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 (높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도는 지리, 항공, 우주, 기상학, 생물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수직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지리적 고도는 해발 고도와 같이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의미하며, 항공에서는 평균 해수면 또는 지상 고도를 기준으로 다양한 종류의 고도를 사용한다. 기상학에서는 대기층을 구분하는 데 활용되며, 생물체, 특히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고도에 따라 기압과 산소 분압이 변화하면서 나타난다. 천문학에서는 천체의 수평선 위 각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우주 - 카르만선
카르만 선은 국제항공연맹이 항공과 우주 비행의 경계를 정의하기 위해 해발 100km로 설정한 가상의 고도이다. - 항공우주 - 마하 디스크
마하 디스크는 추진 노즐에서 초음속 배기 가스와 주변 대기압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파동 현상으로, 과팽창 상태에서 사선 충격파와 프란틀-마이어 팽창 팬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배기가스가 수직 충격파를 통과하면 빛을 내기도 한다. - 지지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지지학 - 표고 (높이)
표고는 지리학에서 지표면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평균 해수면을 0미터로 하여 측정한 높이를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도쿄만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표기하는 문제점이 있어 고유의 표고 기준 확립에 대한 논의가 있다. - 자연지리학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자연지리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고도 (높이) |
---|
2. 지리적 고도
지리적 고도는 "길이"와 관련된 "높이"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수직선상에서 "위"로의 거리(길이)를 뜻한다.
"고도"를 측정하여 수치로 표현하려면 기준이 되는 면("높이 0의 면")을 인위적으로 정해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해수면의 높이를 0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측지계에서 이 방법이 가장 널리 쓰인다. 이 외에도 가상으로 기준면을 설정하여 그 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수치로 나타내기도 한다.
지리적 고도 개념은 지리학, 지도 제작뿐만 아니라 지면의 높이를 수치로 나타내는 다양한 경우에 사용된다.
해수면 아래로의 수직 거리는 "수심" 또는 "깊이"라고 한다.
2. 1. 해수면 기준의 문제점
현실의 해수면(해면의 높이)은 조석에 의해 시시각각 변동하며 일정하지 않다. 세계적으로 간조와 만조의 차이는 수 미터에 달하며, 지역에 따라서는 그 차이가 15미터에 이르는 곳도 있다.[33]이 때문에 각 지역(국가)에서는 해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가상의 "해수면"을 설정한다. 평균값은 해당 국가의 지도 제작 및 지리 측량을 담당하는 공적 조직이 조위 측정 시설을 설치하고 장기간 관측하여 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륙 지역의 "높이"는 멀리 떨어진 해수면과의 비교를 통해 산출해야 한다. 그러나 지구 표면은 평면이 아닌 구면이므로, 평균 해수면을 육지 내부로 연장한 가상의 면(곡면)인 지오이드를 이용한다. 이는 바다에서 내륙 깊숙한 곳까지 운하를 팠을 때 해수면이 취할 높이를 가상으로 산출한 것이다.[33] 또한, 지구 표면의 중력은 균일하지 않고 편향되어 있으므로, 지오이드에는 이에 대한 보정도 필요하다.[33]
최근 지구 온난화로 북극과 전 세계 빙하가 녹으면서 세계 각지에서 해수면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예를 들어 키리바시 섬들은 수몰 위기에 처해 있으며, 베네치아에서는 산마르코 광장과 세계유산인 성당이 수십 년 동안 수몰되는 빈도가 늘고 있다. 이처럼 "평균 해수면"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는 점은 고도 측정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2. 2. 고도에 따른 기온 및 기압 변화
고도가 높아지면 기압과 외기 온도가 떨어진다. 지구상에서 구체적인 예로, 305m마다 기온은 평균 2℃, 1000m마다 기압은 약 100hpa 변화한다.[6][7][16]대기압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해수면보다 낮아진다. 이는 공기를 지면에 가깝게 유지하려는 중력과 공기의 열 함량으로 인해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팽창하는 두 가지 상반된 물리적 효과 때문이다.[8]
기온 감률은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정적인 대기 하에서 고도에 따라 기온이 저하되는 비율을 말한다.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는 국제 표준 대기 모델에서 기온 감률로 지표면에서 11km까지는 1,000m당 6.49℃, 11km에서 20km까지는 일정 온도 -56.5℃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예상되는 가장 낮은 값을 취한 것이다. 표준 대기는 습도를 포함하지 않는다. ICAO의 이상적인 대기와 달리, 실제 대기의 온도는 항상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도에 따라 높아질수록 온도가 상승하는 관계가 역전되는 층도 존재할 수 있다.
대기의 온도 프로파일은 복사와 대류의 상호 작용의 결과이다.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햇빛은 지면에 닿아 지면을 데운다. 그러면 지면은 표면의 공기를 데운다. 복사가 지면에서 우주로 열을 전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대기 중의 기체의 온실 효과로 인해 지면 온도는 대략 333,000로 유지되고, 온도는 높이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할 것이다.[9]
그러나 공기가 뜨거워지면 팽창하는 경향이 있어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여 열을 위로 전달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바로 대류 과정이다. 대류는 주어진 고도의 공기 덩어리가 주변과 동일한 밀도를 가질 때 평형에 도달한다. 공기는 열의 전도성이 낮으므로 공기 덩어리는 열을 교환하지 않고 상승하고 하강한다. 이것을 단열 과정이라고 하며, 특징적인 압력-온도 곡선을 갖는다.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온도가 감소한다. 고도에 따른 온도 감소율을 단열 감률이라고 하며, 이는 대략 1km당 9.8°C (약 3.0°C 1,000피트당)이다.[9]
대기 중의 물의 존재는 대류 과정을 복잡하게 만든다. 수증기에는 잠열 증발열이 포함되어 있다. 공기가 상승하고 냉각되면 결국 이슬점에 포화되어 수증기량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 형성) 열을 방출하고, 이는 감률을 건조 단열 감률에서 습윤 단열 감률 (1km당 5.5°C 또는 약 1.7°C 1,000피트당)로 변경한다.[10]
우주에서 오는 전자기파를 흡수하는 열권, 자외선을 흡수하는 오존층에서는 열이 발생한다.
3. 항공 및 우주에서의 고도
항공 및 우주 분야에서 "고도"는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정의를 사용하는지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34]
항공에서는 평균 해수면(MSL)을 기준으로 하는 해발 고도(AMSL) 또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는 대지 고도(AGL)를 사용한다.
국제 단위계(SI)에 규정된 미터가 아닌,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항공 교통 관제에 피트 단위를 사용한다. 다만,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몽골에서는 미터를 사용하며, 러시아 및 독립 국가 연합(CIS) 국가들에서는 주로 저고도에서 미터를 사용한다.
3. 1. 항공 고도의 종류
항공 고도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다른 기준점과 측정 방법을 사용한다.- 지시 고도: 고도계에 표시되는 값이다.
- 절대 고도: 항공기 바로 아래 지면과의 거리로, 전파 고도계로 측정한다.
- 진고도: 평균 해수면으로부터의 실제 높이이다.
- 높이: 특정 지점(보통 지형) 위로의 수직 거리이다.
- 기압 고도: 국제 표준 대기에서 특정 기압에 해당하는 높이이다. 비행 고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밀도 고도: 국제 표준 대기에서 특정 공기 밀도에 해당하는 높이로, 항공기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비행 고도는 기압 고도를 100피트(30m)로 나눈 값이며, 전이 고도 이상에서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약 5486.40m 이상, 다른 지역에서는 약 914.40m 이상일 수 있다. 비행 고도로 비행할 때는 고도계를 항상 표준 기압(29.92 inHg 또는 1013.25 hPa)으로 설정한다.
조종실에서 고도를 측정하는 주요 장비는 무액체 기압계의 일종인 기압 고도계이다. 기압 고도계는 측정된 기압을 길이(피트 또는 미터)로 환산하여 표시한다.
3. 1. 1. 지시 고도
지시 고도는 고도계에 표시되는 값으로, 고도계가 평균 해수면에서 국지적인 기압으로 설정되었을 때 나타난다.[2] 영국 항공 무선 전화 사용에서는 "수준, 지점 또는 물체의 수직 거리를 평균 해수면에서 측정"하는 것을 '''고도'''라고 부른다(QNH 참조).[2]항공 고도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 중 지시 고도는 고도계에 표시되는 고도를 의미한다.[34]
3. 1. 2. 절대 고도
절대 고도는 항공기 바로 아래 지표면으로부터의 거리이다.[3] 전파 고도계(또는 "절대 고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3] "레이더 고도" 또는 지상 고도(AGL) 피트/미터로도 불린다.3. 1. 3. 진고도
평균 해수면 위의 실제 고도이다.[3] 표준이 아닌 온도 및 기압에 대해 보정된 지시 고도이다.3. 1. 4. 높이
"고도"라는 용어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항상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항공에서는 평균 해수면(MSL) 또는 지상 고도(AGL)를 기준으로 고도를 측정한다.[34]항공 고도는 기압 고도계를 통해 측정되며, 다음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다.
종류 | 설명 |
---|---|
지시 고도 | 고도계가 평균 해수면에서 국지적인 기압으로 설정되었을 때 고도계에 표시되는 값.[2] |
절대 고도 | 항공기가 비행하는 지형 위의 수직 거리.[3] 전파 고도계로 측정.[3] 지상 고도(AGL)라고도 함. |
진고도 | 평균 해수면 위의 실제 고도.[3] |
높이 | 특정 지점(일반적으로 지형) 위의 수직 거리. 영국에서는 비행장 고도를 기준으로 함.(QFE 참조)[2] |
압력 고도 | 표준 기준 대기압 평면(1013.25hPa 또는 29.92inHg) 위의 고도. |
밀도 고도 | 비 ISA 국제 표준 대기 조건에 대해 보정된 고도. |
압력 고도를 100피트(30m)로 나눈 값은 비행 고도이며, 전이 고도 이상에서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약 5486.40m, 다른 지역에서는 약 914.40m까지 낮을 수 있음) 비행 고도로 비행할 때 고도계는 항상 표준 기압(29.92 inHg 또는 1013.25 hPa)으로 설정된다.
3. 1. 5. 기압 고도
기압 고도는 국제 표준 대기의 기압에 대응하는 고도이다.[34]3. 1. 6. 밀도 고도
밀도 고도는 ISA 조건이 아닌 경우를 고려하여 보정된 고도이다. 항공기의 성능은 기압, 습도, 온도에 영향을 받는 밀도 고도에 따라 달라진다. 매우 더운 날씨에는, 특히 고지대에 위치한 공항에서 밀도 고도가 높아 이륙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는 헬리콥터나 과적재된 항공기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1]밀도 고도는 국제 표준 대기에서 공기의 밀도를 고도로 나타낸 것이다.
3. 2. 위성 궤도에서의 고도
위성은 다양한 고도에서 지구를 공전한다. 궤도 고도는 위성의 궤도 주기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위성 임무에 영향을 미친다.다음은 고도에 따른 일반적인 위성 궤도의 분류이다.
- 저궤도(LEO): 일반적으로 고도 2000km 이하.
- 중궤도(MEO): 일반적으로 고도 2000km에서 35786km 사이. 이 궤도는 종종 중간 지구 궤도(IEO)라고도 한다.
- 정지 궤도(GEO): 고도 35786km.
- 고궤도(HEO): 일반적으로 고도 35786km 이상.
4. 기상학에서의 고도
지구 대기는 고도에 따라 여러 영역으로 나뉜다[36]。
고도 | 대기층 | 비고 |
---|---|---|
10000km까지 | 외기권 | |
675km까지 | 열권 | 전리층 포함, 카르만 선 (100km) |
85km까지 | 중간권 | |
50km까지 | 성층권 | 오존층 포함 |
극지방 8km, 적도 18km까지 | 대류권 | 대기 경계층, 자유 대기 포함 |
4. 1. 대기층
지구 대기는 고도에 따라 여러 층으로 나뉘며, 계절과 극지방과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높이에서 시작하고 끝난다. 아래에 언급된 고도는 평균값이다.[4]- 대류권: 지표면에서 극지방 8000m, 적도 18000m까지이며, 대류권계면에서 끝난다.
- 성층권: 대류권에서 50km까지.
- 중간권: 성층권에서 85km까지.
- 열권: 중간권에서 675km까지.
- 외기권: 열권에서 10000km까지.
카르만 선은 해수면에서 100km 고도에 위치하며, 관례적으로 대기와 우주 공간 사이의 경계선을 나타낸다.[5] 열권과 외기권 (중간권의 더 높은 부분과 함께)은 관례적으로 우주로 정의되는 대기 영역이다.
style="background-color:#333333;width:5px" | | 우주 공간 | ||
약 10,000 km | |||
style="background-color:#222266" | | 외기권 | ||
800 km | |||
style="background-color:#111199" | | 열권 | colspan="2" style="border-left:hidden;border-bottom:hidden" | | |
style="background-color:#ffff99;width:5px" | | 전리층 | ||
(카르만 선) | (100 km) | ||
80 km | |||
style="background-color:#0000cc" | | 중간권 | ||
50 km | |||
style="background-color:#0000ff" | | 성층권 | colspan="2" style="border-left:hidden;border-bottom:hidden" | | |
style="background-color:#99ff99" | | 오존층 | ||
11 km | |||
style="background-color:#9999ff" | | 대류권 | style="background-color:#9999ff" | | 자유 대기 |
1 km | |||
style="background-color:#ccccee" | | 경계층 | ||
0 km | |||
※고도는 중위도의 평균 |
4. 1. 1. 대류권
지구 대기는 여러 고도 영역으로 나뉘는데, 이 영역은 계절과 극지방과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높이에서 시작하고 끝난다. 아래에 언급된 고도는 평균값이다.[4] 대류권은 지표면에서 가장 가까운 층으로, 극지방에서는 8000m, 적도에서는 18000m까지이며, 대류권계면에서 끝난다. 이곳에서는 기상 현상이 발생한다.4. 1. 2. 성층권
대류권에서 50km까지의 영역이다.[4] 이 영역에는 오존층이 위치하여 자외선을 흡수한다.4. 1. 3. 중간권
성층권 계면에서 85km까지의 영역이다.[4] 지구 대기의 연직 구조를 보면 중간권은 고도 약 50km에서 80km 사이에 위치한다.4. 1. 4. 열권
중간권에서 675km까지의 영역이다.[4] 오로라가 이 층에서 발생한다.4. 1. 5. 외기권
외기권은 열권에서 10000km까지 이어진다.[4] 지구 대기의 가장 바깥 층으로, 우주 공간과 연결된다. 카르만 선은 해수면에서 100km 고도에 위치하며, 관례적으로 대기와 우주 사이의 경계선을 나타낸다.[5]4. 2. 고고도와 저기압
고고도는 일반적으로 해발 2,400m부터 시작한다고 정의하기도 한다.[37][38][45]고고도에서는 대기압이 해수면보다 낮다. 이는 공기를 최대한 지표면에 가깝게 하려는 중력과 분자를 최대한 확산시키려는 열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물리적 효과가 상호 작용한 결과이다.[39]
낮은 기압 때문에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는 확산되고 차가워진다.[40][41] 따라서 고고도의 공기는 차갑고, 특징적인 고산 기후가 나타난다. 이 기후는 고고도에서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4. 3. 대기 온도 프로파일
대기의 온도 프로파일은 복사와 대류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난다.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햇빛은 지면에 닿아 지면을 데우고, 데워진 지면은 다시 표면의 공기를 데운다. 복사가 지면에서 우주로 열을 전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대기 중 기체의 온실 효과로 인해 지면 온도는 대략 333,000K로 유지되고, 온도는 높이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9]그러나 공기가 뜨거워지면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지고,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여 열을 위로 전달한다. 이것이 바로 대류 과정이다. 대류는 주어진 고도의 공기 덩어리가 주변과 동일한 밀도를 가질 때 평형에 도달한다. 공기는 열전도율이 낮으므로 공기 덩어리는 열을 교환하지 않고 상승 및 하강한다. 이를 단열 과정이라 하며,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온도가 감소한다. 고도에 따른 온도 감소율을 단열 감률이라고 하며, 이는 대략 1km당 9.8°C (또는 1,000피트당 약 3.0°C)이다.[9]
대기 중 물의 존재는 대류 과정을 복잡하게 만든다. 수증기는 증발열을 포함하고 있다. 공기가 상승하고 냉각되면 결국 이슬점에 포화되어 수증기량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 형성) 열을 방출하고, 이는 감률을 건조 단열 감률에서 습윤 단열 감률 (1km당 5.5°C 또는 1,000피트당 약 1.7°C)로 변경한다.[10] 평균적으로 국제 민간 항공 기구 (ICAO)는 1km당 6.49°C (1,000피트당 약 -15.8°C)의 온도 감률을 갖는 국제 표준 대기 (ISA)를 정의한다.[11] 실제 감률은 고도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구 대기에서 주목할 만한 대류가 일어나는 곳은 대류권 (고도 약 11km까지)뿐이며, 성층권에서는 수직 대류가 거의 없다.[12]
5. 고도가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산소 분압이 낮아져 인체를 포함한 생물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의학적으로는 1,500m 이상의 고도에서 인체에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5,500m~6,000m를 초과하면 지속적인 거주가 불가능하다. 고도가 증가하면 기압과 산소 분압이 낮아져 인체에 영향을 준다.
인간, 운동선수, 기타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5. 1. 인간
의학에서는 1500m 이상의 고도를 인체가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높이로 보며,[13] 5500m에서 6000m 이상에서는 인간이 2년 이상 생존한 기록이 없다.[14] 고도가 높아지면 대기압이 낮아져 산소 분압이 감소하고, 이는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15] 2400m 이상에서는 산소 부족으로 고산병, 고산 폐부종, 고산 뇌부종과 같은 심각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16] 고도가 높을수록 그 위험은 커진다.[16]인체는 호흡과 심박수를 높이고 혈액 화학을 조절하여 고도에 적응할 수 있지만,[17][18] 이러한 적응에는 며칠에서 몇 주가 소요될 수 있다. 8000m 이상("death zone|죽음의 지대영어")에서는 고도 순응이 불가능하다.[19]
고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전체적으로 사망률이 낮고,[20] 미국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비만 유병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21] 또한, 고도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이라는 호르몬 작용을 통해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가설도 있다.[22] 그러나 고지대 거주자들은 통계적으로 자살률이 높으며,[23]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3]
5. 1. 1. 운동선수
운동선수에게 고도는 경기력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 폭발적인 종목(400m 이하의 단거리, 멀리뛰기, 세단뛰기)의 경우, 대기압 감소는 대기 저항 감소를 의미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운동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진다.[24] 지구력 종목(5,000m 이상 경주)의 경우, 주된 영향은 산소 감소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고도에서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감소시킨다.[25] 스포츠 기구들은 고도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1000m 이상의 고도에서 기록된 기록에는 문자 "A"를 표시한다.[25]운동선수들은 또한 고도 순응을 활용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체가 고도에 적응하도록 돕는 동일한 변화는 해수면에서의 경기력을 향상시킨다.[26][27] 이러한 변화는 고지 훈련의 기초를 형성하며, 육상, 장거리 달리기, 철인 3종 경기, 사이클, 수영 등 다양한 지구력 스포츠 선수들의 훈련의 필수적인 부분을 이룬다.
5. 2. 기타 생물
산소가 줄어들고 온도가 낮은 고산 지대에서는 생존이 어렵다. 그러나 많은 종들이 이러한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해왔다. 동물들은 물질대사를 유지하기 위해 조직으로 산소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생리학적 적응을 했다. 동물들이 고산에 적응하는 전략은 형태와 계통 발생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작은 포유류는 부피 대 표면적 비율이 작아 추운 온도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어렵다. 산소는 물질대사적 열 생산에 사용되므로, 고산 지대의 저기압 저산소증은 문제가 된다.고산 지역에서는 몸집이 작아지고 종 풍부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산소 분압이 낮기 때문이다.[28] 이러한 요인들은 고산 서식지의 생산성을 감소시켜 소비, 성장, 활동에 쓸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29]
하지만 새와 같은 일부 종들은 고산에서 번성한다.[30] 새들은 고산 비행에 유리한 생리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6. 천문학에서의 고도
천문학에서 "고도(高度)"는 목표 지점이 수평 방향보다 얼마나 위쪽으로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를 의미한다.[31] "지평선에서 천체까지의 '각거리'"라고도 한다.[32] "이 날, 태양의 남중 고도는 55도였다"와 같이 사용한다.[31] 지평 좌표계의 한 요소이며, 목표 지점이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방위각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31] 지구상에서 천체를 관측하고 있는 관측자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고도와 방위각을 사용하는 지평 좌표계를 사용하여 표현한다.[32]
엄밀히 말하면 천체의 (천구상에서의) "진정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겉보기 각도를 그대로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에 의한 굴절의 영향(대기차)을 보정하여 "진정한 고도"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32]
참조
[1]
웹사이트
The Stratosphere - overview
https://scied.ucar.e[...]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2021-02-06
[2]
서적
Radiotelephony Manual
UK Civil Aviation Authority
1995-01-01
[3]
서적
Air Navigation
Department of the Air Force
1989-12-01
[4]
웹사이트
Layers of the Atmosphere
http://www.s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2005-12-22
[5]
웹사이트
The 100 km Boundary for Astronautics
http://www.fai.org/i[...]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
2004-06-24
[6]
서적
Webster's New World Medical Dictionary
http://www.medterms.[...]
Wiley
2010-04-27
[7]
웹사이트
An Altitude Tutorial
http://www.ismmed.or[...]
International Society for Mountain Medicine
2011-06-22
[8]
웹사이트
Atmospheric pressure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2009-01-23
[9]
서적
Atmospheres
Prentice-Hall
2016-05-02
[10]
웹사이트
Dry Adiabatic Lapse Rate
http://meteorologytr[...]
tpub.com
2016-05-02
[11]
서적
Manual of the ICAO Standard Atmosphere (extended to 80 kilometres (262 500 feet))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12]
웹사이트
The stratosphere: overview
http://scied.ucar.ed[...]
UCAR
2016-05-02
[13]
웹사이트
Non-Physician Altitude Tutorial
http://www.ismmed.or[...]
International Society for Mountain Medicine
2005-12-22
[14]
논문
Highest permanent human habitation
[15]
논문
Oxygen at high altitude
1998-10-17
[16]
논문
Medical Problems in High Mountain Environments. A Handbook for Medical Officers
http://archive.rubic[...]
U.S. Army Research Inst. of Environmental Medicine Thermal and Mountain Medicine Division Technical Report
2009-03-05
[17]
서적
Human Adaptation to High Terrestrial Altitude. In: Medical Aspects of Harsh Environments
[18]
논문
Altitude Acclimatization Guide
http://archive.rubic[...]
2009-03-05
[19]
웹사이트
Everest:The Death Zone
https://www.pbs.org/[...]
PBS
1998-02-24
[20]
논문
Exciting Times in the Study of Permanent Residents of High Altitude
2011-01
[21]
논문
Association of Elevation, Urbanization and Ambient Temperature with Obesity Prevalence in the United States
[22]
논문
Erythropoietin and epidemiology of Alzheimer disease
2013-07
[23]
논문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ltitude and Suicide in 2584 U.S. Counties
2011-04
[24]
논문
The influence of aerodynamic and biomechanical factors on long jump performance
[25]
웹사이트
IAAF World Indoor Lists 2012
http://www.iaaf.net/[...]
IAAF Statistics Office
2012-03-09
[26]
논문
Live high—train low for 24 days increases hemoglobin mass and red cell volume in elite endurance athletes
2006-06
[27]
논문
Nonhematological mechanisms of improved sea-level performance after hypoxic exposure
2007-09
[28]
논문
Low oxygen pressure as a driving factor for the altitudinal decline in taxon richness of stream macroinvertebrates
2007-09-24
[29]
논문
Metabolic traits of westslope cutthroat trout, introduced rainbow trout and their hybrids in an ecotonal hybrid zone along an elevation gradient
2011-07-08
[30]
논문
Parallel evolution in the major haemoglobin genes of eight species of Andean waterfowl
2009-10
[31]
문서
世界大百科事典第二版
[32]
문서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小項目事典「高度」
[33]
웹사이트
'[https://www.gsi.go.jp/chubu/tokusetsu-minichishiki2-1.html]'
https://www.gsi.go.j[...]
[34]
서적
Air Navigation
Department of the Air Force
1989-12-01
[35]
문서
1980년대초두까지는 동행이 1,000m 단위의 기수 고도, 서행은 1,000m 단위의 우수 고도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으면 간격이 너무 넓고 교통량의 증대에 대응할 수 없었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300m, 600m 등의 실용적인 간격을 사용하게 되었다.
[36]
웹사이트
Layers of the Atmosphere
http://www.s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2005-12-22
[37]
서적
Webster's New World Medical Dictionary
http://www.medterms.[...]
Wiley
[38]
웹사이트
An Altitude Tutorial
http://www.ismmed.or[...]
International Society for Mountain Medicine
2011-06-22
[39]
웹사이트
Atmospheric pressure
http://www.pbs.org/w[...]
Public Broadcasting Service
2009-01-23
[40]
서적
Fundamentals of Atmospheric Modell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Meteorology Today
Brooks/Cole Publishing
[42]
웹사이트
Non-Physician Altitude Tutorial
http://www.ismmed.or[...]
International Society for Mountain Medicine
2005-12-22
[43]
논문
Highest permanent human habitation
[44]
논문
Oxygen at high altitude
1998-10-17
[45]
논문
Medical Problems in High Mountain Environments. A Handbook for Medical Officers
http://archive.rubic[...]
US Army Research Inst. of Environmental Medicine Thermal and Mountain Medicine Division Technical Report
2009-03-05
[46]
서적
Human Adaptation to High Terrestrial Altitude. In: Medical Aspects of Harsh Environments
http://www.bordenins[...]
2009-01-05
[47]
논문
Altitude Acclimatization Guide
http://archive.rubic[...]
2009-03-05
[48]
웹사이트
Everest:The Death Zone
http://www.pbs.org/w[...]
PBS
1998-02-24
[49]
논문
Exciting Times in the Study of Permanent Residents of High Altitude
[50]
논문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ltitude and Suicide in 2584 U.S. Counties
[51]
논문
The influence of aerodynamic and biomechanical factors on long jump performance
[52]
논문
Nonhematological mechanisms of improved sea-level performance after hypoxic exposure
http://meta.wkhealth[...]
2009-03-05
[53]
논문
Live high?train low for 24 days increases hemoglobin mass and red cell volume in elite endurance athletes
http://jap.physiolog[...]
2009-03-05
[54]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https://archive.org/[...]
Osprey
[55]
웹인용
공역예보 지침 - 항공기상청
http://kama.kma.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