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파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정파리과는 광택이 나며 금속성 색상을 띠는 파리과로, 파란색, 녹색 또는 검은색 가슴과 배를 가진다. 이들은 더듬이, 아리스타, 강모 배열 등의 특징으로 다른 파리과와 구별되며, 유충은 썩은 고기나 배설물을 먹는 청소 동물이다. 검정파리과는 구더기 치료에 사용되거나 작물 수분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가축의 구더기증을 유발하고 질병을 매개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법의 곤충학에서 사후 경과 시간 추정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검정파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파리목 |
상과 | 히츠지바에상과 |
과 | 검정파리과 |
하위 분류군 | |
아과 | 아우크메로미이이나에 검정파리아과 (Calliphorinae) 띠금파리아과 (Chrysomyinae) 금파리아과 (Luciliinae) 멜라노미이이나에 폴레니이나에 |
학명 | |
과명 | Calliphoridae |
명명자 | Brauer & Bergenstamm, 1889 |
아과 |
2. 형태적 특징
검정파리과 성충은 일반적으로 광택이 나며 금속성 색상을 띠는데, 종종 파란색, 녹색 또는 검은색 가슴과 배를 가지고 있다. 더듬이는 3마디로 되어 있으며, 털이 덮여 있다. 아리스타는 전체 길이에 걸쳐 깃털 모양이며, 두 번째 더듬이 마디는 뚜렷하게 홈이 파여 있다. 검정파리과 구성원은 갈라진 Rs2 정맥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선이 존재하고, 미모가 잘 발달되어 있다.[9]
이 과의 구성원들을 구별하기 위해 특징과 강모배열이 사용된다. 모든 검정파리는 메론에 위치한 강모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노토플레우랄 강모와 봉합전 강모 측면에 위치한 가장 뒷부분의 후상완 강모를 갖는 것은 이 과를 식별할 때 찾아야 할 특징이다.
가슴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연속적인 등쪽 봉합선과 함께 잘 정의된 후부 칼리(calli)가 있다. 후소기판은 없거나 약하게 발달되어 있다. 코스타는 끊어지지 않으며, 곤충에서는 부코스타가 뚜렷하다.[10][11][12]
2. 1. 성충
검정파리과 성충은 일반적으로 광택이 나며 금속성 색상을 띠는데, 종종 파란색, 녹색 또는 검은색 가슴과 배를 가지고 있다. 더듬이는 3마디로 되어 있으며, 털이 덮여 있다. 아리스타는 전체 길이에 걸쳐 깃털 모양이며, 두 번째 더듬이 마디는 뚜렷하게 홈이 파여 있다. 검정파리과 구성원은 갈라진 Rs2 정맥을 가지고 있으며, 분리선이 존재하고, 미모가 잘 발달되어 있다.[9]이 과의 구성원들을 구별하기 위해 특징과 강모배열이 사용된다. 모든 검정파리는 메론에 위치한 강모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노토플레우랄 강모와 봉합전 강모 측면에 위치한 가장 뒷부분의 후상완 강모를 갖는 것은 이 과를 식별할 때 찾아야 할 특징이다.
가슴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연속적인 등쪽 봉합선과 함께 잘 정의된 후부 칼리(calli)가 있다. 후소기판은 없거나 약하게 발달되어 있다. 코스타는 끊어지지 않으며, 곤충에서는 부코스타가 뚜렷하다.[10][11][12]
2. 2. 유충
3. 생태
3. 1. 생활사
대부분의 검정파리과 종들은 자율난자생성적이지 않다. 암컷은 난소 내에서 성숙한 난자를 발달시키기 위해 상당한 양의 단백질이 필요하다. 현재 이론은 암컷이 단백질 섭취와 산란을 위해 시체를 방문한다는 것이지만, 이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황색 또는 흰색인 검정파리과 알은 약 1.5mm × 0.4mm이며, 낳을 때는 쌀알처럼 보인다. 암컷 검정파리과는 한 번에 150~200개의 알을 낳지만, 일반적으로 반복적 생식을 하며 평생 동안 약 2,000개의 알을 낳는다. 검정파리과 알의 성비는 일반적으로 50:50이지만, ''Chrysomya'' 속의 두 종(''C. rufifacies''와 ''C. albiceps'')의 암컷은 예외적으로 수컷만 낳는 (arrhenogenic)하거나 암컷만 낳는 (thelygenic) 특징을 보인다.알에서 부화하여 첫 번째 유충 단계까지 약 8시간에서 하루가 걸린다. 유충은 3단계의 발달 단계(령기)를 거치며, 각 단계는 탈피로 구분된다. 령기는 호흡 시스템의 구멍인 후부 기문을 검사하여 구분할 수 있다. 유충은 배설물에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및 입 갈고리에 의한 기계적 분쇄)를 사용하여 먹이를 먹는 가축이나 시체의 단백질을 분해한다. 검정파리과는 변온 동물이다. 즉, 성장 및 발달 속도가 온도와 종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실온(약 20°C)에서 검정파리 ''Phormia regina''는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150~266시간(6~11일)이 걸릴 수 있다. 세 번째 유충 단계가 완료되면 시체를 떠나 땅속으로 들어가 번데기가 되고, 7~14일 후에 성충으로 나타난다.
3. 2. 먹이
성충 검정파리는 때때로 꽃가루 매개자이며, 썩는 고기와 비슷한 강한 냄새가 나는 꽃에 이끌린다.[14] 예를 들어, 파파야 또는 말똥가리 등이 있다.[14] 이러한 파리들이 비행에 필요한 탄수화물을 얻기 위해 꿀을 사용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언제, 어떻게 이 일이 일어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4] 한 연구에 따르면 검정파리가 겹눈으로부터 받는 시각적 자극이 비행 자세에서 다리를 뻗어 어떤 표면에든 착륙하게 하는 원인이라고 한다.[14]대부분 종의 유충은 썩은 고기와 배설물을 먹는 청소 동물이며, 이러한 물질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구더기를 구성할 가능성이 높다.
3. 3. 천적
거미,[15] 딱정벌레, 개구리, 닭을 포함한 조류 등이 검정파리의 포식자이다. Entomophthoraceae과에 속하는 곰팡이인 ''Furia vomitoriae'' 는 검정파리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 곰팡이는 파리의 복부 등판 분절 사이를 통해 분생자병 덩어리를 형성하여 결국 파리를 죽인다.[16]4. 분류
구북구, 신북구, 말레이시아(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선별된 검정파리과의 속 목록은 다음과 같다.[17][18][19][20]
- ''Abago'' Grunin, 1966[21]
- ''Amenia'' Robineau-Desvoidy, 1830[22]
- ''Angioneura'' Brauer & Bergenstamm, 1893[23]
- ''Apaulina'' Hall, 1948[24]
- ''Cynomya'' Robineau-Desvoidy, 1830[22]
- ''Aphyssura'' Hardy, 1940[25]
- ''Auchmeromyia'' Brauer & Bergenstamm, 1891[26]
- ''Bellardia'' Robineau-Desvoidy, 1863
- ''Bengalia'' Robineau-Desvoidy, 1830[22]
- ''Booponus'' Aldrich, 1923[27]
- ''Boreellus'' Aldrich & Shannon, 1923
- ''Caiusa'' Surcouf, 1920[28]
- ''Calliphora'' Robineau-Desvoidy, 1830[22]
- ''Callitroga'' Hall, 1948[24]
- ''Catapicephala'' Macquart, 1851[29]
- ''Chloroprocta'' Wulp, 1896
- ''Chrysomya'' Robineau-Desvoidy, 1830[22]
- ''Cochliomyia'' Townsend, 1915[30]
- ''Compsomyiops'' Townsend, 1918[31]
- ''Cordylobia'' Gruenberg, 1903
- ''Cyanus'' Hall, 1948[24]
- ''Dyscritomyia'' Grimshaw, 1901[32]
- ''Eggisops'' Rondani, 1862
- ''Eucalliphora'' Townsend, 1908[33]
- ''Eumesembrinella'' Townsend, 1931[34]
- ''Eurychaeta'' Brauer & Bergenstamm, 1891[26]
- ''Euphumosia'' Malloch, 1926[35]
- ''Hemilucilia'' Brauer, 1895[36]
- ''Hemipyrellia'' Townsend, 1918[31]
- ''Lucilia'' Robineau-Desvoidy, 1830[22]
- ''Melanomya'' Rondani, 1856
- ''Melinda'' Robineau-Desvoidy, 1830[22]
- ''Mufetiella'' Villeneuve, 1933[37]
- ''Nesodexia'' Villeneuve, 1911[38]
- ''Neta'' Shannon, 1926[39]
- ''Onesia'' Robineau-Desvoidy, 1830[22]
- ''Opsodexia'' Townsend, 1915[30]
- ''Pachychoeromyia'' Villeneuve, 1920[40]
- ''Paralucilia'' Brauer & Bergenstamm, 1891[26]
- ''Paramenia'' Brauer & Bergenstamm, 1889[1]
- ''Paraplatytropesa'' Crosskey, 1965[41]
- ''Phormia'' Robineau-Desvoidy, 1830[22]
- ''Phumosia'' Robineau-Desvoidy, 1830[22]
- ''Platytropesa'' Macquart, 1851[29]
- ''Polleniopsis'' Townsend, 1917[42]
- ''Prosthetosoma'' Silvestri, 1920[43]
- ''Protocalliphora'' Hough, 1899[44]
- ''Protophormia'' Townsend, 1908[33]
- ''Ptilonesia'' Bezzi, 1927[45]
- ''Rhynchoestrus'' Séguy, 1926[46]
- ''Sarconesia'' Bigot, 1857[47]
- ''Silbomyia'' Macquart, 1843[48]
- ''Stilbomyella'' Malloch, 1935[49]
- ''Toxotarsus'' Macquart, 1851[29]
- ''Triceratopyga'' Rohdendorf, 1931[50]
- ''Tricyclea'' Wulp, 1885[51]
- ''Tricycleopsis''Villeneuve, 1927[52]
- ''Trypocalliphora'' Peus, 1960[53]
- ''Xenocalliphora'' Malloch, 1924[54]
4. 1. 주요 속 (Genera)
구북구, 신북구, 말레이시아(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선별된 검정파리과의 속 목록은 다음과 같다.[17][18][19][20]- ''Abago'' Grunin, 1966[21]
- ''Amenia'' Robineau-Desvoidy, 1830[22]
- ''Angioneura'' Brauer & Bergenstamm, 1893[23]
- ''Apaulina'' Hall, 1948[24]
- ''Cynomya'' Robineau-Desvoidy, 1830[22]
- ''Aphyssura'' Hardy, 1940[25]
- ''Auchmeromyia'' Brauer & Bergenstamm, 1891[26]
- ''Bellardia'' Robineau-Desvoidy, 1863
- ''Bengalia'' Robineau-Desvoidy, 1830[22]
- ''Booponus'' Aldrich, 1923[27]
- ''Boreellus'' Aldrich & Shannon, 1923
- ''Caiusa'' Surcouf, 1920[28]
- ''Calliphora'' Robineau-Desvoidy, 1830[22]
- ''Callitroga'' Hall, 1948[24]
- ''Catapicephala'' Macquart, 1851[29]
- ''Chloroprocta'' Wulp, 1896
- ''Chrysomya'' Robineau-Desvoidy, 1830[22]
- ''Cochliomyia'' Townsend, 1915[30]
- ''Compsomyiops'' Townsend, 1918[31]
- ''Cordylobia'' Gruenberg, 1903
- ''Cyanus'' Hall, 1948[24]
- ''Dyscritomyia'' Grimshaw, 1901[32]
- ''Eggisops'' Rondani, 1862
- ''Eucalliphora'' Townsend, 1908[33]
- ''Eumesembrinella'' Townsend, 1931[34]
- ''Eurychaeta'' Brauer & Bergenstamm, 1891[26]
- ''Euphumosia'' Malloch, 1926[35]
- ''Hemilucilia'' Brauer, 1895[36]
- ''Hemipyrellia'' Townsend, 1918[31]
- ''Lucilia'' Robineau-Desvoidy, 1830[22]
- ''Melanomya'' Rondani, 1856
- ''Melinda'' Robineau-Desvoidy, 1830[22]
- ''Mufetiella'' Villeneuve, 1933[37]
- ''Nesodexia'' Villeneuve, 1911[38]
- ''Neta'' Shannon, 1926[39]
- ''Onesia'' Robineau-Desvoidy, 1830[22]
- ''Opsodexia'' Townsend, 1915[30]
- ''Pachychoeromyia'' Villeneuve, 1920[40]
- ''Paralucilia'' Brauer & Bergenstamm, 1891[26]
- ''Paramenia'' Brauer & Bergenstamm, 1889[1]
- ''Paraplatytropesa'' Crosskey, 1965[41]
- ''Phormia'' Robineau-Desvoidy, 1830[22]
- ''Phumosia'' Robineau-Desvoidy, 1830[22]
- ''Platytropesa'' Macquart, 1851[29]
- ''Polleniopsis'' Townsend, 1917[42]
- ''Prosthetosoma'' Silvestri, 1920[43]
- ''Protocalliphora'' Hough, 1899[44]
- ''Protophormia'' Townsend, 1908[33]
- ''Ptilonesia'' Bezzi, 1927[45]
- ''Rhynchoestrus'' Séguy, 1926[46]
- ''Sarconesia'' Bigot, 1857[47]
- ''Silbomyia'' Macquart, 1843[48]
- ''Stilbomyella'' Malloch, 1935[49]
- ''Toxotarsus'' Macquart, 1851[29]
- ''Triceratopyga'' Rohdendorf, 1931[50]
- ''Tricyclea'' Wulp, 1885[51]
- ''Tricycleopsis''Villeneuve, 1927[52]
- ''Trypocalliphora'' Peus, 1960[53]
- ''Xenocalliphora'' Malloch, 1924[54]
5. 인간과의 관계
5. 1. 긍정적 측면
구더기 창상 제거 치료법(MDT)은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청소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사육된 파리 유충을 의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약용 구더기는 죽은 조직만을 선택적으로 먹어 창상 제거를 수행한다. ''루실리아 세리카타(Phaenicia sericata)'' 또는 흔한 녹색 병파리는 구더기 치료에 사용되는 선호되는 종이다.[58] MDT는 욕창, 당뇨병성 족부 궤양, 정맥 울혈성 궤양 및 수술 후 상처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59]검정파리과는 꿀벌 및 야생 벌과 함께 주요 작물 수분 곤충일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아보카도, 망고, 양파, 파, 당근, 콜리플라워와 같은 작물 식물의 꽃을 방문하여 수분을 할 수 있다. 검정파리과는 머리와 가슴을 포함하여 수많은 털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꽃가루를 운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야생 검정파리과가 많은 양의 꽃가루를 운반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검정파리는 최대 1.6km 떨어진 곳에서도 죽은 동물의 냄새를 맡을 수 있어 시체에 가장 먼저 접근하는 곤충이다.[65] 검정파리는 법의 곤충학에서 최소 사후 경과 시간 (PMImin)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66] 사망 후 72시간이 지나면 사망 시점의 전통적인 추정은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없으며, 정확한 추정 시간 간격을 생성할 수 있는 유일한 전문가는 곤충학자인 경우가 많다.[67]
''칼리포라 비시나'' 와 ''시노미아 모르투오룸'' 는 법의 곤충학에서 중요한 파리이다. 법의학적으로 중요한 다른 검정파리과에는 ''포르미아 레기나'', ''칼리포라 보미토리아'', ''칼리포라 리비다'', ''루실리아 쿠프리나'', ''루실리아 세리카타'', ''루실리아 일러스트리스'', ''크리소미아 루피파시에스'', ''크리소미아 메가세팔라'', ''코클리오미아 마셀라리아'', 그리고 ''프로토포르미아 테라노바에'' 가 있다. 한 가지 속설에 따르면 ''Lucilia'' 속의 종은 죽음을 감지하여 죽음이 일어나기 직전에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68]
5. 2. 부정적 측면
검정파리는 가축, 특히 양에게 구더기증을 일으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55] 사람에게도 구더기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피부 및 피하, 안면강, 상처, 위장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55] 꼬리구더기는 불임 곤충 기술을 통해 북미에서는 박멸되었으나, 남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일부 지역에는 여전히 존재한다.[56]성충 검정파리는 이질과 같은 질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57] 검정파리속(Calliphora)과 푸른병파리속(Lucilia)은 세균 감염의 원인균을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썩은 고기를 먹고 사는 유충 시기를 거치며, 이 과정에서 결핵균과 같은 미생물을 섭취하여 전파할 수 있다. 살모넬라증 또한 파리의 침, 배설물, 발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뉴질랜드의 토끼 출혈열과 파리감염증(플라이스트라이크) 또한 검정파리와 관련된 질병이다. 특히 플라이스트라이크는 양에게 심각한 병변을 유발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6. 한국에서의 검정파리
참조
[1]
논문
Die Zweiflugler des Kaiserlichen Museums zu Wien. IV. Vorarbeiten zu einer Monographie der Muscaria Schizometopa (exclusive Anthomyidae).Pars I
https://www.biodiver[...]
2014-11-25
[2]
논문
A review of the monophyly and composition of the Bengaliinae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species, and new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Melanomyinae in the Afrotropical Region (Diptera, Calliphoridae)
2011-07-13
[3]
논문
The systematic position of the genus Helicobosca Bezzi with a discussion of the monophyly of the calyptrate families Calliphoridae, Rhinophoridae, Sarcophagidae and Tachinidae (Diptera)
1986
[4]
논문
Monophyletic blowflies revealed by phylogenomics
2021
[5]
간행물
2008-05-31
[6]
웹사이트
Gentle
http://www.oxforddic[...]
Oxford Dictionaries
2016-05-24
[7]
논문
Congruence and controversy: toward a higher-level phylogeny of Diptera
[8]
논문
Blow flies (Diptera: Calliphoridae, Polleniidae, Rhiniidae)
2021
[9]
웹사이트
Entymology 2: Family Calliphoridae
https://uomustansiri[...]
2024-10-31
[10]
웹사이트
Anatomical Atlas of Flies
http://www.ces.csiro[...]
CSIRO
2012-01-13
[11]
웹사이트
Biological Sciences: Northern Kentucky University
http://www.nku.edu/~[...]
Nku.edu
2014-05-29
[12]
웹사이트
INSECTES15-4
http://aramel.free.f[...]
Aramel.free.fr
2014-05-29
[13]
웹사이트
diaporama image
http://www.smlc.asso[...]
2014-03-11
[14]
논문
The landing responses of insects. II. The electrical response of the compound eye of the fly, ''Lucilia sericata'', upon stimluation by moving objects and slow changes of light intensity
http://jeb.biologist[...]
[15]
논문
Predation by Spiders on Ground-Released Screwworm Flies, Cochliomyia hominivorax (Diptera: Calliphoridae) in a Mountainous Area of Southern Mexico
American Arachnological Society
1993
[16]
논문
Entomopathogens from two Chihuahuan desert localities in Mexico, Projects: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in north-eastern Mexico
2000-04
[17]
논문
Family-Group Names in Diptera An annotated catalog
http://www.sel.barc.[...]
[18]
웹사이트
Taxon details: Calliphoridae
http://www.faunaeur.[...]
2007-04-19
[19]
웹사이트
Diptera: B–C
http://www.nearctica[...]
2008-05-31
[20]
웹사이트
109. Family CALLIPHORIDAE
http://hbs.bishopmus[...]
2007-05-28
[21]
논문
New and little-known Calliphoridae (Diptera), mainly bloodsucking or subcutaneous parasites of birds
1966
[22]
논문
Essai sur les myodaires
https://www.biodiver[...]
2018-07-15
[23]
서적
Die Zweiflugler des Kaiserlichen Museums zu Wien, VI. Vorarbeiten zu einer Monographie der Muscaria Schizometopa (exclusive Anthomyidae)
F. Tempsky, Wien
1893
[24]
서적
The blowflies of North America
Thomas Say Publ
1948
[25]
논문
Notes on Australian Muscoidea
1940
[26]
논문
Die Zweiflugler des Kaiserlichen Museums zu Wien. V. Vorarbeiten zu einer Monographie der Muscaria Schizometopa (exclusive Anthomyidae)
1891
[27]
논문
A new genus and species of fly reared from the hoof of the carabao
1923
[28]
웹사이트
Revision of the frog fly genus Caiusa Surcouf, 1920 (Diptera, Calliphoridae), with a note on the identity of Plinthomyia emimelania Rondani, 1875
http://mapress.com/z[...]
zootaxa
2016-05-26
[29]
논문
Dipteres exotiques nouveaux ou peu connus. Suite du 4e supplement publie dans les memoires de 1849
https://www.biodiver[...]
2021-03-28
[30]
논문
A new generic name for the screw-worm fly
1915
[31]
논문
New muscoid genera, species and synonymy (Diptera)
1918
[32]
논문
Part I. Diptera
1901
[33]
논문
The taxonomy of the muscoidean flies, including descriptions of new genera and species
https://repository.s[...]
2021-09-13
[34]
논문
Notes on American oestromuscoid types
1931
[35]
논문
LXI.— Exotic Muscaridæ ( Diptera ).—XVIII
1926-05
[36]
논문
Bemerkungen zu einigen neuen Gattungen der Muscarien und Deutung einiger Original-Exemplare
http://www.rhinoreso[...]
1895
[37]
논문
Myodaires superieurs asiatiques nouveaux
1933
[38]
논문
Dipterologische Sammelreise nack Korsika. (Dipt.) [Schluss] Tachinidae
1911
[39]
논문
Synopsis of the American Calliphoridae (Diptera)
https://www.biodiver[...]
2020-06-05
[40]
논문
À propos de la révision des Muscidae testaceae de J. Surcouf
https://www.persee.f[...]
1920
[41]
논문
A systematic revision of the Ameniinae (Diptera: Calliphoridae)
https://www.biodiver[...]
1965
[42]
논문
Indian flies of the subfamily Rhiniinae
https://www.biodiver[...]
1917
[43]
논문
Contribuzione alla conoscenza dei termitidi e termitofilidell' Africa occidentale. II. – Termitofili. Parte seconda
1920
[44]
논문
Some North American genera of the dipterous group, Calliphorinae Girschner
1899
[45]
논문
Some Calliphoridae (Diptera) from the South Pacific islands and Australia
1927
[46]
논문
Sur une forme nouvelle se rapportant aux "Oestridae dubiosae"
1926
[47]
논문
Dipteres nouveaux provenant du Chili
1857
[48]
논문
Dipteres exotiques nouveaux ou peu connus
1843
[49]
논문
The Diptera of the Territory of New Guinea. III. Families Musicidae and Tachinidae
1935
[50]
논문
Calliphorinen-Studien IV (Dipt.). Eine neue Calliphorinen-Gattung aus Ostsibirien
1931
[51]
논문
Quelques dipteres exotiques
1885
[52]
논문
Myodaires superieurs nouveaux de l'Œle de Formose
1927
[53]
논문
The Ocydromiinae group of subfamilies (Diptera, Empididae)
1960
[54]
논문
The recorded Calliphoridae of New Zealand (Diptera)
1924
[55]
논문
Oral mucosa myiasis caused by Oestrus Ovis
http://www.ams.ac.ir[...]
2008
[56]
논문
The potential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Old World screwworm fly, Chrysomya bezziana
[57]
웹사이트
Secondary Screwworms
http://creatures.ifa[...]
2008-03-28
[58]
논문
Rx:Maggots, Notes from Academe
2007-06-01
[59]
웹사이트
Maggot Therapy Project
http://www.ucihs.uci[...]
2008-03-28
[60]
웹사이트
Presentation
http://www.noahcompe[...]
2022-08-14
[61]
웹사이트
NOAH Compendium of Animal Medicines: Crovect 1.25% w/v Pour-on Solution for Sheep – Dosage and administration
http://www.noahcompe[...]
2014-03-11
[62]
웹사이트
Blow fly in Sheep
http://www.nr.gov.nl[...]
2008-04-15
[63]
Submitted manuscript
Regulatory Action Criteria for Filth and Other Extraneous Materials*1 III. Review of Flies and Foodborne Enteric Disease
https://zenodo.org/r[...]
[64]
논문
The Role of Flies as Pollinators of Horticultural Crops: An Australian Case Study with Worldwide Relevance
2020-06-02
[65]
서적
A Natural History of the Chicago Reg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6]
논문
Spatial Distribution of Forensically Significant Blow Flies in Subfamily Luciliinae (Diptera: Calliphoridae), Chiang Mai Province, Northern Thailand: Observations and Modeling Using GIS
2018-12
[67]
웹사이트
Blow flies: their life cycle and where to look for the various stages
http://www.key-net.n[...]
2012-01-13
[68]
논문
Calliphoridae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2008-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