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갑상샘암은 갑상샘에 생기는 암으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방사선 노출, 유전적 요인 등이 관련될 수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목의 혹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진단은 초음파, 세침 흡인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갑상샘암의 종류와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치료는 수술을 통한 근본적인 제거가 우선이며, 방사성 요오드 치료, TSH 억제 요법, 표적 치료제 등이 사용된다. 갑상샘암은 치료가 잘 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으며, 10년 생존율이 높다. 한국에서는 갑상샘암 검진이 널리 퍼지면서 과잉 진단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갑상샘암 - 갑상샘수질암
갑상선수질암은 갑상선 C세포에서 기원하여 칼시토닌을 과다하게 생성하며, 갑상선 결절, 경부 림프절 비대 등의 증상을 보이고, RET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수술, 방사선 치료,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 등으로 치료한다. - 갑상샘 질환 - 갑상샘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 과다 분비로 신진대사가 촉진되어 체중 감소, 불안,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자가면역 질환, 갑상선 결절 등이 원인이 되어 혈액 검사, 갑상선 스캔 등으로 진단하고, 항갑상선제, 방사성 요오드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갑상샘 질환 - 선천아이오딘결핍증후군
선천아이오딘결핍증후군은 아이오딘 결핍으로 갑상선 기능 저하, 성장 부진, 신경학적 손상을 일으키며, 식이성 결핍이 주 원인이고 임산부 결핍은 태아 뇌 발달에 악영향을 주어, 요오드 첨가 소금 사용 및 보충제 복용으로 예방 가능하며, 과거에는 크레틴병이라고도 불렸으나 현재는 멸칭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 내분비 신생물 - 부신종양
부신종양은 부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종양을 통칭하며, 부신 피질과 수질에서 각각 다른 종류의 종양이 발생하고, 진단에는 영상 검사 및 호르몬 검사가 사용되며, 치료는 종양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수술, 약물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이 시행된다. - 내분비 신생물 - 인슐린종
인슐린종은 췌장의 랑게르한스 섬 세포에서 발생하는 희귀한 신경내분비 종양으로 과도한 인슐린 분비를 유발하여 저혈당증을 일으키며, 위플 삼징, 혈액 검사, 금식 검사, 영상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외과적 종양 제거가 주된 치료법이며,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약물 치료 등을 고려하고 조기 진단 및 치료 시 완치 가능성이 높지만 재발 위험이 있어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갑상샘암 | |
---|---|
개요 | |
분야 | 종양학 |
증상 | 목의 부기 또는 덩어리 |
합병증 | 해당 없음 |
발병 시기 | 해당 없음 |
지속 기간 | 해당 없음 |
종류 | 해당 없음 |
원인 | 해당 없음 |
위험 요인 | 방사선 노출 비대해진 갑상선 가족력 비만 |
진단 | 초음파 미세침 흡인 |
감별 진단 | 갑상선 결절 전이성 질환 |
예방 | 해당 없음 |
치료 |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 요법 갑상선 호르몬 표적 치료 경과 관찰 |
약물 | 해당 없음 |
예후 | 5년 생존율 98% (미국) |
빈도 | 320만 명 (2015년) |
사망자 수 | 31,900명 (2015년) |
추가 정보 | |
![]() |
2. 원인
갑상샘암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방사선 노출: 갑상샘암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밝혀진 유일한 요인이다. 특히 어릴 때 다량의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위험이 커진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같이 방사능 누출 사고 지역에서 소아 갑상샘암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172] 엑스레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과 같은 의료 진단, 치료 및 검사 분야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사용 증가도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 요오드 과잉 섭취: 요오드가 풍부한 해조류 섭취가 갑상샘암의 원인이라는 속설이 있지만,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다. 다만, 과잉 섭취는 갑상샘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 기타 환경적 요인: 식이 요오드 및 질산염 섭취, 서구화된 생활습관, 비스페놀과 같은 환경 오염원 증가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 한국 특이 요인: 폭탄주 등의 과음 및 만성 음주, 성인 체중 증가, 어릴 때부터의 간접흡연 등도 갑상샘암 발생과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다.[172]
- 유전적 요인: 다발성 내분비 종양증 2형과 같은 유전 질환은 갑상샘암, 특히 수질암 발생률을 높인다.[22]
- 기타 질환: 갑상선염 및 기타 갑상선 질환도 갑상샘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19][21]
- 화학 물질:
- 드로나비놀(THC): 미국 국가 독성 프로그램(NTP)의 발암성 시험에서 갑상샘 선종 발생과 연관성이 발견되었다.[134][135]
-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미노사이클린을 쥐에게 장기간 투여한 실험에서 갑상샘 여포 세포에 선종과 암종 발생이 증가했다.[136][137]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서 갑상샘암 진단이 급증했는데, 이는 초음파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172] 그러나 수술 건수는 증가했지만 사망률은 변함이 없어, 과잉 진단 및 불필요한 수술에 대한 논란이 있다.[172][173] 2021년, UNSCEAR(원자 방사선 영향에 관한 유엔 과학 위원회)는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후 방사선에 의한 건강 영향이 확인될 가능성은 낮다고 발표했다. 고정밀 검사 장비로 발견된 암은 치료하지 않아도 사망에 이르지 않는 "과잉 진단"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143]
3. 증상
갑상샘암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암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면 목 부위에서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숙련된 전문의는 환자 뒤편에서 촉진하여 암을 확인할 수도 있다.[174]
대부분 갑상샘암 환자는 진단 당시 증상이 없으며, 목 부위 영상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4][48] 성인의 최대 65%가 갑상샘에 작은 혹(결절)을 가지고 있지만, 이 중 암으로 밝혀지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10% 미만이다.[14][175]
때로는 림프절 비대가 첫 번째 징후일 수 있으며, 암이 진행되면 목 앞부분 통증이나 반회 후두 신경 침범으로 인한 목소리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15]
갑상샘암은 대개 정상 갑상선 기능 환자에게서 발견되지만, 크거나 전이된 분화 갑상샘암의 경우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20세 미만 환자에게서 갑상선 결절이 발견될 경우 악성 종양 가능성이 더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16]
최근에는 건강 검진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증상 없이 우연히 갑상샘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4. 진단
초음파를 통해 갑상샘암 진단이 가능하다. 초음파 영상에서 불명확한 경계, 어두운 색상, 석회화, 세로로 긴 모습(taller than wide) 등은 악성(암)일 가능성을 높인다. 이러한 소견이 보이면 초음파유도상세침생체검사(FNAC)를 통해 추가 검사를 한다. FNAC의 정확도는 높지만, 약 5%의 경우 암인데도 불구하고 암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총검사(gun aspiration biopsy)를 실시하거나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4]
초음파 소견으로도 암 여부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의심되는 경우 수술을 통해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갑상샘 내 모낭에 생기는 여포암은 수술 전까지 악성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워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 주로 경부(목) 초음파를 실시하며, 쇄골부터 턱밑침샘까지 스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장점: 신체적 피해가 없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 단점: 목 이외의 부위는 진단하기 어렵고, 일정 크기 이상이 되어야 발견 가능하다.
한국에서는 초음파 검사가 갑상샘암의 표준 검사로 인정받지 않아 비급여로 진행된다.
신체 검사나 영상 검사에서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내분비내과 또는 갑상선 전문의에게 진료를 의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절 유무 및 갑상선 상태 평가를 위해 의료 초음파가 수행된다. 갑상선 영상 보고 및 데이터 시스템(TI-RADS) 점수를 포함한 다양한 방사선학적 기준이 악성 종양 위험을 특정하는 데 사용된다.[23] 미국 방사선학회(ACR)에서 개발한 TI-RADS는 어떤 결절에 세침 흡인 세포 검사(FNAC)가 필요한지 결정하고 후속 조치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준다. 초음파에서 저에코성(고형), 불규칙한 경계, 혈관 증가, 석회화가 있거나 횡단면에서 너비보다 키가 큰 결절은 악성 종양과 관련이 있다.[4] 초음파 소견이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 생검 또는 세포 검사가 필요하다. 초음파 결과가 모호하거나 불분명하거나 갑상선 결절이 작은 경우(일반적으로 1cm 미만)에는 일련의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결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4] 초음파는 갑상선암 검출에 대한 민감도 64-77%, 특이도 82-90%를 보인다.[4]
갑상선 자극 호르몬, 유리 및/또는 총 트리요오드티로닌(T3) 및 티록신(T4) 수치, 항갑상선 항체를 측정하면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같은 기능성 갑상선 질환 유무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양성 결절성 갑상선종의 원인이 된다.[24] 방사성 요오드 섭취 검사와 함께 자주 수행되는 갑상선 스캔은 결절의 과활성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25] 이는 결절 생검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6] 칼시토닌 측정은 수질 갑상선암을 배제하는 데 필요하다. 확진을 위해 세침 흡인 세포 검사를 수행하고 베데스다 시스템에 따라 보고할 수 있다.[27]
진단 후, 질병 전파 가능성을 확인하거나 수술 후 추적 관찰을 위해 전신 I-131 또는 I-123 방사성 요오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28] 증상이 없는 성인의 경우 갑상선암 검진은 권장되지 않는다.[29]
기타 검사 방법
- 티로글로불린(Thyroglobulin, TG) 검사 (흔히 암 수치라고 부름)
- TG를 만드는 세포가 암세포인지 정상 갑상샘 세포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 갑상샘 전절제, 아전절제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RA)를 받은 환자로서 전신 스캔(WBS)에서 깨끗하다면 TG는 0~1 mg/UL이 정상 수치이다.
- 신지로이드로 TSH를 억제하지 않았을 때의 수치(OFF-TG)가 임상적으로 더 중요하다.
- 항체가 생겨 TG 수치를 낮추기도 하므로 TG-Antibody 검사(정상: 20 이하)도 확인해야 한다.
- TG 수치가 2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계속 증가하면 i-131 치료나 PET 검사 등으로 병변 유무를 확인한다.
- 일반적으로 TG 수치가 10 이상이면 경부, 100 이상이면 폐, 500 이상이면 뼈 재발 확률이 높지만, 확진은 별도 검진이 필요하다. (미국갑상샘의학회)
- 장점: 피검사로 쉽게 모니터링 가능하고 예민하다.
- 단점: 검사 기관, 진단 시약에 따라 오차가 존재한다.
- 방사성 요오드 스캔
- 치료와 검사 과정이 동일하다.
- 갑상샘기능저하증(높은 TSH)을 만들고 저요오드식을 통해 잔여 갑상샘 세포가 요오드를 흡수하게 한 후 감마 카메라로 촬영한다.
- 갑상샘 외 부위 흡수, 이전 검사에 없던 부위 흡수는 재발을 의미한다.
- 병소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SPECT/CT로 촬영하기도 한다.
- 장점: 매우 정확하고 확진이 가능하다.
- 단점: 갑상샘 기능을 하지 못하는 암세포는 확인할 수 없다.
- PET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 일반적인 PET과 동일하다.
- 암세포의 활발한 대사 활동을 이용, 동위원소화된 포도당을 활용하여 3차원으로 스캔한다.
- 검사 정확도를 위해 TSH 수치를 높이기도 한다.
- 장점: 다양한 부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 단점: 염증과 구분되지 못할 수 있으며, 느리게 자라는 갑상샘암은 발견하지 못할 수 있다.
- 촉진: 갑상선 종양 진단을 위해 시행된다.
- 신티그래피: 방사성 요오드나 테크네튬을 주사하여 종양에 모인 모습을 촬영한다. 종양 위치, 전이 유무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감도가 항상 좋지는 않다.
- 종양 표지자:
- 혈청 사이로글로불린은 유두암, 여포암의 종양 표지자이지만, 정상 갑상선 조직에서도 분비되므로 수술 전 감별 진단에는 사용할 수 없다.[151] 수술(전 절제) 후 재발 표지자로 중요하다.[152][151]
- 수질암의 종양 표지자로는 칼시토닌, CEA가 있으며, 수술 전 진단에도 사용할 수 있다.[153][151]
종합 진단: 촉진, 초음파, 세침 흡인 세포 검사를 조합하여 진단한다. 여포암의 경우 양성 여포선종과의 감별이 어려워, 명확한 피막 침윤이나 원격 전이가 발견되지 않는 한 수술 전 진단은 거의 불가능하다.[86][151]
5. 분류
갑상샘암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되지만, TNM 분류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45세 미만은 원격전이가 없으면 1기, 있으면 2기로 구분한다. 45세 이상의 경우 종양의 크기와 위치, 림프절 전이 위치, 원격전이 여부에 따라 1기에서 4기까지 구분한다. 미분화암은 모든 경우에 4기로 분류된다.[31][32]
45세 미만이라도 종양의 크기와 개수, 위치, 림프절 전이 위치 등에 따라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나뉘며, 치료 기준이 다르다. 고위험군 인자는 다음과 같다.
- 종양의 크기: 클수록 위험하다.
- 종양의 개수: 다발성이 단발성보다 위험하다.
- 종양의 위치: 갑상샘 내 위치 → 갑상샘 주변 연부조직 → 갑상샘 피막 → 주변 근육/혈관 순으로 위험도가 높아진다.
- 림프절 전이 위치: 없음 → 갑상샘 중앙 부분 → 갑상샘 좌우 → 목의 좌우 순으로 위험도가 높아진다.
- 기타: 암세포의 유전자 세포를 검사하여 판단하기도 한다.
유두 갑상선암과 여포 갑상선암은 갑상선 분화암으로 분류되며, 갑상선암의 대부분(97%)을 차지한다.[85] 갑상선암은 암의 종류와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므로, 조직형과 병기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두암과 여포암의 병기는 연령에 따라 다르다. 55세 미만은 원격 전이 유무에 따라 I기, II기로 분류하고, 55세 이상은 암의 크기, 범위,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의 전이 유무에 따라 분류한다.[109] 국제 암 연합(UICC) 제8판부터는 분화암(유두암, 여포암)의 Stage 분류에서 연령 경계를 45세에서 55세로 높이고, N1 사례를 고령군에서도 Stage II에 머무르게 하는 등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5. 1. 갑상샘암 분류의 변천
갑상선암은 조직병리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31][32] 이러한 변종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다양한 아형에 대한 분포는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음):
- 유두 갑상선암: 전체 갑상선암의 75~85%를 차지한다.[33] 젊은 여성에게서 더 자주 진단되며 예후가 좋다.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이나 코덴 증후군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유두 갑상선암의 여포 변종도 존재한다.[34]
- 유두 유사 핵 특징을 가진 비침습성 여포 갑상선 신생물(NIFTP): 새롭게 재분류된 변종으로, 생물학적 잠재력이 제한적인 완만한 종양으로 간주된다.
- 여포 갑상선암: 전체 갑상선암의 10~20%를 차지한다.[33] 코덴 증후군 환자에게서 가끔 발견된다. 일부에서는 허들 세포 암종을 변종으로 포함시키고, 다른 사람들은 이를 별도의 유형으로 분류한다.[7][35]
- 수질 갑상선암: 전체 갑상선암의 5[33]~8%를 차지한다. 다발성 내분비 종양 2형의 일부인 부갑상선 세포의 암이다.[36]
- 분화 불량 갑상선암
- 역형성 갑상선암: 갑상선암의 1~2%[37]를 차지하지만, 갑상선암 사망의 20%를 차지한다.[4] 중앙 생존 기간이 6.5개월로 심각한 경과를 보인다.[4]
- 기타
- 갑상선 림프종
- 편평 세포 갑상선 암종
- 갑상선 육종
- 허들 세포 암종
여포형과 유두형은 함께 "분화 갑상선암"으로 분류될 수 있다.[38] 이러한 유형은 수질형 및 미분화형보다 예후가 더 좋다.[39]
유두 미세 암종은 1cm 이하의 결절로 정의되는 유두 갑상선암의 하위 집합이다.[40] 모든 갑상선암의 43%와 유두 갑상선암의 새로운 사례의 50%가 유두 미세 암종이다.[41][42] Harach 등은 환자가 암에 걸렸다는 사실에 대해 고통을 느끼지 않도록 "잠복성 유두 종양"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Woolner 등은 1960년에 직경이 1.5cm 이하인 유두 암종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으로 "잠복성 유두 암종"이라는 용어를 임의로 만들었다.[43]
같은 암이라도 성질이 다르면 검사, 치료법, 예후도 달라진다. 암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분류는 적절히 갱신된다.
갑상샘암 분류는 다음과 같이 변천하였다.
분류 체계 | 내용 | 판(년도) |
---|---|---|
국제 암 연합(UICC) | TNM 분류: 1950년대 유럽에서 시작. 악성 종양 진행도에 관한 국제적 분류 체계 | 제2판(1974년), 제3판(1982년), 제4판(1987년), 제5판(1997년), 제6판(2002년), 제7판(2009년), 제8판(2016년) |
미국 암 위원회(AJCC) | TNM 병기 분류: 미국에서 제작. 2017년 8판에서 연령 구분 45세→55세로 상향 (UICC와 동일) | 제8판(2017년) |
일본 갑상선암 취급 규약 | 일본 국내에서만 이용되는 갑상선암 분류 규약 | 제1판(1977년), 제2판(1983년), 제3판(1988년), 제4판(1991년), 제5판(1996년), 제6판(2005년), 제7판(2015년), 제8판(2019년), 제9판(2023년) |
일본 갑상선암 취급 규약 제8판 | UICC-TNM 분류(제8판), WHO 분류(제4판), 베데스다 시스템(제2판) 반영. 분화 갑상선암 연령 경계 45세→55세 변경. N1 사례 고령군 Stage II 유지. 경계 병변(FT-UMP, WDT-UMP, NIFTP) 채택 보류. 저분화 암 정의 기존 기준 유지. 여포암 침윤 양식 분류에 피막성 혈관 침윤형 추가 | 제8판(2019년) |
일본 갑상선암 취급 규약 제9판 | 제8판에서 채택 보류했던 경계 병변을 저위험 종양으로 포함 | 제9판(2023년) |
베세스다 시스템(TBSRTC) | 갑상선 세포 검사 보고 형식. 미국에서 사용. 6가지 진단 범주 사용.[100] | |
베세스다 시스템 제2판 | "유두상 핵 특징을 갖는 비침윤성 여포 종양(NIFTP)" 새로운 진단 도입.[101] | 제2판(2018년) |
베세스다 시스템 제3판 | 임상 가이드라인 개정, 분자 검사 도입, NIFTP 재분류.[102] | 제3판(2023년) |
6. 치료
갑상샘암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악성이 확정되면 수술을 통한 근치가 가장 우선시된다.[48] 수술 전에는 필요에 따라 CT, MRI, PET 등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경부 림프절 전이가 약 절반의 경우에서 발견되므로, 의심스러운 병변이 있다면 수술 방법을 변경하거나 절개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수술 방법에는 개복 수술, 내시경, 로봇 수술 등이 있다. 최근에는 높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빠른 회복과 미용상의 이유로 로봇 수술이 선호되지만, 일부 의사들은 암세포가 수술 과정에서 조직이 통로 등에 남을 수 있고, 경부 곽청술과 같이 목 부분의 임파선을 다 들어내야 할 경우 직접 눈으로 보고 작업하는 것에 비해 정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권유하지 않기도 한다.
수술 방식은 갑상샘 전절제 수술과 반절제 수술로 나뉜다. 전절제 수술은 향후 방사성 옥소를 이용한 동위원소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TG(Thyroid Globlin)를 통한 암 추적을 용이하게 한다. 반면, 수술 후 발성 이상, 근육 동작 이상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수술 시간이 길어지며 후유증 발생 확률이 높다. 반절제 수술은 후유증과 부작용이 적지만, 초음파 등으로만 추적 관찰이 가능하고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갑상샘은 성대 활동을 관장하는 회돌이 신경과 가까워 수술 직후 일정 기간 말을 하지 못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부갑상샘은 칼슘의 체내 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 갑상샘 제거 시 손상되거나 다시 작동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손이 꼬이는 증상이 나타나며, 즉시 칼슘제를 투여해야 한다.
갑상샘은 인체 내에서 유일하게 요오드를 흡수하는 기관이다. 이를 이용하여 방사성 물질을 표적 치료제처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방사성 옥소 치료라고 한다. 방사성 옥소 치료는 갑상샘을 전절제한 환자가 TSH(갑상샘 자극 호르몬)가 높은 상태(인위적 갑상샘 기능 저하증 상태)에서 방사성 요오드를 섭취하면 정상 혹은 비정상 갑상샘 세포가 요오드를 흡수하고, 이때 동위원소가 내뿜는 다량의 방사선(베타/감마)에 의해 세포가 죽게 되는 원리이다. 용량(30 mCi, 1.1 GBq 초과 시)에 따라 방사선 차폐 병실에 입원 치료(통상 100 mCi까지는 1박 2일, 그 이상은 2박 3일)를 해야 하는데, 이는 다른 사람에게 불필요한 방사능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함이다.
갑상샘암 세포나 정상 갑상샘 세포가 방사성 물질을 즉시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 환자는 TSH를 높이기 위해 갑상샘 호르몬(신지로이드)을 4주간(수술 직후는 5주 이상) 복용 중단하여 TSH를 30 mg/UL로 높이고, 요오드가 들어있는 다시마나 천일염 등을 통상 2주간 먹지 않아야 한다. (저요오드식)
원발소 및 경부의 잔여 병소 또는 잔존 갑상샘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통상 100~200 mCi의 동위원소 치료를 시행한다. 제거 확률은 대략 70%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용량 치료(30 mCi)인 경우는 통상 30~50%로 알려져 있고, 3회 정도를 6~12개월 간격으로 시행한다.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통상 200 mCi 이상의 용량을 사용하며, 인체가 견딜 수 있는 방사선량을 계산하여 최대 용량으로 치료하는 것이 원칙이다. 원격 전이의 경우 미만성 폐 전이 > 뇌 > 고형 폐 전이 > 뼈 순으로 치료가 잘 되며, 뼈의 경우에도 300 mCi 이상의 고용량으로 치료된 사례가 있다. 원격 전이가 된 곳의 종양 크기가 큰 경우는 방사선, 수술, 무수 알코올(뼈 전이) 등을 이용해서 크기를 축소한 후에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TSH 수치 증가를 위해 호르몬을 중단한 기간 동안 암세포가 더 자랄 수 있다. 혈관에 인접하거나 뇌 등에 암세포가 있는 경우 급성 염증에 의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골수 등의 피폭량 증가로 백혈병이나 기타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생식 세포가 피폭을 받으면 일정 기간 문제가 될 수 있다.
갑상샘암 검사에는 초음파, 혈청 TG(thyroglobulin), I-131 또는 I-123 전신 스캔, PET 등이 혼용된다. 저위험군의 경우 통상 반절제/아전절제를 많이 하며, I-131 치료를 하지 않았으므로 경부 초음파를 주로 활용한다. 전절제나 아전절제인 경우는 TG도 활용한다. 2~3년에 한 번씩 PET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재발을 막고, 혹시 있을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TSH 억압 요법을 병행한다. 고위험군의 경우 혈청 TG/초음파를 병행하며, I-131 또는 I-123 전신 스캔을 1~2년에 한 번 시행한다. 2~3년에 한 번씩 PET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재발을 막고, 혹시 있을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TSH 억압 요법을 병행하며, 이때 TSH 수치는 저위험군에 비해 더 낮게 유지한다. (신지로이드, 신지록신과 같은 호르몬 복용량이 많다.) 따라서 혈압 상승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세침 흡인 검사로 분화 갑상샘암(예: 유두 갑상샘암) 진단이 확정되거나 의심되는 경우 수술이 필요하다.[49][50] 수술적 절제는 생검으로 확진된 모든 갑상선암에 선호되는 치료법이다. 국소 또는 전이성 확산의 증거가 없거나 세포학적 소견이 우려되지 않는 소형 유두 종양과 같이 위험이 매우 낮은 종양의 경우, 의학적 문제로 인해 수술 위험이 높은 환자, 예상 수명이 짧은 환자 또는 수술을 할 수 없는 심각한 의학적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 종양을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하는 능동적 감시 접근법(예: 일련의 영상 촬영)을 사용할 수 있다.[51]
재발 또는 전이에 대한 수술 후 모니터링에는 갑상선암 아형에 따라 정기적인 초음파, CT 스캔, FDG-PET/CT, 방사성 요오드 전신 스캔, 갑상선글로불린, 갑상선글로불린 항체 또는 칼시토닌의 변화에 대한 정기적인 혈액 검사가 포함될 수 있다.[52][53][54]
방사성 요오드-131은 유두 또는 여포 갑상선암 환자에게 수술 후 잔여 갑상선 조직 제거 및 갑상선암 치료에 사용된다.[55] 수술 후 방사성 요오드는 암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권장된다. 수술 후 방사성 요오드는 위험이 낮은 갑상선암 환자에서는 재발을 감소시키지 않는다.[4] 수질암, 역형성암 및 대부분의 허클 세포 암종 환자는 이 치료법으로 이점을 얻지 못한다.[48] 외부 방사선 조사는 암을 절제할 수 없거나 절제 후 재발하거나 뼈 전이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48]
소라페닙과 렌바티닙은 진행성 전이성 갑상선암에 승인되었다.[56] 수많은 약물이 2상 및 3상 임상 시험 중에 있다.[56]
최근 1cm 이하의 작은 유두암은 사례를 고르면 수술을 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경과를 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연구 보고가 일본에서 나왔다. 갑상선암에서의 적극적 감시는 구마 병원의 미야우치 아키라 (현 구마 병원 원장)가 제창했으며, 2015년에는 미국 갑상선 학회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ATA)에 의한 성인의 갑상선 종양 취급 가이드라인에서도 초저위험 유두암에 대한 비수술 경과 관찰 방침이 용인되어 미국, 한국, 이탈리아에서도 적극적 감시가 실시되게 되었다.[116][117] 적극적 감시는 (active surveillance), (AS), 비수술 경과 관찰, 적극적 경과 관찰이라고도 불린다. 성대 마비나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의 위험도 피할 수 있으며, 경과 관찰로 10년 후에 암의 크기가 변하지 않은 경우가 92%, 커진 경우가 8%, 수술을 한 경우에도 하지 않은 경우에도 갑상선암이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은 대상이 된 2,153명에서는 없다는 결과였다.[118]
기본적으로 절제술을 시행하지만, 1cm 이하로 증상이 없는 미세 유두암의 경우 경과 관찰을 하기도 한다. 재발 예방을 위해 림프절 곽청이나 방사성 요오드 투여를 시행한다. 갑상샘을 전절제한 경우에는 평생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해야 한다. 갑상선 호르몬을 과량 투여하여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억제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TSH 억제 요법을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항암제를 사용하는 항암 화학 요법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조직에 가까운 종양에는 효과가 낮고, 건강한 조직에서 먼 종양에는 효과가 높다. 악성도가 낮은 유두암이나 여포암은 비교적 건강한 조직에 가깝고 항암제의 효과는 낮다. 미분화암은 반대로 악성도가 너무 강하여 항암제의 효과가 낮다. 갑상선 유래의 악성 림프종에는 R-CHOP 등의 면역 화학 요법이 효과가 있는 경우가 있다.
최근, 표적 치료제가 사용 가능하게 되면서 갑상선 암의 치료 선택지가 넓어지고 있다. 표적 치료제인 소라페닙은 갑상선 암에 적응증이 있지만, 미분화암에 대한 유용성은 확립되지 않았고, 분화형 및 수질암에 투여된다.[155] 렌바티닙은 SELECT 시험의 결과로부터 분화형에 대한 적응증을 획득하고, 또한 제2상 시험의 결과로부터 수질암, 미분화암에 대한 적응증을 획득하고 있다.[156] 또한 반데타닙은 수질암에 대한 유효성이 증명되어 있으며,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157]
방사선 외부 조사는 체외에서 국소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술의 보조 요법, 전이의 증식 억제 등에 종종 이용된다. 외과적 절제가 어려운 전이 병소의 종양 축소를 목적으로 국소적으로 에탄올을 주입하는 경피적 에탄올 주입 요법(PEIT)이 사용될 수 있다.[158][159] 기타 많은 실험적 치료가 현재 개발 중이다.[160]
항암제·수술·방사선 등을 조합한 복합형 치료를 집약적 치료라고 한다. 갑상선 미분화암 등 매우 악성도가 높은 암에 이용된다.
7. 예후
갑상샘암은 치료 결과가 좋은 암으로, 10년 생존율이 95% 이상이다.[57] 이는 갑상샘이 완전히 제거되어도 생명 유지가 가능하고, 인체에서 유일하게 요오드를 흡수하는 기관이어서 표적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57]
갑상샘암의 예후는 암의 종류와 진단 당시의 암 병기에 따라 달라진다.[4] 가장 흔한 형태인 유두암의 경우 10년, 15년, 20년 생존율이 각각 97%, 95%, 90%로 매우 좋다.[57] 모든 갑상샘암의 5년 생존율은 치료를 받으면 98%이다.[4]
많은 소규모 갑상샘암(대부분 유두암)은 거의 성장하거나 전이되지 않으며, 일부에서는 과잉진단되어 치료 없이도 증상, 질병, 사망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다고 언급되기도 한다.[58] 낮은 등급의 갑상선암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부검에서 흔히 발견된다.[58]
갑상샘암은 여성에게 남성보다 3배 더 흔하게 발생하며,[59] 전체적인 5년 생존율은 여성의 경우 85%, 남성의 경우 74%이다.[60] 예후는 나이가 많은 사람보다 젊은 사람에게 더 좋다.[60]
마이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MAPK) 변이는 갑상선암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이다.[4] BRAF 600E 유전자 변이는 유두 갑상선암의 60%에서 발견되며, 경부 림프절 전이 위험 증가, 방사성 요오드 반응 감소, 국소 재발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4] RasGTPase 돌연변이는 유두암의 13%, 여포암의 25~50%에서 발견되며, 혈관 침윤 위험 증가 및 방사성 요오드 반응 증가와 관련이 있다.[4]
일부 분자적 또는 DNA 이상이 확인되면서 이러한 분자적 결함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 개발로 이어졌다. 이러한 약물 중 승인 과정을 거친 첫 번째 약물은 반데타닙으로, ''RET 원형 암유전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의 두 가지 아형, 그리고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이다.[61]
갑상샘암의 종류별 5년, 10년 생존율은 다음과 같다.
8. 한국의 갑상샘암 과잉 진단 논란
1997년, 한국의 한 내과의사가 초음파로 갑상샘암을 초기에 진단할 수 있다고 제시했고, 이것이 뉴스를 통해 알려지면서 다른 내과의사들도 초음파 검사를 제공하기 시작했다.[172] 이는 결국 정부의 암 조기 진단 계획과 맞물려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약 3만~5만 원의 비용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었다.[172] 그 결과, 한국에서 갑상샘암 발견율은 1999년 10만 명 중 5명에서 2011년 10만 명 중 70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172]
한국의 갑상샘암 수술 건수는 10년 동안 급격히 증가했지만, 사망률은 10만 명 당 1명으로 과거와 변함이 없었다.[172][173] 부검 시 발견되는 잠재 암은 일본 히로시마·나가사키에서 2.9~20.7%, 기타 지역에서 11.3~28.4%로 보고되었고, 핀란드인 부검 예에서는 35.6%에서 갑상샘암이 발견되었다.[125] 한국에서는 갑상샘 검사가 시행되면서 2011년에는 1993년의 15배나 되는 갑상샘암이 진단되었지만, 갑상샘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변하지 않아 과잉 진단임이 판명되었다.[126] 2003~2007년 한국 여성 갑상샘암 발병자의 90%가 과잉 진단이었으며,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에서도 여성의 70~80%, 일본에서는 50%가 과잉 진단이었다고 추정되었다.[127][128]
미국 예방 의학 전문 위원회(USPSTF)는 무증상 성인에 대한 경부 촉진 및 초음파를 사용한 갑상샘암 스크리닝을 권장하지 않는다고(등급 D) 권고했다.[129] 소아 갑상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여겨졌지만, 후쿠시마 현민 조사에서 방사선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지역에서도 높은 비율로 갑상샘암이 발견되어, 초음파 검사에서만 발견되는 잠재 암은 10대 후반부터 급속도로 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130]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5년 생존율은 보건복지부 등의 통계에 따르면 일반 인구를 100으로 했을 때 갑상샘암 환자는 100.3으로, 일반 인구보다 더 오래 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암 발견으로 건강에 신경 쓴 결과라고 보고 있다. 과잉 진단의 저자인 길버트 웰치 교수는 2014년 한국의 갑상샘암 환자가 세계 1위인 것에 대해 "과잉 진단에 의한 것"이며 "확실히 위험한 질병을 간과하는 것과, 별것 아닌 것을 호들갑스럽게 찾아내는 것은 다르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 세계에 앞서 갑상샘암 검진을 시작한 한국[167]에서는 2009년부터 암 환자 수 내역 1위가 갑상샘암이었지만, 환자 수가 세계 평균의 10배인 것은 과잉 검진이 원인이라고 의사들이 지적한 후 2015년에 3위가 되었고, 위암이 다시 1위가 되었다.[168][169][170]
9. 관련 학회
학회명 | 링크 |
---|---|
일본 갑상선 학회 | [http://www.japanthyroid.jp/ 일본 갑상선 학회] |
일본 내분비 외과학회 | [http://jaes.umin.jp 일본 내분비 외과학회] |
일본 두경부암 학회 | [http://www.jshnc.umin.ne.jp 일본 두경부암 학회] |
소아 갑상선암 연구회 | [https://jcjtc.org/ 소아 갑상선암 연구회] |
일본 내분비 학회 | [http://www.j-endo.jp 일본 내분비 학회] |
국제 내분비 학회 | [https://www.isendo.org 국제 내분비 학회] |
미국 갑상선 학회 | [https://www.thyroid.org 미국 갑상선 학회] |
유럽 갑상선 학회 | [https://www.eurothyroid.com 유럽 갑상선 학회] |
아시아 오세아니아 갑상선 학회 | [http://aota.kr 아시아 오세아니아 갑상선 학회] |
유럽 임상 종양 학회 | [https://www.esmo.org 유럽 임상 종양 학회] |
참조
[1]
웹사이트
Thyroid Cancer Treatment
https://www.cancer.g[...]
2017-04-27
[2]
웹사이트
Cancer Fact sheet N°297
https://www.who.int/[...]
2014-02-01
[3]
웹사이트
Defining Cancer
http://www.cancer.go[...]
2007-09-17
[4]
논문
Thyroid Cancer: A Review
2024-02-06
[5]
논문
Thyroid cancer
[6]
논문
Body Mass Index and Thyroid Cancer Risk: A Pooled Analysis of Half a Million Men and Women in the Asia Cohort Consortium
[7]
웹사이트
Thyroid Cancer Treatment
https://www.cancer.g[...]
2017-05-12
[8]
논문
Screening for Thyroid Cancer: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7-05-01
[9]
웹사이트
Cancer of the Thyroid - Cancer Stat Facts
https://seer.cancer.[...]
[10]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1
[11]
논문
Incidence, Recurrence and Mortality Among Filipino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 Systematic Review
2023-03-02
[12]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1-01
[1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1
[14]
논문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yroid Nodules: A Review
2018-03-01
[15]
웹사이트
Thyroid Cancer
https://www.cancer.c[...]
2021-02-01
[16]
논문
Thyroid nodules: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s://www.nature.c[...]
2024-08-16
[17]
웹사이트
Thyroid Cancer Overview - Signaling Pathway. Diagnosis. Targeted Therapy - Creative Biolabs
https://www.creative[...]
[18]
웹사이트
Radioactive I-131 from Fallout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1900-01-01
[19]
논문
Thyroid cancer epidemiology in England and Wales: time trend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1993-02-01
[20]
웹사이트
Experts link higher incidence of children's cancer to Fukushima radiation
http://www.scienceal[...]
2015-10-12
[21]
논문
Thyroid cancer: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2010-05-01
[22]
웹사이트
Genetics of Endocrine and Neuroendocrine Neoplasias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1980-01-01
[23]
논문
Ultrasound imaging classifications of thyroid nodules for malignancy risk stratification and clinical management: state of the art
2019-09-01
[24]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solitary thyroid nodule. Results of a European survey
1999-03-01
[25]
웹사이트
Thyroid scan: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1-02-05
[26]
웹사이트
Vol 7 Issue 6 p.3-4
https://www.thyroid.[...]
2021-02-05
[27]
논문
The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thyroid cytopathology: interpretation and guidelines in surgical treatment
2012-12-01
[28]
논문
I-123 diagnostic thyroid tumor whole-body scanning with imaging at 6, 24, and 48 hours
2002-01-01
[29]
논문
Screening for Thyroid Cancer: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7-05-01
[30]
논문
Demographic and histological subtypes of Hurthle cell tumours of the thyroid in a South African setting
2018-09-01
[31]
웹사이트
Thyroid Cancer Treatment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1980-01-01
[32]
웹사이트
Thyroid cancer
http://cancerweb.ncl[...]
National Cancer Institute
[33]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
[34]
논문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s a unique clinical entity: a population-based study of 10,740 cases
2013-10-01
[35]
논문
Follicular thyroid cancer and Hürthle cell carcinoma: challenges in diagnosis, treatment, and clinical management
2018-06-01
[36]
논문
New therapeutic approaches to treat medullary thyroid carcinoma
2008-01
[37]
웹사이트
Anaplastic Thyroid Cancer
https://columbiasurg[...]
2020-03-30
[38]
논문
Thyroid cancer review 2: management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http://www.medscape.[...]
2005-12
[39]
논문
Thyroid cancer review 3: management of medullary and un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2006-01
[40]
논문
TNM classification of thyroid carcinoma
2007-05
[41]
논문
Thyroid Papillary Microcarcinoma: Et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is, Follow-up, Histopathology and Prognosis
2016
[42]
논문
The most commonly occurring papillary thyroid cancer in the United States is now a microcarcinoma in a patient older than 45 years
2011-03
[43]
논문
Occult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a study of 140 cases observed in a 30-year period
1960-01
[44]
웹사이트
Cancer Staging - NCI
https://www.cancer.g[...]
2023-02-05
[45]
논문
Bone metastase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mpact of early 131I-based detection on outcome
2007-09
[46]
논문
Detection and treatment of lung metastase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in patients with normal chest X-rays
1988-11
[47]
서적
A concise textbook of surgery
Dr S. Das
2008
[48]
서적
Cancer Managemen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CMP Media
2008
[49]
논문
Revised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2009-11
[50]
서적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thyroid cancer. 2nd edition. Report of the Thyroid Cancer Guidelines Update Group
https://web.archiv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2013-07-12
[51]
논문
2015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Adult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e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Task Force on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2016-01
[52]
논문
2015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Adult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e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Task Force on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2016-01
[53]
논문
Revised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2015-06
[54]
논문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naplastic thyroid cancer
2012-11
[55]
논문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thyroid cancer
2014-07
[56]
논문
Recent advances in managing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2018-01-18
[57]
논문
Overall Survival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tients: A Single-Institution Long-Term Follow-Up of 5897 Patients
2018-03
[58]
서적
Overdiagnosed: Making People Sick in the Pursuit of Health
Beacon Press
[59]
웹사이트
Thyroid Cancer
http://www.medicinen[...]
MedicineNet.com
2011-10-26
[60]
서적
Numbers from EUROCARE, from [https://books.google.com/books?id=u1aFpF-EcgwC&pg=PA10 Page 10]
Springer
[61]
간행물
FDA approves new treatment for rare form of thyroid cancer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1-04-07
[62]
웹사이트
cancer.org Thyroid Cancer
http://www.cancer.or[...]
[63]
서적
Numbers from National Cancer Database in the US, from [https://books.google.com/books?id=u1aFpF-EcgwC&pg=PA10 Page 10]
Springer
[64]
웹사이트
Rounded up to nearest natural number from 96.7% as given by
http://emedicine.med[...]
2010-09-28
[65]
논문
By 100% minus cause-specific mortality of 17% at 5 yr, as given by
2005-11
[66]
웹사이트
Medullary Thyroid Cancer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6-05-11
[67]
논문
Mechanisms in endocrinology: the crosstalk between thyroid gland and adipose tissue: signal integration in health and disease
http://eje-online.or[...]
2014-10
[68]
웹사이트
Thyroid cancer statistics
http://www.cancerres[...]
2014-10-28
[69]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Cancer Rates
https://gco.iarc.fr/[...]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02-05
[70]
논문
Trends in Thyroid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1974-2013
2017-04-04
[71]
뉴스
Callum Ainley: Grimsby Town midfielder diagnosed with thyroid cancer
https://www.bbc.co.u[...]
2024-01-17
[72]
웹사이트
'I am so grateful' - ex-Liverpool midfielder Emre Can opens up on battle with cancer
https://www.goal.com[...]
2023-01-29
[73]
간행물
Survivors
http://sportsillustr[...]
2013-08-11
[74]
웹사이트
Uhm Jung-hwa had Thyroid cancer op
http://www.koreahera[...]
2022-02-05
[75]
웹사이트
Lee Moon-se risks cancer relapse to keep singing
http://m.kpopherald.[...]
2015-03-31
[76]
웹사이트
Putin under care of cancer doctor, bathing in deer antler blood: Report
https://www.msn.com/[...]
Washington Examiner
2022-04-03
[77]
뉴스
Rehnquist Eulogies Look Beyond Bench
https://www.washingt[...]
2016-05-11
[78]
웹사이트
Celebrities with Thyroid problems
http://www.shifrinmd[...]
Alexander Shifrin
2013-08-11
[79]
간행물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http://www.cobiss.si[...]
2012-12
[80]
웹사이트
Thyroid Cancer Treatment
https://www.cancer.g[...]
2017-07-18
[81]
웹사이트
環境省_甲状腺潜在がん
https://www.env.go.j[...]
2022-02-01
[82]
웹사이트
甲状腺がんについて:[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情報サービス 一般の方へ]
https://ganjoho.jp/p[...]
2022-02-01
[83]
서적
甲状腺癌取扱い規約 第8版(2019年)
2019
[84]
웹사이트
甲状腺がんについて|甲状腺がん.jp
https://www.koujyous[...]
2022-02-01
[85]
서적
甲状腺疾患診療マニュアル 改訂第3版(2020年)
2020
[86]
간행물
甲状腺腫瘍診療ガイドライン2018
2018
[87]
웹사이트
がん闘病中の「知の巨人」VS「がん検診の伝道師」 がん徹底対論・立花 隆(評論家) × 中川恵一(東京大学病院放射線科准教授)
https://gansupport.j[...]
がんサポート
2022-11-29
[88]
웹사이트
最新がん統計:[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統計]
https://ganjoho.jp/r[...]
2022-02-01
[89]
간행물
Screening for Thyroid Cancer: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7-05-09
[90]
웹사이트
10分でわかる甲状腺がんの自然史と過剰診断
https://www.med.osak[...]
2022-02-01
[91]
웹사이트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がん情報サービス「がん登録・統計」(全国がん登録)
https://ganjoho.jp/r[...]
2021-03-16
[92]
웹사이트
人口動態統計(厚生労働省大臣官房統計情報部編)
https://ganjoho.jp/r[...]
2021-03-16
[93]
웹사이트
国立研究開発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種別統計情報 甲状腺
https://ganjoho.jp/r[...]
2024-10-30
[94]
웹사이트
TNM History, Evolution and Milestones
https://www.uicc.org[...]
2021-03-20
[95]
웹사이트
JCEM 103, Issue 5, May 2018, Pages 1813–1817
https://academic.oup[...]
2021-03-20
[96]
간행물
甲状腺癌取扱い規約第9版
金原出版
2023-10-20
[97]
간행물
「特集1.甲状腺癌病理組織分類の最近の話題」によせて
https://doi.org/10.1[...]
日本内分泌外科学会・日本甲状腺外科学会
[98]
웹사이트
The 5th edition of WHO classification of tumors of endocrine organs: changes in the diagnosis of follicular-derived thyroid carcinoma Endocrine ;80(3):470–476. doi: 10.1007/s12020-023-03336-4
https://pmc.ncbi.nlm[...]
2024-10-30
[99]
웹사이트
甲状腺腫瘍のWHO分類の改訂の概要と濾胞結節性疾患 日本内分泌外科学会雑誌 40(2),87-92,2023
https://www.jstage.j[...]
2024-10-30
[100]
웹사이트
甲状腺癌取扱い規約からベセスダ方式への移行 内分泌甲状腺外会誌 31(2)108-114,2014
https://www.jstage.j[...]
2024-10-30
[101]
웹사이트
The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Thyroid Cytopathology II Acta Cytologica (2016) 60 (5):397–398
https://karger.com/a[...]
2024-10-30
[102]
웹사이트
The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Thyroid Cytopathology
https://link.springe[...]
2024-10-30
[103]
웹사이트
ICDのABC平成30年度版
https://www.mhlw.go.[...]
2021-03-16
[104]
웹사이트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甲状腺がん (ICD10: C73)
https://ctr-info.ncc[...]
2021-03-16
[105]
서적
Springer; 3rd ed.
[106]
논문
Overdiagnosis in cancer
2010-05-05
[107]
논문
Overdiagnosis of juvenile thyroid cancer: time to consider self-limiting cancer
https://doi.org/10.1[...]
Mary Ann Liebert, Inc., publishers 140 Huguenot Street, 3rd Floor New~…
2024-08-07
[108]
논문
Natural history of thyroid cancer [Review]
https://doi.org/10.1[...]
2024-08-07
[109]
웹사이트
2015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がん対策センター甲状腺がん(こうじょうせんがん)
https://ganjoho.jp/p[...]
2021-03-14
[110]
서적
頭頸部癌診療ガイドライン 2018年版
[111]
문서
Natural history of thyroid cancer [Review]2017 Volume 64 Issue 3 Pages 237-244
[112]
논문
Variation in cancer risk among tissues can be explained by the issue of stem cell divisions
https://doi.org/10.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13]
웹사이트
UNSCEAR 2020 REPORT
https://www.unscear.[...]
2021-03-08
[114]
논문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in children and adults: comparison of initial presentation and long-term postoperative outcome in 4432 patients consecutively treated at the Mayo Clinic during eight decades (1936-2015)
https://doi.org/10.1[...]
Springer
[115]
논문
Overdiagnosis of Juvenile Thyroid Cancer: Time to Consider Self-Limiting Cancer
https://doi.org/10.1[...]
[116]
PDF
日本甲状腺学会 臨床重要課題 成人の甲状腺超低リスク乳頭がんの非手術経過観察についての見解
http://www.japanthyr[...]
[117]
웹사이트
隈病院が取り組む新しい甲状腺医療 甲状腺微小がんは経過観察を推奨
https://www.kuma-h.o[...]
2021-03-14
[118]
웹사이트
隈病院が取り組む新しい甲状腺医療 甲状腺微小がんは経過観察を推奨
https://www.kuma-h.o[...]
2021-03-14
[119]
간행물
成人の甲状腺微小乳頭癌の取扱いについての日本甲状腺学会,日本内分泌外科学会による取り組み (簡潔表題:微小乳頭癌の取扱いについての学会による取り組み)
https://www.japanthy[...]
[120]
서적
伊藤病院 甲状腺疾患を極める
[121]
논문
被包性濾胞型腫瘍と境界病変について
https://doi.org/10.1[...]
[122]
서적
頭頸部癌診療ガイドライン 2018 年版
[123]
논문
Whole-genome sequencing of synchronous thyroid carcinomas identifies aberrant DNA repair in thyroid cancer dedifferentiation
2020-02
[124]
PDF
甲状腺髄様がん患者さんにおける RET 遺伝学的検査の説明文書・同意書
http://men-net.org/p[...]
[125]
서적
甲状腺結節取扱い診療ガイドライン〈2013〉
[126]
논문
Korea’s Thyroid-Cancer “Epidemic” — Screening and Overdiagnosis
2014
[127]
논문
Worldwide Thyroid-Cancer Epidemic? The Increasing Impact of Overdiagnosis
https://doi.org/10.1[...]
2023-04-17
[128]
웹사이트
日経メディカル海外論文ピックアップ: NEJM誌から甲状腺癌の世界的な増加は過剰診断が原因か 発症率が劇的に増加しても死亡率が増えない理由
https://medical.nikk[...]
2016-09-09
[129]
논문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7
[130]
논문
日本における甲状腺がんの過剰診断
https://search.jamas[...]
科学評論社
2021-11
[131]
논문
散発性甲状腺髄様癌に対する診断と治療―:遺伝性との対比
2004-04-20
[132]
논문
大腸癌と甲状腺乳頭癌を重複した家族性大腸腺腫症の1例
https://doi.org/10.1[...]
日本消化器内視鏡学会
1995
[133]
논문
家族歴とCEA高値を契機に発見された多発性内分泌腫瘍症2A型(MEN2A)の1症例
https://doi.org/10.2[...]
日本内科学会
2001
[134]
문서
[135]
PDF
MARINOL (Dronabinol) Capsules - Sep 2004
https://www.accessda[...]
[136]
문서
[137]
PDF
SOLODYN (Minocycline) Tablets - Oct 2013
https://www.accessda[...]
[138]
PDF
DORYX (Doxycycline) Tablets - June 2008
https://www.accessda[...]
[139]
문서
[140]
논문
Severe and Persistent Thyroid Dysfunction Associated with Tetracycline-Antibiotic Treatment in Youth
http://www.jpeds.com[...]
2016-04-05
[141]
논문
広島の原爆被爆者から発生した甲状腺癌-1958年〜1979年
https://doi.org/10.3[...]
日本臨床外科学会
1983
[142]
웹사이트
環境省第3章 放射線による健康影響国際がん研究機関(IARC)専門家グループの提言
https://www.env.go.j[...]
2020-03-31
[143]
웹사이트
朝日新聞「福島県民がん増える可能性低い」 被曝線量を下方修正
https://www.asahi.co[...]
2021-03-09
[144]
웹사이트
UNSCEAR 2020 REPORT
https://www.unscear.[...]
2021-03-08
[145]
웹사이트
芽細胞発癌 Fetal Cell Carcinogenesis
http://www.med.osaka[...]
[146]
문서
Natural history of thyroid cancer (Review) Endocr J 64:237-244, 2017
[147]
웹사이트
現在の福島では甲状腺検査を継続することは正当化されない
https://webronza.asa[...]
2021-03-08
[148]
웹사이트
福島の甲状腺検査は即刻中止すべきだ(上)
https://webronza.asa[...]
2019-06-29
[149]
웹사이트
福島の甲状腺検査は即刻中止すべきだ(下)
https://webronza.asa[...]
2019-06-29
[150]
웹사이트
甲状腺検査はもうおしまいにしよう
https://note.com/kik[...]
2020-03-17
[151]
웹사이트
日本癌治療学会 がん診療ガイドライン 甲状腺腫瘍 診療ガイドライン
http://www.jsco-cpg.[...]
[152]
웹사이트
がんに関する情報 甲状腺がん
https://www.jfcr.or.[...]
2024-04-01
[153]
서적
甲状腺疾患を極める
新興医学出版社
2018
[154]
문서
内分泌外科 患者さまへ
http://www.fujita-hu[...]
藤田保健衛生大学
[155]
웹사이트
ネクサバール錠200mg
http://www.info.pmda[...]
[156]
웹사이트
レンバチニブが根治切除不能な甲状腺癌を対象に発売
https://medical.nikk[...]
[157]
웹사이트
カプレルサ:甲状腺髄様癌に適応を持つマルチキナーゼ阻害薬
https://medical.nikk[...]
[158]
저널
7頭頸部腫瘤に対する経皮的エタノール注入療法
日本耳鼻咽喉科頭頸部外科学会
[159]
문서
手術不能のためにエタノール注入療法を行った頭頸部癌症例
2001
[160]
문서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anti-tumor effect of Phellinus linteus polysaccharide in thyroid carcinoma in vitro
https://link.springe[...]
2022
[161]
논문
集学的療法によって寛解に至った甲状腺未分化癌3例
https://doi.org/10.1[...]
日本内分泌外科学会・日本甲状腺外科学会
2016
[162]
웹사이트
Thyroid Cancer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163]
서적
Thyroid cancer
https://books.google[...]
Springer
[164]
웹사이트
eMedicine > Thyroid, Papillary Carcinoma
http://emedicine.med[...]
2010-09-28
[165]
저널
Prognostic Impact of Serum Calcitonin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Doubling-Times in Patients with Medullary Thyroid Carcinoma
http://jcem.endojour[...]
[166]
웹사이트
National Cancer Institute > Medullary Thyroid Cancer
http://www.cancer.go[...]
2010-12-22
[167]
웹사이트
「早期発見すれば大丈夫」は言いすぎ。勝俣範之先生に聞く、ピンクリボン運動の功罪と「がんに勝つ」考え方の問題点
https://cancerwith.c[...]
2021-10-27
[168]
뉴스
2014、2015年の主ながん発生者数の変化(単位:人)と2011〜2015年の主ながんの5年相対生存率(単位:%)
https://headlines.ya[...]
2017-12-22
[169]
뉴스
韓国国民が最も多くかかるがんは?…胃がんが再び第1位に
https://headlines.ya[...]
2017-12-22
[170]
뉴스
【噴水台】韓国の過剰医療、その代案は…
https://japanese.joi[...]
2018-03-16
[171]
저널
微小乳頭癌の治療選択
https://doi.org/10.1[...]
日本内分泌外科学会・日本甲状腺外科学会
[172]
저널
The science myths that will not die
https://www.nature.c[...]
2015-12-16
[173]
웹인용
조롱거리된 韓갑상샘암 - 매일경제
https://www.mk.co.kr[...]
2019-06-22
[174]
웹인용
Chapter 5: Thyroid and Parathyroid Cancers - Cancer Network
http://www.cancernet[...]
2010-02-28
[175]
저널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yroid Nodules
https://jamanetwork.[...]
2018-03-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작은 갑상샘유두암, 수술보다 ‘적극 관찰’이 정답일 수 있다 [건강한겨레]
'암 치료 필수' 방사성 악티늄·요오드, 국내 생산 길 열렸다
돌보는 사람은 누가 돌보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