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오르게 그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게 그로스는 독일의 화가이자 삽화가로, 표현주의, 다다이즘, 신즉물주의 등 다양한 미술 사조에 영향을 받았다. 1893년 베를린에서 태어나 드레스덴과 베를린에서 미술을 공부했으며, 풍자적인 그림으로 이름을 알렸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독일 공산당에 가입하여 정치적 활동을 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사회 비판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다. 나치의 집권 이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시민권을 얻고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1959년 독일에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신즉물주의와 사회 현실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2022년 베를린에 작은 그로스 미술관이 개관하여 그의 예술 세계를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삽화가 - 요하네스 게르츠
    요하네스 게르츠는 독일의 삽화가이자 화가로, 낭만주의적 화풍으로 독일 및 북유럽 신화, 모험담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을 그렸으며, 뒤셀도르프에서 미술 교사로 활동했다.
  • 올림픽 예술 참가 선수 - E. H. 셰퍼드
    E. H. 셰퍼드는 영국의 삽화가로서, 특히 A. A. 밀른의 《곰돌이 푸》 시리즈 삽화가로 유명하며, 세인트 폴 학교와 왕립 예술학교에서 미술 교육을 받고 《펀치》 잡지 일러스트레이터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펀치》 정규 만화가로 활동하며 A. A. 밀른의 작품에 삽화를 그려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다양한 아동 도서와 고전 작품에 삽화를 남겨 그의 작품은 여러 곳에 전시되어 있다.
  • 올림픽 예술 참가 선수 - 호레이스 트럼바우어
    호레이스 트럼바우어는 미국의 건축가로, 부유층 저택 설계로 명성을 얻었으며 필라델피아 미술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듀크 대학교 등 주요 기관의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그의 건축물은 다양한 프랑스 양식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 독일의 평화주의자 - 에리히 케스트너
    에리히 케스트너는 독일의 작가, 시인, 시나리오 작가로, 어린이 문학 작품과 사회 비판적이고 풍자적인 작품을 썼으며, 대표작으로 《에밀과 탐정들》 등이 있고, 나치 시대에도 독일에서 활동하며 독일 문학에 기여했다.
  • 독일의 평화주의자 - 에밀 율리우스 굼벨
    에밀 율리우스 굼벨은 독일의 수리 통계학자이자 평화주의 운동가로, 극치 이론의 수리 분야를 개척하여 통계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정치적 폭력과 군국주의를 비판하다 나치 정권의 탄압으로 망명했다.
게오르게 그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1년의 조지 그로스
1921년의 조지 그로스
본명게오르크 에렌프리트 그로스
출생1893년 7월 26일
출생지베를린,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사망1959년 7월 6일
사망지서베를린, 서독
국적독일, 미국 (1938년부터)
직업
분야회화, 드로잉
사조다다이즘, 표현주의, 신즉물주의
스승드레스덴 미술대학
주요 작품
작품장례식 (오스카 파니차에게 헌정)

2. 초기 생애와 교육

게오르게 그로스는 1893년 독일 베를린에서 술집 주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명은 Georg Ehrenfried Groß|게오르크 에렌프리트 그로스de이며, 그의 부모는 독실한 루터교 신자였다.[1] 어린 시절은 포메라니아 지방의 스톨프(현재 폴란드 슬루프스크)에서 보냈으나,[2] 1900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어머니, 누이들과 함께 베를린의 베딩 지역으로 이사했다.[35]

사촌의 권유로 지역 화가 그로트(Grot)가 가르치는 주간 드로잉 수업에 다니면서 미술에 입문했다.[3] 그는 에두아르트 폰 그뤼츠너의 음주 장면 그림을 세밀하게 따라 그리거나 상상 속의 전투 장면을 그리면서 그림 실력을 키워나갔다.[4] 1908년에는 학교에서의 불복종 문제로 퇴학당하기도 했다.[7]

이후 정식으로 미술 교육을 받기 시작하여, 1909년부터 1911년까지는 드레스덴 미술 아카데미에서 공부했고, 1912년부터 1917년까지는 베를린 예술 공예 대학에서 학업을 이어갔다.[35]

2. 1. 불복종과 퇴학

1908년, 중학교에서 폭력을 휘두르는 교사에게 맞서 퇴학 처분을 받았다.

2. 2. 드레스덴과 베를린에서의 수학

1909년부터 1911년까지 드레스덴 미술 아카데미에서 리하르트 뮐러, 로베르트 슈테를, 라파엘 베일레, 오스마르 쉰들러 등에게 그림을 배웠다.[35] 이 시기인 1910년, 그의 첫 드로잉이 풍자 잡지 ''울크''에 실리면서 풍자적인 그림에 재능을 보이기 시작했다.[7] 이후 1912년부터 1917년까지는 베를린 예술 공예 대학에서 에밀 오를리크 밑에서 학업을 이어갔으며,[35] 1912년부터는 유화를 그리기 시작했다.[35]

3. 제1차 세계 대전과 정치 참여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이라는 구호에 동조하여 지원병으로 입대했으나,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 겪고 환멸을 느껴 1915년 제대했다. 이후 1917년 잠시 재징집되었으나 곧 병역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전쟁 경험은 그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1916년에는 독일의 민족주의와 애국심에 대한 반감으로 자신의 이름 '게오르크 에렌프리트 그로스'(de)를 영어식 이름 'George'와 헝가리어식 성 'Grosz'로 바꾸었다. 1917년에는 베를린다다이스트 그룹에 합류하여 기존 질서와 가치에 도전하는 예술 활동을 펼쳤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 11월 혁명의 혼란 속에서 정치적으로 더욱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1919년 스파르타쿠스단 봉기 가담 후 체포되었다가 탈출했으며, 같은 해 독일 공산당(KPD)에 입당했다. 그러나 1922년 러시아 방문 후 볼셰비키 독재에 실망하여 공산당을 탈퇴했다.

이후에도 그로스는 날카로운 사회 비판 의식을 담은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 1921년 풍자화집 《신은 우리와 함께》(Gott mit uns)로 벌금형을 선고받았고, 1924년에는 또 다른 풍자화집 《Ecce Homo》(이 사람을 보라)가 외설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같은 해 예술가 조직 '붉은 그룹'(Rote Gruppe)의 회장을 맡았으며, 1928년에는 '독일 혁명 미술가 협회'(Association Revolutionärer Bildender Künstler Deutschlands)의 공동 창립자가 되는 등, 예술을 통한 사회 비판과 정치 참여를 이어갔다. 1928년에는 특정 그림이 신성 모독 혐의로 고발되기도 했다.

3. 1. 군 복무와 제대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로스는 이를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이라 여기며 지원병으로 입대했다. 그러나 전쟁 중 중상을 입고 입원하면서 전쟁의 참혹한 실상에 환멸을 느끼게 되었고, 결국 1915년에 제대했다. 이후 1917년 1월에 다시 징집되었으나, 같은 해 5월 병역 부적격 판정을 받고 최종적으로 군 복무를 마치게 되었다.

3. 2. 독일 혁명과 스파르타쿠스단

게오르게 그로스, 《공화주의 자동인형》, 1920, 종이에 수채, 뉴욕 현대 미술관


1918년 마지막 달에 일어난 독일 11월 혁명 이후, 그로스는 스파르타쿠스 동맹에 가입했다.[10] 이 동맹은 1918년 12월 독일 공산당(KPD)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는 1919년 1월 스파르타쿠스 봉기 당시 체포되었으나, 위조된 신분증을 이용해 탈출했으며 같은 해 독일 공산당(KPD)에 입당했다.

3. 3. 독일 공산당(KPD) 활동

1918년 마지막 달에 일어난 독일 11월 혁명 이후, 그로스는 스파르타쿠스 동맹에 가입했다.[10] 이 동맹은 1918년 12월 독일 공산당(KPD)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는 1919년 1월 스파르타쿠스 봉기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었으나, 위조 신분증을 이용해 탈출했다.

1920년에는 독일 사회를 풍자한 그림 모음집 《신은 우리와 함께》(Gott mit uns)를 출판했다. 이 일로 국방군(Reichswehr) 모욕 혐의로 기소되어 300DEM의 벌금을 물고, 인쇄에 사용된 판을 압수당했다.[11]

1922년 러시아를 방문하여 레닌트로츠키를 만났으나, 이후 독재 체제에 대한 혐오감을 느껴 독일 공산당을 탈당했다. 하지만 탈당 후에도 1927년까지 공산당 관련 간행물에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

4.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의 활동

1916년, 게오르게 그로스는 독일의 민족주의와 애국심에 대한 반감으로 자신의 이름을 영어식 표기인 'George'로, 성을 헝가리어식 표기인 'Grosz'로 변경했다. 이는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그의 비판적인 예술 활동의 방향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된 1919년 1월, 그는 스파르타쿠스단 봉기에 연루되어 체포되었으나 위조 신분증을 이용해 탈출했다. 같은 해 독일 공산당(KPD)에 입당하며 정치적 활동에도 참여했다.

1920년대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그는 사회의 부조리와 부패, 군국주의, 자본주의의 폐해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1921년에는 풍자화집 ''Gott mit uns''(신은 우리와 함께)가 육군을 모욕했다는 이유로 고발당해 300 독일 마르크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작품이 압수되기도 했다. 1923년 독일 공산당을 탈당했으나[16], 1927년까지 공산당 관련 간행물에 기고를 이어갔다.

1924년에는 또 다른 풍자화집 ''Ecce Homo''(이 사람을 보라)가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풍속 문란죄 유죄 판결을 받았다. 같은 해 예술가 조직 ''Rote Gruppe''(붉은 집단)의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작품은 1928년 하계 올림픽 예술 부문의 회화 부문에도 출품되었다.[18]

1928년 신성모독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19][20] 같은 해, 그는 독일 혁명적 예술가 협회의 공동 창립자가 되었다.

1920년대에 나치 장교들이 그를 체포하기 위해 작업실을 급습했으나, 작업복 차림의 그를 잡역부로 착각하여 위기를 모면하기도 했다.[17] 나치즘의 위협이 커지던 1932년, 그는 뉴욕의 아트 스튜던츠 리그 오브 뉴욕의 초빙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고, 1933년 나치가 정권을 장악하자 미국으로 완전히 망명했다.

4. 1. 러시아 여행과 공산당 탈당

1922년, 그로스는 덴마크 작가 마르틴 안데르센 넥쇠와 함께 러시아를 여행했다. 무르만스크에 도착했을 때 잠시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지만, 신원이 확인된 후 여행을 이어갈 수 있었다. 그는 이 여행에서 그리 고리 지노비예프, 카를 라데크, 블라디미르 레닌 등 여러 볼셰비키 지도자들을 만났다.[12] 또한 아르투어 홀리처와 함께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를 만나 프롤레트쿨트(프롤레타리아 문화 운동)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로스는 "프롤레타리아 문화"라는 개념 자체에 회의적이었는데, '프롤레타리아'라는 말이 무지하고 교양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예술적 재능은 타고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13] 러시아에서 그는 구성주의 예술가 블라디미르 타틀린과도 교류했다.[14]

약 6개월간 소련에서 머물렀지만, 그로스는 그곳에서 본 것들에 크게 감명받지 못했다.[15] 그의 정치적 신념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경험 이후 1923년 독일 공산당(KPD)을 탈당했다.[16]

4. 2. 신성모독 논란

1928년 12월 10일, 게오르게 그로스는 출판업자인 빌란트 헤르츠펠데와 함께 그의 포트폴리오 《히터그룬트》(Hintergrund, 배경)에 실린 두 점의 반성직자적 그림 때문에 신성모독과 모독 혐의로 기소되어 벌금형을 선고받았다.[19] 문제가 된 그림 중 하나는 수류탄과 무기를 토해내는 목사로부터 공격받는 죄수들을 묘사했으며, 다른 하나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가스 마스크와 전투화를 착용한 채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를 그렸다.

역사학자 데이비드 내시에 따르면, 그로스는 재판 과정에서 "자신은 기독교인도 평화주의자도 아니지만, 이러한 그림을 창작해야 할 내면의 필요를 느꼈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와 헤르츠펠데는 두 차례 항소했고, 마침내 1929년 베를린의 제국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20]

예술 평론가 카미유 파글리아는 이 판결에 대해 "판사는 그것이 종교에 대한 모독이라기보다는 군국주의에 대한 비판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그로스의 관점에서 종교가 병사들에게 국가를 위해 죽도록 독려하는 일종의 '대중의 아편'으로 이용되었으며, '입 다물고 복종하라'는 메시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21][22] 이 사건은 당시 독일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와 예술의 사회 비판적 역할에 대한 중요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5. 미국으로의 이민과 활동

1932년, 뉴욕의 미술 학교인 아트 스튜던츠 리그 오브 뉴욕의 초청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듬해인 1933년에는 독일 내 나치스의 세력 확장과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아트 스튜던츠 리그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등 미국에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5. 1. 미국 시민권 취득과 작품 활동

1932년, 뉴욕의 미술 학교인 아트 스튜던츠 리그 오브 뉴욕에 초청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듬해인 1933년에는 독일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나치스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다.

미국 사회에 적응하려는 노력 속에서 그의 작품 스타일은 크게 변모했다. 이전 작품들에서 보이던 날카로운 사회 풍자는 다소 무뎌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1936년에는 아트 스튜던츠 리그의 교사직을 사임하고 자신의 화숙을 열었다. 그러나 이곳의 제자들이 주로 중산층 여성이었기 때문에, 그가 본래 추구하던 거칠고 비판적인 화풍을 이어가기는 어려웠다.

1938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공식적으로 미국에 귀화했다. 1946년에는 자서전 ''Ein kleines Ja und ein Grosses Neindeu''(작은 예스와 큰 노)을 출간했다. 이후 1954년에는 미국 미술 문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1958년에는 독일 미술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각각 추대되며 예술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1959년, 독일에 일시 귀국했다가 음주 관련 사고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5. 2. 아트 스튜던츠 리그와 사립 미술 학교

1932년, 뉴욕의 미술 학교인 아트 스튜던츠 리그 오브 뉴욕에 초청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36년에는 아트 스튜던츠 리그의 교사직을 사임하고 스스로 사립 미술 학교(화숙)를 열었다. 그의 학교 제자들은 대부분 중산층 여성이었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그가 본래 가지고 있던 날카로운 사회 비판적 화풍은 점차 드러나기 어려워졌다.

5. 3. 자서전 출간

1946년, 자서전 Ein kleines Ja und ein Grosses Nein|de(작은 예스와 큰 노)을 간행했다.

6. 죽음

오랜 미국 망명 생활 끝에 1959년 5월, 베를린으로 돌아왔다.[33] 그러나 같은 해 7월 6일, 술을 마신 뒤 계단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34] 이는 독일에 일시 귀국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7. 작품 세계

''독일에서 제작됨'' (), 게오르게 그로츠의 작품, 1919년 펜으로 그림, 1920년 포트폴리오 ''신은 우리와 함께'' ()에 사진 석판화로 출판됨. 시트 x . MoMA 소장품


게오르게 그로스의 작품 세계는 주로 펜과 잉크를 사용한 드로잉과 수채화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특히 1920년대 베를린의 모습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사회상을 날카롭게 포착한 것으로 유명하다. 초기에는 표현주의미래주의, 그리고 대중적인 삽화나 낙서 등에서도 영향을 받았으며,[5] 1918년 베를린에 정착한 후에는 다다 운동의 주요 멤버로 활동하며 풍자적인 그림을 통해 당시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했다.[38]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들은 1920년대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는데, 주로 펜과 잉크 드로잉에 때로는 수채화를 가미하는 방식으로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독일 사회의 모순과 혼란을 그렸다. 탐욕스러운 자본가, 전쟁으로 상처 입은 군인, 매춘부, 성범죄, 퇴폐적인 향락 문화 등이 그의 주요 소재였으며,[38] 뛰어난 데생 실력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거칠고 과장된 캐리커처 기법을 사용하여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38] 이러한 신랄한 사회 비판은 당시 기득권층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1933년 나치즘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한 후, 그로스는 이전의 비판적인 캐리커처 스타일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보였다.[41] 그는 미국에서 주로 전통적인 누드화나 풍경화를 그렸으며, 작품의 분위기도 이전보다 감상적으로 변했다. 이는 그의 예술 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나,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보여주었던 날카로운 사회 비판 정신은 다소 약화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43][44] 그는 자서전을 통해 미국에서의 새로운 시작과 과거와의 단절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42]

7. 1. 주요 소재와 주제

그로스는 표현주의미래주의, 그리고 대중적인 삽화, 낙서, 어린이 그림 등 다양한 요소에서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화풍을 구축했다.[5] 그의 초기 작품들은 날카로운 윤곽선과 투명하게 처리된 형태가 특징이다. ''도시''(1916–17), ''폭발''(1917), ''메트로폴리스''(1917), ''장례식''(1918) 등 초기 작품들은 혼란스러운 현대 도시의 모습과 사회상을 담아냈다.[37][38] 1918년 베를린에 정착한 후에는 베를린 다다 운동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풍자적인 그림을 통해 바이마르 공화국의 부르주아 지지자들을 비판하는 등 사회 비판적인 목소리를 높였다.[38]

그의 드로잉은 주로 펜과 잉크, 때로는 수채화를 사용하여 1920년대 베를린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어두운 단면을 그렸다. 특히 뚱뚱한 사업가, 부상당한 군인, 매춘부, 성범죄, 향락 등이 그의 주요 소재였으며, 이를 통해 당시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을 신랄하게 고발했다(예: 현역 적합).[38] 그는 뛰어난 데생 실력을 갖추었음에도, ''유겐트'' 스타일처럼 의도적으로 거칠고 과장된 캐리커처 기법을 사용하여 비판의 날을 세웠다.[38] 사회 비판 외에도 ''불행한 발명가 어거스트 삼촌을 기억하라''와 같은 부조리한 작품이나 다수의 에로틱한 작품도 남겼다.[39][40]

1933년 미국으로 이주한 후, 그로스는 이전 작품과 캐리커처에 대해 날카롭게 거부하는 태도를 보였다.[41] 그는 이전의 도시 풍경에 대한 부식성 강한 시각 대신, 관습적인 누드화나 많은 풍경화 수채화를 그렸다. 작품의 분위기 또한 감상적으로 변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그의 예술적 성취가 다소 약화된 것으로 평가받는다.[43][44] 다만, 나치즘을 비판한 ''카인, 혹은 지옥의 히틀러''(1944)와 같이 사회 비판적인 시각이 드러나는 예외적인 작품도 있다. 그는 자서전에서 "독일에서 내 안에서 얼어붙었던 많은 것들이 이곳 미국에서 녹았고, 나는 그림에 대한 오랜 갈망을 다시 발견했다. 나는 과거의 일부를 신중하고 의도적으로 파괴했다"고 밝혔다.[42]

후기 작품 중 ''태양의 일식''은 무기 제조업자들의 전쟁을 묘사하고 있어, 19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의 상징적인 그림이 되기도 했다.

7. 2. 표현주의와 다다이즘의 영향

그로스는 학생 시절인 1912년에 첫 유화를 그렸으나, 그의 초기 유화 작업은 주로 191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확인된다.[35][36] 1914년경, 그는 표현주의미래주의의 영향을 받아 작품 활동을 했으며, 대중적인 삽화, 낙서, 어린이 그림 등에서도 영감을 얻었다.[5] 그의 초기 작품들은 날카로운 윤곽선을 가지며, 형태가 투명하게 처리되는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1916년부터 1917년 사이에 제작된 ''도시''는 그가 그린 많은 현대 도시 풍경화 중 첫 번째 작품으로 꼽힌다.[37] 이 외에도 묵시록적인 분위기의 ''폭발''(1917), ''메트로폴리스''(1917), 그리고 광적인 장례 행렬을 그린 ''장례식''(1918) 등이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1918년 베를린에 정착한 그로스는 베를린 다다 운동의 창립 멤버로 활동했다. 그는 다다이즘의 반예술적 정신을 받아들여, 바이마르 공화국의 부르주아 계층과 기득권 세력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풍자적인 그림을 다수 제작했다.[38]

그의 드로잉은 주로 펜과 잉크를 사용했으며, 때로는 수채화 기법을 더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이 드로잉들은 1920년대 베를린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작품의 주요 소재로는 탐욕스러운 자본가, 전쟁으로 상처 입은 군인, 매춘부, 성범죄, 그리고 퇴폐적인 향락 문화 등이 자주 등장했다(예: ''현역 적합''). 그로스는 뛰어난 데생 실력을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들은 의도적으로 거칠고 조악한 형태의 캐리커처 스타일을 채택했는데, 이는 당시 유행했던 잡지 ''유겐트''의 삽화 스타일과 유사하다.[38] 그의 작품 세계에는 단추가 꿰매진 인물을 묘사한 ''불행한 발명가 어거스트 삼촌을 기억하라''와 같은 부조리한 작품이나 다수의 에로틱한 작품들도 포함되어 있다.[39][40]

7. 3. 신즉물주의

1920년대 중반부터 게오르게 그로스의 작품은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주기 시작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혼란스러운 독일 사회에 대한 환멸과 비판 의식을 바탕으로, 이전의 표현주의다다이즘 시기의 주관적이고 격정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보다 객관적이고 냉철한 시선으로 현실을 포착하려는 시도였다.[5]

이 시기 그로스는 주로 펜과 잉크 드로잉, 때로는 수채화를 통해 당대 베를린바이마르 공화국의 어두운 단면을 날카롭게 파헤쳤다. 그의 주요 소재는 전쟁으로 신체를 잃거나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군인들, 탐욕스러운 자본가와 부패한 정치인, 매춘부, 성적으로 문란한 도시의 모습 등이었다.[38] 그는 뛰어난 소묘 실력을 갖추고 있었음에도, 종종 유겐트 스타일처럼 의도적으로 거칠고 과장된 캐리커처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 부조리와 인간의 추악함을 극대화하여 표현했다.[38] 대표적인 예로 현역 적합과 같은 작품을 들 수 있다.

그의 신랄한 사회 비판은 기득권층의 반발을 샀다. 1921년에는 풍자화집 ''Gott mit uns''(신은 우리와 함께)가 군대를 모욕했다는 이유로 고발당해 300 독일 마르크의 벌금형을 선고받았고, 1924년에는 또 다른 화집 ''Ecce Homo''(이 사람을 보라)가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기소되었다. 1928년에는 "Shut up and keep serving the cause"(닥치고 할 일을 해라)라는 작품이 신성 모독 혐의로 고발되기도 했다.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그로스는 예술가 조직 ''Rote Gruppe''(붉은 집단, 1924년 회장)과 ''독일 혁명적 예술가 협회''(1928년 공동 창립) 등에서 활동하며 꾸준히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1920년대 후반부터 그의 화풍은 점차 부드러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933년 나치스의 집권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이후에는 과거의 날카로운 사회 풍자를 상당 부분 포기하고 풍경화나 누드화 등을 주로 그리게 된다.[41][42][43]

7. 4. 미국 시기의 변화

1932년, 뉴욕의 미술 학교인 아트 스튜던츠 리그 오브 뉴욕에 초청받아 미국으로 건너갔고, 이듬해인 1933년 나치스의 집권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다.[41]

미국으로 이주한 후, 그로스는 "이전 작품과 캐리커처 일반을 날카롭게 거부"하며[41] 새로운 예술적 방향을 모색했다. 미국 사회에 동화하려는 노력 속에서 그는 이전의 날카로운 사회 풍자 대신 관습적인 누드와 많은 풍경화 수채화를 주로 그렸다. 다만 파시즘을 비판한 ''카인, 혹은 지옥의 히틀러''(1944)와 같은 작품은 예외였다. 그는 1946년 출간한 자서전 Ein kleines Ja und ein Grosses Nein|아인 클라이네스 야 운트 아인 그로세스 나인de(작은 예스와 큰 노)에서 "독일에서 내 안에서 얼어붙었던 많은 것들이 이곳 미국에서 녹았고, 나는 그림에 대한 오랜 갈망을 다시 발견했다. 나는 과거의 일부를 신중하고 의도적으로 파괴했다"고 술회했다.[42]

1920년대 후반부터 화풍이 부드러워지기 시작했지만, 미국에서의 작품은 더욱 감상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고, 이는 일반적으로 예술적 쇠퇴로 평가받는다.[43] 그의 후기 작품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베를린에서 얻었던 비평적 성공에는 미치지 못했다.[44]

1936년에는 아트 스튜던츠 리그 오브 뉴욕 교사직을 사임하고 자신의 화숙을 열었다. 그의 제자들은 대부분 중산층 여성이었으며, 이러한 환경 역시 그의 초기 작품에서 보였던 날카로운 비판 정신을 이어가기 어렵게 만들었다. 1938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며 미국에 완전히 정착했다.

이후 1954년 미국 미술 문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1958년 독일 미술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각각 선출되었다. 1959년, 독일에 잠시 귀국했다가 음주 관련 사고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8. 유산과 영향

게오르게 그로스의 날카로운 사회 비판과 독창적인 화풍은 후대의 예술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남겼다. 특히 독일신즉물주의 화가들과 미국의 사회 현실주의 화가들이 그의 작품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46][47] 그의 예술적 유산과 삶은 사후에도 영화, 소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조명되고 있으며, 그의 작품을 둘러싼 법적 논의와 기념 사업도 이어지고 있다.

8. 1. 신즉물주의와 사회 현실주의에 대한 영향

게오르게 그로스의 예술은 신즉물주의 예술가인 하인리히 마리아 다브링하우젠, 안톤 래더샤이트, 게오르크 숄츠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46] 미국에서는 그의 작품에 영향을 받은 예술가로 사회 현실주의 화가인 벤 샨과 윌리엄 그로퍼가 있다.[47]

8. 2. 사후 평가와 기념

게오르게 그로스의 예술은 신즉물주의 예술가인 하인리히 마리아 다브링하우젠, 안톤 래더샤이트, 게오르크 숄츠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46] 미국에서는 사회 현실주의 화가인 벤 샨과 윌리엄 그로퍼가 그의 작품에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예술가로 꼽힌다.[47]

1960년, 그로스를 주인공으로 한 단편 영화 ''게오르게 그로스의 공백기''가 제작되어 오스카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아서 R.G. 솔름센의 1980년 소설 ''베를린의 공주''에서 "프리츠 팔케"라는 가상의 인물로 묘사되었다. 2002년에는 배우 케빈 맥키드가 아돌프 히틀러의 젊은 시절을 다룬 영화 ''맥스''에서 그로스 역을 맡아 연기했다.

1995년, 그로스 유산은 맨해튼의 미술상 세르주 사바르스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유산 측은 사바르스키가 1910년대와 20년대 독일에서 제작된 그로스의 드로잉과 수채화 440점을 비밀리에 확보하고, 판매 수익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44] 이 소송은 맨해튼의 뉴욕주 대법원에 제기되었으며, 2006년 여름에 양측의 합의로 마무리되었다.[48]

2003년에는 그로스 가족이 뉴욕 시의 현대 미술관(MoMA)을 상대로 세 점의 그림 반환 소송을 시작했다. 이 그림들은 그로스가 1933년 망명한 후 나치에 의해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미술관 측은 소송 제기 제한 시효 3년이 지났다고 주장하며 반환을 거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가 수많은 예술 작품을 약탈했으며, 많은 독일 화가들의 상속인들이 작품 반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49]

2015년, 1994년부터 그로스 유산의 상무 이사를 맡고 있는 랄프 옌츠는 예술가를 위한 베를린 기반의 비영리 단체를 공동 설립했다. 2022년에는 베를린 쇤베르크 지구에 '작은 그로스 미술관'(''Kleines Grosz Museum'')이 문을 열었다. 이 미술관은 2008년에 주거 공간으로 개조된 과거 주유소 건물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개인 기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된다.[50] 미술관 내에는 카페와 상점도 마련되어 있다.[51]

9. 다자이 오사무와의 관계

일본의 유명 작가 다자이 오사무는 젊은 시절 게오르게 그로스의 작품에 깊은 감명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9. 1. 다자이 오사무의 존경

일본의 작가 다자이 오사무는 히로사키 고등학교 재학 시절(2학년~3학년 무렵), 당시 일본에서 처음 출판된 그로스의 작품에 매우 감명받았다. 그는 그로스의 화집을 직접 교실에 가져와 급우들에게 보여주며 소개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Progressive https://books.google[...] 2011-12-24
[2] 웹사이트 munzinger.de http://www.munzinger[...] munzinger.de 2011-12-24
[3] 문서 Grosz 1946, p. 22.
[4] 문서 Grosz 1946, pp. 24, 26.
[5] 문서 Kranzfelder 2005, p. 15.
[6] 문서 The letter "ß" is called in German a "scharfes S" or "Eszett", the latter meaning simply "SZ". It was common usage at that time when typing to transcribe the ß as "sz", so his choice of transcription was essentially a neutral phonetic rendering.
[7] 문서 Sabarsky 1985, p.250.
[8] 문서 Schmied 1978, p.29.
[9] 문서 Sabarsky 1985, p. 26. According to Sabarsky, no records can be found to substantiate the version of events described by Grosz in his autobiography, i.e., that he was accused of desertion and narrowly avoided execution.
[10] 문서 Kranzfelder 2005, p. 28.
[11] 문서 Kranzfelder 2005, pp. 36–37.
[12] 문서 Kranzfelder 2005, pp. 54–55.
[13] 서적 George Grosz: An Autob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14] 웹사이트 An exhibition in Berlin: German artist George Grosz in the Soviet Union in 1922 https://www.wsws.org[...] 2023-02-17
[15] 문서 Sabarsky 1985, pp. 33, 251.
[16] 문서 Kranzfelder 2005, p. 58.
[17] Youtube Cultural Alchemy Special Berlin Sin City of the 1920's (Pre WW2) https://www.youtube.[...] CBC (Canada) 2019-12-29
[18] 웹사이트 George Grosz https://www.olympedi[...] 2020-07-27
[19] 뉴스 Grosz on Way Here to Instruct in Art New York Times 1932-05-27
[20] 서적 Blasphemy in the Christian World: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1] 서적 A historical dictionary of Germany's Weimar Republic, 1918-1933 Greenwood Press 1997
[22] 문서 Taking Offense: When Art and the Sacred Collide 2012-04-25
[23] 간행물 Art: GEORGE GROSZ http://content.time.[...] 1942-09-14
[24] 문서 Kranzfelder 2005, p. 93.
[25] 문서 Kranzfelder 2005, p. 78.
[26] 뉴스 George Grosz and the Shame of the Fathers The Washington Post 1995-02-05
[27] 문서 Grosz, George Grove Art Online
[28] 서적 Joseph Glasco: The Fifteenth American Cacklegoose Press
[29] Youtube Art Bastard https://www.youtube.[...] 2016
[30] 문서 Grosz 1946, pp. 301–302.
[31] 웹사이트 George Grosz at The Heckscher Museum of Art http://www.heckscher[...] 2019-10-10
[32] 웹사이트 Thomas Constantine : The Second Acquirer Of George Grosz's "Eclipse Of The Sun" http://sathyu-sathyu[...] 2011-04-20
[33] 문서 Kranzfelder 2005, p. 90.
[34] 문서 Kranzfelder 2005, pp. 90–91.
[35] 문서 Kranzfelder 2005, p. 92.
[36] 서적 Kranzfelder 2005
[37] 서적 Kranzfelder 2005
[38]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rtists Facts on File 2005
[39] 웹사이트 Remember Uncle August the Unhappy Inventor http://www.centrepom[...] centrepompidou.fr 2008-04-01
[40] 웹사이트 George Grosz erotic artwork http://www.ameanet.o[...] AMEA/World Museum of Erotic Art 2008-04-02
[41] 서적 Grosz 1946
[42] 서적 Grosz 1946
[43] 서적 Michalsky 1994
[44] 뉴스 The Heirs of George Grosz Battle His Dealer's Ghost; A Protracted Lawsuit Outlives Its Target, But Not Its Anger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1-08-27
[45] 뉴스 George Grosz, Eclipse of the Sun, Heckscher Museum of Art https://query.nytime[...] 2006-02-19
[46] 서적 Michalsky 1994
[47] 서적 Walker et al. 1988
[48] 뉴스 Met Won’t Show a Grosz at Center of a Disput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6-11-15
[49] 뉴스 Critics say U.S. museums holding onto Nazi looted art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8-03-27
[50] 뉴스 George Grosz, Sharp-Eyed Berlin Observer, Comes Hom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2-05-20
[51] 뉴스 Museum devoted to George Grosz to open in a former Berlin petrol station https://www.theartne[...] The Art Newspaper 2022-02-02
[52] 서적 Before the Deluge Fromm International Publishing Corporation 1986
[53] 문서 ゲオルゲ グロッス、グロッ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