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Xkcd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xkcd는 랜들 먼로가 제작하는 웹코믹으로, 2005년 9월에 시작되었다. 단순한 그림체로 수학, 과학, 기술, 로맨스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풍자적인 유머를 담고 있다. xkcd는 "클릭 앤 드래그"와 "Time"과 같은 인기 만화로 주목받았으며, "What If?"를 통해 독자들이 제기한 질문에 과학적으로 답하는 콘텐츠도 제공한다. 또한, 여러 과학 연구 및 사회적 활동에 영감을 주었으며, 웹 카투니스트 초이스 어워드 등에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웹 만화 - 딜버트
    스콧 애덤스가 창작한 미국의 신문 연재 만화 딜버트는 엔지니어 딜버트와 그의 애완견 도그버트의 일상 및 직장 생활을 통해 기업 문화와 관료주의, 경영진의 무능함을 풍자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작가의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연재 중단 후 구독 웹사이트에서 연재를 이어가고 있다.
  • 미국의 웹 만화 - 페페 더 프로그
    페페 더 프로그는 2005년 맷 퓨리가 창조한 캐릭터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변형이 생겨났고, 2015년부터 얼터너티브 우익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논란이 되었지만,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에서 민주화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되었으며, NFT로 제작되거나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 너드 문화 - 빌 게이츠
    빌 게이츠는 폴 앨런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를 공동 설립하여 MS-DOS와 윈도우를 개발하고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는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을 통해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는 미국의 사업가이자 자선가이다.
  • 너드 문화 -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븐 개리 워즈니악은 애플 컴퓨터의 공동 창업자이자 애플 I과 애플 II의 주요 설계자로, 개인용 컴퓨터 시대 개막에 기여했으며 블루 박스 제작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컴퓨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이다.
  • 미국의 책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1768년 에든버러에서 초판 발행 후 15개의 판본을 거치며 발전해 온 세계적인 백과사전으로, 현재는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권위 있는 지식 정보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주제 범위의 편향성과 정보 정확성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미국의 책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Xkcd - [영화]에 관한 문서
웹툰 정보
제목xkcd
원제xkcd
그림Webcomic xkcd - Wikipedian protester.png
그림 설명xkcd 285화 위키피디아나 항의자
작가랜들 먼로
개시2005년 11월
연재 사이트xkcd.com
요일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저작권CC-BY-NC 2.5
일반 정보
종류코미디, geek 유머
저자랜들 먼로
상태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연재
첫 연재2005년 9월
웹사이트xkcd 공식 웹사이트
장르코미디, 괴짜 유머
관련 도서
호왓 이프?: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지면 어떻게 될까?호왓 이프?: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지면 어떻게 될까
하우 투하우 투
띵 익스플래이너띵 익스플래이너
호왓 이프? 2호왓 이프? 2
호왓 이프? 10주년 기념판호왓 이프? 10주년 기념판
관련 유튜브 채널
채널명xkcd's What If?

2. 역사

랜들 먼로는 학창 시절 그린 그림들을 스캔하여 2005년 9월 개인 웹사이트에 게시하면서 ''xkcd''를 시작했다.[20][21] 초기에는 개인적인 낙서 모음이었으나, 2006년 1월 데릭 래드키(Derek Radtke)와 협력하여 자체 웹사이트를 개설하며 본격적인 웹코믹으로 발전했다.[21] 이후 과학, 수학, 인터넷 문화 등을 소재로 한 독특한 유머와 "클릭 앤 드래그"[25], "Time"[28]과 같은 실험적인 형식의 만화들을 선보이며 온라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22][23] ''xkcd''는 단순한 그림체를 유지하면서도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형식 실험을 통해 웹코믹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2. 1. 시작과 발전

Randall Munroe (2016년)


먼로는 학생 시절 수학 문제를 푸는 것 외에도 학교 공책 여백에 차트, 지도, "막대 인물 전투" 등을 자주 그렸다. 대학교 졸업 무렵, 먼로의 공책은 많아졌고, 그는 그림들을 스캔하기 시작했다.[20]

''xkcd''는 2005년 9월, 먼로가 자신의 낙서를 스캔하여 개인 웹사이트에 올리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먼로에 따르면, 이 만화의 이름은 특별한 의미가 없으며 발음할 수 없는 네 글자 단어일 뿐이다. 그는 이를 "네 글자 문자열 공간에서 소중히 보호되는 지점"이라고 설명한다. 2006년 1월, 만화는 데릭 래드키(Derek Radtke)와 협력하여 자체 웹사이트로 분리되었다.[21]

2007년 5월, ''xkcd''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지리적 형태로 묘사한 만화로 널리 주목받았다. 다양한 웹사이트가 대륙으로 그려졌는데, 각 사이트의 상대적인 인기에 따라 크기가 결정되었고 일반적인 주제에 따라 위치가 정해졌다.[22][23] 이로 인해 ''xkcd''는 시러큐스의 ''The Post-Standard''가 선정한 "새로운 핫함" 목록에서 2위에 올랐다.[24] 2008년까지 ''xkcd''는 티셔츠 판매를 통해 한 달에 수천 장을 팔아 먼로와 래드키에게 상당한 재정적 수입을 안겨주었다.[21]

2012년 9월 19일에는 내용을 클릭하고 드래그하여 탐색할 수 있는 패널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 앤 드래그"가 게시되었다.[25] 이 만화는 소셜 웹사이트와 포럼에서 즉각적인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26] 패널 안에 중첩된 큰 이미지의 크기는 너비 165,888 픽셀, 높이 79,872 픽셀에 달했다.[27] 먼로는 나중에 이 작품을 "내가 인터넷에 올린 것 중 아마도 가장 인기 있는 것"이라고 묘사했으며,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로 꼽았다.[20]

"Timeeng"은 2013년 3월 25일 자정 미국 동부 표준시(EDT)에 게재되기 시작했다. 만화 이미지는 처음에는 30분마다, 3월 30일부터는 매시간 업데이트되었으며, 이는 4개월 이상 지속되었다. 이미지들은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타임 랩스 필름 프레임과 같았다. 원래 툴팁은 "기다려.(Wait for it.)"였으나 나중에 "달려.(Run.)"로, 7월 26일에는 "끝.(The End.)"으로 변경되었다. 이야기는 해변에서 모래성 단지를 짓는 남녀 캐릭터로 시작하여, 바다의 비밀을 배우기 위한 모험을 떠나는 내용이다. 7월 26일, 만화는 "The End"라는 문구가 겹쳐진 프레임(3094)을 보여주었다. ''The A.V. Club''의 타샤 로빈슨(Tasha Robinson)은 이 만화에 대해 "[...] 사람들이 XKCD로 다시 돌아오게 하는 종류의 멋진 실험으로, 최고조에서는 스트립 만화가 아니라 아이디어 공장과 공유된 경험과 같다"고 평했다.[28] 코리 닥터로는 4월 7일 ''Boing Boing''의 짧은 기사에서 "Time"을 언급하며 "잘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총 3,099개의 패널로 구성된 "Time" 만화는 2013년 7월 26일에 종료되었으며, 이후 여정을 요약하는 블로그 게시물이 올라왔다.[29][30] 2014년에는 휴고상 그래픽 스토리 부문을 수상했다.

작업 방식은 2007년경 먼로가 모든 만화를 종이에 그린 다음 후지쯔 Lifebook 태블릿 컴퓨터로 스캔하고 처리하는 방식이었다.[31] 2014년에는 코딩 작업을 위한 노트북과 함께 그림을 그리기 위해 Cintiq 그래픽 태블릿을 사용했다.[32]

2. 2. 주요 사건



랜들 먼로는 학생 시절 수학 문제를 푸는 것 외에도 학교 공책 여백에 차트, 지도, "막대 인물 전투" 등을 자주 그렸다. 대학 졸업 무렵에는 공책이 매우 많아져서 스캔하여 디지털화하기 시작했다.[20]

''xkcd''는 2005년 9월, 먼로가 자신의 낙서를 스캔하여 개인 웹사이트에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만화의 이름 'xkcd'는 특별한 의미 없이 발음할 수 없는 네 글자 단어일 뿐이며, 먼로는 이를 "네 글자 문자열 공간에서 소중히 보호되는 지점"이라고 설명했다. 2006년 1월에는 데릭 래드키(Derek Radtke)와 협력하여 자체 웹사이트로 분리되었다.[21]

2007년 5월, 온라인 커뮤니티를 지리적 형태로 묘사한 만화가 큰 주목을 받았다. 이 만화는 다양한 웹사이트를 대륙처럼 그렸는데, 각 웹사이트의 상대적 인기에 따라 크기를 정하고, 비슷한 주제를 가진 웹사이트끼리 가깝게 배치했다.[22][23] 이로 인해 ''xkcd''는 시러큐스 지역 신문 ''Post-Standard''의 "새로운 인기 목록(new hotness list)"에서 2위에 오르기도 했다.[24] 2008년까지 ''xkcd''는 티셔츠 판매를 통해 상당한 수익을 올렸고, 먼로와 래드키는 이를 통해 재정적으로 안정될 수 있었다.[21]

2012년 9월 19일에는 "클릭 앤 드래그(Click and Drag)"라는 제목의 만화가 게시되었다. 이 만화는 독자가 내용을 클릭하고 드래그하여 숨겨진 넓은 영역을 탐색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25] 이는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포럼에서 즉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26] 만화 패널 안에 숨겨진 거대한 이미지의 크기는 너비 165,888 픽셀, 높이 79,872 픽셀에 달했다.[27] 먼로는 나중에 이 작품을 "내가 인터넷에 올린 것 중 아마도 가장 인기 있는 것"이라고 평가하며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로 꼽았다.[20]

"시간(Time)"은 2013년 3월 25일 자정 EDT에 처음 게시되어 4개월 이상 연재된 장편 만화이다. 만화 이미지는 처음에는 30분마다, 나중에는 매시간 업데이트되며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타임 랩스 필름 프레임처럼 전개되었다. 초기 만화의 툴팁은 "기다려(Wait for it.)"였으나, 나중에는 "달려(Run.)", 그리고 7월 26일에는 "끝(The End.)"으로 변경되었다. 이야기는 해변에서 모래성을 짓는 남녀 캐릭터로 시작하여, 바다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한 모험으로 이어진다. 7월 26일, 3094번째 프레임에 "The End"라는 문구가 겹쳐지며 연재가 마무리되었다. The A.V. Club의 타샤 로빈슨(Tasha Robinson)은 이 만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사람들이 XKCD로 다시 돌아오게 하는 종류의 멋진 실험으로, 최고조에서는 스트립 만화가 아니라 아이디어 공장과 공유된 경험과 같다".[28] 코리 닥터로는 4월 7일 Boing Boing에 올린 짧은 글에서 "시간"을 언급하며, 이 만화가 "잘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총 3,099개의 패널로 구성된 "시간" 만화는 2013년 7월 26일에 종료되었으며, 여정을 요약하는 블로그 게시물이 이어졌다.[29][30] 2014년에는 휴고상 그래픽 스토리 부문을 수상했다.

작업 방식에 있어서, 먼로는 2007년경에는 모든 만화를 종이에 그린 후 태블릿 컴퓨터(후지쯔 Lifebook)로 스캔하여 처리했다.[31] 2014년에는 다른 많은 만화가들처럼 코딩 작업을 위한 노트북과 함께 그림을 그리기 위해 Cintiq 그래픽 태블릿을 사용했다.[32]

3. 특징

막대인간 그림체를 사용하며, 내용은 풍자적이거나 수학, 공학적인 개그를 담고 있다. 작가 랜들 먼로는 어린 시절부터 신문 만화의 팬이었으며, ''xkcd''를 찰스 M. 슐츠(Charles M. Schulz)의 ''피너츠''의 "계승자"로 여기기도 했다. 하지만 ''xkcd'' 특유의 기발하고 기술적인 유머는 전통적인 연재 방식으로는 어려웠을 수 있다. 웹코믹 형식을 통해 먼로는 "독자 중 1%에게만 어필하는 내용을 그릴 수 있다. 미국의 1%는 3백만 명인데, 이는 작은 만화가 가질 수 있는 독자 수보다 훨씬 많다"고 말하며 인터넷의 낮은 진입 장벽과 편집 통제가 없는 자유로움을 장점으로 꼽았다.

''xkcd''에는 정해진 스토리라인은 없지만, 몇 가지 반복되는 테마와 등장인물이 존재한다.[33] 주요 반복 주제는 "기술, 과학, 수학 및 관계"이다.[5] 또한 ''Guitar Hero'',[34] 페이스북(Facebook),[35] 바닐라 아이스(Vanilla Ice),[36] 리눅스(Linux),[37] 그리고 위키백과(Wikipedia)와 같은 대중문화 요소를 자주 다룬다.[38]

"나의 취미:"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만화 시리즈가 있는데, 보통 평범해 보이는 화자가 기발하거나 유머러스한 행동을 묘사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모든 만화가 유머만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33] 로맨스나 관계에 대한 이야기도 흔하며, 때로는 복잡한 풍경 묘사로 이루어진 만화도 있다.[33] 많은 만화에서 먼로가 ''벨로시랩터''의 공격에 대해 보이는 "집착"이 나타나기도 한다.[39]





위키백과에 대한 언급이나 위키백과 자체를 소재로 한 만화도 여러 차례 등장했다.[40][41][42] 먼로가 위키백과의 작문 스타일을 풍자하기 위해 만든 스턴트 단어인 "malamanteau"에 대한 가짜 위키백과 항목은 실제 위키백과 내에서 논란을 일으키며 여러 매체에 보도되기도 했다.[43][44] 다른 만화에서는 위키백과가 중립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주제의 예시로, 낙태 반대 또는 낙태 옹호 활동가에게 가상의 기부를 하는 상황을 그렸다. 이 기부는 해당 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문서의 단어 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이었다.[45] 위키백과를 자신의 정신이 확장된 형태로 묘사하여 평소보다 훨씬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상황을 그리기도 했으며,[46] 위키백과의 [''출처 필요''] 기능을 소재로 한 만화도 있었다.[40]

거의 모든 ''xkcd'' 만화에는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나는 툴팁이 있는데, 이 텍스트는 보통 해당 만화 내용과 관련된 추가적인 반전이나 주석을 담고 있다.[47]

자주 등장하는 인물 중 하나는 평평한 검은색 모자를 쓴 남자로, 다른 웹코믹 'Men in Hats'의 캐릭터 Aram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48] 그는 오로지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거나 해를 끼치는 데 몰두한다. 이름은 없지만, 팬 커뮤니티에서는 보통 "검은 모자" 또는 "검은 모자 남자"로 불린다. "Journal"이라는 짧은 시리즈를 통해 "Danish"라는 이름의 여자친구를 얻었는데, 그녀 역시 그만큼 잔혹한 면모를 보인다.[49]

또 다른 반복 등장인물은 베레모를 쓴 남자로, 때로는 단순히 "베레모 남자"라고 불린다. 그는 매우 순진하고 극도로 낙관적이며, 빵집에 집착하고 현실 감각이 부족한 것처럼 묘사된다. 그는 또한 마법 같은 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데,[50] 이는 종종 사회적 규범이나 물리 법칙을 거스르면서도 그의 지나치게 낙관적인 세계관을 뒷받침하는 상황이나 물건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그는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도 정확히 모르는 스타트업 기업을 운영하며 엄청난 돈을 벌기도 하고,[51] 린-마누엘 미란다(Lin-Manuel Miranda)를 엔지니어로 고용하거나,[52] 문자 그대로 "끝없이 돋아나는 날개"를 만들어내기도 했다.[53]

다양한 형식과 제작 방식을 포함한 지리적 지도 역시 만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이다.[54] 때때로 이러한 지도는 수치나 통계를 창의적이거나 독창적인 방식으로 표현하여 분석가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예를 들어, "2016년 선거 지도" 만화에서는 색깔 있는 막대 인물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지역별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어떻게 투표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는데, 이는 선거 결과에 대한 강력한 시각화 도구로 평가받았다.[55]

4. 등장인물

웹코믹에는 특별한 스토리라인은 없지만, 몇 가지 반복되는 테마와 등장인물이 있다.[33]


  • '''큐볼''' (Cueball)

남성 주인공 캐릭터이다. 영리한 면모를 보이면서도 때때로 바보같이 사고를 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 '''메건''' (Megan)

큐볼에 대응되는 여성 캐릭터이다. 다소 시니컬한 성격을 갖고 있으며, 작가 랜들 먼로의 현재 아내를 대변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작중에서 유방암에 걸렸다가 완치된 경험이 있다.

  • '''검은 모자''' (Black Hat)

검은 모자를 쓰고 등장하는 인물이다. 염세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다른 사람들을 속이거나 이유 없이 곤경에 빠뜨리고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동을 즐긴다. 그는 이름이 없지만, 팬 커뮤니티에서는 일반적으로 "검은 모자" 또는 "검은 모자 남자"로 불린다.[48] 작가 랜들 먼로의 다른 작품인 What If?에서는 [https://what-if.xkcd.com/13/ 달에 테라와트급 레이저 70억 개를 쏘는 기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Journal"이라는 제목의 짧은 시리즈에서는 자신만큼 잔인한 성격의 여자친구 "Danish"를 얻게 된다.[49]

  • '''흰 모자''' (White Hat)

흰 모자를 쓰고 등장한다. 비뚤어진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종종 자신의 꾀에 스스로 넘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 '''베레모 남자''' (Beret Guy)

흰색 베레모를 쓰고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매우 낙천적이고 순수한 성격을 지녔으며, 때로는 비상식적인 것을 믿기도 하는데, 놀랍게도 그 믿음이 현실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현실 감각이 부족해 보이지만,[50] 마법과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능력은 종종 사회적 규범이나 물리 법칙을 거스르면서까지 그의 지나치게 긍정적인 세계관을 뒷받침하는 상황이나 물건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도 제대로 모르는 스타트업 기업을 운영하며 엄청난 돈을 벌기도 하고,[51] 린-마누엘 미란다를 엔지니어로 고용하거나,[52] 말 그대로 '끝없이 리필되는 닭날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53]

5. What If?

Xkcd 사이트에는 《What If?》라는 코너가 있는데, 이는 사람들이 궁금해할 법한 엉뚱한 질문들을 과학적으로 풀어주는 내용을 다룬다. 예를 들어, 광속으로 공을 던지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혹은 지구자전이 멈추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 등을 과학과 수학을 이용해 설명한다.

2014년 3월 12일, 랜들 먼로는 이 코너의 내용을 확장하여 ''What If?: Serious Scientific Answers to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라는 제목의 책을 발표했고, 같은 해 9월 2일에 출간되었다.[12][13] 이 책은 ''xkcd'' 웹사이트의 ''What If?'' 블로그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이후 2022년 1월 31일에는 후속작인 ''What If? 2: Additional Serious Scientific Answers to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의 출간 계획을 발표했다. 이 책은 독자들이 보낸 가상의 질문들에 대해 과학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첫 번째 책의 맥락을 이어간다.[123] 책은 2022년 9월 13일에 출간되었다.[124]

6. 위험한 과학책 시리즈

랜들 먼로는 xkcd 웹사이트의 인기 코너인 ''What If?'' 블로그를 확장하여 2014년 3월 12일, 책 ''What If?: Serious Scientific Answers to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 출간 계획을 발표했고,[12][13] 같은 해 9월 2일에 출간되었다. 이 책은 한국에서 2016년위험한 과학책』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이후 2019년 2월 5일에는 일상적인 문제에 대한 최악의 해결책을 수학과 과학을 이용해 찾는 내용의 네 번째 책 ''How To''를 발표했으며,[16] 같은 해 9월 3일에 출간되었다. 이 책 역시 한국에서 2020년더 위험한 과학책』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2022년 1월 31일, 먼로는 ''What If?''의 후속작인 ''What If? 2: Additional Serious Scientific Answers to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 출간 계획을 발표했다. 이 책은 독자들이 제출한 가상의 질문에 과학적으로 답변하는 첫 번째 책의 형식을 이어가며,[123] 2022년 9월 13일에 출간되었다.[124]

7. 수상 및 인정

''xkcd''는 다양한 시상식에서 인정을 받았다. 2007년과 2008년 웹로그 어워드에서 독자 투표를 통해 "최고의 만화"로 선정되었다.[109][110] 2008년 웹 카투니스트 초이스 어워드에서는 "매체의 뛰어난 활용", "뛰어난 단편 코믹", "뛰어난 코미디 코믹"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 "뛰어난 단일 패널 코믹" 부문에서 수상했다.[108] 이 웹코믹은 2009년 뉴나우넥스트 어워드의 "OMFG 인터넷 어워드" 부문 후보로 지명되었다.[111][112]

작가 랜들 먼로는 2011년과 2012년 모두 휴고상 팬 아티스트 부문 후보에 올랐으며,[113][114] 2014년에는 "Time"으로 휴고상 그래픽 스토리 부문에서 수상했다.[115]

8. 영감을 준 활동

만화 "오픈 소스"(Open Source)에서 영감을 받음[56]]]

여러 차례, 팬들은 랜들 먼로의 만화에서 영감을 받아 특정 그림이나 스케치의 주제를 현실에서 실행했다.[33] 주목할 만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리처드 스톨만은 예일 정치 연합에서 연설하기 전, 만화 "오픈 소스"(Open Source)에서 영감을 받은[56] 닌자 복장의 학생들과 마주치는 장난을 경험했다.[57][58]
  • 2007년 9월 23일, 만화 "Dream Girl"에 좌표가 언급된 매사추세츠 주 노스 케임브리지의 토머스 J. 윌리엄스 목사 공원에 수백 명의 사람들이 모였다.[59] 랜들 먼로 본인도 현장에 나타나 "무언가를 바라는 것이 실제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고 말하며, 만화 마지막 프레임의 결론을 뒤집는 모습을 보였다.[33][60]


  • 애니메이션 ''xkcd'' 만화 "Time"이 2014년 최우수 그래픽 스토리 휴고상을 수상했을 때, 랜들 먼로를 대신하여 코리 닥터로우가 상을 받았다. 이때 닥터로우는 먼로가 이전에 그린 만화 "1337: 파트 5"에서 닥터로우를 묘사했던 모습(빨간 망토와 고글)으로 등장했다.[61][62]
  • 만화 "체스 사진"(Chess Photo)이 게시된 후, ''xkcd'' 독자들은 체스판을 롤러코스터에 몰래 가져가기 시작했다.[63][64][65]
  • 만화 "지오해싱"(Geohashing)에서 설명된 알고리즘에 따라 임의의 좌표로 이동하는 게임인 지오해싱[66]은 1,000명 이상의 플레이어를 확보했다.[67][68]
  • 2007년 10월, 남가주 대학교 정보 과학 연구소 연구팀은 인터넷 인구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힐베르트 곡선을 사용하여 발표했는데, 이는 유사한 기술을 사용한 ''xkcd'' 만화("인터넷 지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69][70][71] 동일한 만화에서 영감을 받은 카르나 봇넷 역시 2012년 인터넷 인구 조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힐베르트 곡선을 사용했다.[72]
  • 만화 "패키지"(Packages)[73]를 보고 프로그래머들은 매일 인터넷에서 1USD에 판매되는 품목을 자동으로 찾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74][75]
  • 만화 "암호 강도"(Password Strength)[76]에 대한 반응으로, Dropbox는 사용자가 "correcthorsebatterystaple"이라는 암호로 가입하려고 하면 "lol"과 "이봐요, 웹 코믹에서 조언을 너무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마세요 ;)"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77] 게임 개발사 ArenaNet은 ''길드 워 2'' 사용자들에게 같은 만화의 지침에 따라 암호 강도가 높은 암호를 만들 것을 권장하기도 했다.[78]
  •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 표준 라이브러리의 "antigravity" 모듈은 실행 시 xkcd 만화 "파이썬"(Python)을 웹 브라우저에서 열어준다.[79][80] 2009년 6월 4일에는 CPython의 git 저장소에 "지오해싱"(Geohashing)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함수 (컴퓨터 프로그래밍)가 "antigravity" 모듈에 추가되었는데, 이는 만화 "지오해싱"(Geohashing, 426번째 만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81]
  • xkcd 만화 "온라인 커뮤니티 2"(Online Communities 2)[82]에서 영감을 받아 슬로바키아 예술가 마틴 바르기치는 "인터넷 1.0 지도"를 제작했다.[83]
  • 2008년, 랜들 먼로는 디스커버리 채널의 ''나는 세상을 사랑해''(I Love the World) 광고 캠페인 패러디를 ''xkcd''에 게시했다.[84] 이후 닐 게이먼, 윌 휘튼, 코리 닥터로우, 행크 그린 등이 이 패러디를 재연하는 영상을 만들었다.[85] 이 영상은 현재 유튜브에서 "우리는 xkcd를 사랑해"(We Love the xkcd)라는 제목으로 볼 수 있다.[86]
  • 새턴 V 로켓에 대한 랜들 먼로의 2012년 만화 "Up-Goer Five"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Up-Goer Five 챌린지"를 유행시켰다. 원본 만화는 현대 소설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천 단어만 사용하여 로켓을 설명했는데, 이 챌린지는 과학자들이 자신의 학술 논문을 매우 기본적인 언어로 설명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비록 엄격하게 1,000 단어 제한을 지키지 않더라도, 이 만화는 과학 논문이 과도한 전문 용어 사용으로 인해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 어려워지는 문제를 피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자주 인용된다.[87][88][89]


또한, 많은 연구자들이 특정 ''xkcd'' 만화가 자신들의 과학 논문에 영감을 주었다고 밝혔다.[90] 이러한 학술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 2007년 발표된 "힐베르트 곡선 매핑을 사용한 고수준 인터넷 규모 트래픽 시각화" 논문[91]은 만화 "인터넷 지도"에서 영감을 받았다.[71]
  • 2011년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직원 3명이 발표한 "실패는 네 글자 단어: 경험적 연구의 패러디" 논문[92]은 만화 "Significant"에서 영감을 얻었다.[93]
  • 만화 "암호 강도"(Password Strength)[76]는 두 편의 과학 논문에 영감을 주었다. 첫 번째는 2012년 논문 "Correct horse battery staple: 시스템 할당 암호문의 사용성 탐구"[94]이고, 두 번째는 2015년 발표된 "무작위 60비트 문자열을 암기하는 방법"[95]이다.
  • 2019년 논문 "2D 스칼라 필드의 점묘"[96]는 만화 "2016년 선거 지도"에서 영감을 받았다.[97]
  • 만화 "의존성"(Dependency)[98]은 저자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의 네브래스카 문제"라는 논문을 쓰는 데 영감을 주었다.[99]
  • 만화 "영화 내러티브 차트"(Movie Narrative Charts)[100]는 두 편의 과학 출판물에 영감을 주었다. 하나는 "StoryFlow: 이야기의 진화 추적"[101]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인용한 "HyperStorylines: 동적 하이퍼그래프 대화형으로 풀기"[102]이다.

9. 정치

만화는 친과학적이며 백신 접종을 지지하는 관점을 특징으로 한다.[103][104]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또한 지지를 받았다.[105] 2024년 가을에는 홈페이지의 배너해리스대통령 출마를 지지하는 내용이 게재되었다.[106][107]

참조

[1] 웹사이트 Philosophy https://xkcd.com/220[...] 2016-02-26
[2] 웹사이트 The 10 best webcomics, from Achewood to XKCD https://www.telegrap[...] 2015-12-07
[3] 웹사이트 About xkcd https://xkcd.com/abo[...] 2014-12-04
[4] 웹사이트 xkcd https://xkcd.com/ 2014-10-07
[5] 웹사이트 100 top sites for the year ahead https://www.theguard[...] 2014-12-04
[6] 웹사이트 What's Online http://www.seattlepi[...] 2008-05-30
[7] 뉴스 Ad Lib, Section: Ticket Booth Newspapers 2006-08-17
[8] 웹사이트 xkcd.com search: "parody week" http://www.ohnorobot[...] Ohnorobot 2011-12-21
[9] 웹사이트 xkcd: A comic strip for the computer geek https://www.redhat.c[...] 2007-03-06
[10] 웹사이트 Category:Choices - explain xkcd https://www.explainx[...] 2024-12-08
[11] 웹사이트 What If? – The Book http://whatif.xkcd.c[...] 2015-12-07
[12] 웹사이트 What if I wrote a book? http://blog.xkcd.com[...] 2014-10-07
[13] 웹사이트 XKCD 'What if?' book announced by Randall Munroe http://www.geek.com/[...] 2014-10-07
[14] 웹사이트 New book: Thing Explainer http://blog.xkcd.com[...] 2015-12-07
[15] 웹사이트 XKCD cartoonist's new book: 'Thing Explainer' http://www.cnet.com/[...] CBS Interactive 2015-09-28
[16] 웹사이트 How To: Absurd Scientific Advice for Common Real-World Problems https://blog.xkcd.co[...] 2019-02-26
[17] 웹사이트 XKCD's Randall Munroe announces What If? 2, with more scientific answers to life's most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 https://www.theverge[...] 2022-01-31
[18] 웹사이트 What If? Tenth Anniversary Edition: Serious Scientific Answers to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 (Hardcover) {{!}} Shakespeare & Co. https://shop.shakean[...] 2024-05-28
[19] 웹사이트 xkcd's What If? https://www.youtube.[...] 2023-12-06
[20] 웹사이트 Interview: XKCD's creator tells us "I'm lucky to have readers at all" http://www.digitalar[...] DigitalArts 2016-03-29
[21] 뉴스 This Is Funny Only if You Know Unix https://www.nytimes.[...] 2008-09-25
[22] 웹사이트 Online Communities https://xkcd.com/256[...] 2017-01-04
[23] 뉴스 "We're looking at each other, and it's not a pretty sight" https://www.theglobe[...] 2011-04-21
[24] 웹사이트 PostScript: Upstate Blogroll, New Hotness, and more http://blog.syracuse[...] 2011-08-07
[25] 웹사이트 1190: Time https://xkcd.com/111[...] 2013-05-18
[26] 뉴스 "'Click And Drag,' XKCD Webcomic, Rewards Explorers (IMAGES)" http://www.huffingto[...] 2012-09-22
[27]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xkcd Comic "Click and Drag" http://www.themarysu[...] Geekosystem 2012-12-15
[28] 뉴스 Check out XKCD's epic multi-day animation comic http://www.avclub.co[...] 2013-11-20
[29] 웹사이트 1190: Time https://blog.xkcd.co[...] 2014-02-18
[30] 간행물 Creator of xkcd Reveals Secret Backstory of His Epic 3,099-Panel Comic https://www.wired.co[...] 2013-08-02
[31] 웹사이트 In which I lose the originals of the last three months of comics and the laptop I create them with. https://blog.xkcd.co[...] 2017-04-13
[32] 간행물 "'XKCD' Cartoonist Randall Munroe Drops Mad Science" https://www.rollings[...] 2017-04-13
[33] 뉴스 Former NASA staffer creates comics for geeks http://www.usc.uwo.c[...]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2007-11-22
[34] 웹사이트 Guitar Hero https://xkcd.com/70/ 2024-12-08
[35] 웹사이트 Facebook of the Dead https://what-if.xkcd[...] 2024-12-08
[36] 웹사이트 Water Phase Diagram https://xkcd.com/156[...] 2024-12-08
[37] 웹사이트 Linux User at Best Buy https://xkcd.com/272[...] 2024-12-08
[38] 웹사이트 Wikipedian Protester https://xkcd.com/285[...] 2024-12-08
[39] 웹사이트 Geek humor: Nothing to be ashamed of http://media.www.the[...] 2007-04-23
[40] 웹사이트 Wikipedian Protester https://xkcd.com/285[...] 2011-12-21
[41] 웹사이트 Malamanteau https://xkcd.com/739[...] 2011-12-21
[42] 웹사이트 The Problem with Wikipedia https://xkcd.com/214[...] 2011-12-21
[42] 웹사이트 Citogenesis https://xkcd.com/978[...] 2011-12-21
[42] 웹사이트 In Popular Culture https://xkcd.com/446[...] 2011-12-21
[42] 웹사이트 Star Trek into Darkness https://xkcd.com/116[...] 2013-01-30
[42] 웹사이트 Externalities https://xkcd.com/119[...] 2013-04-01
[42] 웹사이트 Teenage Mutant Ninja Turtles https://xkcd.com/141[...] 2014-08-25
[42] 웹사이트 Meta Collecting https://xkcd.com/212[...] 2019-03-20
[43] 뉴스 Malamanteau Wikipedia https://www.bbcnewsa[...] 2010-05-13
[44] 뉴스 One-day wonder: How fast can a word become legit? https://www.boston.c[...] 2014-05-10
[45] 웹사이트 Neutrality Schmeutrality https://xkcd.com/545[...] 2018-01-23
[46] 웹사이트 Extended Mind https://xkcd.com/903[...] 2020-11-09
[47] 웹사이트 A Comic You Can't Pronounce http://imprint.uwate[...] 2007-09-16
[48] 웹사이트 xkcd https://xkcd.com/29/
[49] 웹사이트 Journal 5 https://xkcd.com/433[...] 2017-09-22
[50] 웹사이트 Subduction License https://xkcd.com/138[...] 2019-09-23
[51] 웹사이트 Startup Opportunity https://xkcd.com/177[...] 2024-03-03
[52] 웹사이트 Onboarding https://xkcd.com/181[...] 2024-03-03
[53] 웹사이트 Tuesdays https://xkcd.com/109[...] 2017-10-02
[54] 웹사이트 Map Projections https://www.xkcd.com[...] 2018-01-10
[54] 웹사이트 Map Age Guide https://xkcd.com/168[...] 2018-01-10
[54] 웹사이트 2016 Election Map https://xkcd.com/193[...] 2018-01-10
[55] 웹사이트 This might be the best map of the 2016 election you ever see https://www.vox.com/[...] 2018-01-10
[56] 웹사이트 Open Source https://xkcd.com/225[...] 2007-11-17
[57] 뉴스 Stallman trumpets free software http://yaledailynews[...] The Tartan 2007-10-19
[58]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Debate http://www.yale.edu/[...] 2007-10-21
[59] 웹사이트 Dream Girl https://xkcd.com/240[...] 2010-05-13
[60] 웹사이트 The wisdom of crowds http://thephoenix.co[...] 2007-09-27
[61] 웹사이트 All The Most Exciting Moments From The 2014 Hugo Awards! http://io9.com/all-t[...] io9 2014-08-17
[62] 웹사이트 1337: Part 5 https://xkcd.com/345[...] 2007-11-17
[63] 뉴스 The man hiding behind the raptor https://thetartan.or[...] The Tartan 2007-11-12
[64] 웹사이트 People Playing Chess on Roller Coasters https://xkcd.com/che[...] 2007-08-20
[65] 웹사이트 Chess Photo https://xkcd.com/249[...] 2011-12-21
[66] 웹사이트 Geohashing wiki http://wiki.xkcd.com[...] 2012-04-17
[67] 웹사이트 maps and statistics https://geohashing.s[...] geohashing wiki 2021-04-17
[68] 웹사이트 Geohashing https://xkcd.com/426[...] 2012-04-17
[69] 웹사이트 Researchers ping through first full 'Internet census' in 25 years http://www.networkwo[...] Networkworld.com 2007-10-10
[70] 웹사이트 62 Days + Almost 3 Billion Pings + New Visualization Scheme = the First Internet Census Since 1982 http://www.isi.edu/n[...] Information Science Institute 2007-10-10
[71] 웹사이트 Map of the Internet https://xkcd.com/195[...] 2006-12-11
[72] 웹사이트 Internet Census 2012: Port scanning /0 using insecure embedded devices http://internetcensu[...] 2014-05-08
[73] 웹사이트 Packages https://xkcd.com/576[...] 2009-05-01
[74] 웹사이트 csKw:projects:cheepcheep http://shaunwagner.c[...] Shaunwagner.com 2011-12-21
[75] 웹사이트 xkcd #576 http://bieh.net/2010[...] 2010-11-08
[76] 웹사이트 Password Strength http://xkcd.com/936/ 2013-08-21
[77] 웹사이트 Correcthorsebatterystaple – the guys at Dropbox are funny https://nakedsecurit[...] Sophos 2013-03-12
[78] 웹사이트 Mandatory Password Change is Coming https://www.guildwar[...] GuildWars2.com 2013-03-12
[79] 웹사이트 Python http://xkcd.com/353/ 2019-06-20
[80] 웹사이트 import antigravity http://python-histor[...] 2019-06-20
[81] 웹사이트 Another hidden treasure. · python/cpython@b1614a7 https://github.com/p[...] 2021-12-06
[82] 웹사이트 Online Communities 2 https://xkcd.com/802[...] 2015-12-23
[83] 웹사이트 This Beautiful Map of the Internet Is Insanely Detailed https://gizmodo.com/[...] 2014-02-21
[84] 웹사이트 xkcd Loves the Discovery Channel https://xkcd.com/442[...] 2008-06-27
[85] 간행물 Geek Heroes Sing 'We Love Xkcd' https://www.wired.co[...] 2020-06-05
[86] Youtube We Love xkcd https://www.youtube.[...] 2010-02-06
[87] 웹사이트 Up Goer Five http://xkcd.com/1133[...] 2022-12-30
[88] 뉴스 Are You Confused by Scientific Jargon? So Are Scientist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4-09
[89] 웹사이트 Can You Explain Science Using Only 1,000 Common Words? http://eos.org/artic[...] 2019-01-03
[90] 웹사이트 What research articles were inspired by web comics? https://hsm.stackexc[...] 2023-09-30
[91] 간행물 High Level Internet Scale Traffic Visualization Using Hilbert Curve Mapping https://doi.org/10.1[...] Springer 2023-09-30
[92] 서적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edictive Models in Software Engineering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1-09-20
[93] 웹사이트 Significant https://xkcd.com/882[...] 2023-09-23
[94] 서적 Proceedings of the Eighth Symposium on Usable Privacy and Securi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2-07-11
[95] 논문 How to Memorize a Random 60-Bit String https://aclanthology[...] 2015-05-31
[96] 논문 Stippling of 2D Scalar Fields https://ieeexplore.i[...] 2023-09-30
[97] 웹사이트 2016 Election Map https://xkcd.com/193[...] 2023-09-23
[98] 웹사이트 Dependency https://xkcd.com/234[...] 2023-09-23
[99] 논문 The Nebraska problem in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https://www.jstage.j[...] 2022
[100] 웹사이트 Movie Narrative Charts https://xkcd.com/657[...] 2023-09-23
[101] 논문 StoryFlow: Tracking the Evolution of Stories https://ieeexplore.i[...] 2013-10-16
[102] 논문 HyperStorylines: Interactively untangling dynamic hypergraphs http://journals.sage[...] 2021-09-18
[103] 웹사이트 Explaining an mRNA vaccine with Star Wars - Boing Boing https://boingboing.n[...]
[104] 웹사이트 10 times Randall Munroe's xkcd comic absolutely smashed it https://www.thepoke.[...] 2021-05-06
[105] 웹사이트 I'm With Her https://xkcd.com/175[...]
[106] 웹사이트 Kamala Harris gets coveted xkcd endorsement. | Statistical Modeling, Causal Inference, and Social Science https://statmodeling[...]
[107] 웹사이트 XKCD https://www.xkcd.com
[108] 웹사이트 2008 List of Winners and Finalists http://www.ccawards.[...] Web Cartoonists' Choice Awards 2009-01-06
[109] 웹사이트 The 2007 Weblog Award Winners https://2007.webloga[...] 2009-01-06
[110] 웹사이트 The 2008 Weblog Awards Winners https://2008.webloga[...] 2009-07-09
[111] 웹사이트 2009 NewNowNext Awards http://www.logoonlin[...] Viacom International Inc. 2009-06-14
[112] 뉴스 Photos: 2009 NewNowNext Awards http://www.afterelle[...] 2009-06-14
[113] 웹사이트 Hugo Awards Page http://www.renovatio[...] 2011-04-25
[114] 웹사이트 Hugo Awards Page http://www.thehugoaw[...] 2014-04-20
[115] 웹사이트 2014 Hugo Award Winners http://www.thehugoaw[...] 2014-08-19
[116] 웹사이트 Book! http://blog.xkcd.com[...] 2010-05-13
[117] 웹사이트 Sidekick for Hire — xkcd: volume 0 http://breadpig.com/[...] Breadpig 2013-11-20
[118] 웹사이트 Cartoonist Randall Munroe Will Be Your Answer Man https://www.publishe[...] 2021-05-10
[119] 웹사이트 The xkcd school in Laos is complete! Rejoice! http://breadpig.com/[...] Breadpig 2010-05-13
[120] 웹사이트 School http://blog.xkcd.com[...] 2013-02-10
[121] 서적 Machine of Death: A Collection of Stories about People who Know how They Will Die https://books.google[...] Machines of Death LLC 2010
[122] 웹사이트 Humble eBook Bundle is Now Five Times More Hilarious! https://blog.humbleb[...] Humble Indie Bundle 2012-11-05
[123] 웹사이트 XKCD's Randall Munroe announces What If? 2, with more scientific answers to life's most absurd hypothetical questions https://www.theverge[...] Vox Media 2024-06-28
[124] 웹사이트 What If 2 https://blog.xkcd.co[...] 2022-08-05
[125] 웹사이트 待望の新刊『ハウ・トゥー』刊行迫る! ランドール・マンロー特集その1 https://www.hayakawa[...] 2024-01-15
[126] 웹사이트 『もっとホワット・イフ?』NASA出身コミック作家の名(迷)解答が炸裂する人気シリーズがカムバック!! https://www.hayakawa[...] 2024-01-15
[127] 웹사이트 著訳者,マ行,マ,マンロー, ランドール https://www.hayakawa[...] 2024-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