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1981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시작되어 UWA를 거쳐 1997년 WWF에 의해 부활했다. 페로 아구아요가 초대 챔피언이었으며, 이후 타카 미치노쿠, X-팩 등이 챔피언을 지냈다. 2001년 WCW를 인수한 후 WCW 크루저급 챔피언십을 선호하여 2002년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루저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OV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OV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OVW에서 진행되었던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제이슨 리가 초대 챔피언이었고 크리스 마이클스가 마지막 챔피언이었다. - 크루저급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1991년~2007년)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은 1991년 WCW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부활 후 WWE에 인수되어 존속되다가 2007년 폐지되었으며, 이후 2016년 WWE는 새로운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을 발표했다.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로디 파이퍼
로디 파이퍼는 로데릭 조지 툼스라는 본명을 가진 캐나다 출신의 프로레슬러이자 배우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NWA와 WWF에서 활동하며 "파이퍼스 핏" 인터뷰 코너 진행 및 헐크 호건 등과의 대립으로 인기를 얻었고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영화 《그들이 사는 세상》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
---|---|
기본 정보 | |
![]() | |
챔피언십 이름 |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프로모션 | Universal Wrestling Association (1981년 3월 26일 ~ 1995년 6월 16일) Michinoku Pro Wrestling (1995년 6월 16일 ~ 1997년 11월 5일) World Wrestling Federation (1997년 11월 5일 ~ 2002년 3월 8일) |
최초 챔피언 | 페로 아과요 타카 미치노쿠 (WWE 공식 타이틀 역사 기준) |
마지막 챔피언 | X-Pac |
생성일 | 1981년 3월 26일 1997년 12월 7일 (WWE 공식 타이틀 역사 기준) |
최다 챔피언십 획득 | 페로 아과요 및 비야노 3세 (7회) |
최장 기간 챔피언 | 비야노 3세 (826일) |
최단 기간 챔피언 | 페로 아과요 및 스코티 2 핫티 (8일) |
최고령 챔피언 | 페로 아과요 (43세 9개월) |
최연소 챔피언 | 에사 리오스 (21세 63일) |
최고 체중 챔피언 | 오타니 신지로 (107kg) |
최저 체중 챔피언 | 그레이트 사스케 (82kg 즈음) |
타이틀 폐지일 | 2002년 3월 8일 |
2. 역사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1981년 일본의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3월 26일 열린 초대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에서 페로 아과요가 그란 하마다를 꺾고 첫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후 이 타이틀은 주로 멕시코의 UWA를 중심으로 약 15년간 운영되었으며, 일본의 미치노쿠 프로레슬링 등에서도 방어전이 열렸다. 1996년에는 더 그레이트 사스케가 챔피언에 오른 뒤, 다른 주니어 헤비급 타이틀과 통합되어 J-크라운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1997년, WWF는 이 타이틀이 빈스 맥마흔 시니어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며 기존의 역사를 인정하지 않고 타이틀 벨트를 반환받았다. 같은 해 11월, WWF는 미국에서 새로운 챔피언을 가리기 위한 토너먼트를 개최했고, 12월 7일 스프링필드에서 열린 결승에서 타카 미치노쿠가 우승하며 WWF 기준의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2001년, WWF가 WCW를 인수한 후, 6월 25일 당시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이었던 엑스팍은 WCW 크루저급 챔피언이었던 타지리를 꺾고 두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하게 되었다. 이후 WWF는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폐지하고, WCW/WWF/WWE 크루저급 챔피언십으로 타이틀 라인을 통합하기로 결정하면서 2002년 3월 공식적으로 봉인되었다.
2. 1. 신일본 프로레슬링 & UWA 시대 (1981년 ~ 1997년)
1981년 WWF(당시 명칭)는 업무 제휴 관계였던 일본의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함께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창설했다. 1981년 3월 26일, 신일본 프로레슬링 시미즈 스즈요 기념 체육관에서 열린 초대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페로 아구아요가 그란 하마다를 꺾고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이후 챔피언 벨트는 멕시코의 UWA를 중심으로 약 15년간 운영되었으며, 주로 멕시코와 일본을 오가며 타이틀 방어전이 열렸다.
1996년 3월 24일, 일본의 미치노쿠 프로레슬링 소속이었던 더 그레이트 사스케가 챔피언에 올랐다. 같은 해 8월 5일, 이 타이틀은 다른 7개의 주니어 헤비급 타이틀과 함께 통합되어 J-크라운 챔피언십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1997년 8월, WWF는 해당 타이틀이 빈스 맥마흔 시니어 시절 만들어진 것으로 현재의 WWF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타이틀의 반환을 요구했다. 결국 같은 해 11월 5일 타이틀은 WWF로 반환되었고, 이로써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UWA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2. WWF 시대 (1997년 ~ 2001년)
1997년 8월, WWF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이 왕좌는 빈스 맥마흔 시니어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며, 현재의 WWF에서는 이 왕좌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전달하며 벨트 반환을 요구했다. 11월 5일, 챔피언십 벨트는 WWF에 반환되었다. WWF는 새로운 챔피언을 결정하기 위해 토너먼트를 개최했으며, 이전에 존재했던 챔피언 기록은 모두 무효 처리되었다.1997년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토너먼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날짜 | 장소 | 승자 | 패자 | 경기 방식 | 시간 |
---|---|---|---|---|---|---|
8강 (Raw is War) | 11월 3일 | 허시 | 아길라 | 수퍼 로코 | 핀폴 | 5:12 |
11월 10일 | 오타와 | 타카 미치노쿠 | 데본 스톰 | 핀폴 | 5:00 | |
11월 11일1 | 콘월 | 스콧 테일러4 | 에릭 셸리 | 핀폴 | 5:27 | |
11월 24일 | 페이에트빌 | 브라이언 크리스토퍼 | 플래시 플래너건 | 핀폴 | 3:30 | |
준결승 (Raw is War) | 11월 25일2 | 로아노크 | 타카 미치노쿠 | 아길라 | 핀폴 | 6:19 |
11월 25일2 | 로아노크 | 브라이언 크리스토퍼 | 스콧 테일러 | 기권승3 | - | |
결승 (D-Generation X: In Your House) | 12월 7일 | 스프링필드 | 타카 미치노쿠 | 브라이언 크리스토퍼 | 핀폴 | 12:00 |
'''참고:'''1 이 경기는 11월 17일에 방송되었다.2 이 경기는 12월 1일에 방송되었다.3 크리스토퍼는 케인이 링으로 향하기 전에 테일러를 초크슬램하여 테일러가 경기를 할 수 없게 되면서 기권승으로 승리했다.4 토너먼트 초반에 표시된 대진표에 따르면, 제리 린이 원래 에릭 셸리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스콧 테일러로 대체되었다.
1997년 12월 7일, WWF 스프링필드 대회에서 열린 토너먼트 결승에서 타카 미치노쿠가 우승하여 부활 후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2001년 6월 25일, WWF 산호세 대회 "Raw is War"에서 당시 챔피언이었던 엑스팍과 WCW 크루저급 챔피언이었던 타지리 간의 더블 타이틀 매치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엑스팍이 승리하여 2관왕이 되었다.
2002년 3월, WCW 크루저급 챔피언십의 명칭이 WWF 크루저급 챔피언십으로 변경되면서,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봉인되었다.
2. 3. 통합 및 폐지 (2001년 ~ 2002년)
2001년 3월, 월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F)은 경쟁 단체였던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을 인수했다. 같은 해 6월 25일 산호세에서 열린 섬머슬램에서는 당시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이었던 엑스팍과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챔피언이었던 타지리 간의 더블 타이틀 매치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엑스팍이 승리하여 두 개의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한 챔피언이 되었다.서바이버 시리즈 (2001)에서 인베이전 각본이 마무리된 후, WWF는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을 존속시키고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본래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두 타이틀의 통합 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당시 챔피언이었던 엑스팍의 부상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엑스팍은 2002년 3월 8일까지 하우스 쇼 등에서 라이트 헤비웨이트 타이틀을 방어했지만, WWF는 결국 해당 타이틀을 공식적으로 비활성화했다. 이와 동시에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은 W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2년 5월, WWF가 WWE로 회사명을 변경하면서 이 타이틀은 다시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2007년 9월까지 존속되었다. 결과적으로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W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으로 통합, 흡수되며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3. 기록
기록 종류 | 선수 | 기록 |
---|---|---|
초대 챔피언 | 페로 아구아요 | - |
마지막 챔피언 | 엑스팍 | - |
최장수 챔피언 | 비야노 III | 826일 |
최단 기간 챔피언 | 페로 아구아요 | 8일 |
최다 챔피언 | 페로 아구아요, 비야노 III | 7회 |
최중량급 챔피언 | 오오타니 신지로 | 107kg |
최경량급 챔피언 | 더 그레이트 사스케 | 82kg |
최고령 챔피언 | 페로 아구아요 | 만 43세 9개월 |
최연소 챔피언 | 에싸 리오스 | 만 21세 10개월 |
4. 역대 챔피언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1981년 UWA와 신일본 프로레슬링(NJPW)의 제휴를 통해 창설되어 2002년 WWE에서 크루저급 챔피언십으로 통합되기 전까지 여러 단체를 거치며 많은 선수들이 챔피언에 올랐다. 초대 챔피언은 페로 아구아요이며, 마지막 챔피언은 엑스팍이다.
자세한 역대 챔피언 목록은 아래의 각 시대별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UWA/NJPW (신 일본 프로레슬링) 시대
선수 | 획득 횟수 | 방어 횟수 | 획득 날짜 | 획득 장소 |
---|---|---|---|---|
페로 아구아요 | 1 | 불명 | 1981년 3월 26일 | 시미즈 료키념 체육관 |
피쉬맨 | 1 | 불명 | 1981년 9월 25일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페로 아구아요 | 2 | 불명 | 1981년 10월 10일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크리스 아담스 | 1 | 불명 | 1981년 10월 18일 | 멕시코시티 |
페로 아구아요 | 3 | 불명 | 1981년 12월 13일 | 멕시코시티 |
그란 하마다 | 1 | 불명 | 1982년 4월 21일 | 고쿠기칸 |
페로 아구아요 | 4 | 불명 | 1982년 8월 29일 | 멕시코시티 |
비야노 3세 | 1 | 불명 | 1983년 3월 20일 | 멕시코시티 |
페로 아구아요 | 5 | 불명 | 1983년 8월 7일 | 멕시코시티 |
그란 하마다 | 2 | 불명 | 1984년 4월 17일 | 고쿠기칸 |
비야노 3세 | 2 | 불명 | 1984년 5월 20일 | 멕시코시티 |
피쉬맨 | 2 | 불명 | 1986년 8월 24일 | 멕시코시티 |
페로 아구아요 | 6 | 불명 | 1986년 12월 24일 | 멕시코시티 |
1987년 5월 3일 공석 | ||||
비야노 3세 | 3 | 불명 | 1987년 6월 17일 | 멕시코시티 |
람보 | 1 | 불명 | 1987년 10월 4일 | 멕시코시티 |
비야노 3세 | 4 | 불명 | 1988년 7월 11일 | 멕시코시티 |
상그레 치카나 | 1 | 불명 | 1989년 8월 14일 | 멕시코시티 |
페로 아구아요 | 7 | 불명 | 1989년 10월 15일 | 멕시코시티 |
상그레 치카나 | 2 | 불명 | 1989년 12월 3일 | 멕시코시티 |
비야노 3세 | 5 | 불명 | 1990년 5월 27일 | 멕시코주 나우칼판 |
페가수스 키드 | 1 | 불명 | 1991년 3월 3일 | 멕시코주 나우칼판 |
비야노 3세 | 6 | 불명 | 1992년 9월 13일 | 멕시코주 나우칼판 |
엘 시그노 | 1 | 불명 | 1993년 1월 1일 | 멕시코주 네사왈코요틀 |
비야노 3세 | 7 | 불명 | 1994년 7월 18일 | 푸에블라주 푸에블라 |
1995년 1월 공석 | ||||
아에로 플래시 | 1 | 불명 | 1995년 6월 16일 | 멕시코주 네사왈코요틀 |
더 그레이트 사스케 | 1 | 0 | 1996년 3월 24일 | 시라카와시 중앙 체육관 |
엘 사무라이 | 1 | 2 | 1996년 6월 22일 | 나루코 스포츠 센터 |
더 그레이트 사스케 | 2 | 0 | 1996년 8월 4일 | 료고쿠 국기관 |
울티모 드래곤 | 1 | 7 | 1996년 10월 11일 | 오사카부립체육회관 |
수신 선더 라이거 | 1 | 4 | 1997년 1월 4일 | 도쿄돔 |
엘 사무라이 | 2 | 0 | 1997년 7월 6일 | 마코마나이 아이스 아레나 |
오타니 신지로 | 1 | 3 | 1997년 8월 10일 | 나고야돔 |
1997년 11월 5일 반납 |
4. 2. WWF 시대
wikitext선수 | 획득 횟수 | 방어 횟수 | 획득 날짜 | 획득 장소 | 프로그램 |
---|---|---|---|---|---|
TAKA 미치노쿠 | 1 | 46 | 1997년 12월 7일 | 스프링필드, 매사추세츠주 | In Your House : D-Generation X |
크리스찬 | 1 | 3 | 1998년 10월 18일 | 시카고, 일리노이주 | Judgment Day : In Your House |
길버그 | 1 | 14 | 1998년 11월 17일 | 콜럼버스, 오하이오주 | Raw is War |
에사 리오스 | 1 | 8 | 2000년 2월 13일 | 오스틴, 텍사스주 | Sunday Night Heat |
딘 말렌코 | 1 | 6 | 2000년 3월 13일 | 이스트러더퍼드, 뉴저지주 | Raw is War |
스코티 2 하티 | 1 | 4 | 2000년 4월 17일 | 스테이트 칼리지, 펜실베이니아주 | Raw is War |
딘 말렌코 | 2 | 47 | 2000년 4월 25일 | 샬럿, 노스캐롤라이나주 | SmackDown |
크래쉬 홀리 | 1 | 8 | 2001년 3월 13일 | 애너하임, 캘리포니아주 | Sunday Night Heat |
제리 린 | 1 | 9 | 2001년 4월 29일 | 시카고, 일리노이주 | Sunday Night Heat |
제프 하디 | 1 | 7 | 2001년 6월 5일 | 그랜드포크스, 노스다코타주 | SmackDown |
엑스팍 | 1 | 7 | 2001년 6월 25일 | 뉴욕, 뉴욕주 | Raw is War |
타지리 | 1 | 1 | 2001년 8월 6일 | 애너하임, 캘리포니아주 | Raw is War |
엑스팍 | 2 | 11 | 2001년 8월 19일 | 산호세, 캘리포니아주 | SummerSlam |
2002년 3월에 왕좌명이 WWF 크루저급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어 봉인되었다. |
참조
[1]
웹사이트
Light Heavyweight Championship History
http://www.wwe.com/i[...]
WWE.com
2007-07-16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ruiserweight Championship
http://www.wwe.com/i[...]
WWE.com
2008-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