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하시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하시중은 고려 시대에 설치되어 조선 초까지 이어진 관직으로, 국정을 총괄하는 최고위직이었다. 982년(고려 성종 원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고려 문종 때 정원이 1인으로 정해졌다. 원나라의 간섭으로 첨의중찬으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공민왕 때 문하시중으로 복구되었다. 조선 건국 이후에는 정승으로 개칭되었고, 1401년 의정부 설치와 함께 좌의정, 우의정으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재상 - 대제학
    대제학은 조선 시대 문한을 담당하는 관청의 최고위 정2품 관직으로, 학술 및 외교 문서 작성과 왕의 자문에 응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한국의 재상 - 의정부
    의정부는 조선시대 삼정승이 국가의 중요 정사를 논의하고 결정하던 최고 의사결정 기구였으나, 육조 직계제 시행으로 기능이 축소되기도 하고 비변사 설치 이후 역할이 줄어들었으며, 1907년 내각 개편으로 폐지되었고, 현재 그 터는 광화문 시민열린마당으로 조성되어 있다.
  • 신라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신라의 관직과 칭호 - 관위
    관위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관리의 서열을 나타내는 제도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국가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와 기능을 가졌으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독자적인 관위제가 존재하며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고려의 관직과 칭호 - 현감
    현감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각 현을 다스리던 지방관을 지칭하며, 조선 시대에는 종6품의 외관직으로 사법, 행정, 군사 업무를 관장하였다.
  • 고려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문하시중
관직 정보
국가고려
명칭문하시중
원어명門下侍中
소속중서문하성
품계종1품
지명자고려 국왕
임명자고려 국왕
설치982년
마지막이성계
폐지1392년
후신조선 좌의정, 우의정
상세 정보
임기일정하지 않음
상관고려 국왕
초대?982년(성종 1) 2성6부제가 도입되어 내사문하성의 문하시중이 수상(首相)으로서 기능하는 실질적 최고 관직이 됨. 기록상 988년 최승로가 수문하시중으로 가장 먼저 언급됨. 다만 982년~988년 사이에 문하시중을 지낸 인물들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음.
폐지 설명고려의 문하시중은 고려가 망국한 1392년에 없어짐. 다만 고려의 관제를 일부 계승한 조선 초기까지를 문하시중의 연장선이라고 본다면, 문하좌시중, 문하우시중을 고친 문하좌정승, 문하우정승이 의정부좌정승, 의정부우정승으로 바뀐 1401년에 폐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의정부는 1400년에 설치되었고, 문하부는 1401년에 폐지되어 의정부에 통합되었다.고려의 문하시중은 고려가 망국한 1392년에 없어짐. 다만 고려의 관제를 일부 계승한 조선 초기까지를 문하시중의 연장선이라고 본다면, 문하좌시중, 문하우시중을 고친 문하좌정승, 문하우정승이 의정부좌정승, 의정부우정승으로 바뀐 1401년에 폐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의정부는 1400년에 설치되었고, 문하부는 1401년에 폐지되어 의정부에 통합되었다.
후신 설명고려의 내사령, 중서령 등은 문하시중보다 품계가 높았으나 일종의 명예직에 불과하여 문하시중이 실질적인 수상(首相)에 해당하였다. 고려 전기의 내사령, 중서령 등은 고려 후기로 가면서 영도첨의, 영문하, 판문하 등으로 바뀌고, 조선 건국 후에는 영문하로 불리다 판문하로 개칭된다. 이후 판문하는 영의정부사로 바뀌는데 이것이 영의정의 기원이다. 영의정부사는 1436년(세종 18) 의정부의 의결에 참여하게 되면서 수상(首相)으로서의 면모를 갖기 시작했으며, 1466년(세조 12) 영의정으로 개칭된다. 한편 문하시중은 조선 초기 문하좌시중, 문하우시중으로 이어지다 문하좌정승, 문하우정승으로 바뀌고, 1401년(태종 1) 문하부가 폐지되고 의정부에 통합되면서 의정부좌정승, 의정부우정승이 되었으며, 1414년(태종 14) 판부사를 거쳐 좌의정, 우의정이 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좌의정이 수상(首相)으로서 기능했으나 전술한 것처럼 1436년(세종 18) 영의정부사, 즉 영의정이 의정부의 의결에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수상으로서의 지위를 영의정에게 넘겨주게 된다.고려의 내사령, 중서령 등은 문하시중보다 품계가 높았으나 일종의 명예직에 불과하여 문하시중이 실질적인 수상(首相)에 해당하였다. 고려 전기의 내사령, 중서령 등은 고려 후기로 가면서 영도첨의, 영문하, 판문하 등으로 바뀌고, 조선 건국 후에는 영문하로 불리다 판문하로 개칭된다. 이후 판문하는 영의정부사로 바뀌는데 이것이 영의정의 기원이다. 영의정부사는 1436년(세종 18) 의정부의 의결에 참여하게 되면서 수상(首相)으로서의 면모를 갖기 시작했으며, 1466년(세조 12) 영의정으로 개칭된다. 한편 문하시중은 조선 초기 문하좌시중, 문하우시중으로 이어지다 문하좌정승, 문하우정승으로 바뀌고, 1401년(태종 1) 문하부가 폐지되고 의정부에 통합되면서 의정부좌정승, 의정부우정승이 되었으며, 1414년(태종 14) 판부사를 거쳐 좌의정, 우의정이 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좌의정이 수상(首相)으로서 기능했으나 전술한 것처럼 1436년(세종 18) 영의정부사, 즉 영의정이 의정부의 의결에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수상으로서의 지위를 영의정에게 넘겨주게 된다.
원어명 (한자)門下侍中

2. 역사

982년(고려 성종 원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이 설치되었다. 고려 문종 때 정원을 1인, 관품을 종1품으로 정했다. 1275년(충렬왕 원년)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고치고 좌·우 각 1인씩을 두었다. 1298년 충선왕이 즉위하여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고쳤다가 잠시 후 중찬(中贊)으로 다시 고쳤다. 1308년 충선왕이 원(元)에 있으면서 정승(政丞)으로 고치고 1인으로 줄였다. 1330년(충숙왕 17년) 충혜왕이 다시 중찬으로 고쳤다가 우정승(右政丞)·좌정승(左政丞)으로 고쳤다.

1354년(공민왕 3년) 시중으로 고쳤다가 우정승·좌정승으로 다시 고쳤다. 1356년(공민왕 5년) 문하시중·수시중(守侍中)으로 고쳤다. 1362년(공민왕 11년) 첨의우정승(僉議右政丞)·첨의좌정승(僉議左政丞)으로, 1363년(공민왕 12년) 첨의좌시중(僉議左侍中)·첨의우시중(僉議右侍中)으로, 1369년(공민왕 18년)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으로 고쳤다. 창왕 때 좌시중은 문하시중, 우시중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바뀌었다.[4]

조선 건국 후 1394년 시중을 '정승'으로 바꾸었고, 1401년 문하부를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좌정승, 우정승은 각각 좌의정, 우의정이 되었다.

2. 1. 고려 시대

982년(고려 성종 원년) 문하시중이 설치된 이후, 고려 시대 동안 문하시중의 명칭과 기능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고려 문종 때 정원 1인, 종1품으로 정해졌던 문하시중은 1275년(충렬왕 원년) 첨의중찬으로 바뀌면서 좌·우 각 1인씩을 두게 되었다.

이후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공민왕 대에 걸쳐 중찬, 정승, 우정승·좌정승, 시중, 수시중 등 다양한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특히 공민왕 대에는 잦은 개칭이 있었는데, 1362년 첨의우정승·첨의좌정승, 1363년 첨의좌시중·첨의우시중, 1369년 문하좌시중·문하우시중으로 바뀌었다. 창왕 때에는 좌시중이 문하시중, 우시중이 수문하시중으로 변경되었다.[4]

2. 1. 1. 초기 (918년 ~ 1275년)

982년(고려 성종 원년) 문하시중(門下侍中)이 설치되었다.

고려 문종 때 정원이 1인으로 정해지고, 관품은 종1품으로 정해졌다.

1275년(충렬왕 원년)에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고쳐졌고,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4]

2. 1. 2. 중기 (1275년 ~ 1356년)

1275년(충렬왕 원년)에 문하시중이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바뀌었고,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4] 1298년 충선왕은 즉위 후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으로 고쳤다가, 곧 중찬(中贊)으로 다시 고쳤다.[4]

1308년 충선왕이 원(元)에 있으면서 정승(政丞)으로 고치고 1인으로 줄였다.[4] 1330년(충숙왕 17년) 충혜왕은 다시 중찬으로 고쳤다가, 이후 우정승(右政丞)·좌정승(左政丞)으로 고쳤다.[4]

1354년(공민왕 3년) 다시 시중으로 고쳤다가, 얼마 후 우정승·좌정승으로 다시 고쳤다.[4] 1356년(공민왕 5년) 문하시중·수시중(守侍中)으로 고쳤다.[4]

2. 1. 3. 후기 (1356년 ~ 1392년)

1356년(고려 공민왕 5년) 문하시중·수시중(守侍中)으로 고쳐졌다.[4]

1362년(고려 공민왕 11년) 첨의우정승(僉議右政丞)·첨의좌정승(僉議左政丞)으로, 1363년(고려 공민왕 12년) 첨의좌시중(僉議左侍中)·첨의우시중(僉議右侍中)으로, 1369년(고려 공민왕 18년)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으로 개칭되었다.[4]

창왕 때 좌시중은 문하시중으로, 우시중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으로 바뀌었다.[4]

2. 2. 조선 시대

조선 건국 이후 문하시중의 명칭과 기능은 변화를 겪었다.

2. 2. 1. 초기 (1392년 ~ 1401년)

고려 성종 때인 982년에 설치된 문하시중은 고려 문종 때 정원 1인, 종1품으로 정해졌다. 이후 여러 차례 명칭과 정원이 바뀌었다.[4]

조선 건국 후 1394년에는 시중을 '정승'으로 바꾸었고, 1401년 문하부를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좌정승, 우정승은 각각 좌의정, 우의정이 되었다.[4]

2. 2. 2. 의정부 설치 이후 (1401년 ~ )

1401년 문하부가 의정부로 개편되면서 좌정승, 우정승은 각각 좌의정, 우의정으로 바뀌었다.[4]

3. 역대 문하시중

역대 문하시중은 다음과 같다.

성명재임 기간관직[5]
김행도918년 6월 20일 ~ 918년 6월 21일[6]광평시중[7]
박질영918년 6월 21일 ~시중
류덕영?[8]시중
공훤? ~ 927년 ~ ?[9]시중
왕철? ~ 935년 ~ ?[10]섭시중
권직? ~ 947년 ~ ?[11]시중
최승로988년 ~ 989년 5월[12]문하수시중
양유
(朴良有)
? ~ 993년, 994년 ~ ?[13]시중
한언공[14][15]1001년 ~ 1004년 6월[16]
승조?[17]
?[18]
윤부
(柳允孚)[19]
1009년 3월 ~ ?[20]
위수여1012년 2월 ~ 1012년 4월[21]시중
유진1014년 4월 ~ 1019년 8월[22]수문하시중
최사위1021년 8월 ~수문하시중
유방1027년 1월[23]
강감찬1030년 5월~ 1031년 8월[24]
서눌1031년 10월 ~ ?[25]
황주량1043년 1월 ~ ?
제안?[26] ~ 1046년 11월시중
최충1047년 3월 ~ 1055년 7월 4일[27]
이자연1055년 7월 4일 ~ ?[28]
원충?[29]
총지1061년 12월 ~
김원정1063년 7월 ~ 1063년 ?월[30]
박성걸[31]1063년 9월 12일[32]
최유선?[33] ~ 1075년 1월[34]
이정1077년 5월 13일[35]
문정?[36]
이정공
(李靖恭)[37]
1086년 4월 ~ ?
소태보1095년 10월 ~ ?[38]
최사추1103년 ~
위계정1105년 11월 ~ 1106년 12월
윤관1108년 12월 ~ 1109년 11월, 1110년 ~ 1111년
경용1112년 ~
이위
(李瑋)[39]
1116년
정언겸(鄭彦謙)1125년 ~ 1127년문하시중
이공수1128년 3월 ~ 1131년
김부식1136년
약온[40]1139년
임원후1146년 ~
왕충1149년
정현수(鄭賢守)1161년 ~문하시중
정중부1174년 ~
두경승1176년 ~
이의민[41]?
조영인1201년
최충헌1205년
정함(鄭緘)1216년문하시중
이항
(李抗)[42]
1221년 ~
연수
(李延壽)
~ 1227년
김취려1233년 6월 ~ 1234년 5월
용득의(龍得義)1241 ~ ?문하시중
최종준~ 1246년
최항1253년 ~
김준1265년 ~
이장용1268년 ~ 1271년
김방경1273년 ~ 1283년첨의중찬
류경1278년첨의중찬[45]
송송례?[46]중찬
원부~ 1287년첨의중찬
1287년 ~ 1291년첨의중찬
자번1294년 12월첨의중찬
조인규1295년 1월첨의중찬
군상1295년 8월도첨의중찬
자번1295년 9월첨의중찬[48]
홍규[49]1295년 9월첨의중찬[50]
자번1296년우중찬
   조인규1296년좌중찬
가신?[51]첨의중찬
조인규1298년 5월 ~ ?시중[52]
1298년 11월첨의중찬[53]
? ~ 1300년 ~ ?우중찬
자번? ~ 1302년 ~ ?[54]우중찬
설공검?[55]중찬
염승익? ~ 1302년도첨의중찬
1302년 7월도첨의중찬
한희유1302년 10월첨의중찬
한강?[56]첨의중찬
한희유1303년 5월첨의우중찬
   1303년 5월첨의좌중찬
자번1303년 9월도첨의좌중찬[57]
   한희유1303년 11월[58]도첨의우중찬[59]
채인규?[60]도첨의중찬
   한희유1304년첨의우중찬[61]
안향1304년도첨의중찬
한희유1305년도첨의중찬
한희유1305년 6월 ~ 1306년도첨의좌중찬[62]
   1305년 6월도첨의우중찬[63], 권서행성사[64]
정인경1305년[65]도첨의중찬
최유엄1307년도첨의중찬
김지숙?[66]첨의중찬
최유엄? ~ 1308년 ~?[67]정승
최유엄1309년수첨의정승[68]
이혼?[69]첨의정승
류청신1310년 8월첨의정승
홍규[70]1312년첨의정승
류청신1313년첨의정승
1320년첨의정승
김이용1320년 11월도첨의정승
김이용1321년 1월수첨의정승
민지1321년 ?월 ~ 1321년 10월[71]수정승, 첨의정승
배정1321년 10월[72]첨의정승
김태현?[73]첨의정승, 권정동행성사[74]
윤보?[75]첨의정승
최유엄1324년 2월수첨의정승[76]
1324년 2월수첨의정승[77]
민지1325년첨의정승
김이1326년첨의정승
김이1327년중찬[78]
윤석?[79] ~ 1330년첨의정승
정방길1328년 4월 ~?[80]첨의정승
윤석1330년 ~ ?중찬[81]
1330년 4월도첨의중찬
1331년 2월중찬
윤석1331년 8월중찬
   강융1335년 4월첨의좌정승
권한공1338년정승
   조적1338년첨의좌정승
1340년 3월우정승
   윤석1340년 3월좌정승
하중
(蔡河中)
?[82]정승[83]
   이능간1341년 9월정승[84]
   기철?[85]정승[86], 섭행정동성사[87]
하중
(蔡河中)
1344년 4월우정승
   한종유1344년 4월좌정승
1344년 10월 ~ 1345년 12월우정승
   김륜1344년 10월좌정승
   김영후1345년 4월좌정승
김영후1345년 12월 ~ ?[88]우정승
   승단1345년 12월좌정승
노책?[89]정승[90]
   김영돈?[91]좌정승
1348년 ~ 1349년우정승, 섭행정동성사[92]
노책1349년 7월 ~첨의정승
노책1349년 8월 ~ 1349년 10월우정승
   수경1349년 8월 ~좌정승
수경1349년 10월 ~우정승
   이암[93]1349년 10월 ~좌정승
이제현1351년 11월 ~ 1352년섭정승권단정동성사[94], 도첨의정승
손기1352년[95]정승
1352년 9월 2일 ~우정승
일신1352년 9월 30일 ~우정승
   정천기1352년 9월 30일 ~좌정승
1352년 10월 2일 ~우정승
   일신1352년 10월 2일 ~좌정승
이제현1352년 10월 6일 ~ 1353년 1월우정승
   익청1352년 10월 6일 ~ 1353년 1월좌정승
홍빈1353년 1월 ~우정승
   익청1353년 1월 ~ 1353년 9월[96]좌정승
   승단1353년 9월 ~좌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1월우정승
   염제신1354년 1월좌정승
염제신1354년 2월우정승
   류탁1354년 2월좌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6월첨의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7월시중[97]
   이능간1354년 7월(?)[98]좌정승
이제현1354년 12월 ~ 1356년우정승
   홍언박1354년 12월 ~좌정승
홍언박1356년 5월 ~우정승
   윤환1356년 5월 ~좌정승
홍언박1356년 7월 ~
   윤환1356년 7월 ~ 1356년 ?월[99]수문하시중
이제현1356년 11월 ~ 1357년
   염제신1356년 11월 ~ 1357년수문하시중
염제신1358년 2월~ 1361년 11월
   이암1358년 2월 ~수문하시중
홍언박1361년 11월 ~ 1363년 윤3월
   류탁1362년 3월 ~좌정승
염제신1363년 윤3월 ~우정승
   류탁1363년 윤3월 ~좌정승
류탁1363년 5월 ~좌시중
   김일봉1363년[100]시중[101]
김일봉1363년 ~ 1364년[102]시중[103]
   경복흥[104]?[105]수첨의시중
경복흥[106]1364년 2월 ~좌시중
류탁1365년 3월 ~ 1368년 8월[107]도첨의시중
   경복흥[108]1365년 3월수시중

(金普)
1365년 6월 ~ 1365년 9월수도첨의시중, 도첨의시중
춘부1368년 8월 ~도첨의시중
   이인임1368년 12월 ~도첨의좌시중
춘부1369년[109] ~ ?
   이인임1369년[110] ~ ?[111]수문하시중
1371년 7월 ~ 1372년 9월
경복흥1372년 9월 ~좌시중
   염제신? ~ 1374년 6월[112]시중[113]
경복흥1374년 6월 ~ 1380년[114]
   이인임1374년 6월 ~ 1380년[115]수문하시중
1380년 ~ 1381년
이인임1381년 2월 ~ 1382년 6월
   최영1381년 2월 ~수시중
영통1382년 6월 ~ 1383년문하좌시중[116]
   이자송1382년 6월 ~수문하시중
조민수1383년 3월 ~ 1384년 9월
   임견미1383년 3월 ~ 1384년 9월수문하시중
최영1384년 9월 ~
   이성림1384년 9월 ~ 1384년 11월수문하시중
임견미1384년 11월 ~ 1386년 8월
   이성림1384년 11월 ~수문하시중[117]
이인임1386년 8월 ~좌시중
   이성림1386년 8월?[118] ~우시중
이성림1387년 8월 ~좌시중[119]
   반익순1387년 8월 ~우시중
반익순1387년 ?월[120] ~ 1388년 1월좌시중
   이성림1387년 ?월[121] ~ 1388년 1월우시중
최영1388년 1월
   이성계1388년 1월수문하시중
최영1388년 6월 ~문하좌시중
   우현보1388년 6월 ~ 1388년 6월[122]문하우시중
조민수1388년 6월좌시중
   이성계1388년 6월우시중
이색1388년 8월~문하시중
   이성계1388년 8월 ~수문하시중
이림1389년 7월 ~
심덕부1389년 11월 ~ 1390년 11월 30일
   이성계1389년 11월 ~ 1390년 11월 6일수문하시중
   정몽주1390년 11월 6일 ~ 1392년 4월[123]수문하시중
이성계1390년 11월 30일 ~ 1391년 3월
이성계1391년 3월 ~ 1391년 9월
심덕부1391년 9월 ~ 1392년 4월
   배극렴1392년 4월 6일 ~ 1392년 7월수문하시중, 우시중[124]
이성계1392년 4월 22일 ~ 1392년 7월



{| class="wikitable"

|-

! 성명 || 재임 기간 || 관직

|-

| 배극렴 || 1392년 ~ 1393년 || 문하좌시중

|-

| 조준 || 1392년 ~ 1393년 || 문하우시중

|-

| 조준 ||

3. 1. 고려 시대

고려 시대 문하시중은 고려의 최고위 관직이었다. 다음은 고려 시대 역대 문하시중 명단이다.

성명재임 기간관직[5]
김행도918년 6월 20일 ~ 918년 6월 21일[6]광평시중[7]
박질영918년 6월 21일 ~시중
류덕영?[8]시중
공훤? ~ 927년 ~ ?[9]시중
왕철? ~ 935년 ~ ?[10]섭시중
권직? ~ 947년 ~ ?[11]시중
최승로988년 ~ 989년 5월[12]문하수시중
양유
(朴良有)
? ~ 993년, 994년 ~ ?[13]시중
한언공[14][15]1001년 ~ 1004년 6월[16]
승조?[17]
?[18]
윤부
(柳允孚)[19]
1009년 3월 ~ ?[20]
위수여1012년 2월 ~ 1012년 4월[21]시중
유진1014년 4월 ~ 1019년 8월[22]수문하시중
최사위1021년 8월 ~수문하시중
유방1027년 1월[23]
강감찬1030년 5월~ 1031년 8월[24]
서눌1031년 10월 ~ ?[25]
황주량1043년 1월 ~ ?
제안?[26] ~ 1046년 11월시중
최충1047년 3월 ~ 1055년 7월 4일[27]
이자연1055년 7월 4일 ~ ?[28]
원충?[29]
총지1061년 12월 ~
김원정1063년 7월 ~ 1063년 ?월[30]
박성걸[31]1063년 9월 12일[32]
최유선?[33] ~ 1075년 1월[34]
이정1077년 5월 13일[35]
문정?[36]
이정공
(李靖恭)[37]
1086년 4월 ~ ?
소태보1095년 10월 ~ ?[38]
최사추1103년 ~
위계정1105년 11월 ~ 1106년 12월
윤관1108년 12월 ~ 1109년 11월, 1110년 ~ 1111년
경용1112년 ~
이위
(李瑋)[39]
1116년
정언겸(鄭彦謙)1125년 ~ 1127년문하시중
이공수1128년 3월 ~ 1131년
김부식1136년
약온[40]1139년
임원후1146년 ~
왕충1149년
정현수(鄭賢守)1161년 ~문하시중
정중부1174년 ~
두경승1176년 ~
이의민[41]?
조영인1201년
최충헌1205년
정함(鄭緘)1216년문하시중
이항
(李抗)[42]
1221년 ~
연수
(李延壽)
~ 1227년
김취려1233년 6월 ~ 1234년 5월
용득의(龍得義)1241 ~ ?문하시중
최종준~ 1246년
최항1253년 ~
김준1265년 ~
이장용1268년 ~ 1271년
김방경1273년 ~ 1283년첨의중찬
류경1278년첨의중찬[45]
송송례?[46]중찬
원부~ 1287년첨의중찬
1287년 ~ 1291년첨의중찬
자번1294년 12월첨의중찬
조인규1295년 1월첨의중찬
군상1295년 8월도첨의중찬
자번1295년 9월첨의중찬[48]
홍규[49]1295년 9월첨의중찬[50]
자번1296년우중찬
   조인규1296년좌중찬
가신?[51]첨의중찬
조인규1298년 5월 ~ ?시중[52]
1298년 11월첨의중찬[53]
? ~ 1300년 ~ ?우중찬
자번? ~ 1302년 ~ ?[54]우중찬
설공검?[55]중찬
염승익? ~ 1302년도첨의중찬
1302년 7월도첨의중찬
한희유1302년 10월첨의중찬
한강?[56]첨의중찬
한희유1303년 5월첨의우중찬
   1303년 5월첨의좌중찬
자번1303년 9월도첨의좌중찬[57]
   한희유1303년 11월[58]도첨의우중찬[59]
채인규?[60]도첨의중찬
   한희유1304년첨의우중찬[61]
안향1304년도첨의중찬
한희유1305년도첨의중찬
한희유1305년 6월 ~ 1306년도첨의좌중찬[62]
   1305년 6월도첨의우중찬[63], 권서행성사[64]
정인경1305년[65]도첨의중찬
최유엄1307년도첨의중찬
김지숙?[66]첨의중찬
최유엄? ~ 1308년 ~?[67]정승
최유엄1309년수첨의정승[68]
이혼?[69]첨의정승
류청신1310년 8월첨의정승
홍규[70]1312년첨의정승
류청신1313년첨의정승
1320년첨의정승
김이용1320년 11월도첨의정승
김이용1321년 1월수첨의정승
민지1321년 ?월 ~ 1321년 10월[71]수정승, 첨의정승
배정1321년 10월[72]첨의정승
김태현?[73]첨의정승, 권정동행성사[74]
윤보?[75]첨의정승
최유엄1324년 2월수첨의정승[76]
1324년 2월수첨의정승[77]
민지1325년첨의정승
김이1326년첨의정승
김이1327년중찬[78]
윤석?[79] ~ 1330년첨의정승
정방길1328년 4월 ~?[80]첨의정승
윤석1330년 ~ ?중찬[81]
1330년 4월도첨의중찬
1331년 2월중찬
윤석1331년 8월중찬
   강융1335년 4월첨의좌정승
권한공1338년정승
   조적1338년첨의좌정승
1340년 3월우정승
   윤석1340년 3월좌정승
하중
(蔡河中)
?[82]정승[83]
   이능간1341년 9월정승[84]
   기철?[85]정승[86], 섭행정동성사[87]
하중
(蔡河中)
1344년 4월우정승
   한종유1344년 4월좌정승
1344년 10월 ~ 1345년 12월우정승
   김륜1344년 10월좌정승
   김영후1345년 4월좌정승
김영후1345년 12월 ~ ?[88]우정승
   승단1345년 12월좌정승
노책?[89]정승[90]
   김영돈?[91]좌정승
1348년 ~ 1349년우정승, 섭행정동성사[92]
노책1349년 7월 ~첨의정승
노책1349년 8월 ~ 1349년 10월우정승
   수경1349년 8월 ~좌정승
수경1349년 10월 ~우정승
   이암[93]1349년 10월 ~좌정승
이제현1351년 11월 ~ 1352년섭정승권단정동성사[94], 도첨의정승
손기1352년[95]정승
1352년 9월 2일 ~우정승
일신1352년 9월 30일 ~우정승
   정천기1352년 9월 30일 ~좌정승
1352년 10월 2일 ~우정승
   일신1352년 10월 2일 ~좌정승
이제현1352년 10월 6일 ~ 1353년 1월우정승
   익청1352년 10월 6일 ~ 1353년 1월좌정승
홍빈1353년 1월 ~우정승
   익청1353년 1월 ~ 1353년 9월[96]좌정승
   승단1353년 9월 ~좌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1월우정승
   염제신1354년 1월좌정승
염제신1354년 2월우정승
   류탁1354년 2월좌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6월첨의정승
하중
(蔡河中)
1354년 7월시중[97]
   이능간1354년 7월(?)[98]좌정승
이제현1354년 12월 ~ 1356년우정승
   홍언박1354년 12월 ~좌정승
홍언박1356년 5월 ~우정승
   윤환1356년 5월 ~좌정승
홍언박1356년 7월 ~
   윤환1356년 7월 ~ 1356년 ?월[99]수문하시중
이제현1356년 11월 ~ 1357년
   염제신1356년 11월 ~ 1357년수문하시중
염제신1358년 2월~ 1361년 11월
   이암1358년 2월 ~수문하시중
홍언박1361년 11월 ~ 1363년 윤3월
   류탁1362년 3월 ~좌정승
염제신1363년 윤3월 ~우정승
   류탁1363년 윤3월 ~좌정승
류탁1363년 5월 ~좌시중
   김일봉1363년[100]시중[101]
김일봉1363년 ~ 1364년[102]시중[103]
   경복흥[104]?[105]수첨의시중
경복흥[106]1364년 2월 ~좌시중
류탁1365년 3월 ~ 1368년 8월[107]도첨의시중
   경복흥[108]1365년 3월수시중

(金普)
1365년 6월 ~ 1365년 9월수도첨의시중, 도첨의시중
춘부1368년 8월 ~도첨의시중
   이인임1368년 12월 ~도첨의좌시중
춘부1369년[109] ~ ?
   이인임1369년[110] ~ ?[111]수문하시중
1371년 7월 ~ 1372년 9월
경복흥1372년 9월 ~좌시중
   염제신? ~ 1374년 6월[112]시중[113]
경복흥1374년 6월 ~ 1380년[114]
   이인임1374년 6월 ~ 1380년[115]수문하시중
1380년 ~ 1381년
이인임1381년 2월 ~ 1382년 6월
   최영1381년 2월 ~수시중
영통1382년 6월 ~ 1383년문하좌시중[116]
   이자송1382년 6월 ~수문하시중
조민수1383년 3월 ~ 1384년 9월
   임견미1383년 3월 ~ 1384년 9월수문하시중
최영1384년 9월 ~
   이성림1384년 9월 ~ 1384년 11월수문하시중
임견미1384년 11월 ~ 1386년 8월
   이성림1384년 11월 ~수문하시중[117]
이인임1386년 8월 ~좌시중
   이성림1386년 8월?[118] ~우시중
이성림1387년 8월 ~좌시중[119]
   반익순1387년 8월 ~우시중
반익순1387년 ?월[120] ~ 1388년 1월좌시중
   이성림1387년 ?월[121] ~ 1388년 1월우시중
최영1388년 1월
   이성계1388년 1월수문하시중
최영1388년 6월 ~문하좌시중
   우현보1388년 6월 ~ 1388년 6월[122]문하우시중
조민수1388년 6월좌시중
   이성계1388년 6월우시중
이색1388년 8월~문하시중
   이성계1388년 8월 ~수문하시중
이림1389년 7월 ~
심덕부1389년 11월 ~ 1390년 11월 30일
   이성계1389년 11월 ~ 1390년 11월 6일수문하시중
   정몽주1390년 11월 6일 ~ 1392년 4월[123]수문하시중
이성계1390년 11월 30일 ~ 1391년 3월
이성계1391년 3월 ~ 1391년 9월
심덕부1391년 9월 ~ 1392년 4월
   배극렴1392년 4월 6일 ~ 1392년 7월수문하시중, 우시중[124]
이성계1392년 4월 22일 ~ 1392년 7월


3. 1. 1. 정권 별 문하시중


3. 2. 조선 시대

성명재임 기간관직
배극렴1392년 ~ 1393년문하좌시중
조준1392년 ~ 1393년문하우시중
조준1393년 ~ 1398년문하좌시중, 문하좌정승
김사형1393년 ~ 1398년문하우시중, 문하우정승
심덕부1398년 ~ 1399년문하좌정승
성석린1398년 ~ 1399년문하우정승
성석린1399년문하좌정승
민제1399년문하우정승
민제1399년문하좌정승
하륜1399년문하우정승
이거이1399년 ~ 1400년문하좌정승
하륜1399년 ~ 1400년문하우정승
김사형1400년 ~ 1401년문하좌정승
이서1400년 ~ 1401년문하우정승


4. 추증 문하시중

고려 및 조선 시대 추증 문하시중
성명추증 시기추증 국왕비고
김맹[125]문종
김인존1131년인종
기탁성1179년명종
용득의1241년고종
서신1380년우왕
이자춘1392년 음력 8월조선 태조태조의 아버지
구홍1403년[126]조선 태종


5. 기타

정승 류청신은 국외에서 국정을 행한 고려 충숙왕을 따라 원나라에 머무르기도 하였다.

6. 참고 문헌


  • 부목조류(布目潮渢), 쿠리하라 마스오(栗原益男), 《수당제국(隋唐帝国)》, 고단샤(講談社), 1997, 고단샤 학술문고(講談社学術文庫), 초판, ISBN 4061593005.
  • 쿠보조메 요시후미(窪添慶文), 세키오 시로(關尾史郎), 나카무라 케이지(中村圭爾), 아타고 겐(愛宕元), 카네코 슈이치(金子修一) 공저, 이케다 아쓰시(池田温) 편집, 《중국사 삼국~당(中国史 三国〜唐)》, 야마카와 슈판(山川出版社), 1996, 세계역사대계(世界歴史大系) 2권, 초판, ISBN 4634461609.


(수정 사항: 여러 저자가 함께 저술한 경우 '공저'로 표시하고, 편집자는 저자 뒤에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참조

[1] 문서 고려 문하시중의 도입과 초기 기능
[2] 문서 고려 문하시중의 폐지와 조선 초기 관직과의 연관성
[3] 문서 고려 문하시중과 조선 초기 고위 관직의 비교 및 영의정의 기원
[4] 웹사이트 《고려사》 권76 지 권제30 백관1(百官 一) 문하부 시중직의 시기별 호칭 http://db.history.go[...]
[5] 문서 원문 표기 및 각주
[6] 문서 김행도의 시중직 해임
[7] 문서 광평시중의 기원과 역할
[8] 문서 류덕영의 시중직 역임 가능성
[9] 문서 927년 9월 시중 기록
[10] 문서 935년 10월 1일 섭시중 기록
[11] 문서 949년 3월 13일 권직의 서경 궁궐 건축 기록
[12] 문서 989년 5월 사망 기록
[13] 문서 993년 10월, 994년 4월 시중 기록
[14] 웹사이트 고려사 권93 열전 권제6 http://db.history.go[...]
[15] 웹인용 한언공(韓彦恭)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16] 문서 1004년 6월 사망 기록
[17] 문서 1004년~1009년 문하시중 공백기와 김승조, 최숙의 추정
[18] 문서 1004년~1009년 문하시중 공백기와 김승조, 최숙의 추정 (중복)
[19] 웹인용 유윤부(柳允孚)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20] 문서 위수여의 시중 임명과 치사, 그리고 내사령직
[21] 문서 1012년 4월 위수여 사망 기록
[22] 문서 유진의 문하시중 임명과 사망
[23] 문서 1027년 1월 25일 유방의 사직과 치사
[24] 문서 1030년~1031년 유방의 승진과 사망
[25] 문서 1037년 9월 시중 기록
[26] 문서 1046년 시중 기록
[27] 문서 1047년~1055년 시중 기록 및 치사
[28] 문서 1056년~1057년 시중 기록
[29] 문서 김원충의 문하시중 승진 및 치사 추정
[30] 문서 사망 기록
[31] 웹인용 박성걸(朴成傑)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32] 문서 1063년 9월 12일 승진 및 치사
[33] 문서 1073년 5월 7일 시중 기록
[34] 문서 1075년 1월 9일 사망 기록
[35] 문서 1077년 5월 13일 임명 및 사망
[36] 문서 null
[37] 웹인용 이정공(李靖恭)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38] 문서 null
[39] 웹인용 이위(李瑋)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40] 웹인용 김약온(金若溫)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41] 문서 고려사 권100 열전 권제13 두경승
[42] 웹인용 이항(李抗)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43] 문서 null
[44] 문서 null
[45] 문서 null
[46] 문서 null
[47] 문서 null
[48] 문서 null
[49] 문서 null
[50] 문서 null
[51] 문서 null
[52] 문서 null
[53] 문서 null
[54] 문서 null
[55] 문서 null
[56] 문서 null
[57] 문서 null
[58] 문서 null
[59] 문서 null
[60] 문서 null
[61] 문서 null
[62] 문서 null
[63] 문서 null
[64] 문서 null
[65] 문서 null
[66] 문서 null
[67] 문서 null
[68] 문서 null
[69] 문서 null
[70] 문서 null
[71] 문서
[72] 문서
[73] 문서
[74] 문서
[75] 문서
[76] 문서
[77] 문서
[78] 문서
[79] 문서
[80] 문서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98] 문서
[99] 문서
[100] 문서
[101] 문서
[102] 문서
[103] 문서
[104] 문서
[105] 문서
[106] 문서
[107] 문서
[108] 문서
[109] 문서
[110] 문서
[111] 문서
[112] 문서
[113] 문서
[114] 문서
[115] 문서
[116] 문서
[117] 문서
[118] 문서
[119] 웹사이트 고려사절요 https://db.history.g[...]
[120] 문서
[121] 문서
[122] 문서
[123] 문서
[124] 문서
[125] 웹인용 김맹 (金猛)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26] 웹인용 구홍(具鴻)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
[127] 웹사이트 《고려사》 권76 지 권제30 백관1(百官 一) 문하부 시중직의 시기별 호칭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