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휘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휘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용 권씨의 딸로, 이름은 정복이다. 윤내에게 하가하여 1남을 낳았으며, 1525년 1월 5일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5년 사망 -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는 독일의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이자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의 주요 지도자로, 종말론적이고 혁명적인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을 규합했으나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초기 공산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525년 사망 - 무산군 (왕족)
무산군은 조선 성종의 서자이자 숙원 김씨 소생의 12남으로, 연산군 시절 안동 춘양으로 피신했으며 문필과 문장에 능했고 군부인 평산 신씨와의 사이에서 6남 2녀를 두었다. - 15세기 출생 - 티치아노 베첼리오
티치아노 베첼리오는 15세기 말 베네치아 화파를 이끈 거장으로, 뛰어난 색채감과 묘사력으로 종교화, 신화화, 초상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르네상스 신이교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세기 출생 - 요하네스 오케겜
요하네스 오케겜은 15세기 후기 부르고뉴 및 초기 네덜란드 악파의 벨기에 출신 작곡가로서 프랑스 궁정을 섬겼으며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로 미사곡, 모테트, 샹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특히 《Missa prolationum》과 《Missa cuiusvis toni》는 15세기 대위법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경휘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휘옹주 |
작위 | 조선 성종의 옹주 |
휘 | 정복(貞福) |
원어 이름 | 慶徽翁主 |
혼인 정보 | |
배우자 | 영원위(鈴原尉) 윤내 |
자녀 | 윤희로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성종 |
어머니 | 숙용 권씨 |
출생 및 사망 정보 | |
출생일 | 미상 (1486년~1489년) |
사망일 | 1525년 2월 6일 (양력) |
사망지 | 알 수 없음 |
2. 생애
경휘옹주는 성종과 숙용 권씨의 딸로, 이름은 정복(貞福)이다. 강원도 강릉에 있는 《왕녀정복태실비(王女貞福胎室碑)》에는 '홍치 2년(1489년) 9월 29일 10시에 비석을 건립했다.'는 기록만 있고, 출생일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보통 태실비는 왕의 자녀들이 태어난 해나 태어난 지 2~3년 후에 세우는 관례를 따르는데, 경휘옹주는 적어도 1489년이나 그 이전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숙혜옹주가 1486년에 태어난 것을 고려하면, 1486년에서 1489년 사이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2]
부사 윤승세의 아들 영원위(鈴原尉) 윤내에게 시집가서 1남을 낳았다.[3] 실록에는 경휘옹주 관련 기록은 없고, 남편인 윤내의 기록이 있는데, 성질이 경망하여 여러 물의를 일으켜 처벌하라는 대신들의 주청과 관련된 내용이다.
1525년 1월 5일에 사망하였다.[1]
2. 1. 출생
경휘옹주의 이름은 '''정복'''(貞福)이며, 성종과 숙용 권씨의 딸로 태어났다. 강원도 강릉에 있는 《왕녀정복태실비(王女貞福胎室碑)》에 새겨진 글에는 '홍치 2년(1489년) 9월 29일 10시에 비석을 건립했다.'는 기록만 있고, 언제 태어났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보통 태실비는 왕의 자녀들이 태어난 해나 태어난 지 2~3년 후에 세우는 관례를 따르는데, 경휘옹주는 적어도 1489년에 태어났거나 그 이전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바로 위 언니인 숙혜옹주가 1486년에 태어난 것을 고려하면, 경휘옹주는 1486년에서 1489년 사이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2]
2. 2. 혼인 이후
경휘옹주는 부사 윤승세의 아들 영원위(鈴原尉) 윤내에게 시집가서 1남을 낳았다.[3] 실록에는 경휘옹주와 관련한 기록은 없고, 남편인 영원위 윤내의 기록이 나오는데, 윤내의 성질이 경망하여 여러 가지 물의를 일으키니 처벌하라는 대신들의 주청과 관련된 기록이다.1525년 1월 5일에 사망하였다.[1]
3. 가족 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성종(1457~1494) |
어머니 | 숙용 권씨(생몰년 미상) |
시아버지 | 윤승세(尹承世) |
시어머니 | 의령 남씨 - 성종의 후궁 귀인 남씨의 언니 |
부마 | 영원위(鈴原尉) 윤내(尹鼐, ?~1552) |
장남 | 충의위(忠義衛) 윤희로(尹希老) |
며느리 | 고령 신씨 - 판서(判書) 증 참찬(贈 參贊) 신공제(申公濟)의 딸 |
손녀 | 윤탑송(尹榻松, 1524 ~ ?) |
손자 | 윤숭복(尹崇福, 1526 ~ ?) |
손자 | 윤숭록(尹崇祿, 1529 ~ ?) |
손녀 | 윤예은(尹禮殷, 1536 ~ ?) |
참조
[1]
문헌
중종실록
1525-01-05
[2]
비석
왕녀정복태실비(王女貞福胎室碑)
[3]
문헌
연려실기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