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여객은 1921년 3월 8일에 설립된 버스 운송 회사이다. 동부그룹에 인수되었다가 계열 분리되었으며, 2021년 설립 100주년을 맞았다. 강원도 영동 지방과 정선군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며, 동서울, 춘천, 원주, 강릉, 속초, 삼척, 부산 등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현대, 자일대우버스, 기아, 디피코 등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공항버스 기업 - 영암고속
영암고속은 196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시외버스 노선과 강원도 일부 지역의 시내버스를 운영하며, 영암선에서 유래된 사명을 가지고 동서울, 춘천, 원주, 태백 등지에서 출발하여 강원도를 비롯한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 기업 - 금강고속
금강고속은 1952년 금강운수로 시작하여 농어촌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양평, 홍천, 인제 등지에서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 기업 - 강원고속
강원고속은 1952년 강원운수로 시작하여 시외버스 운송 사업을 해 왔으며, 199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고, 수도권, 강원도 등 여러 지역을 운행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강원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강원여객자동차 주식회사 |
원어 | Gangwon Bus Lines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하슬라로 27 (홍제동) |
사업 지역 | 속초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중앙로 447 (장사동) 동해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일출로 570 (망상동) 삼척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중앙로 194-33 (남양동) 정선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정선로 1226 (북실리) 양양영업소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양양로 23 (남문리) |
창립 | 1921년 3월 28일 |
인물 | 김연성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서비스 | 시내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
자본금 | 126,585,000원 (2019년 12월 31일) |
매출액 | 32,664,481,479원 (2019년 12월 31일) |
영업이익 | -548,124,116원 (2019년 12월 31일) |
자산총액 | 25,781,105,699원 (2019년 12월 31일) |
모기업 | 동곡사회복지재단 |
계열사 | 평창운수 |
주주 | 강원흥업: 2.13% 사회복지법인 동곡사회복지재단 : 97.87% |
종업원 | 352명 |
2. 연혁
1921년 3월 8일 회사 설립[1] 이후, 1975년 동부그룹에 인수되어 계열사로 편입되었다.[1] 1985년 12월 17일 평창영업소를 평창운수로 분사시켰고,[2] 2000년 평창운수와 함께 DB그룹 계열에서 분리되었다.[1] 2021년 3월 설립 100주년을 맞았다.[4]
2. 1. 설립 초기 (1921년 ~ 1975년)
1921년 3월 8일 회사가 설립되었다.2. 2. DB그룹 계열사 시절 (1975년 ~ 2000년)
1975년 동부그룹에 인수되어 계열사로 편입되었다.[1] 1985년 12월 17일 평창영업소를 평창운수로 분사하였다.[2]2. 3. 계열 분리 이후 (2000년 ~ 현재)
2000년 평창운수와 함께 DB그룹 계열에서 분리되었으며[1], 2021년 3월 설립 100주년을 맞았다.[4]3. 운행 노선
강원여객은 강원도 각 지역과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과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시외버스는 동서울, 춘천, 원주, 강릉, 속초, 삼척, 부산을 기점으로 운행하며, 시내버스는 고성군과 연고가 있는 강릉시[7]를 제외한 강원도 영동 지방 전 지역과 정선군에서 운행한다.
3. 1. 시내버스 운행 노선
고성군과 연고가 있는 강릉시[7]를 제외한 강원도 영동 지방 전 지역과 정선군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3. 1. 1. 영동 지방
고성군과 연고가 있는 강릉시[7]를 제외한 강원도 영동 지방 전 지역과 정선군에서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3. 1. 2. 정선군
정선군에서 운행하고 있다.[7]3. 2. 시외버스 운행 노선
강원여객은 강원도 각 지역과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각 노선은 동서울, 춘천, 원주, 강릉, 속초, 삼척, 부산 등 여러 기점을 중심으로 운행된다.(하위 섹션에서 각 기점별 상세 노선 정보 제공)
3. 2. 1. 동서울 출발
3. 2. 2. 춘천 출발
3. 2. 3. 원주 출발
3. 2. 4. 강릉 출발
- 강릉~장평~평창~영월~제천
- 강릉~인천
- 강릉~우만동~수원
- 강릉(~구리)~의정부(~동두천)
- 강릉~김포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 강릉~오산~송탄~평택
- 강릉~임계~정선
- 강릉~장평~군포~안산
- 강릉~안양~부천[11]
- 강릉~천안
- 강릉~삼척
- 강릉~동해
- 강릉~청주
- 강릉~광주광역시 (금호고속 광신고속 공동운행)
- 강릉~북대구
- 강릉~양양~속초
- 강릉~속초
- 강릉~양양~속초~거진
3. 2. 5. 속초 출발
3. 2. 6. 삼척 출발
3. 2. 7. 부산 출발
부산 출발 노선은 다음과 같다.
4. 주요 차량
강원여객은 현대자동차, 자일대우버스, 기아, 디피코 등 다양한 제조사의 차량을 운용하고 있다.
4. 1. [[현대자동차]]
4. 2. [[자일대우버스]]
4. 3. [[기아 (기업)|기아자동차]]
4. 4. [[디피코]]
- 디피코 HU-SKY
참조
[1]
문서
본사의 시외버스 면허등록지
[2]
문서
속초시의 시내버스 면허등록지
[3]
문서
동해시의 시내버스 면허등록지
[4]
문서
삼척시의 시내버스 면허등록지
[5]
문서
정선군의 농어촌버스 면허등록지
[6]
문서
양양군의 농어촌버스 면허등록지
[7]
문서
강릉시는 동진버스가 거의 독점 운행된다.
[8]
문서
일부시간대에 주문진과 덕구온천까지 운행하는 지선노선이 존재한다.
[9]
문서
일부시간대에 장평을 경유하거나 안흥을 경유한다.
[10]
문서
왕복 1회 강릉 연장
[11]
문서
부천에서 만석 시 안양을 경유하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