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해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해승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 초기 관료로, 경기도 시흥군 출신이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판임문관시험에 합격하여 경기도청, 광주군청, 가평군청, 용인군청, 여주군청 등에서 군속으로 근무했다. 1940년 부천군수를 거쳐, 해방 후 파주군수를 역임하고 경기도청 관방주사로 전임되었다가 부천군수로 다시 부임했다. 이후 수원시장과 인천시장을 차례로 지냈으며, 민주당 상임고문을 역임했으나 탈당 후 관직에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장 - 염태영
염태영은 환경운동가 출신으로 수원시장을 3선 역임하고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수원시장 - 김동석 (1923년)
김동석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군 복무 후 국군기무사령부, 중앙정보부 등에서 활동하며 5.16 군사정변에 가담, 대령으로 예편 후 삼척군수, 강릉시장, 제주도지사 직무대행, 목포시장, 수원시장을 지낸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지사와 대한유도협회 부회장을 겸임했고 딸은 가수 진미령이다. - 금천 강씨 - 강우규
강우규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3·1 운동 후 노인단을 조직하여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순국하였으며, 만주와 연해주에서 독립운동 지원 및 민족 교육에 힘썼고, 그의 의거는 3·1 운동 이후 최초의 의열 투쟁으로 평가받아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금천 강씨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는 조선 인조의 며느리이자 소현세자의 부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소현세자의 의문사, 인조의 사사, 숙종 때 복권 등의 사건을 겪었다. - 군정기 - 이범승
이범승은 충청남도 연기군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교토 제국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일제강점기에는 도서관 설립 운동을 펼쳤으며 해방 후 서울시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참의원을 지냈으나, 2002년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군정기 - 김대우 (1900년)
김대우는 일제강점기 관료이며 해방 및 정부 수립 이후의 활동 기록은 미상이다.
강해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강해승 |
원래 이름 | 姜海昇 (강해승) |
본관 | 금천(衿川)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시흥군 서면 노온사리 |
출생일 | 1896년 |
사망일 | 1958년 (69세) |
거주지 |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 |
가족 정보 | |
부모 | 강하석(부), 아산 장씨 부인(모) |
배우자 | 해풍 장씨 부인 |
학력 | |
학력 |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
경력 | |
주요 경력 | 前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군수 前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시장 직무대행 서리 前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장 前 대한민국 민주당 상임고문 |
직책 | 前 조선총독부 경기도 부천군 군수 (前 朝鮮總督府 京畿道 富川郡 郡守)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재임 기간 | |
임기 | 1940년 2월 29일 ~ 1945년 8월 10일 |
총독 | 미나미 지로 고이소 구니아키 아베 노부유키 |
부수상 | 오노 로쿠이치로 (총독부 정무총감) 다나카 다케오 (총독부 정무총감) 엔도 류사쿠 (총독부 정무총감) |
군주 | 히로히토 (일본) |
섭정 | 도조 히데키(前) |
총리 | 요나이 미쓰마사 (일본) 고노에 후미마로 (일본) 도조 히데키 (일본) 고이소 구니아키 (일본) 스즈키 간타로 (일본) |
2. 약력
연도 | 직책 |
---|---|
경기도 시흥군 서면 노온사리(훗날의 광명시 학온동) 출생 | |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 |
판임문관시험 합격 | |
1920년 | 경기도청 제1부 판임관견습 |
1921년 | 경기도 광주군청 군속 |
1926년 | 가평군청 군속 |
1931년 | 용인군청 군속 |
1938년~1940년 | 여주군청 군속 |
1940년 | 부천군수, 5월 창씨개명 (금천해승) |
1945년 | 8월 10일 경기도 파주군수, 10월 2일 경기도청 관방주사 |
1946년 9월 6일 | 부천군수 |
1949년 8월 26일 | 부천군수[1] |
1950년 5월 13일 ~ 1952년 5월 6일 | 수원시장 |
1950년 9월 26일 ~ 10월 | 임시 인천시장[4] |
1952년 5월 6일 | 수원시장직에서 퇴임, 관직 은퇴 |
1955년 11월 | 민주당 상임고문 |
1956년 1월 | 민주당 탈당 |
사망 | 사후 시신은 광명시 학온동에 안장 |
2. 1. 일제강점기 활동
경기도 시흥군 서면 노온사리(현 광명시 학온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강하석이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판임문관시험에 합격, 1920년 경기도청 제1부 판임관견습이 되었다. 1921년 경기도 광주군청 군속, 1926년 가평군청 군속, 1931년 용인군청 군속, 1938년부터 1940년까지 여주군청 군속으로 근무하였다. 1940년 5월 창씨개명 당시 금천해승(金川海昇)으로 개명하였다. 1940년 부천군수로 임명되었다.2. 2. 해방 이후 활동
1945년 8월 10일 경기도 파주군수에 임명되고 8월 15일 일본 패전 선언 이후에도 파주군수에 유임되었다. 1945년 10월 2일 경기도청 관방주사로 전임되었다가 1946년 9월 6일 부천군수 정재종이 경무국 경리과장으로 전임되자 부천군수로 부임하였다. 정부 수립 직후에도 부천군수에 유임되었다.1949년 8월 26일 다시 부천군수로 임명되었다가[1], 1950년 5월 13일 수원시장으로 부임, 1952년 5월 6일까지 재직하였다. 6.25 전쟁 중에도 수원시내의 각 세금 납세율이 91%를 달성시켰다.[2] 또한 같은 날 그는 수원시내 음식업자는 11월 말일까지 영업세·소득세 등의 적극적인 징수 노력을 하는 동시에 악질체납자를 일소할 방침에 대하여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을 발표하였다.[3]
1950년 9월 26일 인천상륙작전 직전에 임시 인천시장에 임명되어[4], 10월까지 재직하였다. 1952년 5월 6일 수원시장직에서 물러난 뒤 관직에서 은퇴했고, 1955년 11월 민주당 상임고문 직에 올랐지만 1956년 1월에 민주당을 탈당했다.
사후 시신은 고향인 광명시 학온동에 안장되었다.
3. 기타
강해승은 미 군정 시기에도 공직 생활을 계속하였다. 인천상륙작전 직전에는 임시 인천시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지중세와 관련된 언급이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되지 않는다.
참조
[1]
뉴스
http://newslibrary.n[...]
[2]
뉴스
납세성적 양호, 戶別稅가 91%
자유신문
1951-11-21
[3]
뉴스
수원시장, 음식업 세금 징수 노력 강화 천명
자유신문
1951-11-21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goodmorning.i[...]
2018-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