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1991년~200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은 1991년 W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WCW와 WWE를 거치며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폐지를 겪었다. WCW 시절에는 브라이언 필먼을 초대 챔피언으로,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가 통산 8회 챔피언을 차지했으며, 2001년 WWE에 인수된 후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후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2007년 혼스워글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가, 2016년 부활했다. 챔피언십 최장 기간 보유 기록은 셰인 헴즈의 385일이며, 시코시스가 약 1시간으로 최단 기간 챔피언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루저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OV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OV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OVW에서 진행되었던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제이슨 리가 초대 챔피언이었고 크리스 마이클스가 마지막 챔피언이었다.
  • 크루저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WWE(과거 WWF)가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운영한 챔피언십으로, 1997년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J-크라운 챔피언십을 인수하여 부활했으며 타카 미치노쿠가 초대 챔피언이었으나, 2002년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은 이스턴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시작하여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으로 변경 후 명칭이 바뀌었고, ECW 폐쇄까지 다양한 팀들이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WWE 인수 후에도 부활하지 않은 프로레슬링 태그팀 챔피언십입니다.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1992년 이스트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처음 도입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단체명 변경에 따라 타이틀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2001년 ECW 폐쇄와 함께 폐지되었고, WWE가 ECW를 인수했음에도 2006년 ECW 브랜드 재런칭 시 부활하지 않았으며, 2022년 게임 체인저 레슬링에서 비공식적인 타이틀 변경이 있었습니다.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1991년~2007년)
챔피언십 정보
이름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원어 이름WWE Cruiserweight Championship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벨트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벨트 (2002–2007)
프로모션WCW (1996–2001)
WWF/WWE (2001–2007)
브랜드SmackDown
창설일1996년 3월 20일
1991년 10월 27일
폐지일2007년 9월 28일
역대 챔피언
최다 챔피언레이 미스테리오 (8회)
초대 챔피언오타니 신지로
최장 보유 챔피언그레고리 헬름즈 (3회, 385일)
최단 보유 챔피언사이코시스 (1시간)
최고령 챔피언차보 클래식 (55세 131일)
최연소 챔피언혼스워글 (21세 54일)
최고 체중 챔피언오클라호마 (100kg)
최저 체중 챔피언재클린 (54kg)
마지막 챔피언혼스워글
명칭 변천사

2. 역사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은 1991년 WCW에서 '''W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시작되었으나, 1992년 폐지되었다. 1996년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부활했으며, 비록 WCW는 두 타이틀을 별개로 간주했지만,[5] 훗날 WCW를 인수한 WWE는 두 역사를 통합하여 인정하고 있다.[4]

2001년 WWE(당시 WWF)가 WCW를 인수한 후,[4] 이 챔피언십은 WWF로 이관되었다. 2001년 말, 기존의 WWF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을 대체하며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7]

2002년 브랜드 확장으로 스맥다운! 브랜드 소속이 되었고, 같은 해 WWF가 WWE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이 되었다.

2007년 9월, 마지막 챔피언이었던 혼스워글이 타이틀을 박탈당한 후 공석 상태로 유지되다가,[9] 2008년 초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10][11]

이후 2016년 7월, 스테파니 맥맨은 크루저웨이트 디비전의 부활을 알리며, 기존 챔피언십과는 별개의 역사를 가진 새로운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을 신설했다.

2. 1. WCW 시대 (1991년 ~ 2001년)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는 1991년 '''W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CW Light Heavyweight Championship)을 신설했다. 초대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가 열렸고, 1991년 10월 27일 할로윈 해벅 1991에서 브라이언 필먼이 리처드 모턴을 꺾고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6] 이후 쥬신 썬더 라이거, 스코티 플라밍고, 브래드 암스트롱 등이 차례로 챔피언에 올랐다. 그러나 1992년 9월 2일, 챔피언이었던 브래드 암스트롱이 부상으로 타이틀을 반납하면서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

1996년 3월 20일, WCW는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WCW Cruiserweight Championship)이라는 이름으로 경량급 타이틀을 부활시켰다. 부활 후 초대 챔피언은 오오타니 신지로로, 결정전에서 와일드 페가수스를 꺾고 타이틀을 차지했다. 비록 WCW는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을 별개의 타이틀로 간주했지만,[5] 훗날 WCW를 인수한 WWE는 두 타이틀의 역사를 하나로 통합하여 인정하고 있다.[4]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은 WCW의 대표적인 타이틀 중 하나로 자리 잡으며 많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다. 딘 말렌코,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 울티모 드래곤, 식스, 크리스 제리코, 에디 게레로, 후벤투드 게레라, 빌리 키드먼 등이 챔피언에 오르며 화려한 기술과 빠른 경기 운영으로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특히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는 WCW와 WWE에서의 활동을 통틀어 총 8번 챔피언에 오르며 최다 등극 기록을 세웠다.

1999년에는 메두사가 여성 레슬러 최초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2000년에는 다프네가 두 번째 여성 챔피언이 되는 등 이색적인 기록도 남겼다.

2001년 3월, WWF(현 WWE)가 WCW를 인수하면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의 역사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WCW에서의 마지막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은 셰인 헬름스였다.

다음은 W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및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의 역대 챔피언 목록이다. (1991년 ~ 2001년 3월)

레슬러획득 횟수획득 날짜프로그램/이벤트경기 형식
WCW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창설
브라이언 필먼11991년 10월 27일할로윈 해벅 1991토너먼트 결승전
쥬신 썬더 라이거11991년 12월 25일-싱글
브라이언 필먼21992년 2월 29일슈퍼브롤 II싱글
스코티 플라밍고11992년 6월 20일비치 블라스트 1992싱글
브래드 암스트롱11992년 7월 5일-싱글
1992년 9월 2일, 브래드 암스트롱의 부상으로 인한 반납 후 폐지
WCW 크루저급 챔피언십으로 신설
오오타니 신지로11996년 3월 20일-토너먼트 결승전
딘 말렌코11996년 5월 2일-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11996년 7월 8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딘 말렌코21996년 10월 27일할로윈 해벅 1996싱글
울티모 드래곤11996년 12월 29일스타케이드 1996싱글
딘 말렌코31997년 1월 22일-싱글
식스11997년 2월 24일슈퍼브롤 VII싱글
크리스 제리코11997년 6월 28일-싱글
알렉스 라이트11997년 7월 28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크리스 제리코21997년 8월 12일-싱글
에디 게레로11997년 9월 14일폴 브롤 1997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21997년 10월 26일할로윈 해벅 1997싱글 (타이틀 vs. 마스크)
에디 게레로21997년 11월 10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울티모 드래곤21997년 12월 29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후벤투드 게레라11998년 1월 8일썬더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31998년 1월 15일썬더싱글
크리스 제리코31998년 1월 24일솔드 아웃 1998싱글
딘 말렌코41998년 5월 17일슬램보리 1998싱글 (배틀 로얄 우승 후 즉석 경기)
1998년 6월 11일, 딘 말렌코가 타이틀 반납
크리스 제리코41998년 6월 14일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1998싱글 (공석인 타이틀 결정전)
후벤투드 게레라21998년 8월 8일로드 와일드 1998싱글 (딘 말렌코 특별 심판)
빌리 키드먼11998년 9월 14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후벤투드 게레라31998년 11월 16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빌리 키드먼21998년 11월 22일월드 워 3 1998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41999년 3월 15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시코시스11999년 4월 19일먼데이 나이트로페이탈 포 웨이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51999년 4월 26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레니 레인11999년 8월 19일썬더싱글
시코시스21999년 10월 4일먼데이 나이트로수여됨
디스코 인페르노11999년 10월 4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에반 카레이저스11999년 11월 21일메이헴 1999싱글
메두사11999년 12월 19일스타케이드 1999싱글
오클라호마12000년 1월 16일솔드 아웃 2000싱글
2000년 2월, 오클라호마의 체중 초과로 인한 반납
지 아티스트12000년 2월 20일슈퍼브롤 2000토너먼트 결승전
빌리 키드먼32000년 3월 30일-싱글
지 아티스트22000년 3월 31일-싱글
크리스 캔디도12000년 4월 16일스프링 스탬피드 20006인 경기 (공석인 타이틀 결정전)
크로우버 & 다프니12000년 5월 15일먼데이 나이트로혼성 태그팀
다프니12000년 5월 22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크로우버와 공동 챔피언 분리)
루테넌트 로코12000년 5월 22일먼데이 나이트로트리플 쓰렛
랜스 스톰12000년 7월 31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에릭 스키퍼12000년 8월 14일먼데이 나이트로수여됨
마이크 선더스12000년 10월 2일먼데이 나이트로핸디캡 파워밤
차보 게레로22000년 12월 4일썬더싱글
셰인 헬름스12001년 3월 18일그리드싱글
2001년 3월, WCW가 WWF에 인수됨


2. 2. WWE 시대 (2001년 ~ 2007년, 2016년 ~ 현재)

2001년, WWE(당시 WWF)가 WCW를 인수하면서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은 WWF로 이관되었다.[4] 인베이전 스토리라인이 종료된 후, 2001년 서바이버 시리즈를 기점으로 이 타이틀은 WWF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을 대체하여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7] 엑스팍이 보유하던 WWF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 WCW에서의 마지막 챔피언이자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의 초대 챔피언은 타지리이다.

2002년 3월 브랜드 확장 시, 당시 챔피언 타지리가 드래프트를 통해 스맥다운! 브랜드로 이적함에 따라 챔피언십 역시 스맥다운! 소속이 되었다.

전환 날짜브랜드비고
2002년 3월 25일SmackDown!타지리는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자격으로 드래프트되어 SmackDown!으로 이적하면서 챔피언십도 함께 가져갔다.



같은 해 5월, WWF가 WWE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타이틀 명칭은 최종적으로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이 되었다. 2005년경부터 WWE는 비공식적으로 이 타이틀을 "월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언급하기도 했으나, 공식 명칭이 변경되지는 않았다.[8]

thumb는 챔피언 타이틀을 8번이나 획득하여 기록을 세웠다]]

스맥다운! 소속 기간 동안 여러 선수들이 챔피언에 올랐으며, WCW 시절 기록을 포함하여 레이 미스테리오는 총 8회 챔피언에 등극하며 최다 기록을 세웠다.

2007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에서 혼스워글이 크루저웨이트 오픈 매치를 통해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그러나 같은 해 9월 28일, 당시 스맥다운!의 제너럴 매니저였던 비키 게레로는 혼스워글의 타이틀을 박탈했다.[9] 혼스워글이 제이미 노블을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했던 2007년 8월 31일 스맥다운! 경기가 이 챔피언십의 마지막 공식 방어전이 되었다. 타이틀 박탈 이후 공석 상태로 유지되다가, 약 6개월 뒤 WWE 공식 웹사이트의 활동 중인 챔피언십 목록에서 제외되며 2007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10][11]

2016년 7월 18일, 스테파니 맥맨은 Raw를 통해 크루저웨이트 디비전의 부활을 발표하고, 새로운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을 신설했다. 이 챔피언십은 2007년에 폐지된 타이틀과는 별개의 역사를 가지며, 체중 제한 역시 기존의 약 102.06kg에서 약 92.99kg로 변경되었다.

다음은 WWE 시대(2001년 ~ 2007년)의 챔피언 목록이다.

레슬러획득 횟수획득일프로그램경기 형식
빌리 키드먼42001년 7월 3일스맥다운!싱글
X-팩22001년 7월 30일RAW is War위너 테이크 올
빌리 키드먼52001년 10월 11일스맥다운!싱글
타지리12001년 10월 22일RAW싱글
WWF 크루저급 챔피언십으로 명칭 변경
2002년 3월 25일, 타지리의 이적으로 인해 스맥다운! 관할이 됨
빌리 키드먼62002년 4월 4일스맥다운!싱글
타지리22002년 4월 21일백래쉬 2002싱글
WWE 크루저급 챔피언십으로 명칭 변경
더 허리케인22002년 5월 16일스맥다운!트리플 쓰렛
제이미 노블12002년 6월 23일킹 오브 더 링 2002싱글
빌리 키드먼72002년 11월 17일서바이버 시리즈 2002싱글
매트 하디12003년 2월 23일노 웨이 아웃 2003싱글
레이 미스테리오62003년 6월 5일스맥다운!싱글
타지리32003년 9월 25일스맥다운!싱글
레이 미스테리오72003년 12월 30일스맥다운!싱글
차보 게레로32004년 2월 15일노 웨이 아웃 2004싱글
재클린12004년 5월 6일스맥다운!인터젠더
차보 게레로42004년 5월 16일저지먼트 데이 2004인터젠더
차보 클래식12004년 5월 20일스맥다운!트리플 쓰렛
레이 미스테리오82004년 6월 17일스맥다운!싱글
스파이크 더들리12004년 7월 29일스맥다운!싱글
후나키12004년 12월 12일아마겟돈 2004싱글
차보 게레로52005년 2월 20일노 웨이 아웃 2005식스 맨 엘리미네이션
폴 런던12005년 3월 31일스맥다운!배틀 로열
난지오12005년 8월 6일벨로시티싱글
후벤투드42005년 10월 9일노 머시 2005싱글
난지오22005년 11월 15일-싱글
후벤투드52005년 11월 25일스맥다운!싱글
키드 캐시12005년 12월 18일아마겟돈 2005싱글
그레고리 헬름스32006년 1월 29일로열럼블 2006오픈 인비테이셔널
차보 게레로62007년 2월 19일노 웨이 아웃 2007크루저웨이트 오픈
혼스워글12007년 7월 22일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2007크루저웨이트 오픈
※2007년 9월 28일, 스맥다운에서 제너럴 매니저인 비키 게레로에 의해 박탈.


3. 역대 타이틀 명칭

타이틀 명칭연도
W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1991년 ~ 1992년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1996년 ~ 2001년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2001년 ~ 2002년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2002년 ~ 2007년



이 챔피언십은 1991년 W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처음 시작되었으나, 1992년 활동이 중단되었다. 이후 1996년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만들어졌다. WWE는 WCW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과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의 계보를 통합하여 간주하지만,[4] WCW가 존재했을 당시에는 두 타이틀을 별개로 여겼다.[5]

2001년 3월, WWF(현 WWE)가 WCW를 인수한 후, 같은 해 11월 서바이버 시리즈 이후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7] 2002년 5월, WWF가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WWE)로 사명을 변경함에 따라 타이틀 명칭도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최종 변경되었다. 이 명칭은 2007년 챔피언십이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10][11]

4. 기록들

오타니 신지로1991년 10월 27일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 기준)[6]
1996년 3월 20일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기준)최장수 챔피언셰인 헴즈385일최단 기간 챔피언싸이코시스약 1시간최다 챔피언레이 미스테리오8회 (WCW 5회, WWE 3회)최중량급 챔피언오클라호마120kg최경량급 챔피언혼스워글54kg최고령 챔피언차보 게레로 시니어55세 160일최연소 챔피언혼스워글21세 51일

5. 역대 챔피언

이 챔피언십은 1991년 WCW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1996년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계승 및 신설되었다. 2001년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F, 현 WWE)가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를 인수한 후, WWF/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2007년까지 이어졌다. WWE는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과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의 계보를 통합하여 간주하지만[4], WCW 시절에는 두 타이틀이 별개로 여겨졌다.[5]

그레고리 헴스는 385일(WWE 공식 기록 384일) 동안 타이틀을 보유하여 최장 기간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 반면, 시코시스는 약 1시간 만에 타이틀을 잃어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세웠다.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는 WCW와 WWE를 통틀어 총 8회 챔피언에 오르며 최다 획득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WCW 5회, WWE 3회). 여성 레슬러 중에서는 마두사와 대프니가 WCW 시절에, 재클린이 WWE 시절에 각각 챔피언에 오른 바 있다.

아래는 역대 챔피언 목록이다.

레슬러획득 횟수획득 날짜프로그램경기 형식
WCW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십으로 창설
브라이언 필먼11991년 10월 27일할로윈 해벅 1991토너먼트 결승전[6]
쥬신 썬더 라이거11991년 12월 25일하우스 쇼싱글
브라이언 필먼21992년 2월 29일슈퍼브롤 II싱글
스코티 플라밍고11992년 6월 20일비치 블라스트 1992싱글
브래드 암스트롱11992년 7월 5일하우스 쇼싱글
※1992년 9월 2일 브래드 암스트롱의 부상으로 타이틀 반납 및 봉인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신설
오타니 신지로11996년 3월 20일하우스 쇼토너먼트 결승전
딘 말렌코11996년 5월 2일월드와이드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11996년 7월 8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딘 말렌코21996년 10월 27일할로윈 해벅 1996싱글
울티모 드래곤11996년 12월 29일스타케이드 1996싱글
딘 말렌코31997년 1월 22일클래시 오브 더 챔피언스 XXXIV싱글
식스11997년 2월 24일슈퍼브롤 VII싱글
크리스 제리코11997년 6월 28일새터데이 나이트싱글
알렉스 라이트11997년 7월 28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크리스 제리코21997년 8월 12일새터데이 나이트싱글
에디 게레로11997년 9월 14일폴 브롤 1997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21997년 10월 26일할로윈 해벅 1997타이틀 vs. 마스크
에디 게레로21997년 11월 10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울티모 드래곤21997년 12월 29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후벤투드 게레라11998년 1월 8일썬더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31998년 1월 15일썬더싱글
크리스 제리코31998년 1월 24일솔드 아웃 1998싱글
딘 말렌코41998년 5월 17일슬램보리 1998배틀 로열
※1998년 6월 11일 딘 말렌코가 타이틀 반납
크리스 제리코41998년 6월 14일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1998싱글 (공석 결정전)
후벤투드 게레라21998년 8월 8일로드 와일드 1998싱글 (딘 말렌코 특별 심판)
빌리 키드먼11998년 9월 14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후벤투드 게레라31998년 11월 16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빌리 키드먼21998년 11월 22일월드 워 3 1998싱글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41999년 3월 15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시코시스11999년 4월 19일먼데이 나이트로페이탈 포 웨이
레이 미스테리오 주니어51999년 4월 26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레니 레인11999년 8월 19일썬더싱글
시코시스21999년 10월 4일먼데이 나이트로타이틀 수여됨 (레니 레인 부상)
디스코 인페르노11999년 10월 4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에반 카레이저스11999년 11월 21일메이헴 1999싱글
메두사11999년 12월 19일스타케이드 1999싱글
오클라호마12000년 1월 16일솔드 아웃 2000싱글
※2000년 1월 18일 오클라호마가 체중 초과로 타이틀 반납
지 아티스트12000년 2월 20일슈퍼브롤 2000토너먼트 결승전
빌리 키드먼32000년 3월 30일하우스 쇼싱글
지 아티스트22000년 3월 31일하우스 쇼싱글
크리스 캔디도12000년 4월 16일스프링 스탬피드 20006인 경기
크로우버 & 대프니12000년 5월 15일먼데이 나이트로혼성 태그팀
대프니12000년 5월 22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크로우버가 다프니에게 핀폴 허용)
루테넌트 로코12000년 5월 22일먼데이 나이트로트리플 쓰렛
랜스 스톰12000년 7월 31일먼데이 나이트로싱글
엘릭스 스키퍼12000년 8월 14일먼데이 나이트로타이틀 수여됨 (랜스 스톰이 하드코어, US 챔피언십 동시 보유)
마이크 샌더스12000년 10월 2일먼데이 나이트로핸디캡 파워밤
차보 게레로 주니어22000년 12월 6일썬더싱글
셰인 헴스12001년 3월 18일그리드싱글
※2001년 3월 WCW가 WWF에 인수됨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 레슬러

! 획득 횟수

! 획득 날짜

! 프로그램

! 경기 형식

|-

| 빌리 키드먼

| 4

| 2001년 7월 3일 (방영: 7월 5일)

| 스맥다운!

| 싱글

|-

| X-팩

| 2

| 2001년 7월 30일

| RAW is War

| 위너 테이크 올 (vs. 빌리 키드먼)

|-

| 빌리 키드먼

| 5

| 2001년 10월 11일 (방영: 10월 11일)

| 스맥다운!

| 싱글

|-

| 타지리

| 1

| 2001년 10월 22일

| RAW

| 싱글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dddddd;"|※2001년 11월 서바이버 시리즈 이후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명칭 변경[7]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dddddd;"|※2002년 3월 25일 브랜드 확장으로 스맥다운! 브랜드 소속이 됨

|-

| 빌리 키드먼

| 6

| 2002년 4월 4일 (방영: 4월 4일)

| 스맥다운!

| 싱글

|-

| 타지리

| 2

| 2002년 4월 21일

| 백래쉬 2002

| 싱글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dddddd;"|※2002년 5월 WWF가 WWE로 사명 변경함에 따라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명칭 변경

|-

| 더 허리케인

| 2

| 2002년 5월 16일 (방영: 5월 16일)

| 스맥다운!

| 트리플 쓰렛 (vs. 타지리, 빌리 키드먼)

|-

| 제이미 노블

| 1

| 2002년 6월 23일

| 킹 오브 더 링 2002

| 싱글

|-

| 빌리 키드먼

| 7

| 2002년 11월 17일

| 서바이버 시리즈 2002

| 싱글

|-

| 맷 하디

| 1

| 2003년 2월 23일

| 노 웨이 아웃 2003

| 싱글

|-

| 레이 미스테리오

| 6

| 2003년 6월 5일 (방영: 6월 5일)

| 스맥다운!

| 싱글

|-

| 타지리

| 3

| 2003년 9월 25일 (방영: 9월 25일)

| 스맥다운!

| 싱글

|-

| 레이 미스테리오

| 7

| 2003년 12월 30일 (방영: 2004년 1월 1일)

| 스맥다운!

| 싱글

|-

| 차보 게레로

| 3

| 2004년 2월 15일

| 노 웨이 아웃 2004

| 싱글

|-

| 재클린

| 1

| 2004년 5월 6일 (방영: 5월 6일)

| 스맥다운!

| 인터젠더 (vs. 차보 게레로 주니어)

|-

| 차보 게레로

| 4

| 2004년 5월 16일

| 저지먼트 데이 2004

| 인터젠더 (vs. 재클린 무어, 한 팔 묶고 경기)

|-

| 차보 클래식

| 1

| 2004년 5월 20일 (방영: 5월 20일)

| 스맥다운!

| 트리플 쓰렛 (vs. 차보 게레로 주니어, 스파이크 더들리)

|-

| 레이 미스테리오

| 8

| 2004년 6월 1

6. 디자인

타이틀의 원래 디자인은 중앙에 금색으로 지구를 새긴 파란색 바탕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 플레이트 위에는 'WORLD'라는 단어가 검은색 사각형 안에 금색으로 새겨져 있다. 파란색 지구 아래에는 같은 방식으로 'WRESTLING CHAMPIONS'라는 문구가 있다. 중앙에는 금색으로 'CRUISERWEIGHT'라는 단어가 위치하며, 지구 중앙에는 둥근 모양의 빨간색 원이 있다. 측면 플레이트는 사각형 모양의 금색이며, 두꺼운 빨간색 WCW 로고가 새겨져 있다. 오른쪽에는 이보다 작은 측면 플레이트가 하나 더 있다. 타이틀의 모든 플레이트는 주로 금색이며, 들여쓰기 디자인, 색상 및 문구가 새겨져 있다.[12]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디자인은 첫 번째 디자인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중앙 플레이트에는 지구가 없고, 중앙 플레이트 상단과 가장 가까운 두 개의 측면 플레이트에는 WWE 로고가 추가되었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는 총 4개로 구성되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Fathers and sons who won the same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17-06-18
[2] 웹사이트 WWE Cruiserweight Classic: T.J. Perkins becomes Raw's first WWE Cruiserweight Champion http://www.wwe.com/s[...] WWE.com 2016-09-14
[3] 웹사이트 WWE Cruiserweight Championship http://www.wwe.com/c[...] WWE.com
[4] 웹사이트 Cruiserweight Championship https://www.wwe.com/[...] WWE 2020-03-03
[5] 웹사이트 WCW.com Cruiserweight Championship history http://wcw.com/2001/[...] World Championship Wrestling 2020-03-03
[6] 문서 Cruiserweight Championship - Brian Pillman http://www.wwe.com/i[...]
[7] 문서 WWE: Inside WWE > Title History > Light Heavyweight http://www.wwe.com/i[...]
[8] 문서 WWE: Armageddon 2005 results https://www.wwe.com/[...]
[9] 웹사이트 Hornswoggled http://www.wwe.com/s[...] WWE 2007-11-12
[10] 웹사이트 WWE Superstars http://www.wwe.com/s[...]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8-03-04
[11] 웹사이트 WWE title histories http://www.wwe.com/i[...]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8-03-04
[12] 웹사이트 10 Things Fans Should Know About The WCW Cruiserweight Championship https://www.thesport[...] 2022-10-17
[13] 웹사이트 WCW / WWE Cruiserweight Championship https://www.thesmack[...] 2024-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