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평 하판리 지진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평 하판리 지진탑은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탑이다. 보조국사가 현등사 터의 기운을 진정시키기 위해 세웠다는 전설이 있으며, 원래 3층 석탑이었으나 일부가 유실되어 현재는 1.7m 높이로 남아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한 개의 돌로 구성되었으며, 각 층의 탑신석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평군의 문화유산 - 조종암
    조종암은 조선 숙종 때 명나라에 대한 은혜를 기리고 청나라에 대한 굴욕을 잊지 않기 위해 바위에 글씨를 새기고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숭명배청 사상을 보여주는 유적이며 현재 경기도 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어 있다.
  • 가평군의 문화유산 - 가평 현등사 동종
    가평 현등사 동종은 1619년에 제작된 조선 시대 범종으로, 전쟁을 거치며 현등사로 옮겨져 보존되었고, 한·중 혼합 양식과 조선 전기 궁중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고려의 석탑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은 백제 석탑 양식을 일부 유지한 고려시대 전기 석탑으로, 목조 탑파 형식을 모방하여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며, 기단부 백제 시대 기와 조각과 사리장치, 그리고 목탑 존재 흔적 등이 특징이다.
  • 고려의 석탑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은 고려 말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대리석 석탑으로, 1348년에 건립되어 국보 제86호로 지정되었으며, 섬세한 조각과 목조건축 양식을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 경기도의 문화유산자료 - 과천향교
    과천향교는 1398년에 창건되어 1690년 현재 위치로 이전된 조선시대 지방 교육 기관으로,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담당하고 사장학과 경학을 가르치며 제사를 지냈으며, 1996년에 복원되었다.
  • 경기도의 문화유산자료 - 양평 운계서원
    양평 운계서원은 1654년 김육 등이 조욱의 학문과 덕망을 기리기 위해 창건한 서원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 후 복원되었으며 현재 대한민국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5인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가평 하판리 지진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가평 하판리 지진탑
국가대한민국, 경기도
유형문화재자료
번호17
지정일1983년 9월 19일
주소경기도 가평군 현등사길 34 (조종면, 현등사)
시대고려시대
소유자대한불교조계종 현등사
수량1기
문화재청 ID31,00170000,31
관리자현등사주지

2. 역사

가평 하판리 지진탑은 현등사 내의 언덕 아래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고려 희종 때 보조국사가 세웠다고 전해진다. 원래 3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보이나, 기단(基壇)의 일부와 탑신(塔身)의 1층 몸돌이 없어져 본래의 모습을 잃고 있다.

탑의 조각 양식과 이름에 얽힌 이야기로 미루어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측된다.[1] 높이 1.7m 규모의 일반형 석탑으로, 고려시대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3]

탑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바닥돌과 기단의 맨윗돌은 윗면에 경사가 흐르며 네 모서리 선이 뚜렷하다.
  • 지붕돌과 몸돌이 교대로 올려진 탑신부는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 느린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밑면에 받침을 두었는데 1·2층은 4단, 3층은 3단으로 불규칙하며,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서서히 위로 들리면서 느린 곡선을 그리고 있다.
  •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네모난 받침돌만 남아 있다.
  • 가장 하단에 놓인 지대석위에는 2단의 괴임대가 들어가 있다.
  • 기단부 갑석의 하면에는 부연이 있고, 정면에는 2단의 받침이 도출되어 있다.
  •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한 돌로 구성되어 있다.
  • 각 층의 탑신석에는 모두 우주가 새겨져 있다.
  • 옥개석의 하단에는 1·2층이 4단, 3층은 3단의 옥개받침이 도출되어 있다.
  • 낙수면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고, 추녀는 수평으로 흐르다 전각에 이르러 급하게 반전되고 있다.
  • 상륜부에는 노반석만이 남아 있다.
  • 상면에는 지름 5cm의 찰주를 꼽기 위한 구멍이 있다.[3]

2. 1. 건립 배경

고려 희종 때 승려 보조국사가 현등사 주위를 지나다가 석등에서 불빛이 솟아오르는 것을 보고, 수백 년 동안 폐허로 있었던 이 절터에 새로 을 짓게 되었다. 이때 터의 기를 진정시키고자 이 탑을 세웠다고 한다. 이로 인해 ‘지진탑(地鎭塔)’이라는 이름이 생겨났으며, 승려의 이름을 따서 ‘보조국사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 현등사를 재건하면서 경내의 지기(기운)를 진정시키기 위하여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3]

2. 2. 명칭 유래

고려 희종 때 승려 보조국사가 현등사 주위를 지나다가 석등에서 불빛이 솟아오르는 것을 보고, 수백 년 동안 폐허였던 이 절터에 새로 을 짓게 되었다. 이때 터의 기를 진정시키고자 이 탑을 세웠다고 한다. 이로 인해 ‘지진탑(地鎭塔)’이라는 이름이 생겨났으며, 승려의 이름을 따서 ‘보조국사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

3. 구조

가평 하판리 지진탑은 고려 희종 때 보조국사 지눌이 현등사를 재건하면서 경내의 지기(기운)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진탑(地鎭塔)이란 이름이 지어졌다.[3] 지대석 위에는 2단의 괴임대가 있고, 기단부 갑석 하면에는 부연, 정면에는 2단의 받침이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고, 각 층의 탑신석에는 모두 우주가 새겨져 있다. 옥개석 하단에는 1·2층이 4단, 3층은 3단의 옥개받침이 있다. 낙수면 경사는 완만하며, 추녀수평으로 흐르다 전각에서 급하게 반전된다. 상륜부에는 노반석만 남아있고, 상면에는 지름 5cm의 찰주를 꼽기 위한 구멍이 있는데, 현재 남아있는 부재의 양식으로 보았을 때 3층 석탑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3]

3. 1. 전체 형태

가평 하판리 지진탑은 높이 1.7m 규모의 일반형 석탑이다. 가장 하단에 놓인 지대석에는 2단의 괴임대가 마련되었고, 네 귀퉁이의 합각이 뚜렷하다. 기단 갑석의 하면에는 부연이 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한 개의 돌로 구성되었다. 각 층의 탑신석에는 모두 우주(隅柱)[건물의 모퉁이에 세운 기둥]가 각출되어 있다. 옥개석의 하단에는 1·2층이 4단, 3층은 3단의 옥개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고, 추녀수평으로 흐르다가 전각에 이르러 급하게 반전되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석만이 남아 있는데, 상면에는 지름 5cm의 찰주(刹柱)[석탑의 상륜을 지탱하는 버팀대]를 꼽기 위한 구멍이 있다.[2]

3. 2. 세부 구조

가평 하판리 지진탑은 높이 1.7m 규모의 일반형 석탑이다. 가장 하단에 놓인 지대석에는 2단의 괴임대가 마련되었고, 네 귀퉁이의 합각이 뚜렷하다. 기단 갑석의 하면에는 부연이 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한 개의 돌로 구성되었다. 각 층의 탑신석에는 모두 우주(隅柱)[건물의 모퉁이에 세운 기둥]가 각출되어 있다. 옥개석 하단에는 1·2층이 4단, 3층은 3단의 옥개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고, 추녀수평으로 흐르다가 전각에 이르러 급하게 반전되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석만이 남아 있는데, 상면에는 지름 5cm의 찰주(刹柱)[석탑의 상륜을 지탱하는 버팀대]를 꼽기 위한 구멍이 있다.[2]

참조

[1] 웹인용 가평하판리지진탑 https://gjicp.ggcf.k[...] 2021-08-11
[2] 웹인용 가평하판리지진탑 http://gapyeong.gran[...] 2021-08-11
[3] 문서 현지 "가평하판리삼층석탑지진탑"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