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리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리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화가이다.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을 전공했다. 1985년 모델로 데뷔하여 연예계에 입문, 영화 배우로 활동하다가 1996년 배우 생활을 은퇴하고 화가로 전향했다. 영화, 드라마, 전시, 조형 설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출신 화가 - 배운성
배운성은 한국인 최초로 유럽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1930년대 유럽 화단에서 활동하며 한국적인 색채의 유화와 판화 작품을 선보인 화가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좌익 활동, 한국 전쟁 중 월북 등으로 논란이 되었으나 북한에서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았고 해금 조치 이후 재조명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 출신 화가 - 윤송아
윤송아는 배우, 방송인, CF 모델, 화가로 활동하며, 홍익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신사임당 미술대전 특선 등을 수상했다. - 동북초등학교 (서울) 동문 - 유태웅
유태웅은 1991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94년 MBC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깊이 있는 연기를 선보였고 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 동북초등학교 (서울) 동문 - 유지애
유지애는 2010년 모델로 활동했으며, 2013년 디지털 싱글로 데뷔하여 걸 그룹 러블리즈의 멤버로 활동하며 가수, 방송,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오혁
오혁은 한국의 가수로, 밴드 혁오의 보컬이며, 중국 유년 시절을 보내 다양한 언어와 음악적 경험을 쌓고 독립적인 음악 활동과 밴드 혁오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독특한 음색과 패션 감각으로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뮤지션이자 패션 아이콘으로 활동하고 2024년 12월 결혼했다.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박동윤
박동윤은 한국 전통 이미지와 다양한 기법을 융합하여 현재와 과거의 조화를 탐구하는 서양화가이다.
강리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강리나 |
원어이름 | 姜利奈 |
출생일 | 1964년 4월 2일 |
국적 | 대한민국 |
활동 기간 | 1986년 ~ 1996년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장르 | 동양화 |
종교 | 개신교 |
가족 | 1남 1녀 중 막내 |
학력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석사 (졸업) |
직업 | 모델 영화배우 서양화가 설치미술가 |
수상 | 1989년 《제27회 대종상 영화제 신인여우상》 |
웹사이트 | 싸이월드 강리나 페이스북 강리나 인스타그램 강리나 |
2. 생애
1964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동북초등학교, 중앙여자중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를 거쳐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및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골프와 수영에 취미 및 특기가 있다. 1985년 미술 재료비를 벌기 위해 패션, 광고 모델로 데뷔하여 연예계에 진출했고, 영화 출연 제의를 받아 영화 배우로 활동하다 1996년 《알바트로스》를 끝으로 은퇴 후 화가로 활동 중이다.
2. 1. 어린 시절 및 학창 시절
1964년 4월 2일 서울특별시에서 1남 1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동북초등학교, 중앙여자중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과를 거쳐 홍익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하였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골프가 취미이고 수영에 특기가 있다.2. 2. 연예계 데뷔와 배우 활동
1964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강리나는 동북초등학교, 중앙여자중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및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골프와 수영에 취미 및 특기가 있다.1985년 대학 전공 관련 미술 재료비를 마련하기 위해 패션, 광고 모델로 데뷔하며 연예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영화 출연 제의를 받고 영화계에 발을 들여 영화배우로 활동하였다. 1996년 《알바트로스》를 마지막으로 배우 생활을 중단하고 은퇴하였다.
2. 3. 배우 은퇴와 화가 전향
1985년 대학 전공 관련 미술 재료비를 벌기 위해 패션, 광고 모델로 데뷔하면서 연예계에 진출했고, 이후 영화 출연 제의를 받아 영화계에 발을 들여 영화배우로 활동했다. 1996년 《알바트로스》를 마지막으로 배우 생활을 중단하고 은퇴했으며, 이후 화가로 전향하여 활동 중이다.3. 학력
- 동북초등학교 (졸업)
- 중앙여자중학교 (졸업)
-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과 (졸업)
-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졸업)
4. 출연작
강리나는 1987년 《외계에서 온 우뢰매 전격 쓰리 작전》부터 1996년 《알바트로스》까지 다양한 영화에 출연했다. 또한 1992년 MBC 드라마 《우리들의 천국》, 1995년 SBS 8.15 특집극 《국화와 칼》, 1996년 MBC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 등 드라마에도 출연했다.
4. 1. 영화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87년 | 외계에서 온 우뢰매 전격 쓰리 작전 | 외계에서 온 우뢰매3 | |
1988년 | 슈퍼 홍길동 | | | |
1988년 | 대물 | | | |
1989년 | 서울 무지개 | | | |
1989년 | 크라이막스 원 | | | |
1990년 | 웨딩드레스 | | | |
1991년 | 변금련 | | | |
1991년 | 밀크초콜릿 | | | |
1991년 | 한희작의 러브러브 | | | |
1991년 | 천국의 계단 | | | |
1991년 | 뽕밭 나그네 | | | |
1992년 | 늪속에 불안개는 잠들지 않는다 | | | |
1992년 | 빠담풍 | | | |
1992년 | 나는 천사라고 부른다 | | | |
1992년 | 특명 미녀군단 | | | |
1992년 | 변금련2 | | | |
1993년 | 에스퍼맨과 우뢰매 | 외계에서 온 우뢰매8 | |
1994년 | 거꾸로 가는 여자 | | | |
1994년 | 위대한 헌터 GJ | | | |
1994년 | 무거운 새 | 특별출연 | |
1994년 | 증발 | | | |
1994년 | 태양속의 남자 | | | |
1995년 | 위대한 헌터 GJ | | | |
1996년 | 알바트로스 | | |
4. 2. 드라마
5. 전시 및 작품 활동
강리나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A&C AMP)를 수료하였다.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제1, 2회 화연전에 참여하였고, 1993년에는 서울특별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문인화 정신의 표출전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그룹전에서 활동했다.
1998년 예술의 전당에서 기획전 "낙서"를 열었고, 2000년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초대전 "Heart Beat, Heart Bit, Heart 빛"을 개최했다. 2001년에는 대구, 부산, 충남 등지에서 "Nike of" 연작 초대전을 열었고, 제10회 아시아 아트 비엔날레에 "Eleven"을 출품하였다. 2002년에는 송은 갤러리에서 초대전 "은빛 바람꽃을 보다"를 개최하고,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아트 페어와 스위스 제네바 아트 페어에 "Eleven"을 출품하였다.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서울 무지개', '눈물의 웨딩드레스' 등 다수의 영화에서 미술감독으로 참여했고,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월간 마드모아젤에 "광마의 일기"를 연재했다. 1999년에는 현대자동차 "티뷰론" 광고 미술 작업과 국립국악원 "모래 퍼포먼스"에 참여했다.
2002년 월드컵 공식 문화행사 추진본부 사업팀장과 부산 비엔날레 명예홍보사절을 역임했고, 2003년 세계베스트디자인 자문위원을 맡았다. 한국미술협회와 남가주미술협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5. 1. 그룹전 및 기타 활동
연도 | 제목 | 장소 | 비고 |
---|---|---|---|
1989년~1990년 | 제1, 2회 화연전 | 공평 갤러리, 경인 갤러리 | |
1989년~1995년 | 한국 영화 미술감독 무대 설치 제작 | 서울 무지개, 눈물의 웨딩드레스, 밀크초코렛, 증발 등 다수 참여 | |
1990년~1991년 | 월간 마드모아젤 일러스트 | “광마의 일기” | |
1993년 | 문인화 정신의 표출전 | 서울시립미술관 | |
1993년~1995년 | 현대 수묵회 | 가산 갤러리, 서남 갤러리, 현대아트 갤러리 | |
1998년 | 현대 한국회화 청년작가 모색전 | 경인 갤러리 | |
1998년 | “예술시각의 재조명” | 예술의 전당 | |
1999년 | 현대자동차 “티뷰론” 광고 | Jhon N Joe Gallery, L.A | |
1999년 | “화연 전” | 덕원미술관 | |
1999년 |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총동문회전” | 공평아트센터 | |
1999년 | “아! 대한민국” | 갤러리 상 | |
1999년 | “Transformation(변신)” | Agora Gallery, 뉴욕 소호 | |
1999년 | “모래 퍼포먼스” | 국립국악원 예악당, 야외광장 | |
1999년 | “The Millennium Exhibition” | 모던아트 갤러리, L.A | |
2000년 | 한국공예진흥원 전시 | "불면증 시리즈" | |
2000년 | 조각가가 만드는 환경설치 전 | 국립극장 | |
2001년 | The 6th International Group Show “Seoul-Peace” | 전쟁기념관 | |
2001년 | City Hall Museum | Pueblo Gallery, L.A | |
2001년 | The 10th Asian Art Biennale | Bangladesh Shipakala Academy | |
2003년 | 제9회 서울 국제미술제 | 세종문화회관 세종미술회관, Gwanghwamun Gallery | |
2003년 | 대한민국 청년작가전 | ||
2003년 | 매일경제신문 매경춘추 칼럼 | ||
2003년 | 스포츠서울 삽화 "Professional" | ||
2003년 | 우리시대 삶과 해학 전 | 세종문화회관 | |
2003년 | 생명과 숲 페스티발 | 공평 | 이벤트 기획 |
2003년 | Rieti International Meeting of Finest Art | Theatre Flavio Vespasiano, Rieti, Italy | |
2004년 | Outdoor Project-FESTIVAL, 탄생, 비상, 축제 | 세종문화회관 | |
2004년 | 스포츠서울 삽화 “프로패셔널” | ||
2004년 | 유쾌한 상상 작업실 체험展 | 제비울미술관 | |
2004년, 2010년 | 제11회 ICAA 국제비엔나 교류전 | 오스트리아 비엔나 | |
2005년 | 국악축전 “소리, 그림이 되다!” | 평촌아트홀 | 무대설치 |
2005년 | 서울국제미술제 ICAA | 조선일보 미술관 | |
2006년 | 단원미술제 | ||
2006년, 2010년 | “소리, 그림이 되다!” | 파주 북 시티 | 무대설치 |
2006년, 2011년 | 과학과 예술과의 만남 | 코엑스 인도양 홀 | |
2006년, 2012년 | 아트 & 파크 전 - 순환(Circulation) | 성남아트센터 |
5. 2. 개인전
- 1998년, 기획전 "낙서" (예술의 전당)
- 1999년, 초대전 "낙서" (Jhon N Joe Gallery - LA)
- 2000년, 초대전 "Heart Beat, Heart Bit, Heart 빛" (가나인사아트센타)
- 2001년 8월, 초대전 "Nike of Daegu" (우봉미술전시관 - 대구)
- 2001년 9월, 초대전 "Nike of Busan" (동백아트센타 - 부산)
- 2001년 10월, 초대전 "Nike of Chungnam" (롯데오션캐슬 머큐리룸 - 충남)
- 2001년 11월, 제10회 아시아 아트 비엔날레 "Eleven" (방글라데시 Shipakala Academy)
- 2002년 2월, INSBRUCK ART FAIR "Eleven" (오스트리아)
- 2002년 3월, 초대전 "은빛 바람꽃을 보다" (송은갤러리)
- 2002년 3월, MANIF ART FAIR "Eleven" (서울)
- 2002년 8월, GENEVA ART FAIR "Eleven" (스위스)
- 2003년 4월, 초대전 "은빛 바람꽃을 보다" (앨렌킴머피갤러리 - 양평)
- 2003년 7월, 초대전 "3X3=33" (포스코 미술관 - 서울)
- 2003년 8월, 초대전 "Peace" UNESCO 주최 (아카데미하우스 - 서울)
- 2004년 9월, 초대전 "무지개 백화점"-Rainbow Shop ( KAIST과학기술원 주최 - 서울)
- 2004년 10월, MANIF INTERNATIONAL ART FAIR "Rainbow Highway" (서울)
- 2007년 2월, SPECIAL PREVIEW (경향갤러리 - 서울)
6. 수상
7. 조형 설치
8. 기타
-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서울 무지개》, 《눈물의 웨딩드레스》, 《밀크 초콜릿》, 《증발》 등 다수의 한국 영화에서 미술감독 및 무대 설치 제작에 참여했다.
-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월간 《마드모아젤》에 "광마의 일기"를 일러스트로 연재했다.
- 199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현대자동차 "티뷰론" 광고 비주얼 작업에 참여했다.
- 2002년 월드컵 공식 문화행사 추진본부 사업팀장(한국미술협회)을 역임했다.
- 2002년 부산 비엔날레 명예홍보사절로 위촉되었다.
- 2003년 세계베스트디자인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 한국미술협회, 남가주미술협회 회원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