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녕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녕군주는 조선 인조의 장남 소현세자와 민회빈 강씨의 넷째 딸로, 1642년 청나라에서 태어났다. 1653년 효종에 의해 박태정에게 하가하여 금창부위에 봉해졌으며, 5남 4녀를 낳았다. 1659년 왕세자의 적녀에게 주어지는 군주의 작호를 받아 경녕군주로 책봉되었고, 1682년 사망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2년 출생 - 메흐메트 4세
    메흐메트 4세는 6세에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즉위하여 쾨프륄뤼 가문의 재상들이 제국을 이끌었으나, 빈 전투 패배 후 폐위되어 '사냥꾼 메흐메트'로 불리기도 했다.
  • 1642년 출생 - 이하라 사이카쿠
    이하라 사이카쿠는 1642년에 태어나 하이카이 시인으로 활동하다 소설가로 전향하여 우키요조시라는 새로운 소설 장르를 확립하고, 호색물, 마치닌물, 무가물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썼으며, 『호색일대남』, 『일본영대장』, 『세켄무네산요』 등의 대표작을 통해 당시 사회와 인간의 욕망을 묘사하여 일본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683년 사망 -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스페인 공주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는 루이 1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나 궁정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교적인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지참금 미지급 문제는 후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1683년 사망 - 심익현
    심익현은 조선 효종의 부마이자 청평도위로, 현종과 숙종 시대에 사신으로 활약하며 외교에 기여했고, 오행설에 밝았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던 인물이다.
경녕군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조선의 왕족
이름경녕군주
慶寧郡主
출생일1642년
출생지청나라 심양 행궁
사망일1682년 1월 12일 (39세)
아버지소현세자
어머니민회빈 강씨
배우자금창부위(錦昌副尉) 박태정(朴泰定)
자녀5남 4녀

2. 생애

인조의 장남 소현세자민회빈 강씨의 넷째 딸로, 1642년 부모가 인질 생활 중이던 청나라에서 태어났다. 1645년(인조 23년) 소현세자와 강빈이 귀국하였으나 소현세자는 곧 사망하였고, 1646년(인조 24년) 어머니 강빈 또한 인조 독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1] 이후 소현세자의 자손들은 유배되었으나 효종의 명으로 복귀하였다.

1653년(효종 4년) 효종은 경녕군주를 박세기의 아들 박태정에게 하가하고 박태정을 금창부위로 봉하였다.[2] 박태정과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으며, 장남 박필명은 숙종 대의 가신이었다.

1659년(효종 10년) 왕세자의 적녀에게 주는 군주 작호를 받고 '''경녕군주'''로 책봉되었다.[3]

1682년(숙종 8년) 1월 12일 사망하였다. 숙종은 주강을 멈추고 관판과 상수를 내렸으며, 왕족의 예장 제도가 예전대로 회복되지 않았으나 특별히 예장할 것을 명하였다.[4]

2. 1. 출생과 유년기

1642년 인조의 장남 소현세자민회빈 강씨의 넷째 딸로, 부모가 인질 생활 중이던 청나라에서 태어났다.

1645년(인조 23년) 소현세자와 민회빈 강씨는 조선으로 귀국하였으나, 소현세자는 곧 사망하였다. 1646년(인조 24년) 어머니 민회빈 강씨 또한 인조 독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1] 이후 왕명에 의해 소현세자의 자손들은 유배되었으나, 후에 효종의 명으로 복귀하였다.

2. 2. 혼인과 군주 책봉

1645년(인조 23년) 소현세자강빈조선으로 귀국하였으나 소현세자는 곧 사망하였고, 어머니 강빈 또한 1646년(인조 24년) 인조독살 미수사건과 관련하여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1] 이후 왕명에 의해 소현세자의 자손들은 유배되었으나 후에 효종의 명으로 복귀하였다.

1653년(효종 4년) 효종은 경녕군주를 박세기(朴世基)의 아들 박태정(朴泰定)에게 하가하고 박태정을 금창부위(錦昌副尉)로 봉하였다.[2] 박태정과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낳았으며 장남 박필명은 숙종대의 가신이었다.

1659년(효종 10년) 왕세자의 적녀에게 주는 군주의 작호를 받고 '''경녕군주'''(敬寧郡主)로 책봉되었다.[3]

2. 3. 사망

1682년(숙종 8년) 1월 12일 사망하였다. 사망 소식을 들은 숙종은 주강을 멈추고 관판과 상수를 내렸으며, 왕족의 예장 제도가 예전대로 회복되지 않았으나 특별히 예장할 것을 명하였다.[4]

3. 가족 관계

경녕군주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구분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조부인조1595년1649년조선 제16대 국왕
조모인열왕후 한씨1594년1635년
아버지소현세자1612년1645년
외조부강석기1580년1643년문정공
외조모신예옥[5]?1647년[6]
어머니민회빈 강씨1611년1646년
오빠경선군1636년1648년
언니경숙군주1637년1655년
오빠경완군1640년1648년
여동생경순군주1643년1697년
남동생경안군1644년1665년
남동생왕손1645년1645년
남편금창부위 경헌공 박태정1640년1688년
장남박필명1658년1716년한산 이씨와 혼인
차남박필영1665년1715년죽산 안씨, 전주 이씨와 혼인
3남박필형1667년1696년벽진 이씨와 혼인
장녀박영혜1670년?이희남에게 출가
차녀박오혜1671년?유정진에게 출가
4남박필굉1675년1695년덕수 이씨와 혼인
3녀박인혜1676년1729년[7] 이병성에게 출가
4녀박경혜1677년?김치겸에게 출가
5남박필평1680년1697년온양 정씨와 혼인


3. 1. 부모와 형제자매

3. 2. 배우자와 자녀


  • '''남편''' : 금창부위 경헌공 박태정(錦昌副尉 敬憲公 朴泰定, 1640 ~ 1688)

이름출생사망비고
장남박필명(朴弼明)1658년1716년한산 이씨(韓山 李氏)와 혼인
차남박필영(朴弼英)1665년1715년죽산 안씨(竹山 安氏, 1664 ~ 1706), 전주 이씨(全州 李氏, 1687 ~ 1730)와 혼인
3남박필형(朴弼亨)1667년1696년벽진 이씨(碧珍 李氏)와 혼인
장녀박영혜(朴潁惠)1670년?이희남(李喜楠)에게 출가
차녀박오혜(朴悟惠)1671년?유정진(柳挺晉)에게 출가
4남박필굉(朴弼宏)1675년1695년덕수 이씨(德水 李氏)와 혼인
3녀박인혜(朴仁惠)1676년1729년[7] 이병성(李秉成)에게 출가
4녀박경혜(朴敬惠)1677년?김치겸(金致謙)에게 출가
5남박필평(朴弼平)1680년1697년온양 정씨(溫陽 鄭氏)와 혼인


참조

[1] 실록 소현세자빈 강씨를 폐출하여 사사하고 교명 죽책·인·장복 등을 불태우다
[2] 실록 정제현에게 숙휘공주를, 소현세자의 둘째 딸을 박태정에게 시집보내다
[3] 실록 소현세자의 아들과 딸들을 군과 군주에 봉하라고 하교하다
[4] 실록 경녕군주의 졸기
[5] 실록
[6] 문서 인조 25년(1647년) 처형됨
[7] 문서 숙인 반남 박씨 묘지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