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형 ATP가수분해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형 ATP가수분해효소(V-ATPase)는 엔도솜, 라이소좀, 분비 소포체 등 다양한 세포 소기관의 막에서 발견되는 효소 복합체로, 소기관의 기능, pH 항상성 유지, 세포 형태 형성, 세포 내 단백질 분해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ATPase는 V1 도메인과 Vo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V1 도메인에서는 ATP가 가수분해되고 Vo 도메인에서는 양성자 이동이 일어난다. V-ATPase는 골다공증, 원위 신세뇨관 산증, X-연관 과도 자가포식 근육병과 같은 다양한 인간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송 단백질 - 촉진 확산
촉진 확산은 전사 인자가 DNA에 결합하는 주요 메커니즘으로, 세포질 내 3차원 확산과 DNA 윤곽선을 따라 1차원 확산의 조합으로 설명되며, 특정 분자들이 운반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막을 통한 확산이 촉진되는 현상이다. - 수송 단백질 - 수소-칼륨 ATP가수분해효소
수소-칼륨 ATP가수분해효소는 위벽세포 막에 있는 효소로, 위산 분비의 핵심 역할을 하며 수소 이온을 위 내강으로, 칼륨 이온을 세포질로 능동수송하는 양성자 펌프로 작용하고, 위식도 역류 질환이나 소화성 궤양 치료를 위해 프로톤 펌프 억제제로 억제될 수 있다. - 막관통 단백질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막관통 단백질 - 인테그린
인테그린은 세포와 세포 외 기질 사이의 부착과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α와 β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이량체 막 단백질로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일부는 암세포 전이에 기여하고 혈전 관련 질환 치료의 표적이 된다. - 효소 - 활성 부위
활성 부위는 효소 분자 내에서 기질과 결합하여 촉매 작용을 하는 특정 부위이며, 다양한 모델로 설명되고, 결합 부위, 촉매 부위, 보조인자를 포함하며, 저해제와 알로스테릭 부위와 관련되어 신약 개발에 활용된다. - 효소 - 제한 효소
제한 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하는 효소로, 유전체학과 생명공학 발전에 기여하여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인식 서열 특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연구 및 응용 분야에 활용된다.
V형 ATP가수분해효소 | |
---|---|
개요 | |
![]() | |
TCDB 번호 | 3.A.2 |
OPM 패밀리 | 5 |
OPM 단백질 | 2bl2 |
멤브레인옴 슈퍼패밀리 | 226 |
V-ATPase 서브유닛 c (Vo) | |
![]() | |
Pfam | PF00137 |
InterPro | IPR002379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PDOC00526 |
SCOP | 1aty |
TCDB | 해당 없음 |
PDB | 해당 없음 |
V-ATPase 서브유닛 C (V1) | |
![]() | |
Pfam | PF03223 |
Pfam 클랜 | 해당 없음 |
InterPro | IPR004907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1u7l |
TCDB | 해당 없음 |
OPM 패밀리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V-ATPase 서브유닛 I/a | |
![]() | |
Pfam | PF01496 |
Pfam 클랜 | 해당 없음 |
InterPro | IPR002490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3rrk |
TCDB | 3.A.2 |
OPM 패밀리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V-ATPase 서브유닛 E | |
![]() | |
Pfam | PF01991 |
Pfam 클랜 | CL0255 |
InterPro | IPR002842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해당 없음 |
TCDB | 해당 없음 |
OPM 패밀리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V-ATPase 서브유닛 d/d2 | |
![]() | |
Pfam | PF01992 |
Pfam 클랜 | 해당 없음 |
InterPro | IPR002843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1r5z |
TCDB | 해당 없음 |
OPM 패밀리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V-ATPase 서브유닛 H, N-말단 | |
![]() | |
Pfam | PF03224 |
Pfam 클랜 | CL0020 |
InterPro | IPR004908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1ho8 |
TCDB | 해당 없음 |
OPM 패밀리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V-ATPase 서브유닛 G | |
![]() | |
Pfam | PF03179 |
Pfam 클랜 | CL0255 |
InterPro | IPR005124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해당 없음 |
TCDB | 해당 없음 |
OPM 패밀리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2. V-ATPase의 역할
V형 ATP가수분해효소(V-ATPase)는 엔도솜, 라이소좀, 분비 소포체 등 다양한 세포 소기관과 신장의 끼인 세포, 파골 세포, 대식세포, 호중구, 정자, 곤충의 중장 세포, 특정 종양 세포 등 다양한 세포의 형질막에서 발견된다.[4]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세포 형태 형성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효소의 촉매 서브유닛(A)을 암호화하는 vma-1 유전자가 파괴되면 곰팡이 ''Neurospora crassa''의 성장 속도, 분화 및 생존 가능한 포자 생산 능력이 심각하게 손상된다.[6]
2. 1. 세포 소기관에서의 역할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엔도솜, 라이소좀, 분비 소포체 등 많은 소기관의 막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소기관의 기능에 중요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V형 ATP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생성된 효모 액포막의 양성자 기울기는 en을 통해 칼슘의 액포 유입을 유도한다.[2] 신경 세포의 시냅스 전달에서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시냅스 소포체를 산성화한다.[3] 노르에피네프린은 V형 ATP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소포체로 들어간다.2. 2. 세포막에서의 역할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신장의 끼인 세포, 파골 세포(뼈 흡수 세포), 대식세포, 호중구, 정자, 곤충의 중장 세포, 특정 종양 세포 등 다양한 세포의 형질막에서도 발견된다.[4] 형질막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pH 항상성, 공동 수송, 종양 전이와 같은 과정에 관여한다. 정자 첨체 막의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첨체를 산성화하여 난자의 형질막을 뚫는 데 필요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활성화한다. 파골 세포 형질막의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뼈 표면에 양성자를 펌핑하는데, 이는 뼈 흡수에 필요하다. 신장의 끼인 세포에서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소변으로 양성자를 펌핑하여 혈액으로의 중탄산염 재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독소 전달, 바이러스 침입, 막 표적화, 세포 자멸사, 세포질 pH 조절, 단백질 분해 과정, 세포 내 시스템의 산성화와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도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중요한 역할이다.[5]2. 3. 기타 역할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엔도솜, 라이소좀, 분비 소포체 등 많은 소기관의 막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소기관의 기능에 중요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V형 ATP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생성된 효모 액포막의 양성자 기울기는 역수송체 시스템을 통해 칼슘의 액포 유입을 유도한다.[2] 신경 세포의 시냅스 전달에서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시냅스 소포체를 산성화한다.[3] 노르에피네프린은 V형 ATP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소포체로 들어간다.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신장의 끼인 세포, 파골 세포 (뼈 흡수 세포), 대식세포, 호중구, 정자, 곤충의 중장 세포, 특정 종양 세포 등 다양한 세포의 형질막에서도 발견된다.[4] 형질막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pH 항상성, 공동 수송, 종양 전이와 같은 과정에 관여한다. 정자 첨체 막의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첨체를 산성화한다. 이러한 산성화는 난자의 형질막을 뚫는 데 필요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활성화한다. 파골 세포 형질막의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뼈 표면에 양성자를 펌핑하는데, 이는 뼈 흡수에 필요하다. 신장의 끼인 세포에서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소변으로 양성자를 펌핑하여 혈액으로의 중탄산염 재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독소 전달, 바이러스 침입, 막 표적화, 세포 자멸사, 세포질 pH 조절, 단백질 분해 과정, 세포 내 시스템의 산성화와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도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중요한 역할이다.[5]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세포 형태 형성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효소의 촉매 서브유닛(A)을 암호화하는 vma-1 유전자의 파괴는 곰팡이 Neurospora crassa의 성장 속도, 분화 및 생존 가능한 포자 생산 능력을 심각하게 손상시킨다.[6]
3. V-ATPase의 구조
V형 ATP가수분해효소(V-ATPase)는 크게 막에 결합된 Vo 도메인과 세포질 쪽에 위치한 V1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효모의 V형 ATP가수분해효소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최소 13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7]
Vo 도메인은 막에 결합되어 있으며 a, d, c, c', c", e의 6개 서브유닛을 포함한다. V1 도메인은 세포질 쪽에 위치하며, A부터 H까지 8개의 서브유닛을 가진다. V1 도메인은 ATP 가수분해를, Vo 도메인은 양성자 이동을 담당한다. ATP 가수분해로 인해 중앙 스토크가 회전하고, 이는 a 서브유닛에 대한 c 서브유닛 배럴의 회전을 유발한다.
극저온 전자 현미경 및 음성 염색을 통해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복합 구조가 밝혀졌는데,[8][9][10] 이는 3개의 고정자(stator) 네트워크를 가지며 V1 및 Vo 도메인을 분리하는 동시에 중앙 로터 축과 상호 작용한다. ATP 가수분해는 c 서브유닛 배럴이 a 서브유닛을 지나 이동하게 하여 막을 가로지르는 양성자 수송을 유발한다.
효모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조립에는 Vma12p, Vma21p, Vma22p와 같은 관련 단백질이 필요하다.[12][13][14][15] Vma21p는 Vo 서브유닛 조립을 조절하고 골지체로의 운송을 돕는다.[19]
3. 1. V1 도메인
V1 도메인은 ATP 가수분해를 담당하는 부위로, 친수성이며 A-H까지 8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5] V1 도메인은 3개의 촉매 A 및 B 서브유닛, 3개의 고정자 E 및 G 서브유닛, 각 1개씩의 조절 C 및 H 서브유닛과 중앙 회전자 축을 형성하는 D 및 F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7]A와 B 서브유닛은 교대로 배열되어 육합체를 이루며, 중앙 회전자 D, 주변 고정자 G와 E, 조절 서브유닛 C와 H가 존재한다. ATP 가수분해는 6개의 A|B 계면에서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중앙 회전자 D를 회전시킨다. ATP 합성효소와 달리 V1 도메인은 분리되면 활성 ATP가수분해효소가 아니다.
B, C, E, G 서브유닛은 조직 특이적 이소형을 가지며, B1 이소형의 돌연변이는 원위 세뇨관 산증 및 감각신경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다.[7]
V1 서브유닛은 다음과 같다.[22]
서브유닛 | 인간 유전자 | 비고 |
---|---|---|
A, B | ATP6V1A, ATP6V1B1, ATP6V1B2 | 촉매 육합체 |
C | ATP6V1C1, ATP6V1C2 | |
D | ATP6V1D | 중앙 회전체 스토크, 이온 특이성 담당 |
E, G | ATP6V1E1, ATP6V1E2, ATP6V1G1, ATP6V1G2, ATP6V1G3 | |
F | ATP6V1F | |
H | ATP6V1H |
3. 1. 1. 서브유닛 C
V형 ATP가수분해효소(Vacuolar-ATPase) C는 C 말단 서브유닛을 나타내며, V1 복합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V1과 Vo 복합체의 인터페이스에 위치한다.[20]3. 1. 2. 서브유닛 E, G
A/V-ATP가수분해효소의 자루를 구성한다. 이들은 조립에 중요하며, 활성 과정에서 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E는 A/B에 연결되는 덮개를 가지고 있는 반면 G는 그렇지 않다.[22] 이들은 유전자 중복을 통해 단일 단백질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23]3. 1. 3. 서브유닛 H
서브유닛 H는 활성에만 관여하며 조립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 서브유닛은 또한 자유 V1 서브유닛의 억제제 역할을 한다. V1과 Vo가 분리되면 ATP 가수분해를 중단시킨다.[24]3. 2. Vo 도메인
Vo 도메인은 양성자 이동을 담당하는 부위로, 소수성이며 6개의 서브유닛(a, d, c, c', c", e)으로 구성된다.[5] 포유류 Vo 도메인은 a 및 d 서브유닛에 대한 조직 특이적 이소형을 가지며, 효모는 a 서브유닛의 두 가지 세포 소기관 특이적 이소형(Vph1p 및 Stv1p)을 가진다. a3 이소형의 돌연변이는 영아 악성 골화증을, a4 이소형의 돌연변이는 감각신경성 난청을 동반하는 원위 세뇨관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V1 도메인이 ATP 가수분해를 담당하는 반면, Vo 도메인은 양성자 이동을 담당한다. A 서브유닛의 촉매 뉴클레오티드 결합 부위에서 ATP 가수분해는 D 및 F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중앙 스토크의 회전을 유발하며, 이는 a 서브유닛에 대한 c 서브유닛 배럴의 회전을 유발한다.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복합 구조는 극저온 전자 현미경 및 음성 염색을 통해 밝혀졌다.[8][9][10] 이 구조는 V1 및 Vo 도메인을 분리하는 동시에 F, D, d 서브유닛으로 형성된 중앙 로터 축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 3-고정자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ATP 가수분해로 인한 중앙 로터 축의 회전은 c 서브유닛 배럴이 a 서브유닛을 지나 이동하게 하여 막을 가로지르는 양성자 수송을 유발한다.
효모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조립에는 Vma12p, Vma21p 및 Vma22p와 같은 관련 단백질이 필수적이다.[12][13][14][15] Vma21p는 Vo 서브유닛의 조립을 조절하고 골지체로의 운송을 돕는다.[19]
소단위체 | 사람 유전자 | 비고 |
---|---|---|
a/I | ATP6V0A1, ATP6V0A2, ATP6V0A4 | |
c | ATP6V0B, ATP6V0C | 다양한 크기의 고리. |
d/C | ATP6V0D1, ATP6V0D2 | |
e | ATP6V0E1, ATP6V0E2 | 9 kDa 소수성 조립 단백질. |
AC45/S1 | ATP6AP1 | 부속 소단위체 |
S2 | ATP6AP2 | 부속 소단위체 |
3. 2. 1. 서브유닛 a/I
116 kDa 서브유닛(또는 서브유닛 a)과 서브유닛 I는 각각 V- 또는 A-ATP가수분해효소의 VO 또는 AO 복합체에서 발견된다. 116 kDa 서브유닛은 ATP가수분해효소 복합체의 조립 및 양성자 수송 활성에 필요한 막단백질 당단백질이다. 116 kDa 서브유닛에는 여러 가지 이소형이 존재하며, 특정 소기관에 대한 V-ATP가수분해효소의 차별적인 표적화 및 조절에 잠재적인 역할을 한다.116 kDa 서브유닛의 기능은 정의되지 않았지만, 예측된 구조는 6~8개의 막 횡단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FO의 서브유닛 a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2. 2. 서브유닛 d/C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서브유닛 d(A형 ATP가수분해효소에서는 서브유닛 C)는 Vo 복합체의 일부이다. c 링의 중간에 위치하여 회전자로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진핵생물에는 이 서브유닛의 두 가지 버전, d/d1 및 d2가 있다.[25]포유류에서 d1 (ATP6V0D1)은 어디에나 발현되는 버전이며, d2 (ATP6V0D2)는 특정 세포 유형에서만 발현된다.[25]
3. 2. 3. 서브유닛 c
F형 ATP 합성효소와 유사하게,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막횡단 영역은 주로 양성자 이동을 담당하는 막횡단 소단위체의 고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F형 ATP 합성효소와는 다르게,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c-ring에 여러 개의 관련된 소단위체를 가지고 있다. 효모와 같은 곰팡이류에는 세 개의 관련된 소단위체(다양한 화학량론)가 있으며, 대부분의 다른 진핵생물에는 두 개가 있다.[1]4. V-ATPase의 조립
효모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구조적 서브유닛 외에 조립에 필요한 관련 단백질도 확인되었다. 이 관련 단백질들은 Vo 도메인 조립에 필수적이며 Vma12p, Vma21p, Vma22p로 불린다.[12][13][14][15] 이 중 Vma12p와 Vma22p는 Vph1p(서브유닛 a)에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조립 및 성숙을 돕는 복합체를 형성한다.[1][16][17][18] Vma21p는 Vo 서브유닛의 조립을 조절하고 Vo 도메인이 골지체로 운송되기 위한 소포로의 이동을 돕는다.[19]
효모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하위단백질 H와 c"를 제외한 다른 하위단백질 유전자가 삭제되면 조립에 실패한다.[26][27][28] 하위단백질 H가 없으면 조립된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활성을 띄지 못하며,[1][29] c" 하위단백질의 손실은 효소 활성의 분리를 초래한다.[1]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조립 기작은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독립적인 조립과 단계적인 조립 두 가지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돌연변이 분석과 ''생체 외'' 분석을 통해 미리 조립된 Vo 및 V1 도메인이 독립적으로 조립되어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독립적인 조립을 지지하는 증거로는 조립된 Vo 도메인이 V1 도메인이 없는 상태에서도 액포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자유 V1 도메인은 세포질에서 발견되지만 액포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30][31] 반면, ''생체 내'' 펄스 추적 실험에서는 Vo 및 V1 하위단백질, 특히 a 및 B 하위단백질 간의 초기 상호작용이 밝혀져, 하위단백질이 단계적으로 추가되는 일련의 조립 과정을 통해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2]
5. V-ATPase의 진화
유전자 부활이라는 비교적 새로운 기술은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진화 역사에 새로운 빛을 비추고 있다. 두 개의 다른 단백질로 구성된 조상 형태의 V형 ATP가수분해효소 구조가 세 개의 다른 단백질을 가진 곰팡이 버전으로 어떻게 진화했는지 밝혀졌다.[33][34][35]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고세균(소위) A형 ATP 합성효소와 유사하며, 이는 진핵생물의 고세균 기원(Eocyte 가설, Lokiarchaeota 참조)을 뒷받침하는 사실이다. F형 ATP가수분해효소를 가진 일부 고세균 계통과 A형 ATP가수분해효소를 가진 일부 박테리아 계통의 예외적인 발생은 수평 유전자 전달의 결과로 여겨진다.[36]
6. V-ATPase 활성 조절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콘카나마이신(concanamycin, CCA) 및 발리포마이신 A1영어과 같은 마크로라이드 항생제에 의해 특이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V형 ATP가수분해효소 활성의 ''생체 내'' 조절은 V1 도메인을 Vo 도메인으로부터 가역적으로 해리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초기 조립 후, 곤충 ''점박이담배나방''과 효모 V형 ATP가수분해효소는 포도당을 2~5분 동안 고갈시킨 후 자유 Vo 및 V1 도메인으로 가역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가역적 분해는 효모와 곤충에 존재하므로 V형 ATP가수분해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일반적인 메커니즘일 수 있다. 재조립은 RAVE(액포 및 엔도솜 막의 H+-ATP가수분해효소 조절자)라고 하는 복합체에 의해 도움을 받는 것으로 제안된다.[38]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분해 및 재조립에는 새로운 단백질 합성이 필요하지 않지만 손상되지 않은 미세소관 네트워크가 필요하다.[39]
7. V-ATPase 관련 인간 질병
V-ATPase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 골다공증 (Osteopetrosis): 파골세포의 뼈 흡수 결함으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이다. V-ATPase의 a3 서브유닛 이소형 돌연변이는 열성 유아 악성 골다공증 환자의 약 50%에서 발견된다.[1][45][46]
- 원위 신세뇨관 산증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dRTA): 신장이 소변을 적절하게 산성화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V-ATPase 서브유닛 B1 또는 a4 아이소폼의 돌연변이가 원인이 될 수 있다.[1][50][51] a4 서브유닛 돌연변이는 내림프 산성화 실패로 인한 난청과 관련될 수 있다.[1]
- X-연관 과도 자가포식 근육병 (X-linked myopathy with excessive autophagy, XMEA): VMA21 유전자 변이로 발생하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V-ATPase 활성 감소와 리소좀 pH 증가를 초래한다.[53]
7. 1. 골다공증 (Osteopetrosis)
파골세포의 뼈 흡수 결함이 있는 유전 질환군을 통틀어 골연화증이라고 한다.[40][41] 골연화증은 상염색체 우성 및 열성 형태로 나타난다.[40][41] 상염색체 우성 골연화증은 뼈가 쉽게 부러져 자주 골절을 겪는 성인에게서 가벼운 증상으로 나타난다.[1] 더 심각한 형태는 상염색체 열성 유아 악성 골연화증이라고 불린다.[1][42][43]인간의 열성 골연화증을 유발하는 유전자는 세 가지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모두 뼈 흡수에 필수적인 양성자 생성 및 분비 경로와 직접 관련되어 있다.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신세뇨관 산증(3형)과 함께 골연화증을 유발하는 탄산 탈수 효소 II (CAII) 유전자,[44] 염화물 채널 ClC7 유전자,[1] 그리고 V-ATPase의 a3 서브유닛 이소형 유전자가 있다.[1][45][46] 열성 유아 악성 골연화증 환자의 약 50%는 V-ATPase의 a3 서브유닛 이소형에 돌연변이를 가진다.[1][45][46] 인간 파골세포에서 발견되는 V-ATPase 서브유닛 이소형 a3에서 26개의 돌연변이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상염색체 열성 골연화증을 유발한다.[1][47]
7. 2. 원위 신세뇨관 산증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dRTA)
신장에서 소변을 적절하게 산성화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질환인 원위 신세뇨관 산증(dRTA)은 V형 ATP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이 신장의 양성자 분비에 중요함을 보여준다. 신세뇨관 산증은 전신 pH를 조절하는 정상적인 신장 기능의 실패로 인해 발생하며, 네 가지 유형이 있다. 제1형은 원위 신세뇨관 산증으로, 신피질 집합관에서 소변의 pH를 5 미만으로 산성화시키지 못해 발생한다.[48] 일부 상염색체 열성 dRTA 환자는 감각신경성 난청도 겪는다.[49]이 유형의 RTA는 V형 ATP가수분해효소 서브유닛 B1 또는 아이소폼 a4의 돌연변이나 Cl-/HCO3- 교환체인 밴드 3(AE1이라고도 함)의 돌연변이로 인해 유전된다.[1][50][51] V형 ATP가수분해효소 아이소폼 B1에 대한 12가지 다른 돌연변이[52]와 a4에서 24가지 다른 돌연변이가 dRTA를 유발한다.[1]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 연구는 신장의 간입 세포와 달팽이관에서 a4 서브유닛의 발현을 보여주었다.[1] 일부 경우 a4 서브유닛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dRTA는 내림프를 정상적으로 산성화시키지 못해 발생하는 난청과 관련될 수 있다.[1]
7. 3. X-연관 과도 자가포식 근육병 (X-linked myopathy with excessive autophagy, XMEA)
X-연관 과도 자가포식 근육병은 VMA21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 유전 질환이다.[53] 이 질환은 소아기에 발병하며, 서서히 진행되는 근육 쇠약을 유발하며, 일반적으로 다리에서 시작된다. 일부 환자는 노년기에 휠체어의 도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Vma21 단백질은 V-ATPase의 조립을 돕고, XMEA와 관련된 변이는 V-ATPase의 활성 감소와 리소좀 pH 증가를 초래한다.[53]참조
[1]
논문
The cellular biology of proton-motive force generation by V-ATPases
http://jeb.biologist[...]
2000-01
[2]
논문
Calcium-sensitive cls mutant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howing a Pet- phenotype are ascribable to defects of vacuolar membrane H(+)-ATPase activity
http://www.jbc.org/c[...]
1991-07
[3]
논문
Vesicular proteins exocytosed and subsequently retrieved by compensatory endocytosis are nonidentical
2006-08
[4]
논문
Cellular pH regulators: potentially promising molecular targets for cancer chemotherapy
2003-12
[5]
논문
Mutations of pma-1, the Gene Encoding the Plasma Membrane H+ATPase of Neurospora crassa, Suppress Inhibition of Growth by Concanamycin A, a Specific Inhibitor of Vacuolar ATPases
1997-06
[6]
논문
Cellular role of the V-ATPase in Neurospora crassa: analysis of mutants resistant to concanamycin or lacking the catalytic subunit A
2000
[7]
논문
Stoichiometry of the peripheral stalk subunits E and G of yeast V1-ATPase determined by mass spectrometry
2008-02
[8]
논문
Cryo-electron microscopy of the vacuolar ATPase motor reveals its mechanical and regulatory complexity
2009-03
[9]
논문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V-ATPase and its implications for regulatory assembly and disassembly
2008-10
[10]
논문
Structure of the yeast vacuolar ATPase
2008-12
[11]
논문
H+ ATPase of chromaffin granules. Kinetics, regulation, and stoichiometry
http://www.jbc.org/c[...]
1982-09
[12]
논문
VMA12 is essential for assembly of the vacuolar H(+)-ATPase subunits onto the vacuolar membran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http://www.jbc.org/c[...]
1993-01
[13]
논문
VMA13 encodes a 54-kDa vacuolar H(+)-ATPase subunit required for activity but not assembly of the enzyme complex in Saccharomyces cerevisiae
http://www.jbc.org/c[...]
1993-08
[14]
논문
Vma21p is a yeast membrane protein retained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by a di-lysine motif and is required for the assembly of the vacuolar H(+)-ATPase complex
1994-09
[15]
논문
VMA12 encodes a yeast endoplasmic reticulum protein required for vacuolar H+-ATPase assembly
1997-10
[16]
논문
Vma22p is a novel endoplasmic reticulum-associated protein required for assembly of the yeast vacuolar H(+)-ATPase complex
1995-09
[17]
논문
Assembly of the yeast vacuolar H+-ATPase occurs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requires a Vma12p/Vma22p assembly complex
1998-07
[18]
논문
Structure and assembly of the yeast V-ATPase
2003-08
[19]
논문
Role of Vma21p in assembly and transport of the yeast vacuolar ATPase
2004-11
[20]
논문
Cysteine-mediated cross-linking indicates that subunit C of the V-ATPase is in close proximity to subunits E and G of the V1 domain and subunit a of the V0 domain
2005-07
[21]
논문
Crystal structure of yeast V-ATPase subunit C reveals its stator function
2004-12
[22]
논문
Rotary ATPases--dynamic molecular machines
2014-04
[23]
논문
Insight into the flagella type III export revealed by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type III ATPase and its regulator
2016-03
[24]
논문
Subunit H of the vacuolar (H+) ATPase inhibits ATP hydrolysis by the free V1 domain by interaction with the rotary subunit F
2008-02
[25]
논문
Regulation and isoform function of the V-ATPases
2010-06
[26]
논문
The vacuolar H+-ATPase of clathrin-coated vesicles is reversibly inhibited by S-nitrosoglutathione
1999-01
[27]
논문
Assembly of the yeast vacuolar H+-ATPase and ATP hydrolysis occurs in the absence of subunit c"
2005-06
[28]
논문
Structure, function and regulation of the vacuolar (H+)-ATPase
1997
[29]
논문
The H subunit (Vma13p) of the yeast V-ATPase inhibits the ATPase activity of cytosolic V1 complexes
2000-07
[30]
논문
Disassembly and reassembly of the yeast vacuolar H(+)-ATPase in vivo
1995-07
[31]
논문
Regulation of plasma membrane V-ATPase activity by dissociation of peripheral subunits
1995-03
[32]
논문
Early steps in assembly of the yeast vacuolar H+-ATPase
1999-06
[33]
웹사이트
Resurrecting extinct proteins shows how a machine evolves
http://blogs.nature.[...]
2012-01-09
[34]
논문
Evolution of increased complexity in a molecular machine
2012-01
[35]
웹사이트
Snapshot view of the V-ATPase molecular machine: animals vs. fungi
http://uonews.uorego[...]
2012-01-11
[36]
논문
Horizontal transfer of ATPase genes--the tree of life becomes a net of life
http://web.uconn.edu[...]
[37]
논문
Mutations of pma-1, the gene encoding the plasma membrane H+-ATPase of Neurospora crassa, suppress inhibition of growth by concanamycin A, a specific inhibitor of vacuolar ATPases
1997-06
[38]
논문
Assembly and regulation of the yeast vacuolar H+-ATPase
2003-08
[39]
논문
The amino-terminal domain of the B subunit of vacuolar H+-ATPase contains a filamentous actin binding site
2000-10
[40]
논문
Novel mutations in the a3 subunit of vacuolar H(+)-adenosine triphosphatase in a Japanese patient with infantile malignant osteopetrosis
2002-02
[41]
논문
Defects in TCIRG1 subunit of the vacuolar proton pump are responsible for a subset of human autosomal recessive osteopetrosis
2000-07
[42]
논문
The mutational spectrum of human malignant autosomal recessive osteopetrosis
2001-08
[43]
논문
Human malignant osteopetrosis: pathophysiology, management and the role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44]
논문
Carbonic anhydrase II deficiency identified as the primary defect in the autosomal recessive syndrome of osteopetrosis with renal tubular acidosis and cerebral calcification
1983-05
[45]
논문
Mutations in the a3 subunit of the vacuolar H(+)-ATPase cause infantile malignant osteopetrosis
2000-08
[46]
논문
Chloride channel ClCN7 mutations are responsible for severe recessive, dominant, and intermediate osteopetrosis
2003-10
[47]
논문
TCIRG1-dependent recessive osteopetrosis: mutation analysis, functional identification of the splicing defects, and in vitro rescue by U1 snRNA
2004-09
[48]
논문
Genetic diseases of acid-base transporters
[49]
논문
Mutations in the gene encoding B1 subunit of H+-ATPase cause renal tubular acidosis with sensorineural deafness
1999-01
[50]
논문
Mutations in the chloride-bicarbonate exchanger gene AE1 cause autosomal dominant but not autosomal recessive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1998-05
[51]
논문
Localization and regulation of the ATP6V0A4 (a4) vacuolar H+-ATPase subunit defective in an inherited form of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2003-12
[52]
논문
Novel ATP6V1B1 and ATP6V0A4 mutations in autosomal recessive distal renal tubular acidosis with new evidence for hearing loss
2002-11
[53]
논문
VMA21 deficiency prevents vacuolar ATPase assembly and causes autophagic vacuolar myopathy
2013-03
[54]
저널
The cellular biology of proton-motive force generation by V-ATPases
http://jeb.biologist[...]
200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