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퍼스는 엘스비어가 소유한 학술 데이터베이스로, 웹 오브 사이언스와 경쟁하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갖는다. 스코퍼스는 초보자도 쉽게 탐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다학문적인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1966년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구조화된 질의 언어 검색 기능이 웹 오브 사이언스보다 발전되었으며, 저자 프로필, 인용 지표, 오픈 액세스 정보 등을 제공한다. 스코퍼스 콘텐츠 선정은 독립적인 스코퍼스 콘텐츠 선정 및 자문 위원회(CSAB)에서 관리하며, 연간 약 28,000개의 저널과 300,000권의 도서를 다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제비어 - 사회과학 연구 네트워크
사회과학 연구 네트워크(SSRN)는 마이클 C. 젠슨과 웨인 마르가 1994년에 설립한 사회과학 분야 학술 논문 공유 플랫폼으로, 초록 및 전문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사전 인쇄된 논문 배포를 통해 학계의 정보 공유와 토론을 촉진하며, 2016년 엘스비어에 인수되어 다운로드 수를 기준으로 저자와 논문의 순위를 제공한다. - 엘제비어 - 엘스비어
엘스비어는 1880년 네덜란드에서 설립된 세계적인 학술 출판사로, 학술지와 전문 서적을 출판하고 온라인 플랫폼과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며 높은 구독료와 오픈 액세스 제한 등으로 비판과 갈등을 겪고 있다. - 인용 색인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용하는 학술지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로, 논문 유사도 검사 및 DOI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며 RISS와 연계된 검색 서비스를 통해 학술지 논문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 결과 발표의 주요 경로로 활용된다. - 인용 색인 - 구글 학술 검색
구글 학술 검색은 2004년에 시작된 학술 자료 검색 엔진으로, 학술 논문, 학위 논문, 서적 등 다양한 학술 문헌 검색을 지원하고 인용 분석 도구 및 개인 학술 인용 프로필 관리 기능을 제공하지만, 검색 알고리즘 편향성, 스팸, 데이터 품질 문제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서지 데이터베이스 - 글로톨로그
글로톨로그는 세바스찬 노르도프와 하랄드 함마르스트룀이 2011년에 설립한 언어 및 언어 계통 목록 데이터베이스로, 에스놀로그의 대안으로 시작되었으며 언어학 연구를 바탕으로 유효성이 입증된 언어만을 포함하는 등 차별성을 가지며, 막스 플랑크 인류사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Cross-Linguistic Linked Data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 서지 데이터베이스 - 월드캣
월드캣은 OCLC가 개발한 전 세계 도서관의 자료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목록 데이터베이스이며, 오픈 월드캣, API 제공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였고, 도서관의 로컬 카탈로그와 동기화되며 다양한 목록 작성 도구를 사용한다.
스코퍼스 | |
---|---|
Scopus 개요 | |
![]() | |
유형 | 서지 데이터베이스 |
제작자 | 엘스비어 |
국가 | 네덜란드 |
시작일 | 2004년 11월 10일 |
언어 | 40개 언어 |
비용 | 구독 |
학문 분야 | 생명 과학 사회 과학 물리 과학 건강 과학 |
범위 | 1788년-현재 |
지리적 범위 | 전 세계 |
업데이트 빈도 | 매일 |
ISSN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Scopus 공식 웹사이트 |
제목 | Scopus 자료 |
색인된 제목 수 (2021년) | 41,462개 |
문서 수 | 8240만 건 |
포맷 | CSV, BibText, ASCII, RIS |
2. 주요 특징 및 기능
스코퍼스는 웹 오브 사이언스(WOS)와 함께 널리 사용되는 학술 데이터베이스이다.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스코퍼스는 초보자도 쉽게 탐색할 수 있으며, 특정 인용문에서 앞뒤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과 다학문적인 특성 덕분에 연구자가 자신의 분야 밖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웹 오브 사이언스와 비교했을 때, 스코퍼스는 1966년 이후의 자료를 제공하며, WOS는 194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두 데이터베이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며, 1990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 동안 약 80-90% 겹치는 범위를 보인다.[4] 스코퍼스 항목의 키워드는 특정 기사 내용에 더 초점을 맞추는 반면, WoS는 기사 주제의 광범위한 범주와 관련된 키워드를 더 많이 가지고 있어, 스코퍼스의 키워드 비율이 WoS 항목보다 3-5배 더 높았다.
2. 1. 검색 기능
스코퍼스는 기본적인 키워드 검색 외에도 다양한 고급 검색 옵션을 제공한다. 구조화된 질의 언어를 사용하여 정교한 검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웹 오브 사이언스에서는 NEAR/n 쿼리만 지원하지만, 스코퍼스는 PRE/n 쿼리도 지원하여 더욱 세밀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5] 특정 인용 문헌을 기준으로 앞뒤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CAS 등록 번호와 화학명으로 화학 물질을 검색할 수 있어 편리하다. (단, 화학 구조 검색은 SciFinder가 더 선호된다.)2. 2. 인용 분석
스코퍼스는 다양한 인용 지표를 제공하여 연구 및 저널의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등록된 사용자는 저자 프로필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저자의 ''h''-지수를 계산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4]Scopus CiteScore는 스코퍼스에 등재된 저널, 학술 회의 proceedings, 도서 등의 인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지표로, 저널 수준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2016년에는 무료 웹사이트인 Scopus CiteScore가 도입되어 임팩트 팩터의 대안을 제공한다.[6][7]
SCImago Journal Rank (SJR)는 스코퍼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글 페이지랭크 알고리즘과 유사한 방식으로 저널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SJR 지표는 시고(SCImago)에서 개발했다.
개별 저자에 대한 스코퍼스 ID는 비독점적인 디지털 식별자인 ORCID와 통합될 수 있다.[8]
2018년, 스코퍼스는 Unpaywall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품의 오픈 액세스 상태에 대한 부분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9]
2. 3. 오픈 액세스
2018년부터 스코퍼스는 Unpaywall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품의 오픈 액세스 상태에 대한 부분 정보를 포함하기 시작했다.[9] 그러나 스코퍼스의 ris 내보내기 파일에는 오픈 액세스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2. 4. 데이터 내보내기
스코퍼스는 검색 결과를 다양한 형식으로 내보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 번에 최대 20,000개의 참고 문헌을 RIS 형식 등으로 내보낼 수 있어 대규모 문헌 분석에 용이하다. (웹 오브 사이언스는 한 번에 5,000개로 제한)3. 콘텐츠 선정 및 관리
엘스비어는 스코퍼스의 소유주이자 주요 국제 과학 저널 출판사 중 하나이므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저널 선택 시 잠재적인 이해 상충을 방지하기 위해 2009년 독립적이고 국제적인 스코퍼스 콘텐츠 선택 및 자문 위원회(CSAB)를 설립했다.[10]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식된 이해 상충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고 있다.[11]
스코퍼스와 웹 오브 사이언스(WoS)는 글로벌 참조점으로 마케팅되고 있지만, "비서구 국가에서 생산된 연구, 비영어권 연구, 인문학 및 사회 과학 연구에 구조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7]
3. 1. 콘텐츠 선정 및 자문 위원회 (CSAB)
엘스비어는 스코퍼스에 포함될 저널을 선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이해 상충 문제를 해결하고, 출판사에 관계없이 개방적이고 투명한 콘텐츠 범위 정책을 유지하기 위해 2009년 독립적인 국제 스코퍼스 콘텐츠 선정 및 자문 위원회(CSAB)를 설립했다.[10] 이 위원회는 과학자와 주제 전문 사서로 구성된다.[10]CSAB는 스코퍼스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다양한 제목을 결정한다. 스코퍼스에 색인된 저널과 도서 목록은 1년에 2~3회 업데이트된다. 매년 스코퍼스는 약 3,500개의 새로운 제목 포함 요청을 받고 그중 약 25%를 수락한다.[12] 재평가 정책은 출판 문제, 저조한 실적, 이상 실적 및 지속적인 큐레이션이라는 네 가지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2004년부터 2020년 사이에 스코퍼스는 41,525개의 제목을 포함하고 688개의 제목을 제외했다.[13] 2016년부터 2023년 사이에 CSAB는 539개 출판사에서 발행된 990개 제목을 재평가하여 536개 제목의 색인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14] 2024년 스코퍼스는 약 28,000개의 활성 저널과 거의 300,000권의 도서를 다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탈적 저널 포함에 대한 비판은 여전히 존재한다.[15][16]
3. 2. 한국 저널의 등재 현황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저널의 등재 현황'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섹션 제목에 부합하는 내용을 추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에 기반하여 스코퍼스의 일반적인 특징과 한계를 언급하는 선에서 내용을 구성했습니다.엘스비어가 스코퍼스 등재 저널을 선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해 상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립적인 스코퍼스 콘텐츠 선택 및 자문 위원회(CSAB)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판은 여전히 존재한다.[10][11]
스코퍼스는 비서구 국가, 비영어권 연구, 인문학 및 사회 과학 연구에 구조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7] 이러한 점은 한국 저널의 등재 현황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4. Web of Science (WoS)와의 비교
스코퍼스와 웹 오브 사이언스(WoS)는 학술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양대 산맥으로, 서로 경쟁하면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스코퍼스는 초보자도 쉽게 탐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학문적 특성 덕분에 연구자가 자신의 분야 밖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반면, WoS는 스코퍼스보다 더 오랜 기간(1945년)의 데이터를 제공한다.[4] 일부 연구에 따르면 1990-2020년 기간 동안 두 데이터베이스의 범위는 약 80-90% 겹친다.
구조화된 질의 언어 검색 기능 측면에서 스코퍼스는 웹 오브 사이언스보다 다소 더 발전했다. 예를 들어, WoS는 NEAR/n 쿼리만 수행할 수 있지만 스코퍼스는 PRE/n 쿼리도 수행할 수 있다.[5]
동일한 기사가 스코퍼스와 WoS에 모두 포함된 경우, 스코퍼스 항목의 키워드 비율이 WoS 항목보다 3-5배 더 높았다. 스코퍼스 키워드는 특정 기사 내용에 더 초점을 맞추는 반면, WoS는 기사 주제의 광범위한 범주와 관련된 키워드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 더 많은 수의 좁게 타겟팅된 키워드를 통해 스코퍼스 사용자는 더 많은 수의 관련 출판물을 찾을 수 있는 동시에 허위 긍정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반면에, WoS는 인용된 기사의 doi 번호를 내보내는 반면, 스코퍼스는 인용된 기사의 제목을 내보낸다. 또한, 스코퍼스는 한 번에 20,000개의 참고 문헌을 내보낼 수 있지만, WoS 내보내기는 한 번에 5,000개의 참고 문헌으로 제한된다.
참조
[1]
간행물
Web of Science (2004 version) and Scopus
https://www.ingentac[...]
2023-08-12
[2]
Webarchive
https://en.gs.sjtu.e[...]
2022-07-02
[3]
간행물
Comparisons of Citations in Web of Science, Scopus, and Google Scholar for Articles Published in General Medical Journals
[4]
간행물
Scopus database: A review
[5]
간행물
Why and how to merge Scopus and Web of Science during bibliometric analysis: The case of sales force literature from 1912 to 2019
https://link.springe[...]
2023-05-18
[6]
웹사이트
Sources
https://www.scopus.c[...]
2018-06-26
[7]
간행물
Prestigious Science Journals Struggle to Reach Even Average Reliability
[8]
웹사이트
Scopus2Orcid
http://orcid.scopusf[...]
Scopus
2014-05-07
[9]
간행물
How Unpaywall is transforming open science
2018-08-15
[10]
웹사이트
Scopus Content Overview: Content Policy and Selection
http://www.elsevier.[...]
Elsevier
2013-09-04
[11]
웹사이트
Elsevier are corrupting open science in Europe
https://www.theguard[...]
2021-08-14
[12]
문서
Wilches-Visbal JH, Pérez-Anaya O, Castillo-Pedraza MC. DISCONTINUED REASONS OF JOURNALS IN SCOPUS: ANALYSIS AND REFLECTIONS. Bibl, An Investig. 2024;20(1)
https://www.research[...]
[13]
웹사이트
extlistJune2021
https://www.elsevier[...]
2021-07-21
[14]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content: curation and reevaluation in Scopus
https://www.elsevier[...]
2021-07-21
[15]
웹사이트
IDEA Study 2 2017 Predatory journals in Scopus
https://idea-en.cerg[...]
2021-08-14
[16]
간행물
Hundreds of 'predatory' journals indexed on leading scholarly database
2021-02-08
[17]
간행물
Web of Science and Scopus are not global databases of knowledge
https://ese.arphahub[...]
2020-10-27
[18]
웹사이트
Elsevier Unethically Promotes its Journals via Scopus: The Case of Heliyon
https://scholarlycri[...]
Scholarly Criticism: A Watchdog on published Business Research
2024-04-23
[19]
웹사이트
The CNRS has unsubscribed from the Scopus publications database | CNRS
https://www.cnrs.fr/[...]
2024-01-11
[20]
웹사이트
Content Coverage Guide
https://assets.ctfas[...]
Elsevier
2023-09-23
[21]
간행물
Comparisons of Citations in Web of Science, Scopus, and Google Scholar for Articles Published in General Medical Journals
[22]
웹사이트
What's new on Scopus: More filter options now available for patent results and more
https://blog.scopus.[...]
2023-09-23
[23]
웹사이트
Scopus2Orcid
http://orcid.scopusf[...]
2014-05-07
[24]
링크
http://m.kyosu.net/a[...]
[25]
뉴스
https://news.naver.c[...]
[26]
뉴스
https://news.naver.c[...]
[2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doctorsnews[...]
2013-05-30
[28]
뉴스
https://news.naver.c[...]
[29]
뉴스
https://news.naver.c[...]
[30]
뉴스
https://news.naver.c[...]
[31]
링크
http://www.lawtimes.[...]
[32]
링크
http://www.aodr.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