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톨릭교도 해방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교도 해방령은 17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영국에서 가톨릭 신자들에게 가해지던 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일련의 법적, 정치적 과정을 의미한다. 1673년 심사율 제정으로 시작된 차별은 1829년 로마 가톨릭 구제법 통과로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 이 과정에서 가톨릭교도들은 공직 진출, 토지 소유 등에서 불이익을 받았으며, 다니엘 오코넬의 가톨릭 협회 결성을 비롯한 시민 운동과 정치적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캐나다와 뉴펀들랜드에서도 가톨릭교도 해방이 진행되었으며, 유럽 전반의 종교적 관용 확대와 맥락을 같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종교사 - 청교도
    청교도는 16세기에서 17세기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개신교 분파로, 잉글랜드 국교회의 불충분한 종교 개혁에 반발하여 예배와 신앙의 순수성을 추구했으며, 성경을 권위로 삼고 경건한 삶을 강조하며 비분리주의와 분리주의로 나뉘어 사회,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아일랜드의 기독교사 - 아일랜드 수석주교
    아일랜드 수석주교는 아일랜드 가톨릭 교회의 수장으로서 더블린 대교구의 대주교가 맡는 직위이며, 역사적 자율성 확보, 종교 개혁과 잉글랜드 국교회와의 관계, 그리고 19세기 아일랜드 성공회의 개혁을 거치며 아일랜드 가톨릭 교회의 핵심적인 지도자 역할을 수행해왔다.
가톨릭교도 해방령
개요
교황 비오 9세
교황 비오 9세의 초상화
종류법률
시행 국가영국, 아일랜드
목적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가톨릭교도에 대한 여러 차별과 제한을 제거하는 것
관련 법률1778년 가톨릭교도 구제법
1791년 로마 가톨릭교도 구제법
1793년 가톨릭교도 구제법
1829년 가톨릭교도 구제법
배경
역사적 맥락16세기부터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반가톨릭주의 법률이 시행됨
주요 차별공직 취임 금지
투표권 제한
재산 소유 제한
교육 제한
영향가톨릭교도의 사회, 경제, 정치적 참여 제한
구제 노력
18세기 후반일부 구제 법안 통과 (제한적 권리 회복)
주요 법안1778년 가톨릭교도 구제법
1791년 로마 가톨릭교도 구제법
1793년 가톨릭교도 구제법
한계여전히 많은 차별 존재
가톨릭교도 해방
주요 인물다니엘 오코넬 (해방 운동 주도)
정치적 상황아일랜드 가톨릭교도의 강력한 요구와 정치적 압력 증가
1829년 가톨릭교도 구제법가톨릭교도의 의회 진출 허용 및 기타 공직 취임 가능
영향가톨릭교도의 정치 참여 확대 및 사회적 지위 향상
추가적인 구제
성직자 작위법 1871년영국 정부가 아일랜드 국교회에 임명하는 권한 폐지
의미아일랜드 가톨릭교회에 대한 국가의 간섭 감소
영향 및 평가
긍정적 영향종교적 자유 확대 및 사회 통합 증진
논란일부 개신교도의 반발과 우려
역사적 중요성영국과 아일랜드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

2. 배경과 발단

1673년 심사율로 가톨릭 신자들은 공직 취임, 토지 구입 등에서 차별을 받았다. 특히 아일랜드에서는 가톨릭교도가 경찰이나 의사가 되는 것을 금하는 등 직업상의 불이익을 받았다. 이는 종교 개혁 이후 가톨릭 교도들이 반역자 취급을 받았던 뿌리 깊은 종교적인 반목 때문이었다. 하지만 1829년 국교영국 성공회 신자가 아니더라도 공직에 취임할 수 있게 하여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비성공회 신자들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였다. 이는 당시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은 영국 정부의 개혁 중 하나이다.[1]

3. 초기 구제 노력

1673년 심사율로 가톨릭 신자들은 공직 취임, 토지 구입 등에서 차별을 받았다. 이는 종교 개혁 이후 가톨릭 교도들이 반역자 취급을 받았던 뿌리 깊은 종교적인 반목 때문이었다.[1] 하지만 자유주의의 영향으로 이러한 차별은 점차 완화되기 시작했다.

1763년부터 영국령이 된 캐나다에서는 1774년 퀘벡 법이 로마 가톨릭교도에 대한 일부 제한을 종료시켰다. 그러나 이 법은 13개 식민지에서 "견딜 수 없는 법" 중 하나로 불렸으며, 1774년 10월 1차 대륙 회의가 조지 3세에게 올리는 청원에서 비판을 받았다.[1]

영국아일랜드에서는 1778년 첫 번째 구제법인 가톨릭 교도 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로마 가톨릭교도가 스튜어트 왕가의 왕위 주장과 교황의 민사 관할권을 부인하는 서약을 하는 것을 조건으로 재산을 소유하고 토지를 상속받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발로 1779년 스코틀랜드에서 폭동이 일어났고, 1780년 6월 2일에는 런던에서 고든 폭동이 발생했다.

1782년 법에 의해 로마 가톨릭 학교와 주교 설립이 허용되면서 추가적인 구제가 이루어졌다. 로마 가톨릭 구제법 1791은 가톨릭 신앙의 자유로운 실천을 허용했지만, 여전히 여러 제한이 존재했다. 아일랜드에서는 아일랜드 의회가 로마 가톨릭 구제법 1793을 제정하여 가톨릭교도에게 투표권을 확대했다. 당시 선거 참정권은 주로 재산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에, 이 구제법은 연간 임대 가치가 2GBP인 토지를 소유한 로마 가톨릭교도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 그들은 또한 법조계, 대배심원, 대학 및 육군과 사법부의 하위 계급과 같이 그동안 배제되었던 많은 미들 클래스 직업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4. 1800년 연합법과 가톨릭 해방 문제

1800년 연합법은 그레이트브리튼 왕국과 아일랜드 왕국을 통합했지만, 가톨릭 해방 문제는 아일랜드 개신교의 반대로 포함되지 않았다. 윌리엄 피트 (소) 총리는 연합법과 함께 가톨릭 해방을 약속했지만, 조지 3세가 자신의 대관식 서약을 위반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 피트는 국왕의 반대가 알려지자 사임했다. 이후 가톨릭 해방은 주요 정치 쟁점보다는 토론의 대상이 되었다.

영국군에서 복무하는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가 증가하면서, 1811년에는 육군이 가톨릭 군인에게 예배의 자유를 부여했다.[2] 나폴레옹 전쟁에서 그들의 기여는 웰링턴 (아일랜드 출생 개신교도)의 해방 지지에 기여했을 수 있다.

5. 1820년대의 발전과 가톨릭 해방 운동

1823년, 다니엘 오코넬은 가톨릭 협회를 설립하여 가톨릭교도 해방 운동을 시작했다. 1828년, 그는 아일랜드 클레어주에서 영국 하원 의원에 당선되었지만, 가톨릭교도라는 이유로 의석을 차지할 수 없었다. 그는 1829년에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3]

오코넬의 노력도 중요했지만, 결정적인 변화는 영국에서 가톨릭 해방에 대한 여론이 바뀌면서 나타났다. 정치인들은 여론의 중요성을 인식했고, 귀족원휘그당과 그렌빌 경의 지지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년 동안 신문과 선거를 통해 표출된 여론은 종교적 편견을 극복하고, 하원과 귀족원에서 가톨릭 해방을 지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828년 성찬 테스트법 폐지로 공무원이 성공회 신자여야 한다는 장벽이 제거되었다.[3]

윌리엄 히스의 1829년 작품 ''가난한 늙은 미세스 헌법 때리기''. 웰링턴 공작과 로버트 필이 가톨릭 해방을 위해 헌법을 훼손하는 것을 풍자한 그림이다.


웰링턴 공작과 로버트 필은 1829년 로마 가톨릭 구제법을 지지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이 법은 로마 가톨릭 신자에 대한 많은 제한을 철폐했지만, 유권자의 재산 자격을 연간 40실링(2파운드)에서 연간 10파운드로 높여 투표권을 제한했다. 그러나 이후 개혁법을 통해 기준이 다시 낮아졌다. 1829년 법의 주요 수혜자는 고위 공무원과 사법부에 진출할 수 있게 된 로마 가톨릭 중산층이었다.[4]

6. 가톨릭 해방의 정치적 결과

1673년 심사율로 가톨릭 신자들은 공직 취임, 토지 구입 등에서 차별을 받았는데, 아일랜드에서는 가톨릭교도가 경찰이나 의사가 되는 것을 금하는 직업상의 불이익을 주고 있었다. 이는 종교 개혁 이후 가톨릭 교도들이 반역자 취급을 받았던 뿌리깊은 종교적인 반목 때문이었다. 하지만 1829년 국교영국 성공회 신자가 아니더라도 공직에 취임할 수 있게 하여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비 성공회 신자들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였다. 이는 당시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은 영국 정부의 개혁 중 하나이다.

1771년부터 1829년까지의 자유주의 개혁 지연은 아일랜드에 큰 고통을 안겨주었고, 이는 아일랜드 민족주의의 기반이 되었다. 다니엘 오코넬은 1829년의 성공을 발판 삼아 1830년대와 1840년대에 연합법 1800년을 폐지하려는 희망을 품고 폐지 협회를 창설했지만 실패했다.

1920년대에 이르러서야 프랜시스 블런델 의원에 의해 마지막 법적 차별이 제거되었다.[5]

7. 유럽의 유사한 개혁과의 비교

18세기 프랑스에서는 루이 15세 통치 시기인 1764년경 위그노 박해가 줄어들었다.[1] 1790년부터 1801년까지 프랑스에서 탈기독교화가 진행되었고, 1870년대 독일에서는 반가톨릭 문화 투쟁이 일어났으며, 유대인 해방이 진전되는 등 유럽 전역에서 종교적 관용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1]

그러나 아일랜드의 개신교도들은 가톨릭교회의 정치적 영향력이 아일랜드 자치법안을 통해 미래 정부에 미칠 것을 우려하여 오렌지 결사를 중심으로 격렬하게 저항했다.[1] 이들은 "자치법안은 로마의 지배"라는 구호를 내세웠다.[1] 교황령에서도 자유주의적 권리 인정은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모타라 사건은 1860년대 미국과 유럽의 자유주의자들에게 우려를 불러일으켰다.[1]

8. 캐나다와 뉴펀들랜드에서의 가톨릭 해방

캐나다와 뉴펀들랜드의 로마 가톨릭교도는 영국 본토와는 다른 양상의 해방 과정을 거쳤다.

퀘벡에서는 테스트 선서 없이도 로마 가톨릭교도가 식민지 입법 기관에서 활동할 수 있는 종교적 자유가 보장되었다. 이 정책은 로어캐나다어퍼캐나다에서도 이어졌다.[1] 그러나 영국령 북아메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가톨릭교도의 입법 활동 참여가 제한되었는데, 1823년 로렌스 카바나가 케이프브레턴섬 대표로 노바스코샤 주의회에 입성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1]

뉴펀들랜드에는 초기부터 많은 로마 가톨릭교도가 살았다. 조지 캘버트(1대 볼티모어 남작)는 1625년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박해받는 동료 종교인들을 위한 피난처로 애벌론 반도에 애벌론 자치주를 설립했다. 그러나 뉴펀들랜드는 캘버트 가문의 통제를 벗어났고, 로마 가톨릭교도는 다른 영국 통치 지역과 비슷한 종교적 제약을 받았다. 1770년부터 1800년까지 뉴펀들랜드 총독들은 로마 가톨릭교도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고 프랑스와 아일랜드 선교를 허용했다. 1786년 세인트존스를 방문한 윌리엄 헨리 왕자(훗날 영국 국왕 윌리엄 4세)는 "개신교도 한 명당 로마 가톨릭교도가 열 명"이라고 언급할 정도였다.[6]

1829년 5월, 가톨릭교도 해방 소식이 뉴펀들랜드에 전해지자 축하 행사가 열렸다. 세인트존스에서는 퍼레이드가 열렸고, 자선 아일랜드 협회와 가톨릭교도가 주도하는 기계 기술자 협회가 참석한 채플에서 감사 미사가 거행되었다. 항구의 선박들은 깃발을 게양하고 경례로 대포를 발사했다.

하지만 1829년 12월, 법무 장관과 최고 법원 판사들은 로마 가톨릭 구제법이 뉴펀들랜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했다. 뉴펀들랜드는 식민지였고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법률이 적용된 적이 없다는 이유였다. 총독의 임무는 영국 의회의 법률이 아닌 왕실의 특권에 의해 부여되었으므로, 뉴펀들랜드는 로마 가톨릭교도를 차별하는 기존의 모든 지역 규정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1829년 12월 28일, 세인트존스 로마 가톨릭 채플에서 해방 회의가 열렸고, 다니엘 오코넬은 뉴펀들랜드 로마 가톨릭교도의 완전한 권리를 "영국 시민"으로서 요구하는 청원을 영국 의회에 보냈다. 이러한 영국 정부의 조치는 뉴펀들랜드 개혁가들이 식민지 입법부를 강력하게 요구하게 만들었다. 결국 1832년 5월, 영국 식민부 장관은 토마스 존 코크레인 코크레인 총독에게 뉴펀들랜드의 모든 로마 가톨릭교도 불이익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운 임무를 발급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8]

8. 1. 캐나다

퀘벡의 로마 가톨릭교도는 테스트 선서 없이도 식민지 입법 기관에서 활동할 수 있는 등 종교적 자유를 보장받았다. 이 정책은 로어캐나다어퍼캐나다에서도 계속되었다.[1] 1823년 로렌스 카바나가 케이프브레턴섬의 대표로 노바스코샤 주의회에 입성하기 전까지, 영국령 북아메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가톨릭교도의 입법 활동 참여가 제한되었다.[1]

8. 2. 뉴펀들랜드

조지 캘버트(1대 볼티모어 남작)가 애벌론 반도에 애벌론 자치주를 설립하면서 뉴펀들랜드에는 초기부터 많은 로마 가톨릭교도들이 살았다. 캘버트는 1625년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박해받는 동료 종교인들을 위한 피난처를 만들기 위해 뉴펀들랜드로 이주했다. 그러나 뉴펀들랜드는 캘버트 가문의 통제를 벗어났고, 로마 가톨릭교도들은 다른 영국 통치 지역과 비슷한 종교적 제약을 받았다. 1770년부터 1800년까지 뉴펀들랜드 총독들은 로마 가톨릭교도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고 프랑스와 아일랜드 선교를 허용했다. 1786년 세인트존스를 방문한 윌리엄 헨리 왕자(훗날 영국 국왕 윌리엄 4세)는 "개신교도 한 명당 로마 가톨릭교도가 열 명"이라고 언급했다.[6]

1829년 5월, 가톨릭교도 해방 소식이 뉴펀들랜드에 전해지자 5월 21일은 축하일로 선포되었다. 세인트존스에서는 퍼레이드가 열렸고, 자선 아일랜드 협회와 가톨릭교도가 주도하는 기계 기술자 협회가 참석한 채플에서 감사 미사가 거행되었다. 항구의 선박들은 깃발을 게양하고 경례로 대포를 발사했다.

그러나 1829년 12월 17일, 법무 장관과 최고 법원 판사들은 로마 가톨릭 구제법이 뉴펀들랜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결정했다. 그 이유는 이 법에 의해 폐지된 법률이 식민지였고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곳에 적용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총독의 임무는 영국 의회의 법률이 아닌 왕실의 특권에 의해 부여되었으므로, 뉴펀들랜드는 로마 가톨릭교도를 차별하는 기존의 모든 지역 규정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1829년 12월 28일, 세인트존스 로마 가톨릭 채플은 해방 회의로 가득 찼고, 여기서 다니엘 오코넬은 뉴펀들랜드 로마 가톨릭교도의 완전한 권리를 "영국 시민"으로서 요구하는 청원을 영국 의회에 보냈다. 영국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뉴펀들랜드 개혁가들이 식민지 입법부를 강력하게 요구하게 만들었다. 1832년 5월, 영국 식민부 장관은 토마스 존 코크레인 코크레인 총독에게 뉴펀들랜드의 모든 로마 가톨릭교도 불이익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운 임무를 발급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8]

9. 가톨릭 해방 관련 주제

1673년 심사율로 가톨릭 신자들은 공직 취임, 토지 구입 등에서 차별을 받았다. 특히 아일랜드에서는 가톨릭교도가 경찰이나 의사가 되는 것을 금지하는 등 직업상의 불이익을 받았다. 이는 종교 개혁 이후 가톨릭 교도들이 반역자 취급을 받았던 뿌리 깊은 종교적인 반목 때문이었다. 하지만 1829년 국교영국 성공회 신자가 아니더라도 공직에 취임할 수 있게 하여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비 성공회 신자들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였다. 이는 당시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은 영국 정부의 개혁 중 하나였다.

9. 1. 주요 사건


  • 화약 음모 사건 (1605년 – 1606년)
  • 1605년 반가톨릭교도 거부법
  • 심사법 (1673년)
  • 관용령 (1687년)
  • 권리 장전 (1689년)
  • 관용법 (1689년)
  • 형벌법
  • 1695년 교육법
  • 무장 해제법 (1695년)
  • 혼인법 (1697년)
  • 추방법 (1697년)
  • 등록법 1704
  • 교황주의법 (1704년 및 1709년)
  • 일시적 불복종 금지법 (1711년)
  • 선거권 박탈법 (1728년)
  • 로마 가톨릭 구제법안 (1778년 및 1793년)
  • 고든 폭동 (1780년)
  • 연합법 (1800년)
  • 심사법 폐지 (1828년)
  • 1829년 로마 가톨릭 구제법

9. 2. 관련 단체


  • 가톨릭 협회[11]
  • 가톨릭 위원회 (아일랜드)[11]
  • 초보수당[11]

참조

[1] 웹사이트 Petition to King George III http://americainclas[...] 2017-12-08
[2] 간행물 Hansard XIX, 11 March 1811 1811-03-11
[3] 논문 The House of Lords, the Whigs and Catholic Emancipation: 1806-1829. 1999
[4] 문서 Davis, 1999 1999
[5] 웹사이트 The Lord Lieutenant https://merseysideli[...] 2018-05-11
[6] 웹사이트 Memorial University https://www.mun.ca/r[...] 2011-01-10
[7] 웹사이트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https://www.mun.ca/r[...] 2019-04-16
[8] 서적 Between Damnation and Starvation: Priests and Merchants in Newfoundland Politics, 1745–1855 1999
[9] 웹사이트 James Francis Edward Stuart, Prince of Wales http://www.geni.com/[...] Geni
[10] 간행물 Hansard XIX, 11 March 1811 1811-03-11
[11] 문서 Davis, 1999 1999
[12] 웹사이트 Memorial University http://www.mun.ca/re[...]
[13] 웹사이트 Prince William Henry in Newfoundland by Hans Rollman http://www.mun.ca/re[...]
[14] 서적 Between Damnation and Starvation: Priests and Merchants in Newfoundland Politics, 1745–1855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