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라고는 갈라고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총칭으로, 6개의 속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큰 눈, 튼튼한 뒷다리, 예민한 청각, 긴 꼬리를 특징으로 하며, 야행성 생활을 한다. 갈라고는 곤충, 과일, 나무 진액 등을 먹으며, 높은 점프 능력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새끼와 함께 영역을 유지하고, 수컷은 암컷의 영역과 겹치는 별도의 영역을 가진다. 갈라고는 '부시 베이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아프리카 지역의 신화와 관련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5년 기재된 분류군 - 사람과
사람과는 유인원과 현생 인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꼬리가 없고 뇌 용적이 크며 약 2,200만 년 전부터 진화해 왔고, 오랑우탄, 고릴라, 침팬지, 사람 등을 포함한다. - 1825년 기재된 분류군 - 거미원숭이과
거미원숭이과는 신세계원숭이의 한 과로, 거미원숭이, 울음원숭이, 양털원숭이 등을 포함하며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과일, 잎, 곤충 등을 먹고 일부다처제 사회를 이루는 주행성 동물이다. - 갈라고과 - 마칸데갈라고
- 갈라고과 - 다람쥐갈라고속
다람쥐갈라고속은 몸길이 최대 40cm의 대형 갈라고 종으로, 갈색 또는 회색 털과 큰 귀를 가지며 비오코알렌갈라고, 크로스강갈라고, 가봉갈라고, 마칸데갈라고 등의 하위 종을 포함한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큰돌고래
큰돌고래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지능이 높고 사회적인 돌고래과 포유류로, 소리와 몸짓으로 의사소통하고 반향정위를 사용하며, 인간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겪고 있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갈라고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alagidae |
과 | 갈라고과 |
학명 명명자 | Gray, 1825 |
모식속 | Galago |
모식속 명명자 | Geoffroy, 1796 |
하위 분류 | |
속 | Euoticus Galago Galagoides Otolemur Paragalago Sciurocheirus |
음성 정보 | |
발음 | IPA: |
2. 분류
갈라고과는 과거 로리스과의 한 아과(갈라고아과, Galaginae)로 분류되기도 했으나[19], 현재는 독립된 과로 인정받으며 6개의 현존하는 속과 1개의 멸종한 속(''Laetolia''[7])으로 분류된다.
최근 유전자 데이터와 형태학적 연구 결과는 갈라고의 분류 체계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예를 들어, 과거 '난쟁이 갈라고'로 묶였던 ''Galagoides'' 속은 동아프리카 열곡을 기준으로 동부와 서부 그룹으로 나뉘며, 동부 그룹은 새로운 속인 ''Paragalago''로 분리되었다.[6] 또한, ''Euoticus'' 속이 다른 모든 갈라고의 기저 자매 분류군이라는 점[4], ''Otolemur'' 속과 ''Sciurocheirus'' 속이 서로 가까운 관계라는 점[6] 등 속 간의 계통 관계도 점차 명확해지고 있다.
상세한 속 분류와 종 목록, 그리고 구체적인 계통 발생 관계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하위 속
갈라고는 현재 6개의 속으로 분류된다. 이전에는 로리스과에 포함되어 갈라고아과(Galaginae)로 분류되기도 했으며[19], 일부 속들은 구 갈라고속(''Galago'')의 아속으로 간주되기도 했다.[19]

최근 유전자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바늘발톱갈라고속(''Euoticus'')은 다른 모든 갈라고과에 대한 기저 자매 분류군이다.[4] 과거 '난쟁이 갈라고'로 분류되었던 ''Galagoides'' 속은 발성 및 형태 분석, 그리고 유전자 데이터를 통해 실제로는 동부와 서부/중앙 아프리카(동아프리카 지구대에 의해 분리됨)에서 자매 분류군이 아닌 두 개의 뚜렷한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 중 동부 그룹은 ''Paragalago''라는 별도의 속으로 승격되었고, 서부 그룹만이 ''Galagoides'' 속에 남게 되었다.[6] 서부 그룹인 ''Galagoides''는 ''Euoticus''를 제외한 다른 모든 갈라고의 기저에 위치하며, 동부 그룹인 ''Paragalago''는 작은갈라고속(''Galago'')과 자매 관계를 형성한다.[6] 또한, 큰갈라고속(''Otolemur'')과 다람쥐갈라고속(''Sciurocheirus'') 역시 서로 자매 관계에 있다.[6]
다음은 현재 인정되는 갈라고과의 하위 속 및 종 목록이다.
속 (학명) | 일반명 | 종 수 | 대표 종 목록 (학명, 일반명) |
---|---|---|---|
Euoticus | 바늘발톱갈라고속[4] | 2종 | |
Galago | 작은갈라고속 | 4종 | |
Galagoides | 서부난쟁이갈라고속[6] | 3종 | |
Otolemur | 큰갈라고속 | 3종 | |
Paragalago | 동부난쟁이갈라고속[6] | 5종 | |
Sciurocheirus | 다람쥐갈라고속 | 4종 | |
†Laetolia | (멸종) | 1종 |
갈라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놀라운 점프 능력이다. 갈라고가 기록한 가장 높은 점프는 2.25m에 달한다.[11] 왕립 학회 연구에 따르면, 갈라고의 점프 근육은 비슷한 크기의 개구리보다 6배에서 9배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데, 이는 다리 아래쪽 힘줄에 탄성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사용하는 방식 덕분으로 여겨진다.[12] 점프할 때는 팔과 다리를 몸에 바싹 붙였다가 착지 직전에 뻗어 나뭇가지를 잡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몇 초 만에 약 9.14m(9.1m)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머리와 몸통 길이를 합친 것보다 긴 꼬리는 점프 시 균형을 잡고 추진력을 더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갈라고는 캥거루처럼 깡충 뛰거나, 네 다리로 달리거나 걸을 수도 있다.[3] 이처럼 강력하고 정교하며 조율된 움직임은 후두정 피질의 앞쪽 절반이 전두엽 피질의 운동, 전운동, 시각운동 영역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13][14]
3. 특징
3. 1. 생태
갈라고는 큰 눈을 가지고 있어 야간 시력이 뛰어나며, 튼튼한 뒷다리와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되는 긴 꼬리를 가졌다. 청각 역시 매우 예민하여 박쥐와 같은 귀로 어둠 속에서 곤충을 추적할 수 있다. 갈라고는 땅에 있는 곤충을 잡거나 공중에서 낚아채기도 하는 빠르고 민첩한 동물이다. 덤불 속을 이동할 때는 섬세한 귀를 뒤로 접어 보호하며, 휴식 중에도 귀를 접는다.[3] 대부분의 발가락에는 발톱이 있지만, 뒷발의 두 번째 발가락에는 그루밍 발톱이 있다. 식단은 곤충과 다른 작은 동물, 과일, 나무 진액 등으로 다양하다.[8] 앞니는 빗처럼 생긴 치아빗 형태이며, 치식은 위턱과 아래턱 모두 2.1.3.3이다. 갈라고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임신 기간은 110일에서 133일 사이이며, 새끼는 눈을 반쯤 감은 상태로 태어나 처음에는 스스로 움직이지 못한다. 태어난 지 6일에서 8일 정도 지나면 어미는 새끼를 입에 물고 다니며, 먹이를 구할 때는 나뭇가지 위에 잠시 놓아둔다. 암컷은 한 번에 한 마리에서 세 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으며, 출산 후 매우 공격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갓 태어난 새끼의 무게는 14g 미만이다. 새끼는 태어난 후 첫 3일 동안 어미와 계속 붙어 지낸다. 약 6주 동안 어미 젖을 먹고, 두 달이 지나면 스스로 먹이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새끼는 빠르게 성장하여 어미가 새끼를 옮길 때 어색하게 걸을 정도가 된다.[3]
암컷은 자신의 영역에서 새끼와 함께 생활하지만, 수컷은 성숙하면 어미의 영역을 떠난다. 이 때문에 사회 집단은 주로 가까운 관계의 암컷들과 그 새끼들로 이루어진다. 다 자란 수컷은 암컷 사회 집단의 영역과 겹치는 자신만의 영역을 가지며, 보통 한 마리의 수컷이 해당 영역 내의 모든 암컷과 짝짓기를 한다.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지 못한 수컷들은 때때로 작은 규모의 독신 그룹을 형성하기도 한다.[8]
갈라고는 서로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소변으로 경로를 표시하며 의사소통한다. 소변 냄새를 따라가면 매번 정확히 같은 나뭇가지에 착지할 수 있다.[3] 각 종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고유한 큰 소리를 내는데, 이를 통해 멀리서도 같은 종의 구성원을 식별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 '큰 소리'를 통해 모든 갈라고 종을 구별할 수 있다.[10] 밤 활동이 끝나갈 무렵에는 특별한 집결 신호를 사용하여 모여 나뭇잎 둥지, 나뭇가지 틈, 또는 나무 구멍에서 함께 잠을 잔다.
갈라고는 때때로 애완동물로 길러지기도 하지만, 다른 많은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종 간의 장벽을 넘어 전파될 수 있는 동물원성 질병의 위험이 높아 권장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국가에서 수입 시 세관의 주의를 끌 가능성이 높다. 사육 상태에서의 수명은 12년에서 16.5년 사이이며, 자연 상태에서는 10년 이상 사는 것으로 보고된다.[9]
3. 2. 의사소통
갈라고는 서로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소변으로 길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소변 냄새를 따라가면 매번 정확히 같은 나뭇가지에 착지할 수 있다.[3] 각 종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고유한 큰 소리를 내는데, 이를 통해 멀리서도 같은 종의 구성원을 식별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 '큰 소리'로 모든 갈라고 종을 구별할 수 있다.[10] 밤이 끝나갈 무렵에는 그룹 구성원들이 특별한 집결 신호를 사용하여 나뭇잎 둥지, 나뭇가지 그룹 또는 나무 구멍에 모여 함께 잠을 잔다.
갈라고의 사회 구조는 사회적 측면과 고독한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는 놀이 행동에서도 나타난다. 갈라고는 혼자 나뭇가지에서 그네를 타거나 높이 기어올라 물건을 던지기도 하고, 다른 개체들과 함께 싸움 놀이, 몸단장 놀이, 따라 하기 놀이 같은 사회적 놀이를 하기도 한다. 따라 하기 놀이에서는 두 마리의 갈라고가 나무 사이를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서로를 쫓아다닌다. 그룹 내에서 나이가 많은 갈라고는 혼자 쉬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어린 갈라고들은 서로 끊임없이 접촉하며 지낸다.[15] 예를 들어 가넷갈라고(Galago garnettieng)의 경우, 어미는 종종 어린 새끼들을 오랫동안 혼자 내버려두며 새끼들이 멀리 가는 것을 막으려 하지 않는다. 반대로 새끼는 어미 곁에 머물며 먼저 다가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16]
몸단장은 갈라고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갈라고는 휴식을 취하기 전, 쉬는 동안, 그리고 쉬고 난 후에 스스로 몸단장을 한다. 다른 개체와 함께하는 사회적 몸단장은 주로 그룹 내 수컷들에 의해 더 자주 이루어지며, 암컷들은 종종 수컷의 몸단장 시도를 거부하기도 한다.[15]
4. 인간과의 관계
"부시 베이비"라는 이름은 아이들이 밤에 밖에 나가지 못하도록 겁을 주는 데 사용된 신화와 관련이 있다.[17] 갈라고의 아기 같은 울음소리[18]는 인간을 납치할 수 있는 강력한 동물에 대한 신화의 근원으로 여겨진다. 또한 나이지리아에서는 야생 갈라고가 평지에서 죽은 채 발견되지 않고, 대신 죽기 전에 나뭇가지, 잎, 잔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는다는 속설이 있다. 하지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갈라고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 이러한 주장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영어권에서는 갈라고과 동물을 '부시베이비'(bushbaby)라고 부르기도 한다.[19]
참조
[1]
간행물
MSW3 Groves
[2]
웹사이트
Bush babies
https://web.archive.[...]
2019-11-19
[3]
웹사이트
African Wildlife Foundation: Bush Baby
https://web.archive.[...]
Awf.org
2013-02-26
[4]
논문
A multilocus phylogeny reveals deep lineages within African galagids (Primates: Galagidae)
2014-04-02
[5]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of Living Primates
2011-03-17
[6]
논문
A new genus for the eastern dwarf galagos (Primates: Galagidae)
[7]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Laetoli: Human evolution in Context. Volume 2: Fossil Hominins and the Associated Fauna
https://www.springer[...]
Springer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9]
웹사이트
The Life Spans of Nonhuman Primates
http://pin.primate.w[...]
[10]
논문
Vocal Profiles for the Galagos: A Tool for Identification
2013
[11]
논문
An analysis of the jump of the Lesser Galago (''Galago senegalensis'')
https://zslpublicati[...]
1965
[12]
논문
Vertical jumping in ''Galago senegalensis'': the quest for an obligate mechanical power amplifier
1998-10-29
[13]
논문
Microstimulation reveals specialized subregions for different complex movements in posterior parietal cortex of prosimian galagos
2005
[14]
논문
Cortical connections of the functional domain for climbing or running in posterior parietal cortex of galagos
[15]
논문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social behaviour of the greater galago, ''Galago agisymbanus'' Coquerel, 1859, in captivity
https://www.jstor.or[...]
1982-09
[16]
논문
Mother-Infant Interactions in Captive Thick-Tailed Galagos (''Galago garnetti'')
1990
[17]
웹사이트
Horrifying myths and legends from across the continent
https://www.pulse.ng[...]
2018-07-19
[18]
뉴스
Scary Nigerian Urban Legends- Bush Baby
https://edwinmadu.co[...]
2013-08-02
[19]
문서
サルの分類名(その8:原猿)
https://doi.org/10.2[...]
霊長類研究
[20]
문서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24年7月版
http://www.j-monkey.[...]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21]
문서
The role of forest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species diversification among galagos (Primates: Galagidae)
https://doi.org/10.1[...]
Journal of Biogeography
[22]
문서
A new genus for the eastern dwarf galagos (Primates: Galagidae)
https://doi.org/10.1[...]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23]
웹인용
African Wildlife Foundation
http://www.awf.org/c[...]
Awf.org
2012-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