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일대우 FX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일대우 FX는 자일대우버스가 생산한 버스 모델 시리즈이다. FX 시리즈는 FX115 크루저, FX116 크루징 애로우, FX120 크루징 스타, FX212 슈퍼 크루저 등 다양한 모델로 구성되었으며, 각 모델은 스탠더드 데크 또는 하이데크 차체에 에어 서스펜션 또는 리프 서스펜션을 적용했다. 엔진은 두산인프라코어, 커민스, FPT 등 다양한 제조사의 디젤 및 CNG 엔진을 사용했으며, 유로4부터 유로6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했다. FX 시리즈는 경쟁 차종인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와 경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버스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대한민국의 버스 - 현대 에어로시티
현대 에어로시티는 현대자동차가 1991년부터 생산한 버스 모델로,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자가용, 시외, 시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 자일대우버스의 차종 - 자일대우 레스타
자일대우 레스타는 자일대우버스가 현대 카운티의 경쟁 모델로 2012년 출시한 17~25인승급 소형 버스로, 학원, 교회, 마을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판매되었으나 2024년 판매 중단으로 단종되었다. - 자일대우버스의 차종 - 자일대우 BX
자일대우 BX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생산한 후부 엔진-후륜구동 방식의 최고급 버스로, 2004년 BX212 로얄 하이데커를 시작으로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거쳐 다양한 파워트레인 옵션을 제공했으며, 초기 문제점 개선을 통해 일부 노선버스 업체에서도 운행되었고, 2020년 이후 베트남에서 생산되어 수입될 예정이다. - 2007년 도입된 자동차 - 인피니티 QX50
인피니티 QX50은 인피니티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SUV로, 1세대는 인피니티 EX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다가 2013년에 QX50으로 변경되었고, 2세대는 가변 압축비 엔진을 탑재했으며 쿠페형 SUV 버전인 QX55도 출시되었다. - 2007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로그
닛산 로그는 닛산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SUV로, 북미 시장을 겨냥해 차체 크기를 키운 것이 특징이며, 르노삼성자동차에서 생산되어 수출되기도 했고, 현재 3세대 모델이 판매 중이다.
자일대우 FX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자일대우 FX |
제조사 | 자일자동차 |
차종 | 대형 버스 |
영어 이름 | Zyle Daewoo FX |
플랫폼 | 대우 버스 섀시 |
차체 스타일 | 단층 버스 |
레이아웃 | 후방 엔진, 후륜구동 |
바닥 형태 | 계단식 입구 |
선행 차량 | 대우 BH120F |
관련 차량 | 자일대우 레스타 자일대우 BX |
문 | 1개 또는 2개 |
생산 정보 | |
생산 기간 | 2007년-현재 |
조립 장소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2007년~2020년) 베트남 (2020년~2024년) |
생산 중단 사유 | 자일대우버스의 법인 청산 및 폐업 |
크기 | |
휠베이스 | 6,100mm (FX115, FX116) 6,500mm (FX120, FX212) |
길이 | 11,600mm (FX115, FX116) 12,000mm (FX120, FX212) |
너비 | 2,490mm |
높이 | 3,350mm 3,500mm (FX212)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6단 수동 (ZF) 12단 자동화 수동 (ZF) 5단 자동 (앨리슨) 5단 수동 (다이모스/S&T) |
2. 모델
FX 시리즈는 대우 BH 시리즈의 후속이자 자일대우 BX의 하급 모델로 1985년 이후 22년 만에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되어 출시되었다.[2]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3번째로 독자 개발되었으며,[3] 대한민국 최초로 차체 일체형 스포일러를 적용하였다. 하부 바디 패널에는 FRP 수지를 사용하였고, 모든 모델에 원 유닛형 루프온 에어컨과 루프 안테나가 기본 장착되었다.[4]
FX 시리즈는 크게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인 FX115/FX116, 12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인 FX120, 12m급 하이데크 모델인 FX212로 구분된다.
2010년 9월부터는 일부 결함과 사양을 개선한 FXⅡ 시리즈가 출시되었으며, 2013년부터 후진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16년 8월에는 차량 명칭이 FXⅡ에서 FX로 다시 변경되었고, 스탠더드 데크 모델의 스포일러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2017년부터는 긴급제동 시스템인 AEBS가 추가되었다.
2020년부터 뒷면 엠블럼이 '''DAEWOO'''에서 '''ZYLE DAEWOO'''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6월부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어 생산이 중단되었다. 현재 베트남에서 생산하여 국토교통부 인증 통과 후 도입될 예정이며, 비상구가 추가될 예정이다.[5] 2024년에 단종되었다.
- 현재 모델
- * FX116 크루징 애로우
- * FX120 크루징 스타
- 단종된 모델
- * FX115 크루저
- * FX212 슈퍼 크루저
2. 1. FX115 크루저 (단종)
대우 BH 시리즈의 후속이자 자일대우 BX의 하급 모델로,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리프 서스펜션(판스프링)을 사용하였다. '''BH115E 로얄 이코노미(BH시리즈 제2세대 모델)'''의 후속으로, 폴딩 도어가 기본 사양이며 스윙 도어는 옵션이었다.[6] 유로4 DL08K (340마력) 엔진을 사용하였다. 주로 장의버스, 관광, 통근, 통학버스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노선버스 업체에서는 도입 사례가 없었다.2. 1. 1. FX II 115 크루저 (단종)
FX II 115 크루저는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리프 서스펜션(판스프링)을 사용한다. 기존 FX 115의 심한 결함과 잔고장을 개선하였고 운전석 등의 결함도 정비하여 재출시하였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폴딩 도어가 기본 사양이며 스윙 도어는 선택 사양이다. 2013년 12월에 선보인 2014년식부터 폴딩도어 테두리 색상이 베이지색에서 은회색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유로6 엔진 도입 이후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해당 차종을 노선버스로 운행했던 업체는 세종고속이 유일했다.2. 2. FX116 크루징 애로우
FX116 크루징 애로우는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BH116 로얄 럭셔리의 후속 모델이며, 시내형(전중문형)과 시외형 모델로 나뉜다.[2] 시내형은 폴딩 도어가 기본 사양이며, 스윙 도어는 선택할 수 없다.[7] 시외형은 스윙 도어가 기본 사양이고, 폴딩 도어는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다. 2009년 4월에는 고급 좌석 모델이 출시되었다. 유로4 DL08K (340마력) 및 옵션으로 유로5 DV11K (400마력) 엔진을 사용한다.
과거에 FX116 크루징 애로우 모델을 보유했던 노선버스 업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업체 목록 |
---|
경기고속 |
경기버스 |
경기여객 |
대원고속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동성교통 |
광우고속 |
태화상운 |
코리아와이드대성[8] |
금강고속 |
일광여객[9] |
푸른교통 |
중부고속[10] |
강남고속 |
산천어운수 |
화영운수 |
부일여객 |
부산여객 |
삼신교통 |
안전여객 |
코리아와이드 경북[11] |
경원여객 |
선진고속 |
세종고속 |
동원여객[12] |
해동여객[13] |
2. 2. 1. FX II 116 크루징 애로우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기존 FX116 크루징애로우에서 시트 디자인을 변경하고 운전석 공간을 늘렸다.[14] 외관상으로는 FXⅡ116 엠블럼으로 바뀐 것 외에는 변화가 없다.
2010년 5월 공개 입찰을 통해 대한석유협회와 한국기계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디젤 하이브리드 버스 제작 사업권자로 대우버스가 선정되면서,[15] FX II 116은 디젤 하이브리드 버스의 베이스 모델로 채택되었다.[16] 이에 따라 2011년 6월부터 과천, 부산, 대구, 2012 여수엑스포 조직위원회 등 4개 도시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했다.[16] 2012년 세계 박람회 조직위원회에서 운행했던 차량은 세종시 세종교통에 매각되었다.[17]
2013년 12월에 선보인 2014년식부터 폴딩도어 테두리 색상이 베이지색에서 회색으로 변경되었으며, 2014년 12월에 선보인 2015년형부터 유로6 엔진 적용 및 사이드 마커램프가 적용되고,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고급 좌석 45인승 모델이 추가되었다.[18] 2015년부터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유로6 엔진 개발을 중지함에 따라 유로 6 규정에 적합한 커민스 ISL엔진을 사용한다. 그리고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부터 대시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
FX Ⅱ 116 크루징 애로우 모델을 현재 운영 중인 업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업체 목록 |
---|
태영버스 |
태영공항리무진 |
경기고속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경기여객 |
경기운수 |
대원고속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화성여객 |
평안운수 |
코리아와이드대성 |
부산여객 |
부일여객 |
남성버스 |
화영운수 |
인천교통공사 |
대한고속 |
해운대고속 |
제주여객 |
삼흥고속 |
FXⅡ116 크루징 애로우 모델을 과거에 운영했던 노선버스 업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
2. 2. 2. FX II 116S (단종)
외관상으로는 엠블럼 이외에는 FXⅡ116 크루징 애로우와 같은 차종이다. 대우버스 카탈로그에도 등장하지 않는 차종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차종 중 하나다. 정식 명칭은 FXⅡ116 스페셜(Special)이다. FXⅡ116S는 FXⅡ116 크루징 애로우의 여러 옵션들을 뺀 차량으로, FXⅡ116 크루징 애로우보다 약 1000만원 정도 저렴하다. 그러나 이 차종은 카탈로그에도 없는 유명하지 않은 차량이어서, 현재 이 차종을 투입한 회사는 거의 없어 노선버스 업체로는 태영공항리무진이 유일하게 출고했다. 2015년에는 스커트 판넬에 마커등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부터 대시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 2016년 6월에 단종되었다.2. 2. 3. FX116 하모니
11.6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로, 에어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FXⅡ에서 다시 FX로 모델명이 바뀌었으며 스포일러가 분리형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 6월부터 시판되었다.FX116 하모니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FX116 하모니 모델을 과거에 운영했던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2. 3. FX120 크루징 스타

FX120 크루징 스타는 12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BH119 로얄 스페셜의 후속 모델로,[19] 유로4 DV11K (400마력, 430마력) 엔진을 사용한다. 1985년 대우 BH 시리즈의 후속이자 자일대우 BX의 하급 모델로 22년 만에 풀 모델 체인지로 출시되었다.[2]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3번째로 독자 개발되었으며,[3] 대한민국 최초로 차체 일체형 스포일러를 적용하였다. 하부 바디 패널에 FRP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모델에 원 유닛형 루프온 에어컨이 기본 장착된다. BH 시리즈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4]
2020년 뒷면 엠블럼이 '''DAEWOO'''에서 '''ZYLE DAEWOO'''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6월부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어 생산이 중단되었고, 베트남에서 생산하여 국토교통부 인증 통과 후 도입될 예정이며, 비상구가 추가된다.[5] 2024년 단종되었다.
FX120 크루징 스타 모델을 과거에 운영했던 노선버스 업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경기고속
- 대원고속
- 삼흥고속
- 강원여객·강원흥업
- 광우고속
- 코리아와이드진안 (2009년 9월 우등형 2대 출고, 이후 일반 차량 출고)
- 거창고속
- 경전고속
- 경일교통
- 전북고속
- 전주고속
- 코리아와이드 경북
- 선진고속
- 코리아와이드대성
2. 3. 1. FX II 120 크루징 스타

12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유로5 DV11K(400마력, 430마력) 엔진을 사용했고, 2012년 1월 대전엑스포고속관광에서 CNG GL11K(340마력) 모델이 출시되었다.[1]
2015년부터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유로6 엔진 개발을 중지함에 따라 유로 6 규정에 적합한 커민스 ISL엔진을 사용한다.[1]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부터 대시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1]
FX Ⅱ 120 크루징 스타 모델을 현재 운영 중인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FXⅡ120 크루징스타 모델을 과거에 운영했던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2. 3. 2. FX II 120S (단종)

외관상으로는 엠블럼 외에는 FXⅡ120 크루징 스타와 같은 차종이다. 대우버스 카탈로그에는 '''크루징 스페셜'''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했다. FXⅡ116 크루징 애로우를 출고하기엔 차량의 전장이 짧고, FXⅡ120 크루징 스타를 출고하기에는 가격이 부담될 수 있어서 FXⅡ120S 모델이 나왔다고 한다.
FXⅡ120S는 FXⅡ120 크루징 스타의 여러 옵션을 뺀 차량으로, FXⅡ120 크루징 스타보다 약 1000만원 정도 저렴하다.
2015년 11월부터는 대시보드에 오디오가 변경된 2016년형이 선보였다가 2016년 6월에 단종되었다.
FXⅡ120S 모델을 현재 운영 중인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2. 3. 3. FX120 에이스

12m급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FXⅡ에서 FX로 모델명이 환원되었고 스포일러가 분리형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6월부터 판매되기 시작했다.
FX120 에이스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FX120 에이스 모델을 과거에 운영했던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2. 4. FX212 슈퍼 크루저
BH 시리즈의 후속이자 자일대우 BX의 하급 모델로 1985년 이후 22년 만에 완전히 새롭게 바뀌어 출시되었다.[2]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3번째로 독자 개발되었으며[3],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차체 일체형 스포일러를 적용하였다. 하부 바디 패널에 FRP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모델에 원 유닛형 루프온 에어컨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BH 시리즈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4]12m급 하이데크 모델이다. '''BH120F 로얄크루저'''의 후속 모델이자 '''BX212 로얄하이데커'''의 아랫급 모델로 유로4 V6 커먼레일 DV11K (400마력, 430마력) 엔진을 사용한다. 6단 수동 변속기와 독일 ZF사의 12단 자동 변속기를 적용한다. 2020년부터 뒷면이 '''DAEWOO''' 엠블럼에서 '''ZYLE DAEWOO''' 엠블럼으로 변경되었다가 그해 6월부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실적 악화의 문제로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어 생산을 중단하였고, 지금 현재 베트남에서 생산하여 국토교통부 인증 통과하게 되면 들어오게 될 예정이며, 그리고 비상구가 추가된다.[5] 2024년에 단종되었다.
과거에 FX212 슈퍼 크루저를 운영했었던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2. 4. 1. FX II 212 슈퍼 크루저

기존 FX212 슈퍼크루저의 성능을 보완한 12M 하이데커 기종으로, 외관은 큰 변화가 없다. 냉난방 성능, 아웃사이드 미러, 엔진룸 열해 개선, 간접 조명 위치 변경 등을 통해 기존 FX212 슈퍼크루저의 문제를 많이 개선하였으나,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의 인기에 밀려 도입률이 적었다.[23] 2013년에 상급 차종인 BX212 로얄하이데커와 함께 커민스 ISMe 엔진을 적용했다. 2015년부터 두산인프라코어가 유로 6 기준에 맞는 엔진 개발을 중지함에 따라 유로6 규정에 적합한 FPT사의 Cursor 11 엔진이 사용되었으며, 스커트 패널에 마커등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11월에 선보인 2016년식부터 대시보드에 오디오는 USB 단자가 추가되었다.
FX II 212 슈퍼 크루저를 현재 운영 중인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2. 4. 2. FX212 슈퍼스타 (단종)

12m급 하이데크 모델이다. FXⅡ에서 다시 FX로 모델명이 바뀌었으며, 스포일러는 SD급과 달리 큰 변화가 없다. 2016년 6월부터 판매되었다. 현대 유니버스, 기아 뉴그랜버드에 비해 판매량이 저조하여 2019년 이후로는 노선버스 업체에서 이 차량을 도입한 회사가 없고, 2020년에 단종되었다.
FX212 슈퍼스타 모델을 현재 운영중인 노선버스 업체는 다음과 같다.
3. 파워트레인
FX 시리즈는 두산인프라코어, 커민스, FPT 등 다양한 제조사의 엔진을 사용했다. 유로4, 유로5, 유로6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하는 디젤 엔진과 CNG 엔진이 제공되었다.
3. 1. 엔진 라인업
430 PS193 kg·m
480 PS
229 kg·m
유로 5
340 PS
140 k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