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야마 마사히데 (190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나야마 마사히데(1909년)는 일본의 외교관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티칸에서 근무하며 교황의 중재를 통해 일본의 조기 항복을 이끌어 내려 노력했다. 종전 후 바티칸 주재 특명전권공사, 하와이 주재 총영사, 외무성 유럽대양주 국장 등을 역임했으며, 1963년부터 1972년까지 칠레, 폴란드,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를 지냈다. 특히 대한민국 대사 시절에는 한일기본조약 체결 이후 양국 관계 발전에 기여했으나, 과거사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72년 은퇴 후 여러 국제 연구 및 문화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1997년 사망하여 서울 근처 가톨릭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 주재 일본 대사 - 미야지마 아키오
미야지마 아키오는 와세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외무성에 입성하여 북미국 과장, 주대한민국 공사, 터키 및 폴란드 대사 등을 역임한 일본의 외교관이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아이보시 고이치
아이보시 고이치는 도쿄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성에 들어가 대한민국 등에서 근무했으며, 주 대한민국 특명 전권 대사를 역임하다가 2024년 5월 의원 면직되었다. -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 - 시게이에 도시노리
시게이에 도시노리는 1969년 외무성에 입성하여 미국, 말레이시아, 영국 등에서 대사관 근무 후 외무성 북미국 안전보장과장, 주미 일본 대사관 공사 등을 역임하고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대한민국 주재 특명전권대사로 활동한 일본의 외교관이다. - 대연방공로십자성장 수훈자 - 라인하르트 겐첼
라인하르트 겐첼은 우리 은하 중심부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 연구로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독일 천체물리학자이자, 궁수자리 A* 주변 별들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초대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입증한 적외선 및 서브밀리미터 천문학 분야의 선구자이다. - 대연방공로십자성장 수훈자 - 움베르토 에코
움베르토 에코는 이탈리아의 소설가이자 철학자, 기호학자, 중세학자로, 기호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장미의 이름》 등의 소설과 저서를 통해 문학 이론과 대중문화에 대한 독창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동서양 지식 교류에 기여했다.
가나야마 마사히데 (1909년) | |
---|---|
기본 정보 | |
본명 | 가나야마 마사히데 (金山 政英) |
출생 | 1909년 |
사망 | 1997년 11월 |
직업 | 일본의 외교관 |
2. 외교 경력
가나야마 마사히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하라다 켄 대사 아래 바티칸에서 근무하며, 1945년 봄에는 교황의 중재를 통해 일본의 조기 항복을 이끌어내려 시도했다.[1][2]
전후에는 하라다의 뒤를 이어 바티칸 주재 특명전권공사(~1952년)를 지냈고, 이후 필리핀 주재 참사관, 하와이 주재 총영사(1954년~1957년), 외무성 유럽대양주 국장, 뉴욕 주재 총영사(1961년~1963년) 등 다양한 외교 보직을 거쳤다.[3] 뉴욕 총영사 재임 중이던 1962년과 1963년에는 뉴욕 외국 영사 협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4]
1963년부터 1972년까지는 칠레, 폴란드,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를 차례로 역임했다.[5][6] 1972년 외교관 생활에서 은퇴한 후에도 여러 국제 연구 및 문화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1997년 사망한 지 9개월 후 대한민국 서울 근교의 가톨릭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과 바티칸
가나야마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하라다 켄 대사 밑에서 바티칸에서 근무했다. 바티칸 근무 중이던 1945년 봄, 그는 교황의 중재를 통해 미국과 일본 정부 사이의 협상을 이끌어내려 시도했다. 이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를 피하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의 조기 항복을 얻기 위한 노력이었다.[1][2]2. 2. 전후 외교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나야마는 하라다 켄의 뒤를 이어 바티칸 주재 특명전권공사로 임명되어 1952년까지 재직했다. 이후 필리핀 주재 참사관을 지냈다. 1954년부터 1957년까지는 하와이 주재 총영사로 근무했으며, 그 후 4년 동안 외무성 유럽대양주 국장을 역임했다.[3] 1961년부터 1963년까지는 뉴욕 주재 총영사였고, 1962년과 1963년에는 뉴욕 외국 영사 협회 회장을 맡았다.[4] 1963년부터 1972년까지는 칠레, 폴란드,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를 차례로 역임했다.[5][6] 그는 1972년에 외교관 생활을 은퇴했지만, 이후에도 여러 국제 연구 및 문화 단체에서 활동했다.2. 3. 칠레, 폴란드, 대한민국 주재 대사
1963년부터 1972년까지 칠레, 폴란드,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를 차례로 역임했다.[5][6] 대한민국 주재 대사로 재임하는 동안에는 박정희 정부와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며, 한일기본조약 체결 이후 양국 관계의 실질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당시 일본 정부가 과거사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참조
[1]
문서
Released CIA documents (1993), Historical Review Program: Memoranda for the President - Japanese Feelers
https://web.archive.[...]
[2]
서적
Peace Without Hiroshima
https://www.amazon.c[...]
Madison Books, Lanham, Maryland
1991
[3]
서적
Peace Without Hiroshima
Madison Books, Lanham, Maryland
1991
[4]
웹사이트
Society of Foreign Consules in New York Website
https://web.archive.[...]
2010-07-12
[5]
뉴스
Japan tipped S. Korea on secret U.S. nuke pact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10-01-11
[6]
간행물
Modern Asian Studies
https://www.jstor.or[...]
1972
[7]
문서
Released CIA documents (1993), Historical Review Program: Memoranda for the President - Japanese Feelers
[8]
서적
Peace Without Hiroshima
Madison Books, Lanham, Maryland
1991
[9]
서적
Peace Without Hiroshima
Madison Books, Lanham, Maryland
1991
[10]
웹인용
Society of Foreign Consules in New York Website
https://web.archive.[...]
2010-07-12
[11]
뉴스
Japan tipped S. Korea on secret U.S. nuke pact
The China Post
2010-01-11
[12]
간행물
Modern Asian Studies
1972
[13]
웹인용
‘치바 도시치’와 ‘가나야마 마사히데’
https://www.korea.kr[...]
2023-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