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진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진항은 동방파제와 서방파제로 둘러싸여 선박의 피항지로 적합한 항구이다. 1995년 연안항에서 해제된 후 1996년 제1종 어항(현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고, 2009년 어항정비계획이 고시되어 방파제 보강, 물양장 개축 등의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다. 주요 어획 어종으로는 명태가 유명하며, 매년 명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어항 - 아야진항
아야진항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에 위치한 항구로, 일제강점기 때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어항 시설을 갖추고 양미리, 복어, 도루묵 등을 어획하며 주변에 관광 명소가 있다.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어항 - 대진항 (고성군)
대진항(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에 위치한 국가어항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어항으로 발전해 왔고, 시설 개선과 활어회 센터 개장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하며, 통일전망대 인근에 위치하여 관광 명소로서의 가치도 지닌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거진항 | |
---|---|
기본 정보 | |
이름 | 거진항 |
유형 | 국가어항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리 |
지정일 | 1995년 12월 29일 |
관리청 | 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
시설관리자 | 고성군수 |
2. 어항 연혁
거진항은 동방파제와 서방파제로 둘러싸여 있어 선박의 피항지로 적합하다.[1] 1995년 연안항에서 해제된 이후, 1996년 제1종 어항(현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1년에는 어항기본시설 계획이 조정되었다.[1]
2. 1. 지정 및 개발
거진항은 동방파제와 서방파제로 둘러싸여 있어 선박의 피항지로 적합하다.[1] 1995년 연안항에서 해제된 이후, 1996년 제1종 어항(현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1년에는 어항기본시설 계획이 조정되었다.[1]3. 어항 구역
본 항의 어항구역은 다음과 같다.
3. 1. 수역
방파제 기점의 동남단과 자산천 좌안 도수제의 동남단을 연결한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이다.[2]3. 2. 육역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 148-59 외 45필지이다.[3]4. 어항 시설
거진항에는 동방파제, 방사제가 축조되어 있으며, 항내에는 부잔교와 안벽, 물양장, 돌제, 호안과 선가대 등이 있다. 부잔교에는 500톤급 선박, 물양장에는 300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
4. 1. 주요 시설
거진항에는 동방파제, 방사제가 축조되어 있으며, 항내에는 부잔교와 안벽, 물양장, 돌제, 호안과 선가대 등이 있다. 부잔교에는 500톤급 선박, 물양장에는 300톤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다.5. 정비 계획
2009년 9월 14일 거진항에 대한 어항정비계획이 고시되었다.[4] 정비계획에는 방파제 보강 1식, 물양장 개축 147m, 물양장 정비 1식, 준설 84천m3 등이 포함되었다.
고성군과 강릉어항사무소는 토사의 항 입구 매몰 방지, 폭풍 및 해일 피해 방지를 위한 방파제 보강, 노후된 어업기반시설 정비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총사업비 65억 5000만원을 투입하여 2011년부터 2013년 10월까지 연차적으로 사업을 진행했다.[5]
주요 사업으로는 방파제 기부(기존 방파제 입구)측 80m, 간부(끝)측 100m 등 방파제 보강, 방파제측 물양장 280m, 해경부두 70m, 수협 전면 물양장 140m 등 490m의 물양장 정비 사업이 계획되었다. 또한 물양장 개축 132m, 해경부두 연장 15m 등 접안시설 개축공사를 실시하고 항구 내 준설, 조경 및 부대시설 설치 공사를 추진할 예정이었다.[5]
5. 1. 2009년 어항정비계획
2009년 9월 14일 거진항에 대한 어항정비계획이 고시되었다.[4] 정비계획에는 방파제 보강 1식, 물양장 개축 147m, 물양장 정비 1식, 준설 84천m3 등이 포함되었다.고성군과 강릉어항사무소는 토사의 항 입구 매몰 방지, 폭풍 및 해일 피해 방지를 위한 방파제 보강, 노후된 어업기반시설 정비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총사업비 65억 5000만원을 투입하여 2011년부터 2013년 10월까지 연차적으로 사업을 진행했다.[5]
주요 사업으로는 방파제 기부(기존 방파제 입구)측 80m, 간부(끝)측 100m 등 방파제 보강, 방파제측 물양장 280m, 해경부두 70m, 수협 전면 물양장 140m 등 490m의 물양장 정비 사업이 계획되었다. 또한 물양장 개축 132m, 해경부두 연장 15m 등 접안시설 개축공사를 실시하고 항구 내 준설, 조경 및 부대시설 설치 공사를 추진할 예정이었다.[5]
5. 2. 추가 정비 사업 (필요시)
6. 주요 어종
거진항에서는 명태, 도루묵, 문어, 광어, 전복, 해삼, 멍게 등 다양한 어종이 잡힌다.[6] 특히 명태는 거진항에서 빼놓을 수 없는 수산물로, 매년 명태 축제가 열린다.[6] 항을 따라 펼쳐진 명태 덕장은 해질 무렵 노을 비치는 바다 풍경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6]
6. 1. 어획 어종
거진항에서는 명태, 도루묵, 문어, 광어, 전복, 해삼, 멍게 등 다양한 어종이 잡힌다.[6] 특히 명태는 거진항에서 빼놓을 수 없는 수산물로, 매년 명태 축제가 열린다.[6] 항을 따라 펼쳐진 명태 덕장은 해질 무렵 노을 비치는 바다 풍경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6]6. 2. 명태와 축제
거진항에서는 명태, 도루묵, 문어, 광어, 전복, 해삼, 멍게 등이 많이 잡힌다.[6] 특히 명태는 거진항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수산물이며, 매년 명태 축제가 열린다.[6] 항구를 따라 펼쳐진 명태 덕장은 해질 무렵 노을 비치는 바다의 풍경과 어우러져 거진항의 명물로 꼽힌다.[6]7. 교통 정보
7번 일반국도 속초~대진 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거진에 정차하며, 진부령을 경유하여 서울 방면과 연결된다.
8. 기타
8. 1. 지역 경제 기여
8. 2. 향후 발전 방향 (필요시)
참조
[1]
웹사이트
동해어업지도사무소 홈페이지
http://eastship.mifa[...]
[2]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3]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육역)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4]
간행물
국가어항개발계획
농림수산식품부
2009-09-25
[5]
뉴스
고성 거진항 대대적 정비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1-12-20
[6]
서적
두바퀴로 네바퀴로
농림수산식품부
2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