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명대학교는 1899년 대구에 설립된 제중원에서 시작하여,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성장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1954년 계명기독학관으로 개교하여, 계명기독학교, 계명기독대학을 거쳐 1978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며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다. 현재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의학, 예체능 등 다양한 분야의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담스 칼리지와 같은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또한, 동산도서관, 박물관, 동산의료원 등 부속기관과 연구기관을 통해 교육, 연구, 의료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명대학교 - 신일희
신일희는 독일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 교수를 거쳐 계명대학교 총장으로서 캠퍼스 개발과 재정 관리에 기여하고, 폴란드를 포함한 여러 국가와의 국제 교류에 힘쓴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다. - 계명대학교 - 계명문화대학교
1962년 계명기독대학병설여자초급대학으로 개교한 계명문화대학교는 교명 변경과 캠퍼스 이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사립 전문대학이다. - 대구 달서구의 학교 - 본리중학교
제공된 정보가 없어 본리중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대구 달서구의 학교 - 계명문화대학교
1962년 계명기독대학병설여자초급대학으로 개교한 계명문화대학교는 교명 변경과 캠퍼스 이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사립 전문대학이다. - 대구 남구의 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는 1968년 영남대학교 부설 실업고등학교로 시작하여 1979년 전문대학으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전문대학으로, 국가고객만족도 1위,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선정, 글로벌 현장 학습, 산학 협력, 창업 지원, 국제 교류 등 우수한 교육 역량과 다양한 활동을 인정받고 있다. - 대구 남구의 학교 -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는 1946년 대구맹아학교를 시작으로 1981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사회복지 분야에 강점을 가진 사립대학교이다.
계명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진리와 정의와 사랑의 나라를 위하여 |
영어 교훈 | For the Kingdom of Truth, Justice and Love |
설립 | 1954년 |
학교 종류 | 사립 |
총장 | 신일희 |
위치 | 대구광역시 |
좌표 | 35.8557, 128.4889 |
학생 수 | 33,035명 |
학부생 | 30,292명 |
대학원생 | 2,098명 |
박사 과정 | 608명 |
교원 수 | 1,884명 |
캠퍼스 | 도시 |
마스코트 | 나는 사자 |
웹사이트 | 계명대학교 웹사이트 |
한국어 명칭 | 계명대학교 |
한자 명칭 | 啓明大學校 |
로마자 표기 | Gyemyeong Daehakgyo |
일본어 표기 | けいめいだいがっこう (Keimei Daigakkō) |
캠퍼스 정보 | |
캠퍼스 위치 | 성서캠퍼스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대명캠퍼스 (대구광역시 남구 명덕로 104) 동산캠퍼스 (대구광역시 중구) 모빌리티캠퍼스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순환로 269) |
캠퍼스 규모 | 3개 캠퍼스, 15개 대학, 10개 대학원 |
기타 정보 | |
학교 법인 | 계명대학교 |
교목 | 은행나무 |
교화 | 이팝나무 꽃 |
교석 | 청금석 |
교조 | 후투티 |
2. 연혁
계명대학교의 연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시기 | 주요 내용 |
---|---|
1899년 | 제중원 창립[1] |
1911년 | 제중원을 동산기독병원으로 개칭[1] |
1954년 5월 | 4년제 고등 교육 기관인 계명기독학관 개관[1] |
1955년 2월 | 계명기독학관 폐지, 계명기독학교 설립 인가[1] |
1956년 2월 | 계명기독학교 폐지, 계명기독대학 설립 인가[1] |
1965년 5월 | 계명대학으로 교명 변경[1] |
1978년 3월 | 종합대학으로 승격, 계명대학교로 교명 변경[1] |
1979년 | 외국학대학 설치, 이공대학에 의예과 설치 인가, 경상대학을 경영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개편 인가[1] |
1980년 10월 | 의과대학 설치 인가, 학교법인 계명기독대학이 동산기독병원 유지재단을 합병하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산병원 개원[1], 문과대학과 사범대학, 음악대학과 미술대학으로 개편 인가[1] |
1982년 9월 |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발족 (의과대학, 부속 동산병원, 간호전문대학)[1] |
1983년- 1984년 | 문과대학을 인문과학대학으로 명칭 변경, 가정대학 및 체육대학 설치 인가, 사회과학대학과 법과대학, 자연과학대학과 공과대학으로 개편 인가[1] |
1991년 - 1997년 | 의과대학 부속 경주동산병원 개원,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으로 개편 인가, 환경과학대학 설치 인가, 국제학·통상학대학으로 개편 인가, 대학 행정 본부 성서캠퍼스 이전, 학과제에서 학부제로 모집 단위 변경[1] |
2001년 - 2023년 | 연합신학대학원, 예술ㆍ디자인대학원, 음악ㆍ공연예술대학원 명칭 변경 설치, 미디어아트대학, 자율전공부 설치, 통ㆍ번역대학원으로 명칭 변경, 학교법인 계명대학교로 정관 변경, 학부제에서 학과제로 모집 단위 변경, 건축학대학, 교양교육대학 신설, 약학대학 신설, 은행나무, 이팝나무 꽃, 청금석 지정, 창립 115주년 선포식, 학과제에서 학부제로 모집 단위 변경, Tabula Rasa College로 변경, 미술대학 편제 변경, Artech College 신설, 대학기관평가인증 획득,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개원, 대구광역시 대경혁신인재양성프로젝트 혁신대학사업 신규 선정, 약학교육 평가·인증 5년간 완전인증 획득, 간호대학 시뮬레이션센터(K-SMART Center) 신설, 후투티 지정,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사업 선정, 2주기 CAMPUS Asia-AIMS 사업 신규 사업단 선정, 「스마트그린산단」대구성서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 선정, 미래혁신인재원 신설, 일반재정 지원 대학 선정, 계명시민교육원으로 명칭 변경, 시민대학, 창업대학, 박물관대학 신설, 지역 이공계 여성인재양성사업(R-WeSET 2.0) 대경강원권 주관대학 선정, 교육부 제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산업 SW인재양성 기반조성 사업 선정,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선정(LINC 3.0),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선정,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획득, 장춘대학 계명학원 신설[17] |
2. 1. 설립 초기 (1954-1978)
1899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들에 의해 대구 최초의 서양식 의료기관인 '''제중원'''이 설립되었다.[1] 1906년 제중원은 현 동산병원 위치로 이전하였고,[1] 1911년에는 동산기독병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1954년 3월 20일,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인 에드워드 아담스 목사와 한국 장로교 지도자 최재화, 강인구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고등교육기관 설립을 목표로 '''계명기독학관'''(4년제, 영문학과 및 철학과) 설립 인가를 받았다.[1] 같은 해 5월 20일 계명기독학관이 개관하였다.[1]
1955년 2월 25일, 계명기독학관은 폐지되고 '''계명기독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1] 1956년 2월 18일, 계명기독학교는 다시 폐지되고 '''계명기독대학''' 설립 인가를 받았다.[1] 1965년 5월 3일, '''계명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1]
1978년 3월 1일, 계명대학은 종합대학으로 승격되면서 '''계명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1]
2. 2. 발전 및 확장기 (1979-2000)
- 1979년 1월 22일 외국학대학 설치 및 이공대학에 의예과 설치 인가를 받았다.[1]
- 1979년 10월 4일 경상대학을 경영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1]
- 1980년 10월 2일 계명대학교에 의과대학 설치가 인가되었다.[2]
- 1980년 10월 19일 학교법인 계명기독대학이 동산기독병원 유지재단을 합병하여 동산기독병원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산병원'''으로 개원하였다.[1]
- 1980년 12월 5일 문과대학을 문과대학과 사범대학으로, 예술대학을 음악대학과 미술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1]
- 1982년 9월 1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발족하였다.(의과대학, 부속 동산병원, 간호전문대학)[1]
- 1983년 9월 8일 문과대학을 인문과학대학으로 명칭 변경하고, 가정대학 및 체육대학 설치 인가를 받았다.[1]
- 1984년 10월 5일 사회과학대학을 사회과학대학과 법과대학으로, 이공대학을 자연과학대학과 공과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1]
- 1991년 3월 11일 의과대학 부속 경주동산병원을 개원하였다.[1]
- 1993년 9월 3일 의과대학을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1]
- 1995년 10월 5일 환경과학대학 설치 인가를 받고, 외국학대학과 무역학과를 통합하여 국제학·통상학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1]
- 1996년 2월 26일 대학행정본부를 성서캠퍼스로 이전하였다.[1]
- 1997년 3월 1일 학과제에서 학부제로 모집단위를 변경하였다.[1]
2. 3. 현대 (2001-현재)
- 2001년 3월 1일 연합신학대학원, 예술ㆍ디자인대학원, 음악ㆍ공연예술대학원으로 대학원 명칭을 변경하였다.[17]
- 2006년 3월 1일 미디어아트대학, 자율전공부를 설치하고, 국제학대학원을 통ㆍ번역대학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7]
- 2006년 9월 1일 학교법인 계명기독학원을 학교법인 계명대학교로 정관을 변경하였다.[17]
- 2010년 3월 1일 학부제에서 학과제로 모집단위를 변경하고, 건축학대학, 교양교육대학을 신설하였다.[17]
- 2011년 3월 1일 약학대학을 신설하였다.[17]
- 2014년 2월 26일 교목(校木)은 은행나무, 교화(校花)는 이팝나무 꽃, 교석(校石)은 청금석으로 지정하였다.[17]
- 2014년 9월 1일 계명대학교 창립 115주년 선포식을 개최하였다.[17]
- 2015년 3월 1일 학과제에서 학부제로 모집단위를 변경하였다.[17]
- 2017년 3월 1일 교양교육대학을 Tabula Rasa College로 변경하고, 미술대학 편제를 변경하였으며, Artech College를 신설하였다.[17]
- 2019년 1월 1일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획득하였다.(2019. 1. 1. ~ 2023. 12. 31.)[17]
- 2019년 4월 15일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을 개원하였다.[17]
- 2019년 8월 20일 대구광역시 대경혁신인재양성프로젝트 혁신대학사업에 신규 선정되었다. (미래형자동차산업 4년 약 640.5억원), (의료산업 4년 약 482.9억원)[17]
- 2021년 1월 1일 한국약학교육평가원 실시 2020년 약학교육 평가·인증에서 5년간 완전인증을 획득하였다.[17]
- 2021년 4월 29일 간호대학 시뮬레이션센터(K-SMART Center)를 신설하였다.[17]
- 2021년 4월 30일 교조(校鳥)를 후투티(학명: Upupa epops(Eurasian hoopoe))로 지정하였다.[17]
- 2021년 5월 1일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사업(미래자동차, 실감미디어)에 선정되었다.(6년)[17]
- 2021년 5월 13일 2주기 CAMPUS Asia-AIMS 사업 신규 사업단으로 선정되었다.(5년, 5억원)[17]
- 2021년 6월 1일 한국산업단지공단 「스마트그린산단」대구성서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에 선정되었다.(1년 7개월)[17]
- 2021년 8월 1일 미래혁신인재원을 신설하였다.[17]
- 2021년 8월 31일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에서 '일반재정 지원 대학'으로 선정되었다.[17]
- 2021년 9월 1일 평생교육원을 계명시민교육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산하에 시민대학, 창업대학, 박물관대학을 신설하였다.[17]
- 2022년 1월 7일 지역 이공계 여성인재양성사업(R-WeSET 2.0) 대경강원권 주관대학으로 선정되었다.[17]
- 2022년 3월 1일 교육부 제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3년, 연간 약 716억원)[17]
- 2022년 3월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산업 SW인재양성 기반조성 사업에 선정되었다. (5년, 약 14억원)[17]
- 2022년 4월 27일 교육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에 선정되었다.(6년, 약 290억원)[17]
- 2022년 5월 1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에 선정되었다.[17]
- 2022년 9월 1일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획득하였다.(2022. 9. 1. ~ 2027. 8. 31.)[17]
- 2023년 2월 1일 장춘대학 계명학원을 신설하였다.(중외합작판학기구)[17]
3. 역대 총장
대수 | 이름 | 임기 |
---|---|---|
초대 학장 | 감부열 | |
제2대 학장 | 안두화 | |
제3대 학장, 명예총장 | 신태식 | |
초대 총장 | 신일희 | |
제2대 총장 | 김태한 | |
제3대 총장 | 정길수 | |
제4, 5, 6, 7대 총장 | 신일희 | |
제8대 총장 | 이진우 | |
제9, 10, 11대 총장 | 신일희 |
4. 교육
계명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국제화 및 실용 교육에 힘쓰고 있다.
- '''계명 아담스 칼리지(Keimyung Adams College)'''는 계명대학교 내의 명예 칼리지로, 모든 과정은 북미 및 유럽 표준에 따라 영어로 진행된다. 교수진 대부분은 북미와 유럽 출신이며, 한국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경영학, 국제관계학 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졸업 요건은 졸업 논문, 국제 인턴십, 한국어, 영어, 일본어 또는 중국어 능력이다.
- '''음악·공연예술대학'''은 1960년대부터 음악 프로그램을 제공해 왔으며, 종교음악과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연극, 음악 제작, 무용 등을 포함하도록 강좌가 확대되었다.[7] 1999년, 바르샤바 쇼팽 국립음악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영어로 진행되는 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시작했다.[9]
- '''사범대학'''은 미래의 중등학교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문적, 실무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모든 졸업생은 전공 분야에서 졸업 시 2급 정교사 자격증을 받는다.
- '''인문대학'''은 다양한 교양 과목을 통해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외국어 능력과 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컴퓨터 능력을 함양하고, 긍정적인 학습 태도와 인격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체육대학'''은 지식, 덕성, 신체 능력을 융합하여 국제적인 체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KUSF)의 회원으로, 자격 요건을 갖춘 학생들은 대학 간 전국 대회에 참가할 기회를 얻는다.[14]
- '''사회과학대학'''은 1980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4,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14개의 전공을 이수하고 있다.
계명대학교는 이 외에도 여러 학과에서 영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세한 목록은 대학교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대학원 외에 교육대학원, 경영대학원, 연합신학대학원, 예술대학원, 스포츠산업대학원, 유아교육대학원, 융합공학대학원, 정책대학원, 글로벌창업대학원 등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4]
4. 1. 학부
계명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인문국제학대학, 사범대학, 경영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 음악·공연예술대학, Tabula Rasa College(자율전공학부), 체육대학, KAC (Keimyung Adams College), 이부대학(야간대학), 미술대학, Artech College 등 다양한 단과대학이 있다.- KAC (Keimyung Adams College): 계명대학교 내의 명예 칼리지로, 모든 과정은 북미 및 유럽 표준에 따라 영어로 진행된다. 교수진 대부분은 북미와 유럽 출신이며, 한국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경영학, 국제관계학 학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졸업 요건은 졸업 논문, 국제 인턴십, 한국어, 영어, 일본어 또는 중국어 능력이다.
- 음악·공연예술대학: 1960년대부터 음악 프로그램을 제공해 왔으며, 종교음악과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연극, 음악 제작, 무용 등을 포함하도록 강좌가 확대되었다.[7] 음악학부와 공연학부로 나뉜다.[8] 1999년, 바르샤바 쇼팽 국립음악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영어로 진행되는 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시작했다.[9]
- 사범대학: 미래의 중등학교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문적, 실무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모든 졸업생은 전공 분야에서 졸업 시 2급 정교사 자격증을 받는다.
- 인문대학: 다양한 교양 과목을 통해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외국어 능력과 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컴퓨터 능력을 함양하고, 긍정적인 학습 태도와 인격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체육대학: 지식, 덕성, 신체 능력을 융합하여 국제적인 체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KUSF)의 회원으로, 자격 요건을 갖춘 학생들은 대학 간 전국 대회에 참가할 기회를 얻는다.[14]
- 사회과학대학: 1980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4,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14개의 전공을 이수하고 있다.
4. 1. 1. 성서캠퍼스
인문국제학대학 | 사범대학 | 경영대학 | 사회과학대학 |
---|---|---|---|
자연과학대학 | 공과대학 | 의과대학 | 간호대학 |
약학대학 | 음악·공연예술대학 | Tabula Rasa College | 체육대학 |
KAC (Keimyung Adams College) | 이부대학(야간대학) | ||
4. 1. 2. 대명캠퍼스
http://newcms.kmu.ac.kr/arts/index.do 미술대학 | http://newcms.kmu.ac.kr/liberal/index.do Artech College |
---|---|
width="200"| | width="200"| |
4. 2. 대학원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의 개설 학과는 다음과 같다.인문·사회계열 | 자연과학계열 | 공학계열 | 예·체능계열 | 의학계열 |
---|---|---|---|---|
계명대학교에는 일반대학원 외에도 인문사회대학원, 자연과학대학원, 공과대학원, 예술체육과학대학원, 의과대학원, 교육대학원, 경영대학원, 정책대학원, 연합신학대학원, 연합예술대학원, 스포츠산업대학원, 유아교육대학원, 융합공학대학원, 글로벌창업대학원 등 특수대학원이 있다.[4]
5. 국제 교류
계명대학교는 여러 국가의 대학들과 국제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특히 일본의 여러 대학과 교류 협정을 체결하여 활발한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5. 1. 일본의 교류 협정교
일본 교류 협정 대학 |
---|
6. 부속기관 및 연구기관
계명대학교는 다양한 부속기관과 연구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부속기관 | 연구기관 | 의료기관 |
---|---|---|
6. 1. 부속기관
- 동산도서관
- 행소박물관
- 출판부
- 신문사
- 교육방송국
- 명교생활관
- 계명인성교육원
- 한국학연구원
- 사서교육원
- IT교육센터
- 국제교육센터
- * 한국어학당
- * 외국어학당
- 산학연구소
- 학군단
- 문화예술교육원
- 코리아태권도센터
- 중국센터
- * 공자아카데미
- 계명한학촌
- 학생상담센터
- 계명아트센터
- 창업지원단
- 계명목요철학원
- 한국학연구원
- 부설기관
- * 평생교육원
- * 정신과학연구원
- * 부설유치원
기숙사 | 객실 수 | 객실 유형 | 편의 시설 | |
---|---|---|---|---|
국제관 | 80 | 30m2 | 독신자를 위한 1인실, 부부를 위한 더 넓은 기숙사 | 침대, 에어컨, 책상, 옷장, 신발장, 전화, LAN 연결, 세면실, 주방 |
일반관 | 698 | 12.5m2 | 2인 1실 | 침대, 에어컨, 책상, 옷장, 신발장, 전화, LAN 연결, 세면실 |
계명대학교 행소 박물관은 1978년 5월 20일에 개관한 이후, 가야에 특별히 초점을 맞춰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연구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 왔다. 박물관은 가야 왕릉 발굴을 포함하여 많은 업적을 달성했으며, 발굴된 많은 가야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현재 5940m2의 총 면적에 9900m2 부지에 새로운 박물관을 건설하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 개관은 2004년 5월로 예정되어 있으며, 대학교 개교 50주년을 기념하는 해이다. 새로운 박물관 건물에는 대학교 역사관, 한국사관, 큐레이터 부서, 보존 과학 연구실, 박물관 상점과 카페를 포함한 기타 편의 시설이 갖춰질 예정이다.
-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대구광역시 달서구)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대구광역시 중구)
- 계명대학교 경주동산병원 (경상북도 경주시)
- 계명대학교 경주동산요양병원 (경상북도 경주시)
6. 2. 연구기관
부설연구소 | 특별연구소 |
---|---|
7. 대학 출판물
- 아크타 코레아나(Acta Koreana)는 계명대학교 아카데미아 코레아나에서 영어로 발행하는 한국학 분야의 피어 리뷰 국제 학술지이다. 이 학술지는 톰슨 로이터 예술 및 인문학 인용 색인(A&HCI), 엘스비어의 스코퍼스(Scopus), EBSCO 및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되어 있다.
- 아크타 비아 세리카(Acta Via Serica)는 연 2회 영어로 발행되는 국제 학술지이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다룬다. 이 학술지는 실크로드 지역과 중앙아시아와 관련된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를 출판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 계명대학교 의학 저널(Keimyung Medical Journal)은 의과대학에서 발간하는 연 2회 발간되는 학술지이다. 임상 연구, 기초 의학, 간호학 등 모든 의학 분야의 논문을 게재한다.
- 계명 가제트(Keimyung Gazette)
8. 저명한 동문
9. 저명한 교수진
- 이회성: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의장이다.[1]
- 세르게이 타라소프: 러시아 출신의 피아니스트이다. 1995년 페루초 부소니 콩쿠르와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콩쿠르에서 2위를 한 후, 1996년 시드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1988년에는 제7회 프라하 스프링 국제 피아노 콩쿠르, 1998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4위, 1999년 프리미오 하엔에서 우승했다.[1]
2021년 현재, 계명대학교의 교수 및 교직원은 Springer, Elsevier, MDPI, Taylor & Francis, SAGE 및 한국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 저널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
이름 | 저널 | 발행처 |
---|---|---|
장병철 | Biomolecules | MDPI |
이창섭 | Fibers | MDPI |
남창욱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대한민국 |
정철호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Springer |
오동근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한민국 |
유은아 | Fashion and Textiles | SpringerOpen |
김은기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한민국 |
여희정 |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 Elsevier |
김혜순 |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 대한당뇨병학회, 대한민국 |
김혜영 | Asian Nursing Research | Elsevier |
전종화 | BMC Ophthalmology | BMC (Springer Nature) |
장정희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Springer |
서정수 |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 Elsevier |
배정우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Springer |
박정호 |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 Taylor & Francis |
이동기 | Asia-Pacific Journal of Regional Science | Springer |
천경수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Cells | Springer, MDPI |
Madhu Atteraya | BMC Women's Health,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 BMC (Springer Nature), SAGE |
이민우 | Applied Sciences | MDPI |
Mohsen Joshanloo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 뉴질랜드 |
Rushan Ziatdinov | European Journal of Contemporary Education, Informatica,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Maejo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 러시아 &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정보학회(슬로베니아), Taylor & Francis, 태국 |
이상훈 | Geosystem Engineering | Taylor & Francis |
이세엽 |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대한민국 |
임승순 | Biomedicine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MDPI, Elsevier |
이승목 | Actuators | MDPI |
이수연 |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SpringerOpen |
하영석 |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 Elsevier |
허윤석 | JMST Advances | Springer |
참조
[1]
웹사이트
Keimyung University Brief History
https://www.kmu.ac.k[...]
2024-06-27
[2]
웹사이트
Keimyung University
https://www.studyink[...]
2020-11-17
[3]
뉴스
Internationalization is key to Keimyung's success
https://koreajoongan[...]
2020-11-16
[4]
웹사이트
Graduate Schools
http://kmu.ac.kr/uni[...]
2020-11-17
[5]
웹사이트
Introducing Western Medicine in Daegu-Gyeongbuk
https://eng.dsmc.or.[...]
2024-06-27
[6]
웹사이트
Keimyung University History: Chronology
http://kmu.ac.kr/uni[...]
2024-06-27
[7]
웹사이트
음악공연예술대학 — 대학소개: 연혁
https://newcms.kmu.a[...]
Keimyung University
[8]
웹사이트
음악공연예술대학
https://www.kmu.ac.k[...]
Keimyung University
[9]
웹사이트
계명 ∙ 쇼팽음악원 소개
https://newcms.kmu.a[...]
Keimyung University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programs: Dual Degree Program
https://www.kmu.ac.k[...]
Keimyung University
[11]
뉴스
Polish 1st lady visits Keimyung University
https://www.koreatim[...]
2012-11-04
[12]
뉴스
Chopin piano competition held in Daegu
http://www.koreahera[...]
2012-08-12
[13]
서적
Keimyung University. The history of Its Buildings
Keimyung University Press
2019-05-20
[14]
웹사이트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 회원대학
https://kusf.or.kr/k[...]
Korea University Sports Federation
[15]
웹인용
계명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www.academyi[...]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센터
2022-01-01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설정.
[16]
웹사이트
종합대학 (綜合大學, university)
http://www.encyber.c[...]
두산그룹 엔싸이버
2009-10-18
[17]
문서
강창역, 계명대역
[18]
문서
남산역
[19]
문서
서문시장역
[20]
뉴스
계명대, 독일통(獨逸通) 키운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2-03-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글로컬대학 마지막 선발, 예비지정 ‘초광역’ ‘사립대’ 늘어났다
“여성학은 성평등한 사회의 뿌리”···국내 두 곳뿐인 ‘여성학과’ 지키기 나선 시민들 [플랫]
계명대, 학생 수 감소 ‘여성학과’ 폐지 추진…학생·시민단체 반발
‘여성학은 지켜야 할 학문’···국내 두 곳뿐인 ‘여성학과’ 지키기 나선 학생·시민단체
“계명대 여성학과를 지켜주세요” 시민 1800여명 연대 서명
‘비수도권 유일’ 35년 역사 계명대 여성학과 폐지 위기
의대생 ‘막판 복귀’ 이어져...대학들 “수업 거부 ‘꼼수’ 엄정 대응”
대구권 4개 의대생, 시한 다가오는데 대부분 미복귀
[친절한 경제] '여름 같은 봄' 온다…"에어컨 '자가점검' 하세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