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명동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인 구명동의는 물에 빠졌을 때 생존을 돕기 위해 설계된 장치로, 부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부풀린 방광, 동물 가죽 등이 사용되었고, 19세기에는 코르크를 활용한 구명조끼가 등장했다. 20세기 초에는 카폭을 사용한 구명조끼가 개발되었으며, 이후 팽창식 구명조끼와 폼을 사용한 구명조끼가 등장했다. 현재는 부력 보조 장치, 구명조끼, 침수복, 부력 보정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국제해사기구(IMO)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구명조끼의 성능 기준과 착용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특히 항공기에서는 불시착 시 탈출을 위해 구명조끼를 기체 밖으로 나가기 직전에 팽창시키도록 안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상 스포츠 장비 - 퍼스널 워터크래프트
퍼스널 워터크래프트(PWC)는 워터제트 추진 방식의 소형 수상 레저 장비로, 다양한 제조사에서 생산되며, 안전 문제와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수상 오토바이이다. - 해상 안전 - 위험물
위험물은 안전한 운송을 위해 국제적으로 규제되며, 각 기구 및 국내 법률에 따라 분류, 포장, 표시 및 운송 관련 규제를 적용한다. - 해상 안전 -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은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을 계기로 제정되어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한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하며, 구명정 수, 비상 장비, 무선 감시 등 안전 절차를 규정하고 선박의 구조, 방화, 구명 설비, 무선 통신, 항해 안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국제적인 기준을 제시한다. - 안전 장비 - 생물안전작업대
생물안전작업대(BSC)는 HEPA 필터를 사용하여 실험실 작업자와 환경을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고, 내부 물질의 무균성을 유지하는 장비이다. - 안전 장비 - 산소 마스크
산소 마스크는 의료, 항공, 산업, 잠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산소 치료 기구로, 사용 목적에 따라 일회용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재질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항공기 비상용부터 특수 직업군용까지 존재한다.
개인구명동의 | |
---|---|
기본 정보 | |
종류 | 개인용 부양 장비 |
용도 | 물에서 사용자를 뜨게 함 |
명칭 | |
영어 | Personal flotation device (PFD), Life jacket |
약칭 | PFD |
종류 및 분류 (미국 해안경비대 기준) | |
유형 I PFD (Type I PFD) | 외해용 부양 장비 (Off-Shore Life Jacket) |
유형 II PFD (Type II PFD) | 연안용 부양 장비 (Near-Shore Buoyant Vest) |
유형 III PFD (Type III PFD) | 부양 보조 장비 (Flotation Aid) |
유형 IV PFD (Type IV PFD) | 던지는 부양 장비 (Throwable Device) |
유형 V PFD (Type V PFD) | 특수 용도 부양 장비 (Special Use Device) |
특징 | |
유형 I | 뒤집기 기능이 있으며, 의식 불명인 사람도 뒤집을 수 있음. |
유형 II | 유형 I과 유사하나 뒤집기 성능은 떨어짐. |
유형 III | 편안함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사용자가 스스로 헤엄쳐 구조될 수 있을 때 적합함. |
유형 IV | 던져서 구조를 도움. |
유형 V | 특정 활동(예: 카약, 래프팅)에 적합하게 설계됨. |
2. 역사
원시적인 개인 구명동의의 가장 오래된 예는 깊은 시냇물과 강을 건널 때 사용된 부풀린 방광, 동물 가죽, 또는 속이 빈 밀봉된 박에서 찾을 수 있다. 나무나 코르크의 간단한 블록으로 구성된 특별히 설계된 부력 안전 장치는 노르웨이 선원들이 사용했다.
1802년 2월에 작성된 Naval Chronicle에 보낸 편지에서 에이브러햄 보스케는 "코르크 부스러기로 채워져 침대 받침대와 같은 크기, 칼라처럼 감겨져 머리와 어깨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은 강한 캔버스 가방"을 왕립 해군 함선에 지급할 것을 제안했다.[1]
1804년, 코르크 구명조끼가 ''The Sporting Magazine''에서 판매되었다.[2]
1806년, 와핑에서 일하는 의사인 프랜시스 다니엘은 부풀릴 수 있는 구명 장치를 전시하고, 여러 장비를 갖춘 사람들이 블랙프라이어스 다리 아래 템스 강에 뛰어들어 조류에 따라 악기를 연주하고, 파이프를 피우고, 총을 쏘고, 와인을 마시는 시연을 했다. 다니엘은 이 아이디어를 몇 년 동안 추진했으며, 그 아이디어를 왕립 예술 협회에 넘긴 후 금메달을 받았다.[3]
개인 부양 장치는 19세기 초까지 해군 병사들에게 지급되는 장비의 일부가 아니었다. 예를 들어 나폴레옹 시대의 트라팔가 해전에서는 해군에 강제 징집된 선원들이 배에서 뛰어내려 자유를 찾아 헤엄쳐 가기 위해 그러한 장치를 사용했을 수 있다.
1852년 병력 수송선 비르켄헤드 침몰 이후, 제73 보병 연대의 G.A. 루카스 소위는 "제12 란서 기병대의 코넷 본드는... 개인적으로 소유한 '맥킨토시 라이프 프리저버'라는 구명조끼를 가지고 있었고 꽤 쉽게 해안으로 간 것으로 보인다."라고 썼다.[4]
구조 서비스가 형성된 후에야 일반적으로 끔찍한 해상 조건에서 노를 젓는 보트에 탑승하는 구명정 승무원의 개인 안전 문제가 해결되었다. 현대적인 구명조끼는 일반적으로 영국 왕립 해양 구조 협회의 구명정 검사관인 존 로스 워드 대위(나중에 영국 해군의 부제독)의 공로로 여겨진다. 그는 날씨 보호와 부력을 위해 1854년에 구명정 승무원이 착용할 갈색 코르크 조끼를 만들었다.[5] 그 조끼는 파란색/회색 방수 유류 의류 위에 착용했다.
1900년, 프랑스의 전기 기술자인 구스타브 트루베는 배터리 구동식 착용형 구명조끼를 특허 냈다. 이 조끼는 소형 고무 절연 해양 전기 배터리를 통합하여 조끼를 부풀리는 것뿐만 아니라 SOS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조난 신호탄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했다.
1904년[6]에는 딱딱한 코르크 재질이 카폭으로 채워진 방수 셀이 들어 있는 파우치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부드러운 셀은 딱딱한 코르크 조각을 사용한 장치에 비해 훨씬 유연하고 착용감이 좋았다. 카폭 부력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많은 해군에서 사용되었다.
1972년에는 노란색 또는 빨간색 보퍼트 합성 폼 구명조끼가 '본질적인 부력'(부풀린 상태가 아닌, 따라서 본질적인 부력이 아님) 부력을 위해 카폭을 대체했다.[7] 이 현대적인 조끼는 구조자뿐만 아니라 구조된 사람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었다.
빅토리아 대학교는 UVic Thermo Float PFD의 연구 개발을 개척했다.[8] 이 PFD는 네오프렌 고무 "기저귀"를 통합하여 잠수 저체온증으로부터 탁월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허벅지 위쪽과 사타구니 부위가 차갑고, 씻겨 나가고, 쇠약하게 만드는 물과의 접촉을 차단한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구명조끼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영국에서 뉴캐슬 대학교 최초의 마취학 교수인 에드거 패스크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의 연구에는 냉수에서 무의식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으로 자기 관리 마취가 포함되었다. 패스크의 연구는 그에게 OBE 훈장을 안겨주었고 "비행기를 한 번도 타지 않은 RAF에서 가장 용감한 남자"라는 묘사를 받았다.[10]
thumb
2. 1. 기원
초기 형태의 구명 장비는 깊은 물을 건널 때 사용된 부풀린 방광, 동물 가죽, 속이 빈 박 등이었다. 노르웨이 선원들은 나무나 코르크로 만든 부력 안전 장치를 사용했다. 현대적인 구명동의와 비슷한 형태는 1854년 영국의 왕립구명정협회(RNLI) 검사관이었던 워드 선장이 만든 코르크제로, 구명정 승무원들이 내후성과 부력을 위해 착용했다.가볍고 발수성이 뛰어난 카폭 나무 열매 섬유는 구명동의 부력재로 사용되었다. "카폭"은 소재에 카폭 섬유가 사용되지 않게 된 후에도 구명동의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21세기 현재까지 속칭으로 남아있다.
2. 2. 초기 발전
2. 3. 카폭과 팽창식 구명조끼
20세기 초, 카폭은 부드럽고 착용감이 좋은 구명조끼 재료로 사용되었다. 1928년, 피터 마커스는 최초의 팽창식 구명조끼인 "매 웨스트(Mae West)"를 발명했다.(미국 특허 1694714)[15] 이는 팽창된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람이 배우 메이 웨스트(Mae West)처럼 가슴이 커 보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15]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항공대와 영국 공군 군인들은 비행 장비의 일부로 팽창식 매 웨스트를 지급받았다. 매 웨스트(및 기타 개인 부양 장치)를 사용하여 생명을 구한 항공 승무원은 골드피쉬 클럽 회원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HMS 오다시티(HMS Audacity) 항공모함이 U보트에 의해 침몰한 후 바다에 빠졌던 영국 조종사 에릭 브라운(Eric Brown)은 인터뷰에서 매 웨스트 장치가 자신의 생명을 구했다고 언급했다.[16] 당시 물에 빠진 24명의 승무원 중 매 웨스트를 착용한 조종사 2명만이 살아남았고, 나머지는 머리를 물 밖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더 기본적인 부양 장치(팽창식 링)를 착용한 선원이었다.[17][18]
M1926 구명 띠는 미국 보병에게 지급되었으며, 특히 D-Day와 같은 수륙 양용 상륙 작전에서 배나 물가 근처에 있을 때 사용되었다. 이 띠에는 필요시 팽창시킬 수 있도록 이산화 탄소(CO2) 실린더 두 개가 장착되어 있었으며, 이산화 탄소(CO2) 실린더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튜브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부풀릴 수도 있었다.[11][12]
Admiralty Pattern 14124 팽창식 구명환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영국 해군에게 지급된 주요 구명 장비였다. 이 구명환은 약 3.8kg의 부력을 제공했다. 이 구명환의 치명적인 결함은 당시 많은 구명 장비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착용자가 물에 떠 있을 때 머리를 물 밖으로 유지하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이는 의식을 잃을 경우 앞으로 뒤집혀 물속으로 가라앉아 익사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13]
메이 웨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연합국 측에서 사용된 구명 동의 "Type B-4"의 애칭이다. 카키색 면으로 된 조끼로, 안에 고무로 된 기낭이 들어 있었다. 크기는 높이 약 70cm, 폭 32cm, 두께 3cm이다.
2. 4. 현대의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영국 해군에게 지급된 Admiralty Pattern 14124 팽창식 구명환은 약 3.8kg의 부력을 제공했지만, 착용자가 의식을 잃을 경우 머리를 물 밖으로 유지하지 못해 익사할 위험이 있었다.[13]1950년대에는 일본의 후지쿠라 고무 공업(현 후지쿠라 컴포지트)이, 1960년대에는 합성 섬유를 사용한 개인구명장비(PFDs)를 개발한 미국의 스턴스사, 일본의 아폴로 스포츠사가, 1970년대에는 일본 아쿠아 렁사 등이 개인구명장비를 제조하여 보급을 진행했다.
3. 종류
구명조끼는 그 용도나 구조, 형태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나뉜다. 구조 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흰색 또는 오렌지색인 것이 많다.
; 부력 보조 장치 (Buoyancy Aid)
부력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자유를 주면서 필요한 부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최소한의 유지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폼(Foam)으로만 구성되어 저렴하게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개인 구명 장비(PFD) 중 하나이다.
일부 부력 보조 장치는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해 설계되기도 한다. 이러한 조끼에는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착용하는 언더스트랩이 하나 또는 두 개 포함될 수 있으며 머리 받침 플랩도 포함될 수 있다. 언더스트랩은 물속에서 착용했을 때 조끼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가 구명조끼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제한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스트랩은 조절 가능하며 유아부터 성인까지 모든 사람이 착용하도록 설계된 많은 종류의 구명조끼에 포함되어 있다. 머리 받침 플랩은 머리를 지지하고 물 밖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구조하거나 물 밖으로 들어 올릴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 받침에 잡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부력 보조 장치는 제공하는 부력의 양(뉴턴 단위)에 따라 등급이 매겨진다. 성인용 구명조끼로 해상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간주되는 최소 등급은 150N이다. 스티로폼 등의 고형물이 부력재로 사용된다. 훈련용으로 사용하거나, 호수 등에서의 크루징이나 놀이공원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폼 코어를 사용하여 부력을 제공하며, 활동성을 중시하는 카약, 래프팅 등 수상 스포츠에 주로 사용된다.
; 구명조끼 (Life Jacket)
구명조끼는 해상에서의 안전을 위한 필수 장비로, 공기 챔버를 사용하여 부력을 제공한다.[19] 해안 크루즈, 원해 항해 및 수상 항공 비행과 같이 잠재적으로 위험한 해역에서 대형 상업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구명조끼는 코팅된 나일론으로 제작된 단일 또는 한 쌍의 밀폐형 공기 챔버로 구성되며, 측면 해제 버클로 고정된다. 선상에서는 폼으로 제작된 구명조끼를 사용하기도 한다. 트윈 에어 챔버는 비상 상황에서 에어 챔버 중 하나가 손상될 경우를 대비한 중복성을 제공한다. 레저용 구명조끼는 대부분 단일 에어 챔버 유형이다.[21]
상업 선박, 항공기 등에 비치되어 있으며, 비상 상황 시 착용한다. 승무원 및 승객용 항공기 장치는 항상 팽창식인데, 이는 추락하거나 물속에 잠긴 항공기에서 탈출할 때 팽창식 또는 폼 충전 장치가 탈출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면에 떠오르면 입으로 불거나 가스 캐니스터 방출 메커니즘을 트리거하여 장치를 팽창시킨다. 대부분의 상업용 여객 구명조끼에는 주의를 끌기 위한 플라스틱 호루라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물과 접촉하면 켜지는 램프도 있다.
품질 구명조끼는 부력 보조 장치보다 더 많은 부력을 제공하며,[19] 착용자의 몸통에 부력을 배치하여 정립 모멘트를 발생시켜 의식이 없는 경우에도 얼굴이 위를 향하게 한다. 일반적인 폼 부력 조끼와는 다르게 설계되어, 비상시 헐렁하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20]
오늘날 이러한 공기 챔버 조끼는 '팽창식 구명조끼' 또는 '조끼'라고 불리며, 상업용뿐만 아니라 레크리에이션 보트, 낚시, 항해, 카약 및 카누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제공된다. 다양한 스타일로 제공되며 전통적인 폼 조끼보다 일반적으로 더 편안하고 부피가 작다.
공기 챔버는 가슴 위에 어깨를 가로질러 위치하며 머리 뒤를 둘러싸고 있다. 자체 포함된 이산화 탄소 카트리지, 끈을 당겨 활성화하거나 호기에 의한 팽창을 위한 단방향 밸브가 있는 송풍관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일부 팽창식 구명조끼는 소금물이나 담수와 반응하여 스스로 팽창하기도 한다. 최신 세대의 자가 트리거 팽창 장치는 물에 잠겼을 때 수압에 반응하는 '수압 릴리스' 액추에이터를 통합한다. 모든 자동 구명조끼는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발사할 수 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트리거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핀이 카트리지/캐니스터를 관통하고 CO2 가스가 밀폐된 공기 챔버로 빠져나온다.[22]
수압 활성화 팽창 장치가 방수복을 입고 물에 얼굴을 아래로 떨어뜨린 경우 구명조끼를 팽창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의류의 부력이 사람을 수면에 머물게 하여 수압 릴리스를 방지하므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익사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트리거 장치의 사용으로 인해 착용자가 수중에 갇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알약 활성화 팽창 장치가 선호되는데, 물과 접촉하면 용해되는 작은 알약은 수압 액티베이터가 실패하는 얕은 물에서도 작동하므로 가장 안전한 옵션이다. 이러한 유형의 재킷을 '자동'이라고 한다. 초기 모델은 폭우나 스프레이로도 활성화될 수 있었으나, 현대식 컵/보빈 메커니즘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장기간의 해상 항해 및 군대에 의해 발생하는 공해 및 국제 해역에서 표류하는 경우 물에서 생존을 연장해야 한다. 적절한 구명조끼는 종종 조난 신호 및 생존 보조 장치(예: 휴대용 양방향 라디오 (walkie-talkie), 비상 비콘(406 MHz 주파수), 신호 거울, 해상 마커 염료, 연기 또는 조명 신호탄, 스트로브 조명, 구급 용품, 농축 영양 품목, 물 정화 용품, 상어 기피제, 칼 및 권총)을 위한 주머니와 부착 지점이 있는 조끼에 부착된다.
다리 끈과 같은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팽창된 챔버를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으며, 깨끗하고 투명한 비닐로 제작된 물보라 또는 안면 보호대가 파도로부터의 물이 얼굴을 덮고 코나 입을 통해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머리와 얼굴을 덮는다.
구명동의 중에서는 가장 단순한 구조로, 부력재에는 스티로폼 등의 고형물이 사용된다. 훈련용, 호수 등에서의 크루징이나 놀이공원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선박이나 항공기는 수송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고형식처럼 부피가 큰 것은 영업상 불이익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평소에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 시 기체를 내부 공간에 주입하는 유형이 개발되었다. 구명조끼의 등 혹은 가슴에 내장된 가스통에서 주로 압축 공기,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는 것이 많다. 끈을 당겨 작동시키는 수동식과, 바닷물에 닿으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있다.
장기 항해나 군대에서는 공해상·외양을 표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손전등이나 신호탄, 응급 처치용 의약품, 식량과 물, 상어 퇴치제 등이 들어있는 생존 키트가 부속된다.
SOLAS 협약에 의거하여 국제적인 성능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대형 선박(여객선, 페리 등)에 장비되어 있다. 외해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부력이 크고,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도 안면이 위로 향하게 되어 호흡이 확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 침수복 (Immersion Suit)
일부 형태의 개인 부력 보조 장치(PFD)는 부력뿐만 아니라 단열을 제공하여 차가운 물에서 장기간 침수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네오프렌 고무로 만든 잠수복이나 잠수부의 드라이슈트는 어느 정도의 부력을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해양 국가에서는 규제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된 인명 구조 장치 또는 PFD로 간주하지 않는다.
젖은 슈트나 드라이 슈트만 착용하고 물에 빠진 무능력한 사람이 얼굴을 아래로 향해 떠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인명 구조 장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Mark 10 잠수함 탈출 침수 장비(SEIE) 슈트는 Steinke hood보다 훨씬 더 깊은 수심에서 잠수부의 탈출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부 미국 해군 잠수함은 이미 이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나머지 함대에 대한 야심찬 설치 및 훈련 일정이 마련되어 있다.
Mark 10은 전신 슈트이기 때문에 착용자가 표면에 도달하면 보온 기능을 제공하며, 영국 해군은 180m 깊이에서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다.
; 부력 보정기 (Buoyancy Compensator)
스쿠버 다이버는 일반적으로 부력 조절기를 착용하며, 여기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가스 챔버가 있다. 가스의 양을 늘리거나 줄여서 다이버가 상승, 하강하거나 주어진 수심에서 중성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비상 시에는 다이버를 수면으로 올리거나 수면에 유지할 수 있도록 양성 부력을 제공한다.
; 특수 목적 구명조끼
특수 목적 구명조끼는 카약(특히 플레이보팅)에 사용되는 짧은 프로파일 조끼와 급류 래프팅 등의 급류 전문가를 위한 고부력 유형이 있다.[23][24] 테더 구조 작업을 위한 하네스와 포켓 또는 데이지 체인(구조 장비 부착을 위해 평평한 나일론 웨빙을 일정한 간격으로 꿰매어 만든 일련의 루프)이 포함된 PFD는 급류 구조 기술자를 위해 제작되었다.[23][24]
개와 기타 애완동물을 위한 개인 구명 장비도 개발되었다.[23][24] 미국 해안 경비대(USCG)는 동물용 개인 구명 장비를 인증하지 않지만, 많은 제조업체에서 개와 고양이용 구명조끼를 생산한다.[23][24] 개와 고양이는 수영 방법을 모르거나, 과도한 노출이나 노령으로 지치거나, 의학적 합병증이 있거나, 의식을 잃어 익사할 수 있다.[23][24]
시판되는 대부분의 구명조끼는 동물의 몸통과 목을 감싸는 폼으로 설계되어 기본적인 부력을 제공하지만, 머리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무거운 개에게는 이상적이지 않다. 그러나 개를 배로 다시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는 손잡이가 통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23][24]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는 팽창하지 않을 때는 착용하기 덜 부피가 크고, 팽창하면 폼 장치보다 더 많은 부력을 제공할 수 있어 불독 커뮤니티에서 인기가 있으며, 수중 치료에도 사용된다.[23][24]
3. 1. 부력 보조 장치 (Buoyancy Aid)
부력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자유를 주면서 필요한 부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최소한의 유지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폼(Foam)으로만 구성되어 저렴하게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개인 구명 장비(PFD) 중 하나이다.일부 부력 보조 장치는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해 설계되기도 한다. 이러한 조끼에는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착용하는 언더스트랩이 하나 또는 두 개 포함될 수 있으며 머리 받침 플랩도 포함될 수 있다. 언더스트랩은 물속에서 착용했을 때 조끼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가 구명조끼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제한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스트랩은 조절 가능하며 유아부터 성인까지 모든 사람이 착용하도록 설계된 많은 종류의 구명조끼에 포함되어 있다. 머리 받침 플랩은 머리를 지지하고 물 밖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구조하거나 물 밖으로 들어 올릴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 받침에 잡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부력 보조 장치는 제공하는 부력의 양(뉴턴 단위)에 따라 등급이 매겨진다. 성인용 구명조끼로 해상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간주되는 최소 등급은 150N이다. 스티로폼 등의 고형물이 부력재로 사용된다. 훈련용으로 사용하거나, 호수 등에서의 크루징이나 놀이공원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폼 코어를 사용하여 부력을 제공하며, 활동성을 중시하는 카약, 래프팅 등 수상 스포츠에 주로 사용된다.
3. 2. 구명조끼 (Life Jacket)
구명조끼는 해상에서의 안전을 위한 필수 장비로, 공기 챔버를 사용하여 부력을 제공한다.[19] 해안 크루즈, 원해 항해 및 수상 항공 비행과 같이 잠재적으로 위험한 해역에서 대형 상업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구명조끼는 코팅된 나일론으로 제작된 단일 또는 한 쌍의 밀폐형 공기 챔버로 구성되며, 측면 해제 버클로 고정된다. 선상에서는 폼으로 제작된 구명조끼를 사용하기도 한다. 트윈 에어 챔버는 비상 상황에서 에어 챔버 중 하나가 손상될 경우를 대비한 중복성을 제공한다. 레저용 구명조끼는 대부분 단일 에어 챔버 유형이다.[21]
상업 선박, 항공기 등에 비치되어 있으며, 비상 상황 시 착용한다. 승무원 및 승객용 항공기 장치는 항상 팽창식인데, 이는 추락하거나 물속에 잠긴 항공기에서 탈출할 때 팽창식 또는 폼 충전 장치가 탈출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면에 떠오르면 입으로 불거나 가스 캐니스터 방출 메커니즘을 트리거하여 장치를 팽창시킨다. 대부분의 상업용 여객 구명조끼에는 주의를 끌기 위한 플라스틱 호루라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물과 접촉하면 켜지는 램프도 있다.
품질 구명조끼는 부력 보조 장치보다 더 많은 부력을 제공하며,[19] 착용자의 몸통에 부력을 배치하여 정립 모멘트를 발생시켜 의식이 없는 경우에도 얼굴이 위를 향하게 한다. 일반적인 폼 부력 조끼와는 다르게 설계되어, 비상시 헐렁하면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20]
오늘날 이러한 공기 챔버 조끼는 '팽창식 구명조끼' 또는 '조끼'라고 불리며, 상업용뿐만 아니라 레크리에이션 보트, 낚시, 항해, 카약 및 카누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제공된다. 다양한 스타일로 제공되며 전통적인 폼 조끼보다 일반적으로 더 편안하고 부피가 작다.
공기 챔버는 가슴 위에 어깨를 가로질러 위치하며 머리 뒤를 둘러싸고 있다. 자체 포함된 이산화 탄소 카트리지, 끈을 당겨 활성화하거나 호기에 의한 팽창을 위한 단방향 밸브가 있는 송풍관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일부 팽창식 구명조끼는 소금물이나 담수와 반응하여 스스로 팽창하기도 한다. 최신 세대의 자가 트리거 팽창 장치는 물에 잠겼을 때 수압에 반응하는 '수압 릴리스' 액추에이터를 통합한다. 모든 자동 구명조끼는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발사할 수 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트리거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핀이 카트리지/캐니스터를 관통하고 CO2 가스가 밀폐된 공기 챔버로 빠져나온다.[22]
수압 활성화 팽창 장치가 방수복을 입고 물에 얼굴을 아래로 떨어뜨린 경우 구명조끼를 팽창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의류의 부력이 사람을 수면에 머물게 하여 수압 릴리스를 방지하므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익사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트리거 장치의 사용으로 인해 착용자가 수중에 갇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알약 활성화 팽창 장치가 선호되는데, 물과 접촉하면 용해되는 작은 알약은 수압 액티베이터가 실패하는 얕은 물에서도 작동하므로 가장 안전한 옵션이다. 이러한 유형의 재킷을 '자동'이라고 한다. 초기 모델은 폭우나 스프레이로도 활성화될 수 있었으나, 현대식 컵/보빈 메커니즘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장기간의 해상 항해 및 군대에 의해 발생하는 공해 및 국제 해역에서 표류하는 경우 물에서 생존을 연장해야 한다. 적절한 구명조끼는 종종 조난 신호 및 생존 보조 장치(예: 휴대용 양방향 라디오 (walkie-talkie), 비상 비콘(406 MHz 주파수), 신호 거울, 해상 마커 염료, 연기 또는 조명 신호탄, 스트로브 조명, 구급 용품, 농축 영양 품목, 물 정화 용품, 상어 기피제, 칼 및 권총)을 위한 주머니와 부착 지점이 있는 조끼에 부착된다.
다리 끈과 같은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팽창된 챔버를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할 수 있으며, 깨끗하고 투명한 비닐로 제작된 물보라 또는 안면 보호대가 파도로부터의 물이 얼굴을 덮고 코나 입을 통해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머리와 얼굴을 덮는다.
구명동의 중에서는 가장 단순한 구조로, 부력재에는 스티로폼 등의 고형물이 사용된다. 훈련용, 호수 등에서의 크루징이나 놀이공원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선박이나 항공기는 수송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고형식처럼 부피가 큰 것은 영업상 불이익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평소에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 시 기체를 내부 공간에 주입하는 유형이 개발되었다. 구명조끼의 등 혹은 가슴에 내장된 가스통에서 주로 압축 공기,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는 것이 많다. 끈을 당겨 작동시키는 수동식과, 바닷물에 닿으면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있다.
장기 항해나 군대에서는 공해상·외양을 표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손전등이나 신호탄, 응급 처치용 의약품, 식량과 물, 상어 퇴치제 등이 들어있는 생존 키트가 부속된다.
SOLAS 협약에 의거하여 국제적인 성능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대형 선박(여객선, 페리 등)에 장비되어 있다. 외해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부력이 크고,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도 안면이 위로 향하게 되어 호흡이 확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3. 3. 침수복 (Immersion Suit)
일부 형태의 개인 부력 보조 장치(PFD)는 부력뿐만 아니라 단열을 제공하여 차가운 물에서 장기간 침수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네오프렌 고무로 만든 잠수복이나 잠수부의 드라이슈트는 어느 정도의 부력을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해양 국가에서는 규제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된 인명 구조 장치 또는 PFD로 간주하지 않는다.
젖은 슈트나 드라이 슈트만 착용하고 물에 빠진 무능력한 사람이 얼굴을 아래로 향해 떠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인명 구조 장치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Mark 10 잠수함 탈출 침수 장비(SEIE) 슈트는 Steinke hood보다 훨씬 더 깊은 수심에서 잠수부의 탈출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부 미국 해군 잠수함은 이미 이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나머지 함대에 대한 야심찬 설치 및 훈련 일정이 마련되어 있다.
Mark 10은 전신 슈트이기 때문에 착용자가 표면에 도달하면 보온 기능을 제공하며, 영국 해군은 180m 깊이에서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다.
3. 4. 부력 보정기 (Buoyancy Compensator)
스쿠버 다이버는 일반적으로 부력 조절기를 착용하며, 여기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가스 챔버가 있다. 가스의 양을 늘리거나 줄여서 다이버가 상승, 하강하거나 주어진 수심에서 중성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비상 시에는 다이버를 수면으로 올리거나 수면에 유지할 수 있도록 양성 부력을 제공한다.3. 5. 특수 목적 구명조끼
특수 목적 구명조끼는 카약(특히 플레이보팅)에 사용되는 짧은 프로파일 조끼와 급류 래프팅 등의 급류 전문가를 위한 고부력 유형이 있다.[23][24] 테더 구조 작업을 위한 하네스와 포켓 또는 데이지 체인(구조 장비 부착을 위해 평평한 나일론 웨빙을 일정한 간격으로 꿰매어 만든 일련의 루프)이 포함된 PFD는 급류 구조 기술자를 위해 제작되었다.[23][24]개와 기타 애완동물을 위한 개인 구명 장비도 개발되었다.[23][24] 미국 해안 경비대(USCG)는 동물용 개인 구명 장비를 인증하지 않지만, 많은 제조업체에서 개와 고양이용 구명조끼를 생산한다.[23][24] 개와 고양이는 수영 방법을 모르거나, 과도한 노출이나 노령으로 지치거나, 의학적 합병증이 있거나, 의식을 잃어 익사할 수 있다.[23][24]
시판되는 대부분의 구명조끼는 동물의 몸통과 목을 감싸는 폼으로 설계되어 기본적인 부력을 제공하지만, 머리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무거운 개에게는 이상적이지 않다. 그러나 개를 배로 다시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는 손잡이가 통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23][24]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는 팽창하지 않을 때는 착용하기 덜 부피가 크고, 팽창하면 폼 장치보다 더 많은 부력을 제공할 수 있어 불독 커뮤니티에서 인기가 있으며, 수중 치료에도 사용된다.[23][24]
4. 국제 규정 및 한국의 적용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의 안전 운항과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을 제정하고, 구명조끼의 성능 기준을 규정한다. 구명조끼는 수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필수적으로 비치되며, 상업용 선박에도 모든 승무원과 승객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부유 장치는 물가 근처와 수영장에서도 찾을 수 있으며, 조끼, 재킷, 전신 수트(원피스 작업복)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구명조끼는 이산화 탄소 가스 또는 구두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릴 수 있으며, 튼튼한 합성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다. 구조대원의 시인성을 위해 밝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으로 칠해지고, 반사 "SOLAS" 테이프가 부착되어 어둠 속에서도 사람을 발견하기 쉽게 한다.
미국에서는 13세 미만의 모든 사람은 길이가 12미터 미만인 수상선에서 구명조끼(PFD)를 착용해야 한다는 연방 규정이 있다. 주 규정은 이 숫자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으며, 해당 주의 관할권 내에 있을 때는 이를 따라야 한다.
4. 1. 국제해사기구(IMO) 규정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의 안전 운항과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을 제정하고, 구명조끼의 성능 기준을 규정한다. 구명조끼는 수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필수적으로 비치되며, 상업용 선박에도 모든 승무원과 승객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부유 장치는 물가 근처와 수영장에서도 찾을 수 있으며, 조끼, 재킷, 전신 수트(원피스 작업복)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구명조끼는 이산화 탄소 가스 또는 구두로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릴 수 있으며, 튼튼한 합성 섬유 재료로 만들어진다. 구조대원의 시인성을 위해 밝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으로 칠해지고, 반사 "SOLAS" 테이프가 부착되어 어둠 속에서도 사람을 발견하기 쉽게 한다.
미국에서는 13세 미만의 모든 사람은 길이가 12미터 미만인 수상선에서 구명조끼(PFD)를 착용해야 한다는 연방 규정이 있다.
4. 2. 대한민국의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
대한민국에서는 2018년부터 모든 소형 선박 승선자의 구명조끼 착용이 의무화되었다. 이는 해양 사고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착용해야 하는 구명조끼는 국토교통성 형식 승인품(벚꽃 마크)이어야 한다.4. 3. 기타 국가의 규정
미국에서는 13세 미만의 모든 사람은 길이가 12미터 미만인 수상선에서 구명조끼(PFD)를 착용해야 한다는 연방 규정이 있다. 주 규정은 이 숫자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으며, 해당 주의 관할권 내에 있을 때는 이를 따라야 한다. 구명조끼는 상업용 선박에도 제공되어야 하며, 모든 승무원과 승객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비상시 착용해야 한다. 부유 장치는 물가 근처와 수영장에서도 찾을 수 있다.5. 항공기 구명조끼 사용 시 주의사항
구명조끼는 해상 등에 항공기가 불시착했을 경우에 대비하여 항공기에도 장비되어 있으며, 통상 수납 공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팽창식의 것이 장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객은 탑승 후, 안전 수칙이나 객실 승무원에 의한 시연 등을 통해 사용 방법을 설명을 받는다.
펼쳐진 상태의 구명조끼는 부피가 상당히 커지기 때문에, 기체 밖으로 탈출하기 전에 구명조끼를 팽창시키면 안전 자세를 취하기 어려워지거나, 좌석 사이의 좁은 통로를 이동할 때나, 비상구에서 밖으로 나갈 때 구명조끼가 걸림돌이 되어 탈출을 방해할 위험이 있다. 이 때문에 안전 수칙이나 기내 안전 비디오 등에서는, '''기체 밖으로 나가기 직전에 팽창시키도록'''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 납치 추락 사고 당시 희생자가 다수 발생한 원인 중 하나가 이 문제였는데, 착수 전에 기장이 구명조끼를 팽창시키지 않도록 안내했음에도 불구하고, 패닉에 빠진 승객 중에는 기체 밖으로 탈출하기 전에 구명조끼를 팽창시키는 사람이 속출했고, 그 결과 원활한 피난이 이루어지지 않아, 승객과 승무원 175명 중 범인 3명을 포함한 123명이 사망했다.
규칙에 따라 정기 점검과 교체가 의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일본항공에서는 연간 2000벌의 미사용품을 폐기하고 있었다. 2021년에 정비사의 발안으로 구명조끼를 가공한 파우치를 판매한 결과 호평을 받으면서, 이듬해 폐기될 부품 등을 캡슐 토이로 판매하는 기획으로 이어졌다.
5. 1. 팽창 시점
구명조끼는 해상 등에 항공기가 불시착했을 때를 대비하여 팽창식으로 장비된다.[28] 승객은 탑승 후 안전 수칙이나 객실 승무원에 의한 시연을 통해 사용 방법을 안내받는다.펼쳐진 구명조끼는 부피가 커서 기체 밖으로 탈출하기 전 팽창시키면 안전 자세를 취하기 어렵거나, 좌석 사이 통로 이동 또는 비상구 탈출 시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수칙이나 기내 안전 비디오에서는 기체 밖으로 나가기 직전에 팽창시키도록 설명한다.[28]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 납치 추락 사고는 구명조끼 조기 팽창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커진 대표적인 사례다. 착수 전 기장이 구명조끼를 팽창시키지 않도록 안내했음에도 불구하고, 패닉에 빠진 승객들이 기내에서 구명조끼를 팽창시켜 탈출에 어려움을 겪었고, 그 결과 승객과 승무원 175명 중 123명이 사망했다.
5. 2. 정기 점검 및 교체
항공기 구명조끼는 정기 점검과 교체가 의무화되어 있다. 일본항공에서는 연간 2000벌의 미사용 구명조끼를 폐기하고 있었으나, 2021년 정비사의 아이디어로 구명조끼를 가공한 파우치를 판매하여 호평을 받았고, 이후 폐기 부품을 활용한 캡슐 토이 판매 기획으로 이어졌다.6. 추가 정보 (선택 사항)
참조
[1]
웹사이트
The Naval Chronicle Volume IV
https://archive.org/[...]
1802-02
[2]
웹사이트
The Sporting Magazine
https://archive.org/[...]
1804-10
[3]
서적
Memoir of Sir F. C. Daniel, Knt., M.D., Inventor of the Life Preserver, used in cases of shipwreck, bathing, &c
https://books.google[...]
1821
[4]
웹사이트
The Wreck of HM Steamer "Birkenhead" – 26 Feb 1852
http://capeinfo.com/[...]
Capeinfo
2013-05-12
[5]
웹사이트
From the brink of disaster: Richard Lewis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RNLI
https://rnli.org/mag[...]
2017-03-03
[6]
Bare URL inline
https://rnli.org/about-us/our-history/timeline/1854-first-lifejackets#:~:text=1904%20%E2%80%93%20the%20kapok%20lifejacket&text=At%20the%20start%20of%20the,to%20stuff%20cushions%20and%20toys.
2024-08
[7]
서적
DCIEM / D.C.I.E.M. / Defence and Civi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Medicine: 50 - The First Fifty Years, 1939 to 1989
Defence and Civil Institute of Environmental Medicine
[8]
웹사이트
Feature - Survival Science
http://web.uvic.ca/t[...]
[9]
웹사이트
Sea Kayaker: Deep Trouble by Matt Broze and George Gronseth
https://learntokayak[...]
2010-05-05
[10]
웹사이트
The bravest man in the RAF never to fly an aeroplane
http://research.ncl.[...]
[11]
웹사이트
44th Collectors Avenue - US Navy M1926 inflatable floatation belt / Life preserver - 08/25/1943
http://www.44thcolle[...]
[12]
웹사이트
USN Life Preserver Belt
http://www.theoverlo[...]
[13]
서적
Survival at Sea for Mariners, Aviators and Search and Rescue Personnel
NATO
[14]
서적
Report on England, November 1940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5]
뉴스
Mae West Crashes Oxford Dictionary
https://news.google.[...]
1943-08-06
[16]
웹사이트
Captain Eric 'Winkle' Brown CBE DSC AFC RN - Maritime Foundation
https://www.maritime[...]
2016-02-21
[17]
Youtube
The Pilot Who Flew 487 Different Aircraft & Landed 2,271 Times On A Carrier! Eric "Winkle" Brown
https://www.youtube.[...]
2022-12-20
[18]
웹사이트
Captain Eric 'Winkle' Brown – James Holland's Griffon Merlin
https://www.griffonm[...]
[19]
문서
"Ten [[newton (unit)|newtons]] equals 1\xA0kg of flotation"
[20]
웹사이트
PFDs
https://www.sunlitpa[...]
2024-01-27
[21]
웹사이트
PFDs
https://whitewaterol[...]
[22]
웹사이트
Safety Aids
https://www.britishr[...]
[23]
웹사이트
Doggie Life Jackets and Flotation Devices
http://www.boatus.or[...]
Boat US Foundation
[24]
웹사이트
Canine Flotation Devices
http://www.iaamb.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nimal Massage & Bodywork / Association of Canine Water Therapy
[25]
문서
通称「桜マーク」
[26]
웹사이트
海事:ライフジャケットの着用義務拡大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8-17
[27]
뉴스
ターンブル豪首相、休暇中に罰金 救命胴衣着けずボート操船
https://web.archive.[...]
産経新聞社・産経ニュース
2017-12-30
[28]
웹사이트
왜飛行機の“中古”部品이売れているのか JALのカプセルトイが7時間で完売
https://www.itmedia.[...]
2022-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