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MC/UW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MC/UW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2005년 첫 앨범 《XSLP》를 발매하고, 2009년 UMC/UW라는 이름으로 2집 《One/Only》를 발표하며 활동을 재개했다. 그는 라임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독특한 랩 스타일과 사회 비판적인 가사로 주목받았다. 딴지일보의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의 진행을 맡고 있으며, 2009년 발매된 2집 수록곡 〈자영이〉가 고 장자연 씨의 사건과 연관되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울 트레인 - 김도현 (작곡가)
  • 소울 트레인 - 태완
    태완은 1990년대 말 래퍼로 데뷔하여 보컬 활동을 시작하고, 프로듀서로 변신하여 비, 엠블랙 앨범 프로듀싱에 참여하며, Ne-Yo와 협업하는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해왔다.
  • 정치 음악 - 우디 거스리
    우디 거스리는 대공황 시대의 어려움과 사회 부조리에 저항한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포크 음악가로, 노동자 계층의 삶을 대변했으며, 그의 음악적 유산은 후대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사회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 정치 음악 - 플레이버 플래브
    플레이버 플래브는 퍼블릭 에너미의 하이프맨으로 명성을 얻은 미국의 래퍼이자 방송인, 사업가로, 리얼리티 쇼 출연 및 스포츠계 진출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힙합 가수 - 퍼렐 윌리엄스
    퍼렐 윌리엄스는 더 네프튜즈, N.E.R.D. 활동과 솔로 앨범 발표, 루이비통 남성복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하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래퍼, 프로듀서, 사업가이다.
  • 힙합 가수 - 파이어스
    파이어스는 2014년 싱글 《Always Alright》로 데뷔하여 《Give Love On Christmas Day》, 2015년 《Goodbye》와 《반할텐데》 등의 싱글 음반을 발매한 음악가이다.
UMC/UW
기본 정보
이름UMC/UW
본명유승균
활동 시기2000년 ~
국가대한민국
장르
힙합
트위터UMC/UW@SonyATV
UMC/UW(유승균 공식)
인디언 팜 공연에서 게스트 공연 중인 UMC
인디언 팜 공연에서 게스트 공연 중인 UMC

2. 바이오그래피

UMC는 10대 시절부터 힙합 음악을 즐겨 들었으며, 고등학교 시절 힙합 동아리 'Soul Train'에서 활동하며 클럽 공연 무대에 서기도 했다. 2000년 인터넷 음악 사이트 'Millim'에 자신의 곡을 발표했고, 2002년 Hiphopplaya에서 라디오 방송을 진행했다.[1]

2006년 특전사에 사병으로 입대하여 군 복무를 마친 후, 랩퍼 활동을 잠시 중단하고 다른 분야에서 활동했다.[1]

2009년 1월, 'UMC/UW(유위, 劉僞)'라는 새 이름으로 2집 《One/Only》를 발매하며 컴백했고, 자신이 설립한 레이블 '''O.W.N.(One Warrior Nation) Sound Machine'''을 통해 발매되었다.[1] 2010년 4월 "Microphone Breaking OUTlaws" 공연,[3] 2011년 11월 23일 3집 《Love, Curse, Suicide》를 발매했다.[6]

2011년 5월 ''RH- Project'' 시리즈 싱글 ''Chug Chug''를 발표했고,[8] 2012년 10월부터 딴지일보 팟캐스트그것은 알기 싫다》를 진행했다.[10]

2. 1. 데뷔 및 초기 활동 (1990년대 후반 ~ 2005년)

UMC는 10대 시절부터 힙합 음악을 즐겨 들었으며, 고등학교 시절 힙합 동아리 'Soul Train'에서 활동하면서 클럽 공연 무대에 서기도 했다. 2000년에는 인터넷 음악 사이트 'Millim'에 자신의 곡을 발표했는데, 그중 〈Shubidubidubdub〉은 밀림 차트 1위를 오랫동안 기록할 만큼 큰 인기를 얻었다. 2002년에는 Hiphopplaya에서 라디오 방송을 진행했고, 진실이 말소된 페이지, DeZe, DJ Uzi와 함께 Party Poopz라는 크루를 결성했다. 2005년 3월에는 첫 정규 앨범 《XSLP》를 발표하고 전국 투어를 진행했다.[1]

2. 2. 군 복무 및 공백기 (2006년 ~ 2008년)

UMC는 2006년에 특전사로 입대하여 군 복무를 수행했다. 특전사는 기본적으로 부사관 이상의 직업군인 위주로 운영되는데, UMC는 사병으로 입대하여 상황병이나 당번병 등 보조 업무를 수행했다. 이는 언론에 알려진 특전사 전투요원과는 다른 역할이었다.[1] 2006년 11월에는 휴가를 나와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를 발표하고 그해 크리스마스에 공연하기도 했다.

2007년 제대 후에는 미니홈피에 은퇴를 암시하는 글을 남겨 팬들에게 아쉬움을 주었다. 실제로 랩퍼로서의 활동을 오랫동안 중단하고, '''Sugarhigh Music'''이 주최한 ''Sensational Festival'' 기획을 맡거나 외고 입시학원 영어 강사로 활동하는 등 공백기를 가졌다.[1]

2. 3. 컴백 및 UMC/UW (2009년 ~ 현재)

2007년 UMC는 제대 후 미니홈피에 은퇴를 암시하는 듯한 글을 남겼다. 팬들은 아쉬워했지만, 그는 랩퍼 활동을 중단하고 '''Sugarhigh Music'''의 ''Sensational Festival'' 기획과 외고 입시학원 영어 강사로 활동했다.[1] 2008년 10월, UMC는 직업을 그만두고 음악 작업에 집중하여 프로듀서 프로젝트 앨범 '''The Musium Project'''에 참여했다.

2009년 1월, UMC는 'UMC/UW(유위, 劉僞)'라는 새 이름으로 2집 《One/Only》를 발매하며 컴백했다. 이 앨범은 자신이 설립한 레이블 '''O.W.N.(One Warrior Nation) Sound Machine'''을 통해 발매되었다.[1] 그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에서 은퇴가 아닌 잠시 휴식 후 복귀를 의미했다고 밝혔다. 3월에는 앨범 발매와 함께 힙합플레이야에서 ''Power to the People''이라는 힙플라디오 방송을 진행했다. 5월에는 경희대학교에서 한국 힙합 강연 ''20년을 랩해도 알 수 없는 것들''을 진행했다.[2] ''Power to the People''은 힙플라디오 휴식 후 그의 개인 홈페이지에서 계속되었다.

2010년 4월, UMC는 "Microphone Breaking OUTlaws" 공연으로 복귀했다.[3] 7월에는 싱글 발매 소식과 함께 9월을 목표로 3집 《Love, Curse, Suicide》를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2011년을 목표로 또 다른 자아 UW의 앨범도 작업 중이라는 소식도 있었다.[4] 9월, UMC는 소니ATV Music Publishing과 계약을 맺고,[5] 11월 23일 3집 《Love, Curse, Suicide》를 발매했다.[6] 컴백 전 "Film"이라는 앨범 내용 소개 영상을 제작, '시사회'를 열었고, 영상은 이후 UMC/UW의 YouTube 채널 "TXTrauma UMC"에서 공개되었다.[7]

2011년 5월, UMC는 ''RH- Project'' 시리즈의 첫 번째 아티스트로 싱글 ''Chug Chug''를 발표했다.[8] 7월에는 경향신문사에서 "문화학으로 본 한국 힙합 이론" 강의를 진행했다.[9] 2012년에는 G.L., JoyRain 등의 앨범에 참여했다.

2012년 10월, UMC는 딴지일보팟캐스트 방송 《그것은 알기 싫다》의 진행을 맡아 팟캐스트 인기 순위 10위권 내에 들 정도로 많은 팬을 확보했다. 딴지라디오 방송 《Power to the People》도 진행했다.[10]

3. 음악 스타일 및 작사

UMC/UW는 한국 힙합 가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라임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영어 가사에는 라임이 있지만, 한글 가사에는 의도적으로 라임을 쓰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한다. UMC/UW는 힙합플레이야와의 인터뷰에서 "한글과 알파벳 언어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운제일주의'를 따르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라임을 쓰는 '학구적인 중노동'을 하느니 차라리 댄스그룹 작사일을 하겠다"고 덧붙였다.[14][15]

2010년 인터뷰에서 UMC/UW는 라임이 없으면 랩이 아니라는 의견에 대해 "형식적인 표피만 이식해서 따다 붙여온 음악 인생을 살기 때문이다"라고 비판하며, "랩이 문학의 감성을 어떻게 음악의 감성으로 옮겼는가와 같은 랩의 본질에 대한 고민 없이 따라만 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는다"라고 말했다.[16]

UMC/UW의 가사는 사회 부조리를 신랄하고 독설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사랑 노래와 같은 개인적인 주제도 여러 에피소드를 통해 쉽게 공감할 수 있도록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능력이 뛰어나다. 그의 독설은 유쾌하여 듣는 이에게 웃음을 유발하기도 한다. UMC/UW는 다른 래퍼들과 달리 피처링 없이 방대한 양의 랩을 소화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한편, 그의 주제 의식이 도발적이고 선동적이라는 지적에 대해 UMC/UW는 "자신의 노래는 급진적이거나 보수적이거나 모두 좋아하거나 싫어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감성을 다룬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디어와 기업, 정부가 너무 설치고 있어서 사람들이 잊고 있는 것, 잊은 채 살아가는 사회"가 바로 그 보편이라고 덧붙였다.[16]

4. 논란 및 이슈

UMC/UW는 여러 논란과 이슈의 중심에 있었다.

2001년 UMC가 발표한 'Shubidubidubdub'과 'This Is How We Run'은 당시 힙합씬의 특정 세력들을 비판하는 곡으로 해석되어 논란이 되었다. 이는 당시 Soul Train 아티스트들이 공연 때 외국곡을 불렀다가 한국 힙합을 고집하는 Master Plan 공연진들과 갈등을 빚어 Soul Train이 공연을 할 수 없게 되자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1] Master Plan 이외에도 대학힙합동아리연합, SNP 등 다수의 국내 힙합뮤지션들과 그들의 팬들이 UMC가 자신들을 디스했다며 반발하였다.[1]

2009년 3월 UMC/UW가 발매한 앨범 수록곡 〈자영이〉는, 발매 직전 자살한 고 장자연 씨의 생전 삶을 연상하게 한다는 의혹을 받았다.[11] UMC는 힙플라디오에 출연하여 황당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노래와 사건은 아무런 관계가 없고 다만 묘하게 시기가 맞물렸을 뿐이라고 해명했다.[12] 이후, 자신의 공식 홈페이지 umcuw.com에서 음원 파일의 생성 날짜 스크린샷과 함께 '자영이' 가 1월에 만들어진 곡임을 밝혔다.[13]

4. 1. 디스전

2001년 UMC가 발표한 'Shubidubidubdub'과 'This Is How We Run'은 당시 힙합씬의 특정 세력들을 비판하는 곡으로 해석되어 논란이 되었다. 이는 당시 Soul Train 아티스트들이 공연 때 외국곡을 불렀다가 한국 힙합을 고집하는 Master Plan 공연진들과 갈등을 빚어 Soul Train이 공연을 할 수 없게 되자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1]

Master Plan 이외에도 대학힙합동아리연합, SNP 등 다수의 국내 힙합뮤지션들과 그들의 팬들이 UMC가 자신들을 디스했다며 반발하는 등, UMC는 여러 차례 디스전(戰)의 주인공으로 휘말렸다. 그러나 UMC 본인이 자신의 곡을 통해 누군가를 지적하여 독설을 퍼부은 경우는 없다.[1]

4. 2. '자영이' 논란

2009년 3월 UMC/UW가 발매한 앨범 수록곡 〈자영이〉는, 발매 직전 자살한 고 장자연 씨의 생전 삶을 연상하게 한다는 의혹을 받았다.[11] UMC는 2009년 3월 24일 힙플라디오에 출연하여 황당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노래와 사건은 아무런 관계가 없고 다만 묘하게 시기가 맞물렸을 뿐이라고 해명했다.[12] 이후, 4월 3일 자신의 공식 홈페이지 umcuw.com에서 음원 파일의 생성 날짜 스크린샷과 함께 '자영이' 가 1월에 만들어진 곡임을 밝혔다.[13]

5. 대표곡

Shubidubidubdub, XS Denied, 이태원에서(Tupac Amaru Shakur의 티셔츠를 보고 떠오른 이야기), 음악하지마,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 Not Bullets But Ballots, 자영이, Bullets, 사람들을 착하게 만들어 놓았더니, 내가 쓰러지면, Chug Chug

6. 디스코그래피

UMC/UW는 정규 앨범으로 2005년 ''XSLP'', 2009년 ''One/Only'', 2010년 ''Love, Curse, Suicide''를 발매했다.[1] 또한 2005년 〈우리가 홀로 서기까지〉, 2006년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 2010년 〈사람들을 착하게 만들어 놓았더니〉, 2011년 ''RH- 1st 'Chug Chug''' 등의 디지털 싱글을 발매했다.[1] 2009년에는 ''XSLP''를 ''XS1(unreleased and remastered)''이라는 제목으로 재발매했다.[1]

6. 1. 정규 앨범

발매일앨범명비고
2005년 3월 5일XSLP정규 앨범
2009년 3월 13일One/Only정규 앨범
2010년 11월 23일Love, Curse, Suicide정규 앨범


6. 2. 싱글

발매일제목비고
2005년 4월우리가 홀로 서기까지디지털 싱글
2006년 11월 4일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디지털 싱글
2010년 8월 19일사람들을 착하게 만들어 놓았더니디지털 싱글
2011년 5월 4일RH- 1st Chug Chug디지털 싱글


6. 3. 재발매

2009년 12월 24일, ''XS1(unreleased and remastered)''이라는 제목으로 XSLP가 재발매되었다.[1]

참조

[1] 뉴스 UMC 2집, 드디어 수면위로 http://www.hiphoppla[...] Hiphopplaya
[2] 뉴스 UMC/UW, 한국힙합을 주제로 한 초청강연회의 연사로 선다 http://hiphopplaya.c[...] 힙합플레이야 2009-04-20
[3] 공연 [04/24] UMC - Microphone Breaking OUTlaws!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4] 뉴스 http://hiphopplaya.c[...] 힙합플레이야 2010-05-28
[5] 뉴스 UMC/UW, 소니ATV뮤직퍼블리싱과 아티스트 및 저작권 계약 http://hiphopplaya.c[...] 힙합플레이야 2010-09-01
[6] 뉴스 UMC/UW, 새 싱글 [사람들을 착하게 만들어 놓았더니] 온라인 발표 http://hiphopplaya.c[...] 힙합플레이야 2010-08-19
[7] 뉴스 UMC/UW, 유튜브 채널 오픈 및 '매지리 가는 버스' 동영상 업데이트 http://hiphopplaya.c[...] 힙합플레이야 2011-02-22
[8] 뉴스 UMC/UW, 새 싱글 'Chug Chug 발표 http://hiphopplaya.c[...] 힙합플레이야 2011-05-03
[9] 뉴스 UMC/UW, 경향신문사에서 '문화학으로 본 한국힙합이론'의 교편을 잡는다 http://www.hiphoppla[...] 힙합플레이야 2011-07-11
[10] 잡지 표지이야기 - 흥미보다 깊이로! 진화하는 팟캐스트 http://weekly.khan.c[...] 주간경향 2013-10-22
[11] 뉴스 故 장자연 생전 삶 떠올리게 하는 노래 '화제' http://www.frontiert[...] 프런티어 타임즈 2009-03-18
[12] 방송 넋업사니 & Minos Chocolate Sounds, UMC 방송분 2009-03-24
[13] 웹사이트 '자영이'는 1월에 만든 곡입니다 http://umcuw.com/xe/[...]
[14] 인터뷰 Hiphopplaya UMC 인터뷰 http://www.hiphoppla[...] Hiphopplaya 2001-07-17
[15] 인터뷰 Hiphopplaya UMC 인터뷰 http://www.hiphoppla[...] Hiphopplaya 2005-06-05
[16] 뉴스 욕 퍼부어 주는 남자 UMC http://www.m25.co.kr[...] M25 2010-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