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드 넘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드 넘버는 플래시의 광량을 나타내는 수치로, ISO 감도 100 필름을 기준으로 한다. 촬영 거리, 조리개, 필름 감도와의 관계를 통해 적정 조리개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다중 플래시 촬영 시에는 실효 가이드 넘버를 계산하여 적용한다. 가이드 넘버는 미터법(SI)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숫자만으로 표시되지만, 미국에서는 피트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가이드 넘버는 플래시 헤드에서 방출되는 광 에너지, 빔의 입체각, ISO 감도, 필터의 영향을 받으며, 전원 설정, 플래시 각도, ISO 감도, 필터 등에 따라 가이드 넘버가 변동된다. 플래시 전구의 경우 셔터 속도에 따라 가이드 넘버가 달라지지만, 전자 플래시는 셔터 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보조 광(fill flash) 촬영 시 플래시의 최대 촬영 거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1939년 제너럴 일렉트릭(GE)에 의해 처음 도입되어 사진 노출 계산을 간편하게 만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래시 사진술 - 플래시 (사진술)
플래시는 사진술에서 순간적인 강한 빛을 내어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하거나 추가 조명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작동 원리에 따라 구분되고, 카메라 내장형, 외장형, 스튜디오용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며, 자동 조광, 고속 싱크로 촬영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플래시 사진술 - 섬광등
섬광등은 1899년 조슈아 라이오넬 코헨과 폴 보이어가 발명한 전기 조명 장치로, 초기에는 사진 촬영 시 플래시 역할을 했고, 미국 해군에서 기뢰 뇌관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이후 사진 촬영용 섬광을 생성하는 전기 장치로도 응용되었다. - 광원 - 발광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이며, 낮은 소비전력과 긴 수명을 바탕으로 조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광원 - 초신성
초신성은 항성의 폭발적 최후 단계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중원소를 우주에 퍼뜨리는 현상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최근 초기 우주에서 발생한 초신성 발견으로 항성 진화 및 우주론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가이드 넘버 | |
---|---|
정의 | |
정의 | 사진 촬영에서 플래시의 노출 설정 측정 |
F-스톱 값 | |
F-스톱 | f/1.4 f/4 f/8 f/16 f/22 |
인용구 | |
플래시 출력 | 최대 가이드 넘버 52 (미터) ISO 100/21° 및 105 mm의 경우 최대 가이드 넘버 170 (피트) |
가이드 넘버 | 34.5 m/113 ft (35 mm) 55 m/180 ft (200 mm) (FX 포맷, 표준 조명 패턴) (ISO 100) |
최대 가이드 넘버 | ISO 100 및 105 mm 플래시 커버리지에서 약 141.1 ft/43 m |
가이드 넘버 | 34 m/111.5 ft (ISO 100, 35 mm 줌 헤드 위치, FX 포맷, 표준 조명 패턴, 20°C/68°F) 48 m/157.5 ft (ISO 200, 35 mm 줌 헤드 위치, FX 포맷, 표준 조명 패턴, 20°C/68°F)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Jacobson, Ralph (2000). Manual of Photography (9th ed.). Focal Press. p. 331. ISBN 978-0-240-51574-8. |
2. 가이드 넘버의 이해
가이드 넘버는 플래시의 광량을 나타내는 수치로, ISO 감도 100을 기준으로 한다. 과거 플래시 전구나 자동 조광 기능이 없는 전자 플래시를 사용할 때, 조리개 값을 계산하기 위해 가이드 넘버가 필요했다.
촬영 거리(''d''), 가이드 넘버(''g''), 조리개(''a''), 필름 감도(ISO 감도)(''s'')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예를 들어 가이드 넘버가 56이고 ISO 100 필름을 사용하면, 촬영 거리가 10m일 때 조리개는 F5.6, 20m일 때 F2.8, 5m일 때 F11이다. ISO 400 필름을 사용하면 같은 조리개에서 촬영 거리는 2배가 된다.
플래시매틱은 이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다중 플래시 촬영 시 실효 가이드 넘버 ''g'''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한다. (단, 모든 플래시는 같은 위치)
:
(여기서 ''x''는 플래시 수)
예를 들어 가이드 넘버 43인 플래시와 24인 플래시 2개를 사용하면 실효 가이드 넘버는 약 54이다.
바운스, 디퓨저 사용, 필터, 접사 촬영 등은 별도 계산이 필요하다.
2. 1. 측정 단위

대부분의 국가에서 미터법(SI)을 사용하므로 가이드 넘버는 일반적으로 '''34'''와 같이 단위 없이 숫자로만 표시된다.[9] 이는 기술적으로 f-넘버와 미터의 곱인 측정 단위이지만, 계산 방식에 따라 미터 단위의 거리 또는 f스톱으로 환산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사진작가들이 일반적으로 거리를 피트로 측정하므로 이에 맞는 가이드 넘버가 필요하다. 미국 시장을 위해 플래시 장치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피트 기반 가이드 넘버를 제공하고, '''피트''', '''ft''', 또는 피트 기호( ′ )와 같은 명칭을 추가하여 단위를 명확히 한다(예: '''가이드 넘버: 92′''').[10][11] 플래시 장치가 미국에서 판매될 때, 피트 또는 미터를 사용하여 거리와 f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두 가지 가이드 넘버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예: '''가이드 넘버: 30m / 98ft'''[7]).
이러한 명칭은 가이드 넘버가 길이 기반 측정 단위처럼 보이게 할 수 있지만, 이는 가이드 넘버의 기반이 되는 길이 기반 측정 시스템에 대한 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한 표기법이다.
미터로 표시된 가이드 넘버를 피트로 변환하려면 0.3048로 나누고, 피트로 표시된 가이드 넘버를 미터로 변환하려면 0.3048을 곱한다.
2. 2. 가이드 넘버 계산
가이드 넘버를 사용하면 조리개 값 또는 플래시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계산 공식:
- '''조리개 값(f-number)''' = 가이드 넘버 ÷ 플래시-피사체 거리
- '''플래시-피사체 거리''' = 가이드 넘버 ÷ 조리개 값
예시:
예시 | 가이드 넘버 | 조리개 값 | 플래시-피사체 거리 | 설명 |
---|---|---|---|---|
1 | 44 (m) | 11 m | 44 ÷ 4 = 11[12] | |
1 (계속) | 44 (m) | 5.5 m | 같은 가이드 넘버에서 조리개 값 변경 | |
2 | 48 (m) | 6 m | 48 ÷ 6 = 8 | |
3 | 28 (m) | 10 m | ||
4 | 39 (m) | 9.75 m |
가이드 넘버의 크기는 다음 네 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가이드 넘버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ISO 감도 100을 기준으로 한다.
촬영 거리(''d''), 가이드 넘버(''g''), 조리개(''a''), 필름 감도(ISO 감도)(''s'')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예를 들어, 가이드 넘버가 56이고 ISO 100 필름을 사용할 때, 촬영 거리가 10m라면 조리개는 F5.6이 적정하다. 20m라면 F2.8, 5m라면 F11이 된다. ISO 400 필름을 사용하면 같은 조리개에서 촬영 거리는 2배가 된다.
플래시매틱은 이러한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다중 플래시 촬영의 경우, 실효 가이드 넘버 ''g'''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한다. (단, 모든 플래시는 같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
예를 들어, 가이드 넘버 43인 플래시 1개와 가이드 넘버 24인 플래시 2개를 사용하면, 실효 가이드 넘버는 약 54가 된다.
바운스나 디퓨저를 사용하거나 필터, 접사 촬영을 할 때는 별도의 계산이 필요하다.
3. 가이드 넘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플래시에서 방출되는 총 광 에너지(루멘⋅초)의 양. 이는 플래시 지속 시간과 평균 광속을 곱한 값이다.
# 플래시 빛이 퍼져나가는 입체각(빔의 X축 및 Y축 각도의 평균).
# ISO 감도 설정.
# 필터 (플래시 또는 카메라 렌즈에 있는).
위 변수들은 가이드 넘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장면에 도달하는 플래시의 거리와 관계없이 빛의 ''세기''(조도, 럭스 단위)나 ''지속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전원 설정, 플래시 커버리지 각도, 플래시 헤드 앞의 컬러 젤.
# 카메라 조리개와 관계없이 ''광 감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렌즈 필터와 필름의 ISO 등급/이미징 센서.
f-스톱이나 플래시와 피사체 간 거리를 바꾸는 것은 가이드 넘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의상 한 요인의 값을 변경하면 다른 요인도 자동적으로 서로 조정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최신 플래시 장치는 전원 설정을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자동 광 감지 기능을 사용하거나, 카메라 센서에 의해 조절되어 최대 등급보다 낮은 가이드 넘버로 작동할 수 있다.
전자 플래시의 경우, 셔터 속도는 가이드 넘버 계산에 포함되지 않으며, 대부분 노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이드 넘버는 장면의 반사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가이드 넘버는 플래시의 조도 및 지속 시간(lux⋅seconds 단위)의 함수로, 입사광 미터로 측정되는 장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나타낸다.[3][13]
가이드 넘버 거리는 항상 ''플래시 장치''에서 피사체까지 측정한다. 플래시가 카메라에서 분리된 경우 카메라 위치는 상관없다. 또한, 플래시 장치에 자동 줌 기능이 없다면 가이드 넘버는 렌즈 초점 거리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플래시 장치 제조사는 ISO 200을 기준으로 가이드 넘버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는 ISO 100보다 41% 증가한 값이다.[8] 플래시 장치를 비교할 때는 가이드 넘버가 동일한 ISO 감도, 커버리지 각도, 거리 단위(미터 또는 피트)로 제공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플래시의 광량은 아래의 계산으로 산출된다.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ISO 감도 100을 사용했을 때를 가정한 값으로 표시된다.
촬영 거리, 가이드 넘버, 조리개, 필름 감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촬영 거리를 ''d'', 가이드 넘버를 ''g'', 조리개를 ''a'', 필름 감도(ISO 감도)를 ''s''라고 하면,
:
이 된다. 예를 들어, 플래시 가이드 넘버가 56이고, 필름 감도 ISO 100일 때, 촬영 거리가 10m라면 조리개는 F5.6이 적정하다고 계산된다.
플래시 전구 또는 자동 조광 기능이 보급되기 전의 전자 플래시는 노출량 조절을 주로 렌즈의 조리개를 통해 제어했다. 따라서 조리개 조절량을 계산하기 위해 가이드 넘버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었다.
플래시매틱은 초점 조작과 조리개 조절을 연동하여 이러한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다중 플래시 촬영의 경우, 다음 계산식으로 실효 가이드 넘버 ''g'''를 구한다. 플래시 수를 ''x''라고 하면,
:
이 된다. (단, 모든 플래시는 같은 위치에 설치)
예를 들어 가이드 넘버 43인 플래시와 가이드 넘버 24인 플래시 2개를 사용하면, 실효 가이드넘버는 약 54가 된다.
바운스나 디퓨저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위 식으로 계산할 수 없다. 또한 필터, 접사 촬영 등으로 인한 노출 배율은 별도로 계산해야 한다.
3. 1. 전원 설정의 영향
대부분의 최신 전자 플래시는 수동으로 전력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넘버는 분수 설정의 제곱근에 따라 감소한다.
'''계산 공식:'''
:
'''예시:'''
전체 전력 가이드 넘버가 '''48'''이고 플래시 장치가 1/16 전력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1을 16으로 나누어 0.0625를 얻는다. 계산기에서 해당 값의 제곱근( 버튼)을 구하면 0.25가 되며, 이를 가이드 넘버 '''48'''에 곱하여 감소된 전력 가이드 넘버 '''12.0'''을 얻는다.[12]
분수 전력 설정의 분자가 1일 때, 다음과 같은 대체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전체 전력 가이드 넘버가 '''51'''이고 플래시 장치가 1/32 전력으로 설정되었다면, 32의 제곱근(약 5.657)으로 51을 나누어 감소된 전력 가이드 넘버 '''9.0'''을 얻는다.[12]
3. 2. 플래시 각도(줌 설정)의 영향
대부분의 플래시는 자동 또는 수동 조절 줌 기능을 갖추고 있어, 조사 각도를 넓히거나(가이드 넘버 감소) 좁힐 수 있다(가이드 넘버 증가).[14] 이러한 조사 각도는 도(°) 단위로 표시될 수 있지만, 종종 풀 프레임, 35mm 카메라 렌즈 초점 거리에 해당하는 값으로 표현된다.
줌 헤드가 있는 최신 온 카메라 플래시 장치는 대부분 기계식 원형 계산기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으며, 줌 레벨이 f스톱 및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자동으로 보여준다.
줌 헤드가 있는 플래시 장치를 비교하거나 구매할 때, 광고된 가이드 넘버를 한 제조업체의 플래시 각도(줌 레벨)에서 다른 제조업체의 플래시 각도로 수학적으로 변환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넘버가 종종 최대 줌 설정에서 제공되며, 모든 플래시 장치가 동일한 범위까지 줌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14]
플래시 헤드의 광학은 복잡하고, 각 제조업체의 설계는 약간 다른 조명 영역을 가진다. 또한 광학 요소(플래시 튜브, 반사판, 프레넬 렌즈, 추가 광각 어댑터) 간의 투과, 확산, 반사 및 굴절의 상대적 비율이 다르다. 따라서 105mm 설정에서 50mm 또는 35mm 설정으로 가이드 넘버가 감소하는 것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한 보편적인 공식은 없다. 다양한 줌 설정에 대한 가이드 넘버를 얻으려면 특정 플래시 장치의 사용 설명서를 참조해야 한다.[14]
다음 표는 일부 줌 기능 플래시 장치의 줌 레벨에 따른 가이드 넘버 변화를 보여준다.
플래시 각도에 따른 가이드 넘버 감소의 변화 (105mm 기준으로 정규화) 선택된 줌 기능 플래시 장치 | |||||||
---|---|---|---|---|---|---|---|
플래시 각도[A] | 비비타 285 | 소니 HVL-F58AM | 용누오 YN-568EX | 캐논 430EX III-RT | 니콘 SB-900 | 메츠 58 AF-2 | 중앙값 값 |
105 mm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50 mm | 85.7% | 72.4% | 72.4% | 76.8% | 80.7% | 72.4% | 74% |
35 mm | 71.4% | 62.1% | 67.2% | 65.1% | 68.4% | 60.3% | 66% |
28 mm | 50.0% | 53.4% | 51.7% | 55.8% | 60.6% | 53.4% | 53% |
참고 A: 플래시 각도는 풀 프레임 35mm 카메라의 지정된 렌즈 초점 거리에 해당한다.
3. 3. ISO 감도의 영향
가이드 넘버는 ISO 감도 차이의 제곱근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ISO 감도가 높을수록 가이드 넘버가 커진다.[8]사진작가가 노출을 제대로 계산할 수 있도록, 구형 기본 모델 플래시 장치에도 제한된 범위의 일반적인 ISO 감도에 대한 가이드 넘버를 표시하는 표가 있다. 최신 카메라 내장 플래시 장치는 대부분 내장 기계식 원형 계산기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ISO 설정이 f스톱 및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플래시 장치를 비교할 때는 가이드 넘버가 ISO 감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제조사는 ISO 감도 100을 기준으로 가이드 넘버를 표시한다. 그러나 일부 제조사는 ISO 200을 기준으로 가이드 넘버 등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ISO 100에서 제공된 것보다 가이드 넘버를 41% 증가시킨다.[8]
ISO 감도[B] | ISO 100에 대한 GN의 비례적 변화 | ISO 200에 대한 GN의 비례적 변화 |
---|---|---|
32 | 0.561 | 0.397 |
40 | 0.630 | 0.445 |
50 | 0.707 | 0.500 |
64 | 0.794 | 0.561 |
80 | 0.891 | 0.630 |
100 | 1.00 | 0.707 |
125 | 1.12 | 0.794 |
160 | 1.26 | 0.891 |
200 | 1.41 | 1.00 |
250 | 1.59 | 1.12 |
320 | 1.78 | 1.26 |
400 | 2.00 | 1.41 |
500 | 2.24 | 1.59 |
640 | 2.52 | 1.78 |
800 | 2.83 | 2.00 |
1600 | 4.00 | 2.83 |
3200 | 5.66 | 4.00 |
6400 | 8.00 | 5.66 |
12,800 | 11.3 | 8.00 |
25,600 | 16.0 | 11.3 |
51,200 | 22.6 | 16.0 |
102,400 | 32.0 | 22.6 |
204,800 | 45.3 | 32.0 |
409,600 | 64.0 | 45.3 |
참고 B: 이 표에 표시된 ISO 감도는 일반적인 명명법 값이며 실제 기본 값은 ISO 250과 같이 약간 다를 수 있다.
표의 오른쪽에 표시된 극도로 높은 가이드 넘버는 실제 촬영 거리 확장 능력이 제한적이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카메라가 매우 높은 ISO 감도와 큰 조리개(과도하게 먼 거리)로 설정된 상태에서 플래시가 최대 또는 거의 최대 전력으로 설정된 카메라 내장 플래시 장치를 사용할 때 ''f넘버 × 거리'' 상호 관계가 깨진다. 102,400과 같은 ISO 설정은 1220m/약 1219.20m를 초과하는 가이드 넘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지에 안개로 인해 흐릿해지고 빛의 도달 거리가 약해지기 때문에 외부 공기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입자 및 에어로졸로 인해 극도로 장거리 플래시 사진 촬영을 거의 허용하지 않는다.
3. 4. 필터의 영향
젤이나 렌즈 필터와 같은 필터는 가이드 넘버를 감소시킨다. 가이드 넘버는 f-스톱 단위의 필터 감쇠의 제곱근에 따라 감소한다.:
:…여기서 은 필터의 정격 손실을 f-스톱 단위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이드 넘버가 '''32'''이고 필터 손실이 1.5 f-스톱이면, 0.5의 1.5 제곱(약 0.35355)을 구하고 제곱근(약 0.595)을 계산한 후, 이를 가이드 넘버 '''32'''에 곱하면 필터링된 가이드 넘버 '''19.0'''을 얻는다.
다음 표는 일반적인 필터 값에 따른 가이드 넘버 감소 요인을 보여준다.
f-스톱 손실 | 요인 | f-스톱 손실 | 요인 |
---|---|---|---|
1/3 | 89.1% | 12/3 | 56.1% |
1/2 | 84.1% | 2 | 50.0% |
2/3 | 79.4% | 21/3 | 44.5% |
1 | 70.7% | 21/2 | 42.0% |
11/3 | 63.0% | 22/3 | 39.7% |
11/2 | 59.5% | 3 | 35.4% |
플래시 장치가 수동(M) 또는 자동(A) 모드이고 카메라의 TTL 측광(렌즈를 통한 측광)으로 제어되지 않는 경우, 렌즈 필터 효과를 보상하기 위해 카메라의 ISO 설정을 플래시 장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터가 1 f-스톱만큼 감쇠하고 플래시가 ISO 100으로 설정된 경우, 카메라를 ISO 200으로 설정하면 필터로 인한 광량 손실이 보정된다.
:
:…여기서 은 카메라 필터의 정격 손실을 f-스톱 단위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필터가 11/3 f-스톱만큼 감쇠하고 플래시가 ISO 100으로 설정된 경우, 2의 1.3333 제곱(약 2.5198)을 100에 곱하면 약 252가 된다. 가장 가까운 표준 카메라 설정은 ISO 250이다.[15]
4. 셔터 속도의 영향
플래시 종류에 따라 셔터 속도가 가이드 넘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
4. 1. 전자 플래시
플래시 튜브 장치를 대부분의 최신 카메라(포컬 플레인 셔터를 가진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면 셔터 속도는 가이드 넘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16] ''셔터 (사진)''도 참조.이는 플래시 지속 시간이 가장 강력한 설정에서도 몇 밀리초(1,000분의 1초)를 넘지 않기 때문이다. 포컬 플레인 셔터의 경우 셔터 커튼이 완전히 열린 직후 플래시가 시작되고 커튼이 닫히기 전에 꺼져야 한다. 카메라의 정격 X동조 속도보다 빠른 셔터 속도를 선택하면(이는 종종 1/60초에서 1/200초 사이이며, 16.7밀리초에서 5.0밀리초까지이다), 플래시가 꺼지기 전에 셔터 커튼이 필름 또는 센서를 가로질러 닫히기 시작한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노출 부족으로 이미지 가장자리에 그라데이션 밴드가 나타난다. 종종 오른쪽 상단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왼쪽이나 아래쪽으로 갈수록 어두워진다. 렌즈는 이미지를 가로 및 세로로 반전시키므로 위에서 아래로의 커튼은 이미지의 하단을 잘라낸다.

반대로, 더 긴 노출도 가이드 넘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플래시가 꺼진 후, 더 긴 셔터 속도는 지속적인 주변광의 기여만을 증가시켜 움직이는 피사체의 고스팅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플래시 동조''도 참조.
4. 2. 플래시 전구
플래시벌브를 사용할 때 셔터 속도는 가이드 넘버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현재에도 마찬가지다. 빈티지 플래시벌브는 더 이상 생산되지 않지만 여전히 구할 수 있으며, 틈새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한때 인기가 있었던 제너럴 일렉트릭(GE) 싱크로-프레스 과 같은 중간 크기 전구는 23000lumen.s에 달하는 엄청난 광출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는 오늘날 핫 슈 마운트 전자 플래시 장치의 가장 강력한 출력을 훨씬 능가한다. (40ms)의 비교적 느린 셔터 속도에서 GE 은 일반적인 6~7인치(150–175 mm) 광택 반사경을 사용할 때 ISO 100에서 가이드 넘버가 '''97.5m/약 97.54m'''였다.[17] 많은 베이비붐 세대는 플래시벌브로 가까운 거리에서 사진을 찍은 후 몇 분 동안 망막 표백 반점(플래시 블라인드의 증상)을 경험했다.플래시벌브가 생성하는 모든 빛을 활용하려면(가장 높은 가이드 넘버), 비교적 긴 노출 시간이 필요했다. 대부분의 플래시벌브는 전압이 가해진 후 20ms~90ms까지 유용한 양의 빛을 계속 생성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GE 플래시벌브는 클래스 M(중간 피크) 전구였으며, 발광 후 20ms 후에 최대 광속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은 리프 셔터 방식의 카메라와 M 싱크 포토플래시 트리거링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이는 M 전구에 셔터 개방을 지연시켜 어떤 카메라든 가장 빠른 노출 시간이 20ms 지점에 오도록 함으로써 이점을 제공했다(예를 들어 노출이 가능한 카메라의 경우 18.75ms 지연).[18] GE 은 전압이 가해진 후 약 50ms 후에 유용한 양의 빛을 생성하는 것을 중단했다. 따라서 셔터 속도가 (M 싱크 트리거링으로 전구를 쏘고 18.75ms 후에 노출이 시작됨)이고 로 설정된 카메라는 플래시벌브를 트리거링한 후 59ms(18.75ms + 40ms = 58.75ms) 후에 셔터를 닫고 에서 최대 정격 가이드 넘버를 얻을 것이다.
리프 셔터 방식의 카메라로 플래시벌브를 사용하는 한, 더 빠른 노출과 더 큰 조리개를 사용하여 가이드 넘버를 희생하면서 모션 블러를 최소화하거나 피사계 심도를 줄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M 싱크가 있는 GE 싱크로-프레스 의 경우 의 셔터 속도에서도 가이드 넘버가 감소했지만, 노출에서 '''약 42.67m'''의 인상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이 셔터 속도와 가이드 넘버의 관계는 업계 전반에 걸쳐 가이드 넘버 시스템이 채택된 후 플래시벌브 포장에 인쇄된 가이드 넘버 표에 반영되었으며, 의 경우 아래 표와 같다.
GE 싱크로-프레스 #11 플래시벌브의 셔터 속도에 따른 가이드 넘버 변화 (6~7인치 광택 반사경, M 싱크, ISO 100) | |||||
---|---|---|---|---|---|
셔터 속도 (s) | ≥1/25초 | 1/50초 | 1/100초 | 1/200초 | 1/400초 |
가이드 넘버 (ft) | 약 97.54m | 약 79.25m | 약 76.20m | 약 57.91m | 약 42.67m |
초점면 셔터가 있는 카메라는 X, F, M 또는 S 싱크 지연이 있는 PC 커넥터가 있더라도("제로 지연의 제논 싱크" 및 5, 20 및 30ms의 피크 지연이 있는 플래시벌브) 대부분의 플래시벌브 유형에서는 가이드 넘버를 감소시키는 속도로 사용할 수 없었다. 플래시벌브의 광선 곡선은 급격한 상승 및 하강 속도로 특징지어지기 때문이다. 두 번째 셔터 커튼이 장면 조명의 급격한 변화 기간 동안 닫히기 시작하여 노출 시간 및 전구 유형에 따라 변동하는 이미지 영역 전체에 걸쳐 고르지 않은 노출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GE 싱크로프레스 의 경우, 초점면 셔터와 X 싱크가 있는 최신 카메라는 이미지 영역 전체에서 고른 노출을 얻기 위해 (67ms)의 셔터 속도가 필요하며, 20ms 피크의 왼쪽에서 모든 발광 에너지를 포착하여 가이드 넘버를 상당한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
초점면 셔터의 이러한 제한에 대한 주목할 만한 예외는 "평탄 피크"(FP) 전구와 FP 싱크를 함께 사용할 때였다. FP 전구는 상승 시간을 갖고, 광출력 곡선에서 넓고 비교적 평탄한 고원을 따랐다. GE 과 같은 FP 전구는 다이얼에서 가장 느린 속도부터 좁은 슬릿만 필름을 통과하는 가장 빠른 속도까지, 물론 가이드 넘버를 희생하면서 셔터 속도에 대한 탁월한 유연성을 허용했다.
5. 보조 광(Fill Flash)에서의 활용
야외에서 그림자를 채우는 경우, 강력한 플래시(동일한 ISO 감도와 커버리지 각도에서 가이드 넘버가 더 큰 플래시)는 단체 사진을 찍을 때처럼 최대 플래시-피사체 거리를 늘릴 수 있어 유용하다. 태양은 밝고 조절할 수 없는 광원이므로, 더 많은 전력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포컬 플레인 셔터가 있는 최신 카메라는 focal-plane shutter영어 보다 빠르지 않은 속도로 플래시와 동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적 긴 노출은 작은 조리개 및/또는 낮은 ISO 감도를 필요로 하며, 이는 카메라와 온-카메라 플래시가 피사체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지를 제한한다.[19]
아래 표는 햇빛이 비치는 부분보다 한 스톱 적은 수준(일반적인 채우기 수준)으로, 장면에 깊은 그림자가 채워질 거리를 보여준다. 이는 일출 후 2시간에서 일몰 전 2시간 사이에 촬영된 사진에 대해 뚜렷한 그림자가 있는 밝거나 흐린 햇빛 아래 평균적인 정면 조명을 받는 피사체를 가정한 것이다.[19]
GN (m) | 6.5 | 8 | 10 | 12 | 15 | 18 | 22 | 26 | 30 | 36 | 45 | 52 | 60 | 72 | 76 |
---|---|---|---|---|---|---|---|---|---|---|---|---|---|---|---|
1/60 초 @ | 0.52m | 0.64m | 0.8m | 0.96m | 1.2m | 1.45m | 1.77m | 2.09m | 2.41m | 2.89m | 3.61m | 4.17m | 4.82m | 5.78m | 6.1m |
1/125 초 @ | 0.74m | 0.91m | 1.14m | 1.36m | 1.7m | 2.04m | 2.5m | 2.95m | 3.41m | 4.09m | 5.11m | 5.9m | 6.81m | 8.17m | 8.63m |
1/200 초 @ | 0.93m | 1.14m | 1.43m | 1.72m | 2.15m | 2.57m | 3.15m | 3.72m | 4.29m | 5.15m | 6.44m | 7.44m | 8.58m | 10.3m | 10.87m |
1/250 초 @ | 1.04m | 1.28m | 1.61m | 1.93m | 2.41m | 2.89m | 3.53m | 4.17m | 4.82m | 5.78m | 7.23m | 8.35m | 9.63m | 11.56m | 12.2m |
GN (ft) | 21 | 26 | 33 | 39 | 50 | 60 | 72 | 85 | 100 | 120 | 148 | 170 | 200 | 236 | 250 |
---|---|---|---|---|---|---|---|---|---|---|---|---|---|---|---|
1/60 초 @ | 약 0.52m | 약 0.64m | 약 0.79m | 약 0.94m | 약 1.22m | 약 1.46m | 약 1.77m | 약 2.07m | 약 2.44m | 약 2.93m | 약 3.63m | 약 4.15m | 약 4.91m | 약 5.76m | 약 6.13m |
1/125 초 @ | 약 0.73m | 약 0.91m | 약 1.13m | 약 1.34m | 약 1.74m | 약 2.07m | 약 2.50m | 약 2.96m | 약 3.47m | 약 4.15m | 약 5.12m | 약 5.88m | 약 6.92m | 약 8.17m | 약 8.66m |
1/200 초 @ | 약 0.91m | 약 1.13m | 약 1.43m | 약 1.71m | 약 2.19m | 약 2.62m | 약 3.14m | 약 3.72m | 약 4.36m | 약 5.24m | 약 6.46m | 약 7.41m | 약 8.72m | 약 10.30m | 약 10.91m |
1/250 초 @ | 약 1.04m | 약 1.28m | 약 1.62m | 약 1.92m | 약 2.44m | 약 2.93m | 약 3.54m | 약 4.15m | 약 4.91m | 약 5.88m | 약 7.25m | 약 8.32m | 약 9.78m | 약 11.55m | 약 12.22m |
위 표를 참고하면, 사진작가가 1/125초의 X-싱크 속도를 가진 카메라를 가지고 있고, 플래시 장치를 구매하려 하며, 최대 2.5m 거리에서 그림자를 채울 수 있는 기능을 원하는 경우, 최소 22(m) / 72(ft)의 가이드 넘버를 가진 플래시 장치가 필요하다.
디지털 카메라의 ISO 감도를 높이면 이 표에 주어진 거리가 증가하지 않는다. ISO 감도가 이미지의 보조 플래시 영역의 노출에 미치는 정도가 햇빛이 비치는 영역에도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주어진 셔터 속도에 대해, 플래시 장치는 특정 거리까지 태양의 기여도의 50%만큼만 그림자를 채울 수 있다. 카메라의 X싱크 셔터 속도에서 ISO 감도와 해당 f스톱 설정의 변경은 이 비례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6. 역사
가이드 넘버 시스템은 1939년 제너럴 일렉트릭(GE)이 와이어 필 플래시 전구 를 도입하면서 처음 선보였다.[22][20][21] 이 시스템은 플래시 노출을 쉽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해주어, 다양한 사진 장비 제조사에서 빠르게 채택되었다.
최초의 플래시 전구는 1925년에 소개되었으며, 플래시 램프에 플래시 파우더를 채우는 방식이었다. 1929년, 런던의 Sashalite Limited는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10분의 1 정도로 얇은 알루미늄 호일 덩어리로 채워진 "Sashalite" 플래시 전구를 발명했다.[22][23] 런던의 General Electric Co., Ltd.에서 제조한 Sashalite에는 사용 설명서가 함께 제공되었는데, 사진작가가 Sashalite를 "일반 전기 손전등"에 삽입하고 셔터를 "Bulb" 또는 "Time"으로 설정하도록 지시했다.[24] 또한, Sashalite의 대형 플래시 전구는 , 소형 플래시 전구는 의 조리개를 사용하도록 제안했지만, 플래시와 피사체 간 거리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1932년, 필립스(Philips)는 "Hydronalium"이라는 상표로 와이어 필을 사용한 최초의 현대적 플래시 전구를 선보였다. 필립스의 기술은 1937년 Wabash Photolamp Corporation에 의해 라이선스되었고, Superflash 전구로 미국 시장에 도입되었다. 1939년, 제너럴 일렉트릭은 MAZDA 브랜드를 통해 골프공 크기의 와이어 필, 베이요넷 베이스, Midget 를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5]
GE의 혁신 이전에는 사진 작가와 출판물이 다양한 플래시 전구와 반사판을 사용하여 시행착오를 거쳐 다양한 조리개-거리 조합을 제공하는 표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1940년판 미국 사진 협회 저널의 ''Complete Introduction to Photography''에는 호일 필 플래시 전구의 노출 표가 실려 있었다.[26]
1940년 호일 필 플래시 전구를 사용한 노출 실험 Complete Introduction to Photography, p. 317 | ||||||||||||||||||||||||
---|---|---|---|---|---|---|---|---|---|---|---|---|---|---|---|---|---|---|---|---|---|---|---|---|
거리 (피트) | 소형 전구 금속 반사판 | 대형 전구 금속 반사판 | 소형 전구 일반 반사판 | 대형 전구 일반 반사판 | ||||||||||||||||||||
6 | 10 | 15 | 20 | [27] 1944년, ''Wall's Dictionary of Photography'' 16판에는 가이드 넘버 표가 실렸다.[28] 1949년 말, 취미 사진작가들은 1950년 1월호 ''Popular Photography''에서 가이드 넘버를 일상적으로 사용했다.[29] 1939년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면서 제너럴 일렉트릭은 처음에 이 시스템을 "플래시 번호"라고 불렀다.[21] 2년 후, ''Flash in Modern Photography''(1941)는 "가이드 넘버"와 "플래시 번호"라는 용어를 혼용했다. 가이드 넘버 시스템 도입 후 수년 동안 영국에서도 용어가 혼용되었는데, 1954년경에는 "플래시 팩터", "플래시 번호", "가이드 넘버" 등이 사용되었다.[30] 가이드 넘버는 플래시의 광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가이드 넘버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ISO 감도 100의 필름을 사용했을 경우를 상정하여 표시된다. 가이드 넘버는 현재 플래시의 최대 출력을 나타내는 데에만 사용되지만, 플래시 전구 또는 자동 조광 기능이 보급되기 전의 전자 플래시에서는 조광 기능을 갖추지 않았고, 노출량 조절은 주로 렌즈의 조리개를 통해 제어되었다. 따라서 조리개를 조이는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도 가이드 넘버에 관한 지식은 촬영자에게 필수적이었다. 7. 용어집
참조
[1]
문서
The Nikon brand name for its camera-mounted electronic flash products, ''Speedlight'', is frequently used in lowercase form (''speedlight'' ) as a generic term for [[hot shoe]]-mounted electronic flash devices while Canon uses the trade name ''Speedli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