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공군 기지로 건설되어 운영되다가, 1968년 독일 공군으로 이관되었고, 1982년부터 NATO의 주요 운영 기지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NATO E-3A Component가 주둔하며, E-3A 센트리 조기경보기 16대를 운용한다. 이 기지는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E-3A 항공기의 소음 공해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시설 - 람슈타인 공군기지
    람슈타인 공군기지는 독일 람슈타인에 위치한 미국 공군 기지로, 냉전 시대 유럽 내 최대 NATO 통제 공군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제86수송비행단을 주축으로 수송 임무를 지원하고 있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시설 - 캐슬게이트 고정 전쟁 본부
    캐슬게이트 고정 전쟁 본부는 냉전 시대 소련의 핵 공격에 대비하여 NATO의 지휘 통제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서독에 건설된 지하 벙커 시설로, 건설 과정에서 반대 시위가 있었지만 현재는 연합 합동군 사령부의 대체 사령부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격에 대한 방호 능력을 갖추고 있다.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NATO 공군기지 가일렌키르헨 입구
NATO 공군기지 가일렌키르헨 입구
명칭NATO 공군기지 가일렌키르헨
원어 명칭NATO-Flugplatz Geilenkirchen (독일어), NATO Air Base Geilenkirchen (E–3A Component) (영어)
NATO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부대 문장
NATO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부대 문장
위치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가일렌키르헨
비행장 정보
종류군용 비행장
소유NATO
운영NATO
관할유럽 연합군 최고사령관 (SACEUR)
개장1953년
상태운영 중
해발 고도89m
활주로09/27
활주로 길이3,050m
활주로 표면콘크리트/아스팔트
부대 정보
주둔 부대NATO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부대 – E-3A 구성 요소
기타 정보
IATA 코드GKE
ICAO 코드ETNG
WMO 코드10500
공식 웹사이트NATO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부대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왕립 공군(RAF)에 의해 건설되어 1953년부터 RAF 가일렌키르헨으로 운영되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RAF 전투기 부대가 주둔했으며, 1968년 1월 비행 작전이 종료되고 같은 해 3월 기지는 독일 공군에 이관되었다.[1][2]

독일 공군은 1968년 8월부터 퍼싱 1A 미사일을 운용하는 제2 미사일 비행단을 이곳에 배치했으며, 이 부대는 미국 육군 제85 야전 포병 분견대의 지원을 받았다.[1][2]

1980년대 NATO는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부대(AWACS) 프로그램을 위해 이 기지를 E-3A 항공기 운용을 위한 주요 운영 기지(MOB)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1980년부터 대규모 시설 개선 공사가 시작되었고, 같은 해 NATO 국방 계획 위원회는 E-3A 부대에 NATO 국제 군사 본부의 지위를 부여했다.[1][2] 1981년 말 독일의 퍼싱 미사일 부대는 다른 곳으로 이전했으며, 1982년 2월 첫 E-3A 항공기가 도착하여 비행 임무를 시작했다. 독일은 1982년 3월 31일 기지를 NATO에 공식 이관했으며, E-3A 부대는 1982년 6월 28일부터 공식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여 1988년 말 완전한 작전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1][2]

2. 1. 영국 공군 기지 (1953년 ~ 1968년)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는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왕립 공군(RAF)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953년부터 RAF 가일렌키르헨으로 운영되었다. 다양한 RAF 전투기 비행대가 1953년부터 1968년까지 이곳에 주둔했다. 주둔 부대에는 요격기 및 전천후형 요격기가 포함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음속 마하 2의 속도를 내는 잉글리시 일렉트릭 라이트닝 전투기가 배치되었다.

가일렌키르헨에서의 비행 작전은 1968년 1월에 종료되었고, 이 시설은 1968년 3월에 독일 연방공군에 넘겨졌다.

2. 2. 독일 공군 기지 (1968년 ~ 1982년)

영국 공군의 비행 작전이 1968년 1월 종료된 후, 기지는 같은 해 3월 독일 공군으로 이관되었다. 그 해 8월, 독일 공군은 퍼싱 1A 탄도 미사일을 운용하는 제2 미사일 비행단(Flugkörpergeschwader 2de) 본부를 이곳에 배치했다. 이 부대는 미국 육군 제85 야전 포병 분견대의 지원을 받았다.

1980년, NATO가 공중 조기 경보 통제 부대(AWACS) 프로그램을 위해 이 기지를 E-3A 구성 요소의 주요 운영 기지(MOB)로 지정하면서 대규모 시설 개선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1981년 말, 독일 공군의 제2 미사일 비행단은 가일렌키르헨 북쪽의 니더하이트(Niederheid)로 이전하였다. 지원 임무를 수행하던 미국 육군 제85 야전 포병 분견대는 1991년 7월 해체될 때까지 기지에 남았다.

최초의 E-3A 항공기가 인도된 1982년 2월부터 비행 임무가 시작되었으며, 독일은 1982년 3월 31일부로 기지의 관리 및 운영권을 NATO에 공식적으로 이관하였다. E-3A 부대는 1982년 6월 28일에 정식으로 가동되었다.

2. 3. NATO 공군기지 (1982년 ~ 현재)

1980년, NATO는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부대(NAEW&CF) 프로그램을 설립하고 가일렌키르헨 기지를 E-3A 조기경보기 운용 부대의 주요 운영 기지(Main Operating Base, MOB)로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E-3A 운용을 위한 대규모 시설 개선 공사가 시작되었다. 길이 3000m, 폭 45m의 신규 활주로 건설, 주기장 및 유도로 확장, 관제탑 신축, 비행 및 임무 시뮬레이터 시설을 포함한 정보 기술동 건설, 기지 내 숙소 신축, 그리고 기존 격납고 4개의 대대적인 개조 등이 진행되었다.

1980년 1월, 첫 E-3A 부대 요원들이 기지에 도착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 NATO 국방 계획 위원회(NATO Defense Planning Committee|NATO 국방 계획 위원회영어, DPC)는 이 기지의 E-3A 부대에 NATO 다국적군 사령부의 지위를 부여했다. 1981년 말, 기존에 주둔하던 독일 공군의 퍼싱 1A 미사일 비행대(독일어: Flugkörpergeschwader 2)는 기지를 떠나 북쪽의 니더하이트(Niederheid)로 이전했다. 다만, 미사일 운용을 지원하던 미국 육군 제85 야전 포병 분견대는 1991년 7월 해체될 때까지 기지에 계속 주둔했다.

1982년 2월, 첫 번째 E-3A 조기경보기가 기지에 인도되면서 비행 작전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3월 31일, 독일은 주요 운영 기지를 NATO에 정식으로 이관하였다. E-3A 부대는 1982년 6월 28일에 공식적으로 가동되어 조기경보기 임무를 시작했으며, 1988년 말까지 총 16대의 E-3A 항공기 배치가 완료되어 완전한 작전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그 이후로도 기지의 대부분 건물은 현대적인 기준에 맞게 개조되었고, 여러 새로운 시설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3. NATO E-3A Component

NATO E-3A Component는 NATO 최초이자 유일한 다국적 작전 비행 부대로[1], 독일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이 부대는 NATO 회원국들이 공동으로 운용하는 E-3A 센트리 조기경보기를 관리하며, 이 항공기들은 분담 차원에서 룩셈부르크 국적으로 등록되어 있다. 부대에는 16개 NATO 회원국에서 파견된 군인과 민간인 약 3,000명이 근무한다.

부대 지휘관은 미국 공군 또는 독일 공군준장이 번갈아 맡는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독자적인 첨단 군사 자산 보유에 대한 주변국의 우려를 반영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과거 냉전 시기 서독의 독자 핵무장 시도를 미국이 핵무기 공유 방식으로 통제했던 것처럼, 전략무기로 분류되는 조기경보기 운용 역시 NATO 공유 체제라는 이름 하에 미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 측면이 있다.

모든 NATO 회원국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다. 영국프랑스는 독자적인 조기경보기를 운용하고 있다. 영국은 E-3D 센트리, 프랑스는 E-3F 센트리를 각각 운용 중이다.

3. 1. 구성

보잉 E-3A 센트리 NATO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부대


E-3A 컴포넌트는 다국적 인력으로 구성된 NATO 최초의 작전 비행 부대이다.[1] 컴포넌트 사령관 직책은 준장 계급이며, 독일 공군미국 공군이 번갈아 맡는다.

부대의 조직 구조는 사령부 참모부와 5개의 주요 기능 비행단으로 구성된다. 각 비행단은 서로 다른 NATO 회원국의 대령이 지휘한다.

비행단 명칭영문 명칭 (약자)
작전 비행단Operations Wing (OW)
병참 비행단 / 후방 지원단Logistics Wing (LW)
기지 지원 비행단Base Support Wing (BSW)
훈련 비행단Training Wing (TW)
정보 기술 비행단Information Technology Wing (ITW)



NATO 공군 기지의 인력은 NATO 회원 16개국에서 파견된 총 3,000명 이상의 군인과 민간인 직원으로 구성된다. 이 인원에는 독일 연방군 서비스 센터의 엔지니어링 지원팀, 국가 지원 부대 인력, 사기 및 복지 활동 직원을 포함한 지원 기능 인력도 포함된다.

3. 2. 운용

이 부대는 E-3A 센트리 AWACS 항공기 14대를 운용한다. 이 항공기들은 모두 보잉 707 기체를 기반으로 하며, 룩셈부르크에 등록되어 있다. 이는 룩셈부르크가 NATO AWACS 프로그램에 기여하는 방식이다. 과거 운용했던 3대의 보잉 707 훈련용 수송기는 2011년 이후 퇴역했다.

NATO E-3A 센트리에 탑승한 승무원


1980년대 초 운용을 시작한 이래, 항공기와 탑재된 시스템 및 관련 지상 장비는 정기적인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1990년대 초 이후 두 차례의 주요 현대화 프로그램이 완료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중기 현대화 프로그램은 2018년 12월에 완료되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14대의 E-3A는 개선된 항법 시스템,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갖추고 5개의 추가 워크스테이션을 장착했으며, 2개의 임무 시뮬레이터 성능도 향상되었다. 현재는 최종 수명 연장 프로그램(Final Lifetime Extension Programme)이라는 현대화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NATO AWACS는 평화와 안보 유지에 중요한 NATO 자산으로서 역할을 지속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E-3A 항공기가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에 상시 주둔하지는 않는다. 일부 항공기는 그리스, 이탈리아, 터키에 위치한 전진 운영 기지(Forward Operating Base, FOB)와 노르웨이의 전진 운영 위치(Forward Operating Location, FOL) 또는 기타 지역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인 전진 기지는 다음과 같다.

이들 전진 운영 시설은 해당 국가의 공군 기지를 활용하며, 각 기지에는 약 30명의 군인 및 민간인 직원이 배치되어 근무한다. 이들은 NATO 소속이지만, 해당 주둔국의 인원으로 구성된다.

E-3A 부대는 NATO가 보유한 유일한 상설 다국적 부대이다. 부대 지휘관(구성 부대 지휘관) 직위는 미국 공군 또는 독일 공군준장이 번갈아 맡는다. 부대는 작전단(OW), 후방 지원단(LW), 기지 지원단(BSW), 훈련단(TW), 정보 기술단(ITW)의 5개 기능 부서와 참모부로 구성된다. 각 단장은 특정 NATO 회원국 출신의 대령이 지휘한다. NATO 회원국 중 16개국(벨기에, 덴마크, 독일, 그리스, 이탈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터키, 헝가리, 미국 등)이 이 부대에 참여하고 있으며, 총 3,000명 이상의 군인과 민간인이 근무하고 있다.

3. 3. 현대화

1980년대 초 운용을 시작한 이래,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의 항공기와 탑재 시스템, 관련 지상 장비는 정기적인 성능 개선을 거쳐왔다. 1990년대 초 이후로는 두 차례의 주요 현대화 프로그램이 완료되었다.

가장 최근에 완료된 중기 현대화 프로그램(Mid-Term Modernization Programme영어)은 2018년 12월에 마무리되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14대의 E-3A 항공기는 개선된 항법 시스템과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으며, 5개의 추가 운용 콘솔(워크스테이션)이 설치되었다. 또한, 2개의 임무 시뮬레이터 성능도 향상되었다.

현재는 최종 수명 연장 프로그램(Final Lifetime Extension Programme영어)이라는 현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NATO AWACS가 평화와 안보 유지에 중요한 NATO 자산으로서 역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경제적 중요성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는 3,000명 이상의 직원이 근무하는 지역 사회의 주요 고용주 중 하나로, 독일네덜란드 주변 지역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2] 기지는 고용 창출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출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분석은 2008년 연구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규모가 상당함을 보여준다.[2]

4. 1. 경제적 영향 (2008년 기준)

가일렌키르헨 NATO 공군기지에는 2,500명 이상의 인원이 근무하고 있어, 주변 지역 사회에 상당한 경제적 영향을 미친다.[2]

NATO E-3A 구성 요소가 2008년에 실시한 경제적 영향 연구에 따르면, 기지 반경 200km 내에서 총 2.758억유로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했다. 세부적으로는 직원 급여 지출 1.507억유로, 기지 운영 관련 지출 8130만유로, 그리고 기지 주변 지역의 간접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한 추가적인 영향 4380만유로이다. 이는 지역적으로 2007년 대비 1070만유로 증가한 수치이다. 같은 해 기지가 창출한 전체 경제적 영향(전 유럽 및 북미 포함)은 4.473억유로로, 2007년 대비 2280만유로 증가했다. 다만 이 수치는 미국 내 기지 경제 영향 모델을 별도 수정 없이 유럽 연합(EU)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산출되었다.[2]

기지에 근무하는 3,000명 이상의 직원들은 독일과 네덜란드 주변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5. 소음 공해 논란

가일렌키르헨 기지에서 운용되는 E-3A 조기경보통제기의 비행은 심각한 소음 공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냉전 이후 지속된 E-3A 운용은 특히 기지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네덜란드 국립 공중 보건 환경 연구소는 파크스타드 림부르크 지역 주민 4만 명 이상이 소음 피해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4][5]

소음 문제의 주요 원인은 E-3A에 탑재된 1950년대 개발 구식 TCA 엔진이다. 이 엔진은 소음이 클 뿐만 아니라 배기 가스 배출량도 많아 환경 문제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에 피해 지역 주민들은 AWACS 비행 중단을 요구하는 NGO를 결성하는 등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NATO 측에 민간 항공기 소음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 개량을 요청했으나, NATO는 높은 비용을 이유로 이를 거부했고,[6][7] 대신 기지를 폴란드루마니아 등 동유럽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 이는 가일렌키르헨 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네덜란드 하원은 엔진 개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AWACS기의 네덜란드 영공 비행을 제한하는 의안을 통과시켰으나, 네덜란드 정부는 이를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해 논란이 되었다.[8] 독일과 네덜란드 국경 양쪽 주민들의 문제 제기는 주로 항공기 운용에 따른 소음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5. 1. 소음 문제

가일렌키르헨 기지에서 운용되는 E-3A 조기경보통제기는 심각한 소음 공해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 항공기에 탑재된 TCA 엔진은 1950년대 중반에 개발된 구형 모델이어서 소음이 매우 크며, 기지 주변 비행 경로 아래 마을에서는 최대 100데시벨에 달하는 소음이 측정되기도 한다.[4][5] 또한, 이 구식 엔진은 최신 엔진에 비해 배기 가스를 과도하게 배출한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이는 과거 보잉 707 민간 여객기가 서유럽 공항에서 소음 및 배기 가스 문제로 지적받았던 사례와 유사하다.

네덜란드 국립 공중 보건 환경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이 소음 문제는 독일-네덜란드 국경 너머 파크스타드 림부르크 지역 주민 4만 명 이상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4][5] 이에 피해 주민들은 AWACS 비행 중단을 요구하는 비정부기구(NGO)를 결성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독일과 네덜란드 양국의 주민들은 기지 자체의 존재보다는 항공기 운용으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해 주로 문제를 제기하는 상황이다.

네덜란드 정부는 NATO 측에 민간 항공 교통 소음 기준을 충족하도록 엔진 개량을 공식 요청했으나,[6] NATO는 높은 비용 부담을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7] 대신 NATO는 기지를 폴란드루마니아 등 동유럽 회원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는데, 이는 가일렌키르헨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대안이었다. 한편, 네덜란드 하원은 새로운 엔진이 장착되지 않는 한 AWACS 항공기의 네덜란드 영공 비행을 제한하는 의안을 통과시켰지만, 네덜란드 정부는 최종적으로 이 의안을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8]

5. 2. 주민들의 노력

가일렌키르헨 기지에서 운용되는 E-3A 조기경보통제기의 비행은 심각한 소음 공해를 유발하며, 이는 독일-네덜란드 국경 지역 주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4][5] 네덜란드 국립 공중 보건 환경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국경 너머 파크스타드 림부르크 지역 주민 4만 명 이상이 소음 피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5] 이에 해당 지역 주민들은 NGO를 결성하여 AWACS 비행 중단을 요구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에 나섰다.

독일과 네덜란드 양국 국경 지역 주민들의 문제 제기는 기지 자체의 존재보다는 주로 항공기 운용으로 발생하는 소음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E-3A에 탑재된 TCA 엔진은 1950년대 중반에 개발된 구형 엔진으로, 소음 발생량이 매우 크다. 비행 경로 아래 마을에서는 최대 100 데시벨(dB)에 달하는 소음이 측정되기도 한다. 또한, 이 구식 엔진은 최신 엔진에 비해 다량의 배기가스를 배출하여 환경 오염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민간 보잉 707 여객기에 적용되는 소음 및 배기가스 기준을 군용기 착륙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네덜란드 정부는 AWACS 비행대의 수명 연장 계획과 맞물려, 민간 항공기 소음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엔진을 개량해 줄 것을 NATO에 요청했다.[6] 하지만 NATO는 높은 비용을 이유로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7] 대신 NATO는 기지를 폴란드루마니아 등 동유럽 회원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했는데, 이는 가일렌키르헨 지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기지가 지역 경제와 NATO의 전략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 하원은 새로운 엔진이 장착되지 않을 경우 AWACS기의 네덜란드 영공 비행을 제한하는 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네덜란드 정부는 이 의안을 최종적으로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하여 논란을 남겼다.[8]

한편, 1999년 1월에는 미 육군 워싱턴 주 방위군 소속 공중급유기가 이륙 직후 추락하여 승무원 4명 전원이 사망하고 항공 연료 10000L가 불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환경 단체와 공군 간의 오랜 논쟁을 촉발했으며, 초기에는 활주로 끝 나무 벌채가 원인으로 의심받기도 했다. 그러나 수개월간의 조사 결과, 꼬리날개 제어 시스템의 기술적 결함이 사고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가 발표되기 전까지 약 6개월 동안 동종 공중급유기 약 200대의 비행이 금지되었다. 이 사고는 기지 운영의 안전성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를 더욱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5. 3. 정치적 논쟁

냉전 이후 운영된 E-3 비행대는 유럽 영공의 새로운 안보 위협에 대응하는 임무를 수행해왔다. 그러나 가일렌키르헨 기지에서의 E-3A 운용은 심각한 소음 공해를 유발하고 있다. 네덜란드 국립 공중 보건 환경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이 소음은 독일-네덜란드 국경 너머 파크스타드 림부르크 지역 주민 4만 명 이상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4][5] 해당 지역 주민들은 AWACS 비행 중단을 요구하는 비정부 기구(NGO)를 결성하기도 했다.

소음 문제 해결을 위해 네덜란드 정부는 NATO에 AWACS 비행대의 수명 연장 계획에 맞춰 엔진을 민간 항공기 소음 기준에 맞는 최신형으로 교체해 줄 것을 요청했다.[6] 하지만 NATO는 높은 비용을 이유로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7]

이 문제는 정치적 논쟁으로 비화되었다. 기지가 지역 경제와 NATO에 가지는 전략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 하원은 결국 새로운 엔진이 장착되지 않으면 AWACS 항공기의 네덜란드 영공 비행을 제한하는 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네덜란드 정부는 최종적으로 이 의안을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8]

소음 문제의 근본 원인은 E-3A 조기경보통제기에 탑재된 구식 TCA 엔진이다. 1950년대 중반에 개발된 이 엔진은 소음이 매우 크며, 비행 경로 아래 마을에서는 최고 10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측정되기도 한다. 또한, 최신 엔진에 비해 훨씬 많은 배기 가스를 배출하여 환경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이는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보잉 707 여객기의 민간 버전이 소음과 배기 가스 문제로 서유럽 공항 착륙에 제한을 받는 것과 대조적이다.

NATO는 엔진 교체 대신, 기지를 동유럽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 이는 가일렌키르헨 주변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이전 후보지로는 NATO 동쪽 회원국인 폴란드루마니아가 거론되었다.

6. 배치 부대 및 기관

'''북대서양 조약 기구 항공 기지'''

부대/기관소속 구분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 가일렌키르헨 독일 분담기반군
아헨 연방군 업무 센터 분소국방 시설 관리·환경 보호부
가일렌키르헨 위생 센터구조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조기 경보기 독일 분담공군



'''젤프칸트 병영'''

부대/기관소속 구분
연방군 직무 검증 센터기반군
가일렌키르헨 청년 장교부기반군
아헨 연방군 업무 센터 분소국방 시설 관리·환경 보호부
연방 언어국 제10 통역 업무부국방 시설 관리·환경 보호부
주 유럽 캐나다군 지원 부대캐나다군


참조

[1] 웹사이트 NATO Airborne Early Warning and Control Force home page https://awacs.nato.i[...]
[2] 웹사이트 Home http://www.e3a.nato.[...]
[3] 간행물 RIVM report http://rivm.nl/Image[...]
[4] 뉴스 Tienduizenden Limburgers ervaren overlast Awacs http://www.trouw.nl/[...]
[5] 뉴스 Deafening Din of the Awacs Rouses the Folk Next Door https://query.nytime[...]
[6] 간행물 Request of Dutch government to EU concerning noise nuisance of AWACS http://www.stopawacs[...] 2008-10-03
[7] 뉴스 Kamer: Awacs moeten stiller http://www.depers.nl[...]
[8] 뉴스 AWACS-dossier http://www.limburger[...]
[9] 간행물 Economic Impact Study 2008 http://www.e3a.nato.[...]
[10] 보고서 NATO Air Base Geilenkirchen, Final Comprehensive Study, Final Report May 2009 Landrum & Brown, Mestre Greve Associates, the MPD Group 2009-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