준 최초의 곡"이라고 평가했다.[6]

"Boots of Spanish Leather"는 마틴 카시가 편곡한 영국 민요 "Scarborough Fair"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7] 연인과의 이별을 예감하며 스페인 가죽 부츠를 선물로 보내달라는 애절한 가사가 인상적인 곡이다.

"When the Ship Comes In"은 기득권 세력이 몰락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은 곡이다. 브레히트쿠르트 바일의 《서푼짜리 오페라》에 나오는 〈Jenny's Song〉에서 영감을 얻었으며,[27] 딜런의 전 여자친구 수즈 로톨로는 딜런이 로테 레냐의 'Pirate Jenny' 노래에 감명받았다고 회상한다.[27]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은 부유한 백인 남성에게 살해당한 흑인 여성 노동자 해티 캐롤의 실화를 바탕으로, 사회적 불평등과 정의의 부재를 고발한다.[4] 이 곡은 딜런이 1963년 2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한 호텔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신문 기사를 읽고 영감을 받아 작곡했다.[4]

"Restless Farewell"은 딜런 자신을 둘러싼 소문과 언론의 왜곡 보도에 대한 분노를 표현하며, 세상에 대한 환멸과 결별을 노래한다. 아일랜드-스코틀랜드 민요 〈The Parting Glass〉의 멜로디를 차용했으며,[22] 1963년 10월 ''Newsweek''의 딜런 프로필 기사에 대한 반박으로 쓰였다.[22]

3. 1. Side 1

밥 딜런이 작사/작곡한 Side 1의 첫 번째 곡은 앨범과 동명의 타이틀곡인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이다.[4] 이 곡은 당시의 변화에 대한 찬가로 만들려는 의도적인 시도로 쓰여졌으며, 딜런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발라드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4] 특히 마지막 구절의 "The order is rapidly fadin'/ And the first one now/ Will later be last/ For the times they are a-changin'(질서는 빠르게 사라지고/ 지금 첫 번째가/ 나중에는 마지막이 될 거야/ 왜냐하면 시대가 변하고 있으니까)"는 마가 복음 10:31절을 연상시키는 성경적인 울림을 지닌다.

Ballad of Hollis Brown은 굶주린 가족을 죽이는 아버지에 대한 암울하고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룬다.

With God on Our Side는 전쟁의 역사에서 항상 '신의 가호'를 명분으로 내세우는 위선을 비판한다. 이 곡의 멜로디는 도미닉 베한의 The Patriot Game과 유사하며,[22] 팀 라일리는 이 곡이 "정치적 식견과 세대적 순진함을 결합하여 목소리를 낸다"고 평가했다.

One Too Many Mornings는 부드럽고 절제된 발라드로, 라일리는 "후회를 품기에는 사랑에 너무 빠졌고, 재회를 고려하기에는 너무 독립적인 사람의 소리"라고 표현했다.

North Country Blues는 광산 회사가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로 운영을 아웃소싱하면서 쇠퇴하는 광산촌과 광부들의 고통을 그린 노래이다.[5] 이 곡은 딜런이 광부의 아내, 즉 일자리를 잃은 전 아내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쓴 첫 번째 곡이며, 딜런의 고향인 미네소타주 히빙을 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5]

3. 2. Side 2

밥 딜런이 작사/작곡한 Side 2는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개인적인 감정을 담은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Only a Pawn in Their Game"은 백인 우월주의 사회에서 희생된 흑인 민권 운동가 메드거 에버스의 죽음을 다루며, 인종 차별의 비극성과 그 이면에 숨겨진 권력 구조의 문제를 지적한다.[6] 이 곡은 1963년 미시시피주 그린우드에서 열린 유권자 등록 집회에서 처음 공연되었으며, 당시 시민 운동가였던 버니스 존슨은 "가난한 백인이 가난한 흑인만큼 차별의 희생자라는 것을 보여준 최초의 곡"이라고 평가했다.[6]

"Boots of Spanish Leather"는 마틴 카시가 편곡한 영국 민요 "Scarborough Fair"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7] 연인과의 이별을 예감하며 스페인 가죽 부츠를 선물로 보내달라는 애절한 가사가 인상적인 곡이다.

"When the Ship Comes In"은 기득권 세력이 몰락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은 곡이다. 브레히트와 쿠르트 바일의 《서푼짜리 오페라》에 나오는 〈Jenny's Song〉에서 영감을 얻었으며,[27] 딜런의 전 여자친구 수즈 로톨로는 딜런이 로테 레냐의 'Pirate Jenny' 노래에 감명받았다고 회상한다.[27]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은 부유한 백인 남성에게 살해당한 흑인 여성 노동자 해티 캐롤의 실화를 바탕으로, 사회적 불평등과 정의의 부재를 고발한다.[4] 이 곡은 딜런이 1963년 2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한 호텔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신문 기사를 읽고 영감을 받아 작곡했다.[4]

"Restless Farewell"은 딜런 자신을 둘러싼 소문과 언론의 왜곡 보도에 대한 분노를 표현하며, 세상에 대한 환멸과 결별을 노래한다. 아일랜드-스코틀랜드 민요 〈The Parting Glass〉의 멜로디를 차용했으며,[22] 1963년 10월 ''Newsweek''의 딜런 프로필 기사에 대한 반박으로 쓰였다.[22]

4. 사회적, 문화적 영향



== 미국 ==

1963년 10월 26일, 앨범 ''The Times They Are a-Changin#REDIRECT''의 마지막 곡 녹음 사흘 후, 딜런은 뉴욕의 카네기 홀에서 콘서트를 열었다.[9] 그는 이 콘서트에서 새 앨범 수록곡과 미공개곡을 연주했으며, 콘서트 전체가 녹음되었으나 일부만 공식 발매되었다.[9] 1963년 10월 26일, 카네기 홀에서 첫 단독 콘서트가 열렸고[26], 딜런은 이 앨범의 레코딩 곡도 연주했다(''Live at Carnegie Hall 1963''(2005년), ''노 디렉션 홈: 사운드트랙''(2005년) 수록).

1963년 11월 22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텍사스 댈러스에서 암살되었다.[10] 딜런은 이 사건에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그것은 그들이 '상황을 바꾸려는 희망조차 갖지 마라'고 말하려는 의미이다"라고 말했다.[10] 케네디 암살 3주 후, 비상 시민 자유 위원회는 딜런에게 톰 페인 상을 수여했다.[10] 딜런은 시상식에서 리 하비 오스왈드에게서 자신을 보았다고 언급하여 논란을 일으켰다.[10]

이 앨범은 콜린 라킨의 ''올 타임 톱 1000 앨범''(2000)의 세 번째 판에서 378위로 선정되었다.[19]

많은 비평가들은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의 짙은 비관주의에 주목했다.[17] 1964년 2월 앨범 발매 당시,[2] 딜런은 이미 저항 가수 이미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악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앨범은 1964년 1월에 발매되었다[29]. 라이프4월 10일호는 딜런을 "지난 20년 동안 가장 중요한 포크 송 작가"라고 소개하며 5페이지를 할애했다[30]. 앨범은 4월 18일자 《빌보드》지 "톱 LP" 차트에서 최고 20위[32], 영국 앨범 차트에서 4위를 기록했다[33].미국 레코드 협회 RIAA에 의해 1994년 11월 14일에 골드 디스크로 인증되었다[34].

== 한국 ==

이 앨범은 한국 사회에서 민주화 운동과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밥 딜런의 저항 정신은 한국의 포크 음악과 민중가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가수들이 딜런의 노래를 번안하거나 개사하여 불렀다. 특히 1980년대 군사독재 시절, 딜런의 노래는 억압받는 민중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으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로 불리기도 했다.

== 일본 ==

일본의 뮤지션에게 준 영향으로는, 나카가와 고로가 〈North Country Blues〉를 〈수험생 블루스〉로 개사했고, 다카이시 토모야는 새로운 곡을 붙여 히트시켰다. 요시다 타쿠로는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의 멜로디에 자작 가사를 붙여 〈쥰짱이 준 오늘의 요시다 타쿠로에게의 막대한 영향〉이라는 노래를 만들었다. 키타야마 오사무 작사 〈눈물은 내일에〉는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의 가사를 인용하고 있다. 오타 히로미의 〈목면의 손수건〉은 〈Boots of Spanish Leather〉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 대중문화 ==

1994년 딜런은 리치 헤이븐스가 부른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을 쿠퍼스 & 라이브랜드 광고에 사용하도록 허가했다. 1996년에는 피트 시거가 부른 버전이 몬트리올 은행 광고에 사용되었다. 2009년 영화 《왓치맨》의 오프닝 장면에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이 사용되었다.

스티브 잡스는 딜런의 음악을 좋아했으며, 월터 아이작슨이 쓴 그의 전기에도 이 앨범과 노래가 언급되었다. 애플의 1984년 매킨토시 광고는 이 앨범의 제목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미국

1963년 10월 26일, 앨범 ''The Times They Are a-Changin#REDIRECT''의 마지막 곡 녹음 사흘 후, 딜런은 뉴욕의 카네기 홀에서 콘서트를 열었다.[9] 그는 이 콘서트에서 새 앨범 수록곡과 미공개곡을 연주했으며, 콘서트 전체가 녹음되었으나 일부만 공식 발매되었다.[9] 1963년 10월 26일, 카네기 홀에서 첫 단독 콘서트가 열렸고[26], 딜런은 이 앨범의 레코딩 곡도 연주했다(''Live at Carnegie Hall 1963''(2005년), ''노 디렉션 홈: 사운드트랙''(2005년) 수록).

1963년 11월 22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텍사스 댈러스에서 암살되었다.[10] 딜런은 이 사건에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그것은 그들이 '상황을 바꾸려는 희망조차 갖지 마라'고 말하려는 의미이다"라고 말했다.[10] 케네디 암살 3주 후, 비상 시민 자유 위원회는 딜런에게 톰 페인 상을 수여했다.[10] 딜런은 시상식에서 리 하비 오스왈드에게서 자신을 보았다고 언급하여 논란을 일으켰다.[10]

이 앨범은 콜린 라킨의 ''올 타임 톱 1000 앨범''(2000)의 세 번째 판에서 378위로 선정되었다.[19]

많은 비평가들은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의 짙은 비관주의에 주목했다.[17] 1964년 2월 앨범 발매 당시,[2] 딜런은 이미 저항 가수 이미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악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앨범은 1964년 1월에 발매되었다[29]. 라이프4월 10일호는 딜런을 "지난 20년 동안 가장 중요한 포크 송 작가"라고 소개하며 5페이지를 할애했다[30]. 앨범은 4월 18일자 《빌보드》지 "톱 LP" 차트에서 최고 20위[32], 영국 앨범 차트에서 4위를 기록했다[33].미국 레코드 협회 RIAA에 의해 1994년 11월 14일에 골드 디스크로 인증되었다[34].

일본의 뮤지션에게 준 영향으로는, 나카가와 고로가 "노스 컨트리 블루스"를 "수험생 블루스"로, 다카이시 토모야가 새로 곡을 붙여 히트시켰다. 요시다 타쿠로는 "해티 캐롤의 쓸쓸한 죽음" 멜로디에 가사를 붙여 "쥰짱이 준 오늘의 요시다 타쿠로에게의 막대한 영향"을 만들었다. 키타야마 오사무 작사 "눈물은 내일에"도 "해티 캐롤의 쓸쓸한 죽음"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오타 히로미의 "목면의 손수건" 가사는 "스페인 가죽 부츠"를 바탕으로 쓰여졌다.

4. 2. 한국

이 앨범은 한국 사회에서 민주화 운동과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밥 딜런의 저항 정신은 한국의 포크 음악과 민중가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가수들이 딜런의 노래를 번안하거나 개사하여 불렀다.

일본의 뮤지션에게 준 영향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나카가와 고로는 〈North Country Blues〉를 〈수험생 블루스〉로 개사했고, 다카이시 토모야는 새로운 곡을 붙여 히트시켰다. 요시다 타쿠로는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의 멜로디에 자작 가사를 붙여 〈쥰짱이 준 오늘의 요시다 타쿠로에게의 막대한 영향〉이라는 노래를 만들었다. 키타야마 오사무 작사 〈눈물은 내일에〉는 〈The Lonesome Death of Hattie Carroll〉의 가사를 인용했다. 오타 히로미의 〈목면의 손수건〉은 〈Boots of Spanish Leather〉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4. 3. 대중문화

1994년 딜런은 리치 헤이븐스가 부른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을 쿠퍼스 & 라이브랜드 광고에 사용하도록 허가했다.[50] 1996년에는 피트 시거가 부른 버전이 몬트리올 은행 광고에 사용되었다.[50] 2009년 영화 《왓치맨》의 오프닝 장면에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이 사용되었다.

스티브 잡스는 딜런의 음악을 좋아했으며, 월터 아이작슨이 쓴 그의 전기에도 이 앨범과 노래가 언급되었다.

5. 참여자

6. 차트 기록

wikitable

음반
년도차트최고 순위
1964년빌보드 200 15020
1965년영국 음반 차트 Top 754


6. 1. 주간 차트

순위미국 빌보드 20020영국 앨범 차트4


6. 2. 싱글

1964년 싱글 "The Times They Are a-Changin'"는 영국에서 9위를 기록했다.[23]

음반
년도차트최고 순위
1964년빌보드 200 15020
1965년영국 음반 차트 Top 754


7. 인증

영국에서 2005년 발매되어 2013년 골드 인증을 받았으며, 미국에서는 1994년 골드 인증을 받았다.

지역인증
영국골드
미국골드


참조

[1] 웹사이트 20 Best Folk Music Albums of All Time https://www.nme.com/[...] Time Inc. UK 2016-06-07
[2] 뉴스 24 Feb. Albums Unveiled By Columbia https://worldradiohi[...] The Cash Box Publishing Co. 1964-02-08
[3] 웹사이트 The Times They Are A-Changin' http://www.bobdylan.[...] Columbia/Sony
[4] 앨범 Biograph 1985
[5] 서적 Bob Dylan's Hibbing EDLIS Café Press
[6] 간행물 Bob Dylan: America's Greatest Songwriter https://dylanstubs.c[...] 2024-12-02
[7] 웹사이트 Bob Dylan http://archive.salon[...] 2001-05-22
[8] 서적 The Bootleg Series Volume 9—The Witmark Demos: 1962-1964 http://www.bobdylan.[...] 2010-10-17
[9] 뉴스 FOLK SONGS DRAW CARNEGIE CHEERS; Bob Dylan Appears as an 'Angry Young' Recitalist https://www.nytimes.[...] 1963-10-28
[10] 웹사이트 Bob Dylan and the NECLC Corliss-Lamont 2012-01-07
[11] 웹사이트 AllMusic review "{{AllMusic|class=al[...]
[12] link link http://www.ew.com/ar[...]
[13] 서적 Little Sandy Review No. 29, page 11 https://archive.org/[...]
[14]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15] 간행물 "Bob Dylan: ''The Times They Are A-Changin#REDIRECT \n\n{{Redirect category shell|\n{{R from move}}\n}}''" https://worldradiohi[...] 1964-06-13
[16]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 completely revised and updated.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04
[17] 웹사이트 Rhapsody Streamnotes: June 21, 2014 http://www.tomhull.c[...] 2014-06-21
[18]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19] 서적 All Time Top 1000 Albums Virgin Books 2006
[20] 웹사이트 The Original Mono Recordings http://www.bobdylan.[...] bobdylan.com 2010-10-19
[21] AV media Steve Jobs
[22] 문서 Controversy over composition
[23] 웹사이트 Bob Dylan Songs and Albums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2024-12-02
[24] 문서 Welle (1964年)
[25] 문서 リバコブ(1974年)
[26] 문서 リバコブ(1974年)
[27] 문서 リバコブ(1974年)
[28] 문서 リバコブ(1974年)
[29] 문서 リバコブ(1974年)
[30] 문서 Welle (1964年)
[31] 문서 Welle (1964年)
[32] 학술지 "Top LP's" https://books.google[...] The Billboard Publishing Company 2011-03-07
[33] 웹사이트 Bob Dylan - The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theoffici[...] theofficialcharts.com
[34] 웹사이트 RIAA Gold and Platinum Search for albums by Bob Dylan http://www.riaa.com/[...] RIAA
[35] 웹사이트 "''The Times They Are a-Chaingin{{'}}''" http://www.bobdylan.[...] bobdylan.com
[36] 웹사이트 時代は変る(MHCP-836) http://www.oricon.co[...] オリコン 2009-08-06
[37] 웹사이트 時代は変わる(25DP-5283) http://www.oricon.co[...] オリコン 2009-08-12
[38] 웹사이트 時代は変る(SRCS-6333) http://www.oricon.co[...] オリコン 2009-08-12
[39] 웹사이트 時代は変る(SRCS-9241) https://www.sonymusi[...] ソニー・ミュージック 2009-08-12
[40] 웹사이트 時代は変る(MHCP-836) https://www.sonymusi[...] ソニー・ミュージック 2009-08-12
[41] 웹사이트 時代は変る(MHCP-1214) https://www.sonymusi[...] ソニー・ミュージック 2009-08-12
[42] 웹사이트 時代は変る(SICP-20215) https://www.sonymusi[...] ソニー・ミュージック 2011-03-07
[43] 웹인용 20 Best Folk Music Albums of All Time http://www.nme.com/p[...] Time Inc. UK 2016-08-20
[44] AllMusic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45] 웹인용 link https://www.ew.com/e[...] 2020-10-09
[46]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47]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 completely revised and updated.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04
[48] 웹인용 Rhapsody Streamnotes: June 21, 2014 http://www.tomhull.c[...] 2020-03-01
[49]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50] 문서 'Gray, The Bob Dylan Encyclopedia, p. 1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