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강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강민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 및 코치이다. 선수 시절에는 IEF 2006 아마추어 입상 등의 경력이 있으며,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에서 코치로서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특히 포스트시즌에서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며,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최다 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T 롤스터의 선수 - 이동녕 (프로게이머)
    이동녕은 GSL 등 국내외 스타크래프트 II 대회에서 프리미어 개인리그 4회 우승 및 2회 준우승을 기록한 프로게이머이다.
  • KT 롤스터의 선수 - 우정호
    우정호는 KTF 매직엔스 소속으로 프로리그에서 9연승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나, 급성 백혈병 진단 후 투병 중 25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e스포츠계에 큰 슬픔을 안겨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 - 김동건 (프로게이머)
    김동건은 2004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삼성전자 칸 등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e스포츠 지도자로 활동하며 여러 팀의 감독을 역임했다.
  • 저그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저그 선수 - 어윤수
    어윤수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및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SK텔레콤 T1에서 데뷔 후 GSL에서 활약하며 '콩라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롯데홈쇼핑 KeSPA컵 시즌2에서 우승했고, GSL 10회 연속 진출 기념 '임재덕 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고강민 - [인물]에 관한 문서
프로게이머 정보
이름고강민
2014 시즌 우승팀 'KT 롤스터' 공동 인터뷰 (고강민 코치)
2014 시즌 우승팀 'KT 롤스터' 공동 인터뷰 (고강민 코치)
출생1989년 9월 5일 (34세)
종족저그
랭킹17
아이디HoeJJa
별명꼬강, 왼손잡이 전사, 고'갓'민, 조커강민, 포스트시즌의 갓
소속팀KT 롤스터

2. 선수 경력

2006년 IEF 2006 아마추어 입상 및 제25회 커리지매치에 입상하였다.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16강,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16강에 진출하였다.

2. 1. 주요 활동

2006년 IEF 2006 아마추어 입상 및 제25회 커리지매치에 입상하였다. 2008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16강, BATOO 스타리그 08~09 36강, 2009년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16강에 진출하였다.

2. 2. 수상 경력

3. 코치 경력

고강민은 프로게이머 은퇴 이후 코치로 활동하였다. 2014년에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우승, 2라운드 4위, 3라운드 3위, 통합 우승을 코치로서 이끌었다.

3. 1. 주요 활동

3. 2. 수상 경력

고강민 코치가 이끈 팀은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에서 1라운드 우승, 통합 우승을 차지했다. 2라운드에서는 4위, 3라운드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4. 통산 전적

wikitable

통산전적 (13.01.20 기준, 스타2 전적포함)
경기승-패승률
테란3710–2727.0%
대 저그3312–2136.4%
대 프로토스4323–2053.5%
총합11345–6839.8%


4. 1. 종족별 전적

wikitable

통산전적 (13.01.20 기준, 스타2 전적포함)
경기승-패승률
테란3710–2727.0%
대 저그3312–2136.4%
대 프로토스4323–2053.5%
총합11345–6839.8%


4. 2. 종합 전적

wikitable

통산전적 (13.01.20 기준, 스타2 전적포함)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3710–2727.0%
대 저그3312–2136.4%
대 프로토스4323–2053.5%
총합11345–6839.8%


5. 포스트시즌 기록

고강민은 정규시즌 성적은 그리 좋지는 않지만, 이상하게도 포스트시즌에 들어서는 각성한 경기력으로 승리를 하여, 포스트시즌에서 만큼은 저그 원탑급의 실력을 보여주었다. 현재 단독으로 8연승을 달성하며, 이제동과 정명훈이 가진 7연승 기록을 넘어섰다. 이긴 상대로만 진영화, 김정우, 이승석, 신동원, 신상문, 이영한, 신노열, 도재욱에 달할 정도로 강한 선수들을 내리 꺾으면서 연승을 기록하였다. 고강민의 이 때의 포스는 최강 저그 이제동마저 때려잡을 만한 포스였다.

고강민은 이제동과 함께 포스트시즌에서 저그 다승 공동 1위(14승)를 차지하고 있다.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 2경기 승 (vs 김택용)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 3경기 승 (vs 고인규)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 4경기 패 (vs 정명훈)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플레이오프 1경기 패 (vs 이제동)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 결승전 1경기 패 (vs 이재호)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결승전 5경기 패 (vs 정명훈)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강 플레이오프 1차전 2경기 승 (vs 김윤환)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강 플레이오프 3차전 3경기 승 (vs 신대근)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1차전 2경기 패 (vs 이재호)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2차전 1경기 승 (vs 윤용태)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3차전 2경기 승 (vs 노준규)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1차전 4경기 패 (vs 이경민)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2차전 3경기 승 (vs 진영화)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 3경기 승 (vs 이승석)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1차전 4경기 승 (vs 신동원)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2차전 1경기 승 (vs 김정우)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3차전 2경기 승 (vs 신상문)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플레이오프 1차전 2경기 승 (vs 신노열)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플레이오프 2차전 6경기 승 (vs 이영한)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결승전 6경기 승 (vs 도재욱)

5. 1.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최다 연승

고강민은 정규시즌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포스트시즌에서는 뛰어난 경기력으로 저그 원탑급의 실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제동과 정명훈의 7연승 기록을 넘어선 8연승을 달성하며 포스트시즌 최다 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고강민은 진영화, 김정우, 이승석, 신동원, 신상문, 이영한, 신노열, 도재욱 등 강한 선수들을 상대로 연승을 기록하며, 이제동을 능가하는 포스를 보여주었다.

5. 2. 포스트시즌 저그 다승

고강민은 이제동과 함께 포스트시즌에서 저그 다승 공동 1위(14승)를 차지하고 있다.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 2경기 승 (vs 김택용)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 3경기 승 (vs 고인규)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 4경기 패 (vs 정명훈)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플레이오프 1경기 패 (vs 이제동)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 결승전 1경기 패 (vs 이재호)
  •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결승전 5경기 패 (vs 정명훈)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강 플레이오프 1차전 2경기 승 (vs 김윤환)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강 플레이오프 3차전 3경기 승 (vs 신대근)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1차전 2경기 패 (vs 이재호)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2차전 1경기 승 (vs 윤용태)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3차전 2경기 승 (vs 노준규)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1차전 4경기 패 (vs 이경민)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플레이오프 2차전 3경기 승 (vs 진영화)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 3경기 승 (vs 이승석)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1차전 4경기 승 (vs 신동원)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2차전 1경기 승 (vs 김정우)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플레이오프 3차전 2경기 승 (vs 신상문)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플레이오프 1차전 2경기 승 (vs 신노열)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플레이오프 2차전 6경기 승 (vs 이영한)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결승전 6경기 승 (vs 도재욱)

6. 기타

6. 1. 왼손잡이

6. 2. 주장직 승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