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복흥은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권세가 출신이자 무인 집정자 경대승의 후손이다. 원나라, 왜구를 물리치고 요직을 거쳐 문하시중에 올랐으나, 신돈 제거에 실패하여 유배되기도 했다. 신돈 사후 다시 등용되었으나, 이인임에게 무고를 당하여 귀양 간 후 사망했다. 그는 부원파를 숙청하고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데 기여했으며, 시호는 정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도원수 - 배극렴
배극렴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자 정치인으로, 왜구 토벌과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워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 고려의 도원수 - 정지 (경렬공)
정지는 고려 말 왜구 격퇴에 공을 세운 무신으로 위화도 회군에 가담했으나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반대하다 생을 마감했고, 그의 공은 조선 태조 때 인정받아 회군공신에 책록되었으며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권문세족 - 지윤
지윤은 고려 말 무녀 출신 어머니를 두었음에도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판숭경부사에 이르렀으나, 권신 이인임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친명파를 탄압하고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과 함께 북원과 심왕의 위협에 맞서기도 했으며, 이인임 제거 실패 후 처형, 조선 개국 후 왕실 외척이 되었지만 반역자로 기록되었다. - 권문세족 - 이인임
이인임은 고려 말 공민왕, 우왕 대에 권력을 행사하며 홍건적 격퇴, 원나라 토벌 등의 공을 세웠으나, 권문세족으로서 친원 정책과 전횡을 일삼다 최영, 이성계 등에 의해 제거되었다. - 고려의 부원군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 고려의 부원군 - 염제신
염제신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원나라 관료 생활 후 고려로 돌아와 기철 일파 숙청과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워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공민왕의 후궁 신비 염씨의 아버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경복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복흥 |
현지어 표기 | 慶復興 |
생애 | ? ~ 1380년 |
출생지 | 고려 개경 (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특급시) |
사망지 | 고려 양광도 청주 (現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
본관 | 청주(淸州) |
별명 | 호(號)는 산남(山南), 초명(初名)은 경천흥(慶千興), 시호(諡號)는 정렬(貞烈) |
종교 | 불교 → 유교(성리학) |
자녀 | 경보(慶補), 경진(慶臻), 경의(慶儀) |
아버지 | 경사만(慶斯萬) |
군사 경력 | |
복무 | 고려 군사 |
정당 | 권문세족 신분 피박탈 세력 잔존 후예 |
복무 기간 | 1352년 ~ 1380년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1364년 원나라 군사의 고려 침입 격퇴 1377년 왜구의 고려 개경 침입 격퇴 |
최종 계급 | 문하시중(門下侍中) |
지휘 | 수성도통사(守城都統使) |
2. 생애
경복흥은 무인 집권자 경대승의 후손으로, 본관은 청주이다. 초명은 경천흥(慶千興)이며, 아버지는 우대언을 지낸 경사만이다. 원나라와 왜구를 무찌르고 평장사, 찬성사를 거쳐 수문하시중까지 올랐다. 신돈을 축출하려다 실패하여 귀양살이를 했으며, 이인임에게 무고를 당해 귀양 가서 죽었다. 시호는 정렬(貞烈)이다.
2. 1. 관직 생활과 외세 격퇴
경복흥은 음서로 관직에 등용되어 감찰 장령 등을 거쳤다. 1354년(공민왕) 군부판서, 1357년 지정사상의가 되었다. 이때 왜구가 빈번히 침입해오고 북방의 정세도 불안정하여 도성 수축 논의가 일어나자 정세운, 유숙 등과 함께 백성의 피폐를 이유로 반대하여 이를 중지시켰다. 1359년에는 기철 등 부원파 일당을 숙청한 공로로 일등공신에 봉해졌으며 서북면원수로 홍건적의 침입을 막아냈다.1364년 1월, 원나라가 고려 왕으로 임명한 덕흥군을 앞세우고 최유가 쳐들어오자 서북면도원수가 되어 이순, 최영, 안우경 등과 함께 이들을 물리쳤다. 이 공으로 좌시중에 올랐다. 1365년 수시중이 되었으나 신돈의 배척을 받아 파직되었고, 청원부원군으로 봉해졌다. 1367년 오인택, 안우경, 김원명 등과 신돈을 제거하려다가 발각되어 흥주로 유배되었다. 1371년 신돈이 살해되자 다시 좌시중이 되었다. 그 후 문하시중을 거쳐 1377년(우왕 3) 수성도통사로서 개성까지 쳐들어온 왜구에 대비했다.
2. 2. 신돈과의 갈등 및 유배
1365년 신돈의 배척으로 수시중(守侍中)에서 파직되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 1367년 오인택(吳仁澤), 안우경(安遇慶), 김원명(金元命) 등과 함께 신돈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흥주(興州)로 유배되었다. 1371년 신돈이 살해되자 다시 좌시중이 되었다.2. 3. 복귀와 이인임과의 갈등
慶復興중국어은 신돈이 제거된 후 문하시중으로 등용되었다. 그는 권세가 출신이었는데 청렴했다. 1371년 신돈이 살해되자 좌시중으로 복귀하였다.이후 문하시중을 거쳐 1377년({{고려 우왕|우왕]] 3) 수성도통사(守城都統使)로서 개성까지 쳐들어온 왜구에 대비했다. 1380년, 술을 마시고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인임, 임견미 등에게 무고당해 청주로 귀양갔다가 거기서 죽었다.
3. 경복흥이 등장하는 작품
경복흥은 여러 TV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1983년 KBS 드라마 《개국》에서 박용식이, 2005년 MBC 드라마 《신돈》에서 김명수가,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에서 김진태가 경복흥 역을 연기했다.
3. 1. TV 드라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