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루스는 키벨레 여신을 숭배하는 종교 의식에 참여한 환관 사제를 지칭한다. 기원전 3세기 로마에 키벨레 숭배가 유입된 후, 갈루스는 종교 의식을 수행하고 자선을 구걸하며 점술을 행했다. 갈루스는 종종 여성 의상을 착용하고 스스로를 거세했으며, 로마 사회에서 '제3의 성'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로마 사회의 갈루스에 대한 인식은 숭배와 멸시가 공존하는 복합적인 양상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소수자의 고대사 - 향연
    플라톤의 《향연》은 아테네 연회에서 에로스를 주제로 다양한 인물들이 연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소크라테스는 에로스를 미의 이데아를 향한 추구로 정의하며 플라토닉 러브 개념을 제시한다.
  • 성소수자의 고대사 - 테바이 신성대
    테바이 신성대는 고르기다스가 조직한 동성 연인 관계의 150쌍 남성으로 구성된 300명 정예 보병 부대로, 펠로피다스 휘하에서 스파르타군 격파에 큰 공을 세웠으나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전멸하며 용맹함의 상징으로 남았다.
  • 환관 - 필레타이로스
    필레타이로스는 기원전 4세기 아나톨리아 출신으로, 디아도코이 전쟁 속에서 리시마코스의 신임을 얻어 페르가몬 통치자가 되었고, 셀레우코스 1세에게 투항하여 리시마코스를 몰락시키는 데 기여하며 약 40년간 페르가몬을 통치하며 도시를 발전시키고 영향력을 확대, 자녀가 없어 조카 에우메네스 1세를 후계자로 삼았으며 아탈로스 왕조는 그를 기려 동전에 흉상을 새겼다.
  • 환관 - 바고아스
    바고아스는 환관 출신으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의 재상으로 이집트 병합에 기여하고, 아르세스를 옹립한 후 독살하고 다리우스 3세를 세웠으나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처형당했으며, 부를 축적하고 유대인에게 세금을 부과했다.
  • 키벨레 - 다크틸로이
    다크틸로이는 크레테 이다 산에서 숭배받던 신화 속 존재들로, 금속 가공 기술을 발명하고 철을 발견했으며, 대장장이 길드와 연관되고 쿠레테스, 코리반테스, 카베이리 등과도 연관성을 가진다.
  • 키벨레 - 아탈로스 1세
    아탈로스 1세는 기원전 241년부터 197년까지 페르가몬을 통치한 왕으로, 갈라티아인 격퇴, 셀레우코스 왕조와의 전쟁 승리, 로마와의 동맹, 문예 장려, 키벨레 숭배 도입 등의 업적을 남겼다.
갈루스
개요
종류거세된 갈루스 사제
역할프리기아 여신 키벨레 숭배
어원
어원 설명'갈루스(Gallus)'는 프리기아 여신 키벨레의 거세된 사제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역사적 배경
기원프리기아
숭배 여신키벨레
로마 제국기원전 203년 로마에 소개
종교적 의식축제 기간 동안 자기 거세 행위
법적 제한클라우디우스 황제 통치 하에 로마 시민의 갈루스 입성 금지
역할키벨레 여신 숭배 의식 주관
의례 및 특징
자기 거세키벨레 여신에 대한 헌신의 표시
여성복 착용여성스러운 옷을 입고 긴 머리를 유지
보석 착용화려한 장신구 착용
숭배 행위춤, 음악, 광란의 엑스터시 동반
사회적 역할사회적 지위는 다양했으며, 멸시와 존경을 동시에 받음
사회적 인식
로마 사회양면적인 시선 (매혹과 혐오)
문학 작품다양한 문학 작품에서 묘사됨
현대적 시각성별과 정체성에 대한 복잡한 해석

2. 기원

키벨레 숭배는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1] 기원전 300년경 그리스에 전파되었을 수 있다.[2] 원래 그들은 신성한 상징물인 검은 운석을 오늘날 터키에 위치한 페시누스의 메갈레시온이라는 사원에 보관했다.

갈리(galli)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이전 자료들을 10세기에 편집한 ''그리스 선집''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러 경구시에서 그들의 거세된 상태를 언급하거나 암시하고 있다.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6세기)는 갈리라는 이름이 갈루스 왕[3]에서 유래했다고 말했고, 오비디우스(기원전 43년 – 서기 17년)는 프리기아의 갈루스 강[4]에서 유래했다고 말했다. 같은 단어(단수형 ''갈루스'', 복수형 ''갈리'')는 로마인들이 켈트족과 수탉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특히 후자는 언어유희의 대상이 되었다.[5]

3. 로마로의 유입

기원전 205년, 로마에 유성우가 쏟아지고 흉작과 기근이 발생하자, 로마 원로원과 시빌린 서는 이를 괴물로 해석했다. 즉, 신의 분노와 로마의 파멸을 경고하는 징조로 받아들여 마그나 마테르 숭배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여 속죄해야 한다고 판단했다.[6] 로마는 여신을 동맹으로 삼아 기근을 끝내고 카르타고와의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믿었다.

기원전 204년, 로마 원로원은 키벨레를 국가 여신으로 공식 채택했다. 소아시아에 있던 숭배상을 로마로 가져와 승리의 신전에 안치하고, 팔라티노 언덕으로 옮겼다. 이후 매년 4월 4일부터 10일까지 메갈레시아 축제를 열어 공공 게임, 동물 희생, 갈리들의 음악 연주로 기념했다.[7][9]

마리우스가 게르만 부족과의 전쟁을 계획했을 때, 바타케스라는 갈리 사제가 로마의 승리를 예언하자, 원로원은 여신에게 승리 신전을 짓도록 투표했다.[10]

3. 1. 로마 사회의 반응

디오니시우스는 로마 시민들이 마그나 마테르 신앙 의식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문헌 자료에서는 갈리(galli)를 "반쪽 인간"이라고 칭하며, 학자들은 로마인들이 갈리를 멸시했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외래 신앙에 대한 로마인들의 반감은 로마의 사회적 현실이라기보다는 현대 학자들의 창작일 가능성이 더 크다. 고고학자들은 팔라티노 언덕에서 아티스의 봉헌 조각상을 발견했는데, 이는 로마 시민들이 어느 정도 마그나 마테르와 그녀의 배우자를 숭배하는 데 참여했음을 의미한다.[6]

아르키갈루스(archigallus)는 로마 시민이었으며, 로마 국가에 고용되었기 때문에, 신앙 전통을 보존하면서 로마의 종교적 금지를 위반하지 않는 아슬아슬한 입장에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아르키갈루스가 결코 환관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는데, 로마의 모든 시민은 ''에비라티오'' (거세)가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11] (이 금지 조항은 최초의 갈리가 아시아인이거나 노예였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클라우디우스는 거세 금지 조항을 해제했고, 도미티아누스는 이후 이를 재확인했다.[12] 로마 시민들이 마그나 마테르 신앙에 참여할 수 있었는지, 아니면 그 구성원이 전적으로 외국 출신이었는지 여부는 학문적 논쟁의 대상이 된다.

4. 종교적 관습

갈리들은 3월 24일에 "피의 날"(Dies sanguinis)이라고 불리는 황홀경에 빠진 축제 기간 동안 스스로를 거세했다.[15] 아티스를 기리는 이날, 그들은 거칠고 흐트러진 모습으로 뛰어다녔으며, 피리와 탬버린 음악에 맞춰 춤을 추었고, 황홀경에 빠져 피가 날 때까지 스스로를 채찍질했다.[16] 이어서 축제와 휴식의 날이 이어졌다.

성스러운 축제는 입문 의식의 일부였다. 다른 종교에 반대했던 기독교인인 파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갈리들의 암호로 추정되는 "나는 탬버린에서 먹었고, 심벌즈에서 마셨으며, 아티스의 입문자가 되었다."라는 내용을 공개했다. 이 암호는 ''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에 인용되어 있다. 하지만 암호는 그리스어로 쓰여 있으며 라틴어로 번역되어 있는데, 라틴어에는 아티스에 대한 언급이 없다.[17][18]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가 전한 엘레우시스 비의는 "나는 단식했고, ''퀴케온''[곡물이 섞인 물]을 마셨으며, 성스러운 상자에서 취하여 그것으로 작업하여 바구니에 넣었고, 바구니에서 상자에 넣었다."라는 유사한 형식을 포함한다. 클레멘트는 (20세기 역사가가 요약한 바에 따르면) "''케르노스''라고 불리는 그릇을 들고" "''파스토스'' 또는 신방"에 들어갔다고 전했다.[20]

그들의 직책을 나타내는 표시는 월계관일 가능성이 있는 일종의 왕관과 오카부스(occabus)라고 알려진 금팔찌로 묘사되었다.[21] 그들은 일반적으로 여성 의상(종종 노란색)과 터번, 펜던트, 귀걸이를 착용했다. 그들은 머리카락을 표백하고 길게 늘어뜨렸으며, 진한 화장을 했다. 그들은 추종자들과 함께 돌아다니며 자선을 구걸했고, 그 대가로 점술을 쳐줄 준비가 되어 있었다.

로마에서 갈리들의 수장은 적어도 클라우디우스 시대부터 ''아르키갈루스''(archigallus)로 알려졌다. 다수의 고고학적 발견물은 아르키갈루스가 사치스럽고 화려한 의상을 입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다. 아르키갈루스는 항상 킨데킴비리 사크리스 파키운디스가 선택한 로마 시민이었으며, 임기는 종신형이었다.[22] 아르키갈루스 제도가 도입되면서 프리기아눔 성소와 마그나 마테르와 관련된 타우로볼리움 의식이 함께 등장했는데, 이 두 가지는 아르키갈루스가 지배하는 마그나 마테르 숭배의 측면이었다.[21]

5. 지방으로의 확산

커터릭에서 2002년에 4세기 로마 시대 갈루스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이 갈루스는 여성 옷을 입고 흑옥, 셰일, 청동으로 만든 보석을 착용했으며, 입안에 두 개의 돌을 물고 있었다. 잉글리시 헤리티지의 수석 고고학자 피트 윌슨은 "이번 발견은 잉글랜드 북부가 얼마나 세계적이었는지를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하드리아누스 방벽의 중요한 로마-브리튼 정착지인 코르브리지에는 여신 키벨레에게 바쳐진 제단이 있다.[13]

요크의 헝게이트에서 발굴된 4세기 묘지에서는 갈리(Galli)의 일원일 가능성이 있는 매장지가 확인되었다. 유골은 남성이었지만, 여성과 강하게 연관된 흑옥 팔찌와 함께 매장되었다는 증거가 이를 뒷받침한다. 이는 커터릭에서 발견된 갈루스 매장과도 유사하다.[14]

라비니움에서 온 아치갈루스의 장례 부조, 서기 2세기 중반, 카피톨리노 박물관, 로마


갈루스 사제의 조각상, 2세기, 카피톨리니 박물관

6. 현대적 해석

셸리 헤일스는 그리스와 로마 문학이 환관들의 성적, 인종적 차이를 강조하며, 그들이 밝은 옷, 값비싼 장신구, 화장을 하고 표백하고 컬을 넣은 머리를 한 것으로 묘사했다고 적었다.[23] 갈리가 스스로를 거세하고 여성의 의상, 액세서리 및 화장을 했기 때문에, 일부 현대 학자들은 그들을 트랜스젠더로 해석한다.[24][25] 파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그들은 자신이 남자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들은 여자로 보이기를 원한다"라고 말했다.[26]

갈리는 로마 사회에서 "제3의 성"을 차지했을 수도 있다. 제이콥 레이덤은 마그나 마테르의 이국적인 특성과 사제들의 성 정체성 불일치를 연결시켰다. 로마의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구성 밖에서 존재했을 수 있으며, 이는 갈리의 성 규범 위반에 대한 로마 남성 시민들의 부정적인 반응을 설명할 수 있다.[27]

일부 학자들은 아티스의 자발적 거세 에피소드를 갈리의 의식적인 거세와 연결시켰다.[28][29] 페시누스에서 키벨레 숭배의 중심지에는 헬레니즘 시대에 "아티스"와 "바타케스"라는 칭호를 가진 두 명의 환관 대사제가 있었다.[30]

참조

[1] 서적 The Harem: an account of the institution as it existed in the Palace of the Turkish Sultans with a history of the Grand Seraglio from its foundation to modern times Dorset Press
[2] 서적 Castration: An Abbreviated History of Western Manhood Routledge
[3]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4]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5] 서적 The Manly Eunuch: Masculinity, Gender Ambiguity, and Christian Ideology in Late Antiqu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서적 The Magna Mater Romana: A sociocultural study of the cult of the Magna Mater in Republican Rome http://worldcat.org/[...]
[7] 서적 Eunuchs and Castrati: A Cultural History Markus Wiener
[8] 서적 The History of Rome from Its Foundation
[9] 서적 Hellenistic Religion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Life of Marius, 17.5 (The Parallel Lives, Vol IX), published circa 100 CE https://penelope.uch[...] 2020-12-12
[11] 서적 The cults of the Roman Empire Wiley-Blackwell
[12]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13] 뉴스 Dig reveals Roman transvestite http://news.bbc.co.u[...] 2020-12-12
[14] 웹사이트 International Transgender Day of Visibility: The Galli in Yorkshire https://www.yorkarch[...] 2023-04-03
[15]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16]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17] Thesis Julius Firmicus Maternus: 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https://scholarship.[...] 2016-04-22
[18] 서적 Firmicus Maternus : the error of the pagan religions Newman Press 1970
[19] 웹사이트 Iulij Firmici Materni V.C. 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 ad Constantium & Constantem Augustos liber: nunquam antehac in lucem editus https://access.bl.uk[...] 2022-09-10
[20] 서적 Religion in Greece and Rome. [Originally published as Ancient Greek Religion (1946) and Ancient Roman Religion (1948) by Hutchinson and Co. in London.] Harper and Row
[21] 서적 The cults of the Roman Empire Wiley-Blackwell
[22] 서적 Dictionary of Roman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Eunuchs in Antiquity and Beyond The Classical Press of Wales and Duckworth
[24] 서적 Transgender Lives: Complex Stories, Complex Voices
[25] 서적 Transgender, Intersex and Biblical Interpretation
[26] 서적 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 (Section 4.1-2)
[27] 간행물 '"Fabulous Clap-Trap": Roman Masculinity, the Cult of Magna Mater, and Literary Constructions of the galli at Rome from the Late Republic to Late Antiquity' https://www.jstor.or[...] 2012
[28] 서적 Greek and Roman religions http://worldcat.org/[...] John Wiley & Sons
[29] 간행물 Attis: A Greek God in Anatolian Pessinous and Catullan Rome https://www.jstor.or[...] 2004
[30] 문서 Eunuchs in Ancient Religion
[31]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The Mary Myth : On the Femininity of God
[35] 서적 Hellenistic Religion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1977
[37]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1977
[38] 서적 Cybele and Attis: the myth and the cult Thames and Hudson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