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king Up the Neighbour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king Up the Neighbours는 1991년에 발매된 브라이언 아담스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로버트 존 "머트" 랭과 함께 제작되었으며, 싱글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가 영국 싱글 차트에서 16주 1위를 기록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6위를 기록했고, 캐나다 콘텐츠 규정으로 인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앨범 홍보를 위해 "Waking Up the World" 투어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이언 애덤스의 음반 - Live! Live! Live!
1988년 브라이언 애덤스가 발표한 라이브 앨범 Live! Live! Live!는 "She's Only Happy When She's Dancin'", "It's Only Love", "Summer of '69"와 같은 대표곡들을 담고 있으며, 캐나다와 뉴질랜드에서 골드, 영국에서 실버 인증을 받고 주요 음악 매체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브라이언 애덤스의 음반 - Bryan Adams (음반)
브라이언 애덤스의 데뷔 스튜디오 음반인 Bryan Adams는 1980년 2월 12일에 발매되었으며, 1979년에 A&M 레코드와 계약 후 작업하여 "Hidin' from Love" 등의 싱글을 포함하고 캐나다 앨범 차트 69위에 올랐으며, 상업적 성공은 크지 않았지만 브라이언 애덤스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 1991년 음반 - Achtung Baby
U2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 《아흐퉁 베이비》는 1980년대 후반의 사운드에서 벗어나 인더스트리얼,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요소를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와 개인적인 주제의 가사로 호평받으며 상업적 성공과 함께 U2의 음악적 정체성을 재정립했다. - 1991년 음반 - The Low End Theory
A Tribe Called Quest의 두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The Low End Theory》는 재즈와 힙합의 혁신적인 융합, 미니멀리스트 프로덕션, 뛰어난 랩, 사회적 메시지로 호평받으며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중 하나로 인정받고 90년대 대안 힙합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A&M 레코드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 A&M 레코드 음반 - Shine On Brightly
Shine On Brightly는 프로콜 하럼이 1968년에 발매한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제작 과정의 어려움 속에서 잃어버린 사랑과 같은 주제를 다루며 "In Held 'Twas in I"와 같은 실험적인 스위트 곡을 통해 프로그레시브 록의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Waking Up the Neighbour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종류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브라이언 애덤스 |
발매일 | 1991년 9월 24일 |
녹음 기간 | 1990년 3월 – 1991년 6월 |
스튜디오 | 배터리, 런던 더 웨어하우스, 밴쿠버 |
장르 | 록 |
길이 | 74분 52초 |
레이블 | A&M |
프로듀서 | 브라이언 애덤스 로버트 존 "머트" 랭 |
이전 음반 | 라이브! 라이브! 라이브! |
이전 음반 발매일 | 1988년 |
다음 음반 | 쏘 파 쏘 굿 |
다음 음반 발매일 | 1993년 |
싱글 | |
싱글 1 | (에브리씽 아이 두) 아이 두 잇 포 유 |
싱글 1 발매일 | 1991년 6월 17일 |
싱글 2 | 캔트 스톱 디스 씽 위 스타티드 |
싱글 2 발매일 | 1991년 9월 2일 |
싱글 3 | 데어 윌 네버 비 어나더 투나잇 |
싱글 3 발매일 | 1991년 11월 11일 |
싱글 4 | 쏘트 아이드 다이드 앤 곤 투 헤븐 |
싱글 4 발매일 | 1992년 2월 10일 |
싱글 5 | 올 아이 원트 이즈 유 |
싱글 5 발매일 | 1992년 7월 6일 (영국) |
싱글 6 | 두 아이 해브 투 세이 더 워즈? |
싱글 6 발매일 | 1992년 7월 (미국) |
2. 배경 및 녹음
애덤스의 1987년 음반 《Into the Fire》의 성과는 다소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9] 이 음반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7위,[10] 모국 캐나다에서는 2위를 기록했지만,[11] 1984년에 발표된 그의 네 번째 음반 《Reckless》가 거둔 엄청난 상업적 성공에는 미치지 못했다.[9] 《Into the Fire》는 애덤스가 오랜 협력자 짐 발란스와 함께 녹음한 마지막 음반이었으며, 두 사람의 작곡 파트너십은 1989년 8월에 종료되었다.
《Waking Up the Neighbours》는 여러 차례 발매가 연기된 끝에 1991년 9월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6위를 기록했다.[21] 앨범은 여러 국가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리드 싱글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는 영국 싱글 차트에서 16주 연속 1위, 총 17개 국가 차트 1위라는 기록을 세웠다.[8] 미국에서는 4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고,[22] 이 앨범은 브라이언 애덤스의 전 세계 앨범 판매량 중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을 세웠다.[7] 애덤스는 1992년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로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했다. 한편, 캐나다 콘텐츠 규정이 1991년에 개정되어 캐나다 내 라디오 방송국들이 이 앨범의 방송 횟수를 캐나다 음악 방송 요구 사항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8]
1988년에는 스티브 릴리와이트가 프로듀싱을 맡아 새로운 음반을 녹음하려 했지만, 이 세션에서 나온 결과물은 발표되지 않았다. 그로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애덤스는 로버트 존 "머트" 랭과 함께 다음 음반 작업을 시작했다. 랭은 이전에 AC/DC, 더 카스, 포리너, 데프 레퍼드 등 유명 밴드들과 작업한 것으로 알려진 프로듀서였다. 녹음은 1990년 3월에 시작되어 영국의 배터리 스튜디오와 캐나다의 웨어하우스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고, 믹싱 작업을 포함하여 1991년 6월에 완료되었다.[12]
애덤스에 따르면, 랭은 작곡 과정에 대한 그의 사고방식을 바꾸어 각 곡에 대해 매우 꼼꼼하게 작업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녹음 과정은 1년 넘게 소요되었고, 원래 1990년 가을로 예정되었던 음반 발매는 여러 번 연기되었다. 랭은 음반의 15개 트랙 모두에 참여했으며, 여기에는 애덤스가 이전에 발란스와 함께 데모로 녹음했던 4곡도 포함된다.[9]
3. 발매 및 홍보
앨범 발매 전인 1991년 6월 8일부터 애덤스는 ZZ 톱(ZZ Top)과 공동 헤드라이너로 유럽에서 대규모 콘서트를 열며 음반 홍보 투어를 시작했다. 리드 싱글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가 발매되어 전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하면서[29] 앨범 홍보는 더욱 탄력을 받았다. 애덤스는 1991년 10월부터 1993년 12월 말까지 "Waking Up the World" 투어를 진행했다. 투어는 1991년 10월 4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시작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18일에는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처음으로 두 번의 공연을 가졌다. 유럽 투어 중 7만 2천 명 이상이 참석한 웸블리 스타디움 콘서트를 마친 후, 애덤스는 미국으로 건너가 1월 10일 리츠 극장에서 공연했는데, 이 공연은 20분도 안 되어 매진되었다.[30] 이 공연에는 벤 E. 킹(Ben E. King)과 노나 헨드릭스(Nona Hendryx)도 참여했다.[30]
1992년 1월, 투어는 캐나다로 이어져 노바스코샤주 시드니에서 시작하여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서 전석 매진 공연으로 마무리되었다. 2월에는 뉴질랜드와 호주 투어를 진행했고, 이후 일본에서 6개 도시 투어를 가졌다.[30] 1992년 6월과 7월에는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스칸디나비아 등 유럽 여러 국가를 순회했으며, 처음으로 헝가리와 터키에서도 공연했다. 1992년 9월부터 12월까지는 미국에서 투어를 이어갔고, 1993년에는 아시아(태국, 싱가포르, 일본, 홍콩)와 미국을 다시 방문했다.[30][29] 넬슨 만델라 석방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방문도 이루어졌으며, 케이프타운 그린 포인트 스타디움 공연은 특히 기억에 남는 공연으로 평가받는다.
코카콜라(Coca-Cola)는 투어의 공식 파트너이자 스폰서 중 하나였으며, 애덤스와 밴드가 동네에서 "House Arrest"를 연주하는 모습과 배우 네브 캠벨(Neve Campbell)이 등장하는 홍보 광고를 제작하기도 했다.
3. 1. 싱글
앨범 발매 전에 먼저 공개된 리드 싱글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는 이 앨범에서 가장 크게 성공한 곡이다. 이 곡은 케빈 코스트너 주연 영화 《로빈 후드: 도둑들의 왕자》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는데, 영화 음악 작곡가 마이클 카멘이 만든 오케스트라 연주를 바탕으로 브라이언 애덤스와 로버트 존 "머트" 랭이 곡을 완성했다.[12] 1991년 6월 영화 개봉과 함께 엔딩 크레딧에 삽입되었다.[12] 이 노래는 역대 가장 성공적인 싱글 중 하나로 기록되었는데,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7주 동안 1위를 차지했으며, 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16주 연속 1위라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네덜란드 톱 40에서 11주, 캐나다 RPM 싱글 차트에서 9주간 1위를 지키는 등 총 17개 국가 차트에서 정상을 차지했다.[12][21] 전 세계적으로 1,000만 장 이상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24] 이 곡은 1992년 그래미상에서 영화 또는 텔레비전을 위해 특별히 쓰여진 최고의 노래 부문 상을 받았고, 1991년 아카데미 최우수 원곡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23] 뮤직 비디오는 줄리앙 템플이 감독했으며, 1991년 5월 영국 셰필드에서 촬영되었다.[30]
두 번째 싱글 "Can't Stop This Thing We Started"는 앞선 싱글과 달리 록 스타일의 곡이다. 이 곡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프린스의 "크림"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21] 또한 1992년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록 노래 부문과 최우수 록 퍼포먼스(솔로) 부문 후보로 지명되었다.[7]
세 번째 싱글 "There Will Never Be Another Tonight"의 제목은 1980년대 후반 애덤스와 짐 발란스가 함께 쓴 곡의 일부에서 가져왔다. 원래는 버디 홀리의 "페기 수"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버디 홀리 아이디어"라는 가제가 붙었으나, 이후 랭과 애덤스가 현재의 곡으로 발전시켰다.
네 번째 싱글 "Thought I'd Died and Gone to Heaven"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3위, 메인스트림 록 트랙 차트에서 14위를 기록했다.[26][27] 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8위에 올랐다.
이 외에도 "All I Want Is You", "Do I Have to Say the Words?", "Touch the Hand" 등이 싱글로 발매되었다. "Do I Have to Say the Words?"는 빌보드 핫 100에서 11위를 기록했지만, 이들 후속 싱글들은 앞서 발매된 네 개의 싱글만큼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21]
4. 캐나다 콘텐츠 논란
이 앨범은 캐나다 콘텐츠(CanCon) 시스템과 관련하여 캐나다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브라이언 애덤스는 캐나다의 주요 음반 스타 중 한 명이었으나, 비캐나다인과의 협업 및 앨범을 주로 캐나다 밖에서 녹음한 결정으로 인해 앨범과 수록곡들이 캐나다 라디오 방송을 위한 캐나다 콘텐츠로 인정받지 못했다.[8]
당시 캐나다 콘텐츠 규정에 따르면, 음악 작품이 캐나다 콘텐츠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음 네 가지 기준 중 두 가지를 충족해야 했다.
- 아티스트가 캐나다인일 것
- 트랙이 캐나다에서 완전히 녹음되었을 것
- 음악이 캐나다인(들)에 의해 완전히 작곡되었을 것
- 가사가 캐나다인(들)에 의해 완전히 작사되었을 것
애덤스는 잠비아 출신인 머트 랭과 음악 및 가사를 공동 작업했고, 앨범 녹음 대부분을 캐나다 밖에서 진행했기 때문에, 위 기준 중 '아티스트가 캐나다인일 것'이라는 한 가지 기준만 충족했다. 만약 애덤스가 모든 가사를 쓰고 랭이 모든 음악을 작곡했거나 그 반대의 경우였다면 캐나다 콘텐츠로 인정될 수 있었지만, 공동 작업의 형태 때문에 캐나다 방송통신위원회(CRTC) 규정에 따라 앨범의 어떤 곡도 캐나다 콘텐츠로 간주되지 않았다.[28]
이에 애덤스는 캐나다의 연례 음악 시상식인 주노상 위원회가 앨범을 거의 무시하자 시상식을 보이콧하겠다고 잠시 위협하기도 했다. 그는 결국 대중 투표로 결정되는 '올해의 엔터테이너상'과 '올해의 프로듀서상'을 수상했다.[28]
애덤스는 CRTC의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수치스럽고, 부끄러운 일... 어리석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엘튼 존이 영국인이 아니라고 선언되는 일은 절대 없을 겁니다 [...] CRTC를 폐지해야 할 때입니다.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비판을 이어갔다.[8]
이 논란의 결과로, 같은 해 9월 캐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캐나다 콘텐츠 규칙을 변경하겠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규정은 비캐나다인이 음악과 가사 완성에 최대 50%까지 기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아티스트가 캐나다인이거나 노래가 캐나다에서 녹음된 경우 캐나다 콘텐츠 자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8] 이에 따라 애덤스와 랭이 공동 작업한 곡들, 그리고 애덤스, 랭, 짐 밸런스(캐나다인)가 함께 작업한 곡들은 캐나다 콘텐츠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애덤스, 랭, 마이클 케먼이 공동 작곡한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는 세 명의 작가 중 두 명이 비캐나다인이고 캐나다에서 녹음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캐나다 콘텐츠로 간주되지 않는다.
5. 곡 목록
모든 곡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브라이언 애덤스와 머트 랭이 작사/작곡했다.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Is Your Mama Gonna Miss Ya? | 브라이언 애덤스, 머트 랭 | 4:41 |
2 | Hey Honey – Im Packin You In! | 애덤스, 랭, 빅토리아 러셀, 키스 스콧 | 3:59 |
3 | Can't Stop This Thing We Started | 애덤스, 랭 | 4:29 |
4 | Thought I'd Died and Gone to Heaven | 애덤스, 랭 | 5:48 |
5 | Not Guilty | 애덤스, 랭 | 4:12 |
6 | Vanishing | 애덤스, 랭 | 5:03 |
7 | House Arrest | 애덤스, 랭, 짐 밸런스 | 3:58 |
8 | Do I Have to Say the Words? | 애덤스, 랭, 짐 밸런스 | 6:11 |
9 | There Will Never Be Another Tonight | 애덤스, 랭, 짐 밸런스 | 4:40 |
10 | All I Want Is You | 애덤스, 랭 | 5:20 |
11 | Depend on Me | 애덤스, 랭, 짐 밸런스 | 5:07 |
12 |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 | 애덤스, 랭, 마이클 케이먼 | 6:34 |
13 | If You Wanna Leave Me (Can I Come Too?) | 애덤스, 랭 | 4:43 |
14 | Touch the Hand | 애덤스, 랭 | 4:05 |
15 | Don't Drop That Bomb on Me | 애덤스, 랭 | 6:00 |
6. 참여진
wikitext
역할 | 이름 |
---|---|
보컬, 리듬 기타 | 브라이언 애덤스 |
리드 기타, 백 보컬 | 키스 스콧 |
해먼드 오르간 | 로비 킹 |
오르간 | 토미 만델 |
키보드, 프로그래밍 | 필 니콜라스 |
어쿠스틱 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 빌 페인 |
키보드 | 에드 시어머 |
베이스 | 래리 클라인 |
베이스 | 데이브 테일러 |
드럼 | 미키 커리 |
백 보컬 | 더 터크 백 트윈스 (브라이언 애덤스 및 로버트 존 "머트" 랭) |
프로듀서 | 브라이언 애덤스 |
프로듀서 | 로버트 존 "머트" 랭 |
녹음 | 나이젤 그린 |
추가 녹음 | 켄 로마스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얀 멤미 |
기술 엔지니어 | 론 오브비어스 |
믹싱 | 밥 클리어마운틴 |
믹싱 어시스턴트 | 에이브릴 매킨토시 |
마스터링 | 밥 루드윅 |
패키지 디자인 | 리처드 프랭클 |
디자인 컨셉, 사진 | 앤드루 캐틀린 |
매니지먼트 | 브루스 앨런 |
7. 차트 성적
《Waking Up the Neighbours》는 여러 차례 연기된 끝에 1991년 9월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6위를 기록했다.[21] 앨범과 리드 싱글인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는 여러 국가의 차트에서 정상을 차지했다. 특히 이 싱글은 영국 싱글 차트에서 16주 동안 1위를 지키며 기록을 세웠고, 총 17개국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8] 미국에서는 40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22] 캐나다 콘텐츠 규정이 1991년에 개정되면서 캐나다 라디오 방송국들이 이 앨범의 곡을 캐나다 음악으로 인정하고 법적 요구 사항에 맞춰 방송할 수 있게 되었다.[8] 이 앨범은 브라이언 애덤스의 전 세계 앨범 판매량 중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을 세웠다.[7] 애덤스는 1992년 이 앨범의 싱글 〈(Everything I Do) I Do It for You〉로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