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바야시 유키 (199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바야시 유키는 1992년생 일본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도쿄 베르디 유스 출신으로, 주빌로 이와타, SC 헤렌벤(네덜란드), 바슬란트-베베렌(벨기에), 알코르 SC(카타르), 서울 이랜드 FC, 강원 FC(이상 대한민국), 비셀 고베,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등 여러 클럽에서 뛰었다. 2016년 일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A매치 8경기에 출전, 1골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바야시 유키 (199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키 고바야시 |
본명 | 유키 고바야시 |
로마자 표기 | Yuki Kobayashi |
가타카나 표기 | 코바야시 유키 |
출생일 | 1992년 4월 24일 |
출생지 | 일본 도쿄도 히가시무라야마시 |
키 | 182cm |
포지션 | 미드필더 |
주발 | 왼발 |
현재 소속팀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등번호 | 99 |
유소년 클럽 정보 | |
유소년 클럽 연도1 | 1996-2004 |
유소년 클럽1 | 자크파 도쿄 FC |
유소년 클럽 연도2 | 2005-2007 |
유소년 클럽2 | 도쿄 베르디 주니어 유스 (히가시무라야마 시립 히가시무라야마 제1 중학교) |
유소년 클럽 연도3 | 2008-2010 |
유소년 클럽3 | 도쿄 베르디 유스 (위자스 고등학교) |
클럽 경력 | |
연도1 | 2010-2012 |
클럽1 | 도쿄 베르디 |
출장1 | 62 |
득점1 | 6 |
연도2 | 2012 |
클럽2 | → 주빌로 이와타(임대) |
출장2 | 11 |
득점2 | 0 |
연도3 | 2013-2016 |
클럽3 | 주빌로 이와타 |
출장3 | 101 |
득점3 | 13 |
연도4 | 2016-2019 |
클럽4 | SC 헤이렌베인 |
출장4 | 92 |
득점4 | 3 |
연도5 | 2019-2020 |
클럽5 | 바슬란트-베베런 |
출장5 | 21 |
득점5 | 2 |
연도6 | 2020-2021 |
클럽6 | 알코르 |
출장6 | 16 |
득점6 | 0 |
연도7 | 2021 |
클럽7 | 서울 이랜드 FC |
출장7 | 8 |
득점7 | 0 |
연도8 | 2022 |
클럽8 | 강원 FC |
출장8 | 12 |
득점8 | 0 |
연도9 | 2022 |
클럽9 | 비셀 고베 |
출장9 | 9 |
득점9 | 3 |
연도10 | 2023-2024 |
클럽10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출장10 | 40 |
득점10 | 3 |
클럽 성적 갱신일 | 2024년 12월 8일 |
국가대표 경력 | |
대표 연도1 | 2016-2019 |
대표1 | 일본 |
대표 출장1 | 8 |
대표 득점1 | 1 |
대표 성적 갱신일 | 2019년 6월 9일 |
2. 클럽 경력
도쿄 베르디 유스 출신으로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J리그의 주빌로 이와타를 거쳐 2016년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의 SC 헤렌벤으로 이적하며 유럽 무대에 진출했다. 이후 벨기에의 바슬란트-베베렌[1], 카타르의 알코르 SC[2]를 거쳐 2021년 대한민국 K리그2의 서울 이랜드 FC에 입단했다. 다음 해인 2022년에는 K리그1의 강원 FC로 이적했으나, 같은 해 7월 일본으로 복귀하여 비셀 고베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에서 활동했다.
기간 | 소속 클럽 | 비고 |
---|---|---|
2010년 | 도쿄 베르디 | 2종 등록 선수 |
2011년 - 2012년 | 도쿄 베르디 | |
2012년 7월 - 12월 | 주빌로 이와타 | 임대 이적 |
2013년 - 2016년 8월 | 주빌로 이와타 | |
2016년 8월 - 2019년 6월 | SC 헤렌벤 | |
2019년 9월 - 2020년 9월 | 바슬란트-베베렌 | |
2020년 9월 - 2021년 6월 | 알코르 SC | |
2021년 7월 - 12월 | 서울 이랜드 FC | |
2022년 2월 - 7월 | 강원 FC | |
2022년 7월 - 12월 | 비셀 고베 | |
2023년 - 2024년 |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
2. 1. 초기 경력 (도쿄 베르디, 주빌로 이와타)
도쿄 베르디 산하 유소년팀 출신으로, 각 연령별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2010년에는 2종 등록 선수 신분으로 J2리그에서 4경기에 출장했으며, 도쿄도 축구 토너먼트 우승을 통해 베르디 유스팀 소속으로 제90회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에도 참가했다.2011년 1군으로 승격한 첫 해부터 주전 자리를 확보하여 리그 34경기에 출전했다. 2012년에는 등번호 10번을 부여받음과 동시에, 구단 역사상 최연소인 19세의 나이로 주장에 임명되었다.[8] 그는 10번 유니폼을 입고 "주장이라는 것을 강하게 의식했다"고 언급했다.[9]
2012년 7월, 미드필더진에 부상 선수가 많았던 주빌로 이와타로 임대 이적했다.[9] 넓은 시야를 바탕으로 공수 양면에서 활약하며 팀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고, 같은 해 12월 주빌로 이와타로 완전 이적했다.[10]
이적 초기인 2012년과 2013년에는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으나, 2014년 4월 20일 요코하마 FC와의 경기부터 주전으로 도약했다. 나나미 히로시 감독 부임 이후인 9월 28일 에히메 FC전부터는 공격형 미드필더 위치에서 활약했다.[11]
2015년 시즌에는 주빌로의 플레이메이커로서 리그 40경기에 출전하며 개인 한 시즌 최다인 6골을 기록했다. 특히 J1리그 승격이 결정되는 J2리그 최종전(11월 23일) 오이타 트리니타와의 경기에서, 후반 45분 동점골을 내준 직후 극적인 결승골을 성공시켜 팀의 J1 복귀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12] 승격이 확정된 후에는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서포터들에게 인사하는 모습을 보였다.[13]
2016년 4월 2일 오미야 아르디자를 상대로 J1리그 첫 골을 기록했으며[14], 5월에는 개인 통산 처음으로 리그 3경기 연속 득점에 성공했다. 당시 일본 대표팀 감독이었던 바히드 할릴호지치가 관전한 경기에서도 득점을 올리는 등[15] 인상적인 활약을 펼쳐 5월 26일 생애 처음으로 일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2016년 8월 13일, 주빌로 이와타 소속으로 치른 마지막 경기인 감바 오사카전에서는 주장 완장을 차고 경기에 임했으나, 팀은 0-2로 패배했다.[16]
2. 2. 유럽 무대 진출 (SC 헤렌벤, 바슬란트-베베렌)
2016년 8월 12일, J1리그의 주빌로 이와타에서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의 SC 헤렌벤으로 완전 이적했다.[17] 같은 해 9월 10일, 에레디비시 5라운드 FC 트벤터와의 경기에서 네덜란드 무대에 데뷔했다.[18] 12월 3일 열린 15라운드 고 어헤드 이글스전에서는 이적 후 첫 골을 기록했다.[19] 해외 진출 첫 시즌이었던 2016-17 시즌에는 리그 30경기에 연속으로 선발 출전하며 주전 자리를 확보했다.[20] 소속팀 헤렌벤은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진출권을 두고 유럽 플레이오프에 나섰으나, FC 위트레흐트에 패배하여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2017-18 시즌에는 2017년 9월 23일 열린 6라운드 빌럼 II전에서 시즌 첫 골을 넣었다.[21] 이후에도 꾸준히 선발로 나섰지만, 24라운드 PSV 에인트호번전에서는 벤치에서 경기를 시작했고 교체 투입되지 못하면서 데뷔 이후 이어지던 리그 연속 출전 기록이 53경기에서 중단되었다.[22][23] 2018년 3월 17일, 28라운드 FC 위트레흐트전에서 로다 JC전 이후 5경기 만에 다시 선발 라인업에 복귀했다.[24] 이후 34라운드 페예노르트전까지 계속 선발로 출전하며 팀의 유로파 리그 예선 2회전 진출을 위한 플레이오프행을 확정지었다.[25] 플레이오프에서는 리그 5위 팀인 FC 위트레흐트와 맞붙었다. 5월 9일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전반 9분 프리킥으로 선제골을 넣어 팀의 4-3 승리에 기여했다.[26] 그러나 원정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선발 출전했으나 후반 18분 지스 홀른캄프와 교체되었고, 팀은 1-2로 패배했다. 1, 2차전 합계 점수는 5-5 동점이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헤렌벤은 유로파 리그 예선 진출에 실패하며 시즌을 마감했다.[27]
2019년 3월 29일, 고바야시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2018-19 시즌 종료 후 헤렌벤을 떠날 것이라고 발표했다.[28][29] 헤렌벤에서 꾸준히 출전했지만 한 단계 더 성장하지는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30], 2019년 9월 6일 벨기에 주필러 프로 리그의 바슬란트-베베런과 2년 계약을 체결했다. 10월 27일 KV 메헬렌과의 경기에서 이적 후 첫 골을 기록했다.[31]
2. 3. 카타르 및 한국 리그 (알코르 SC, 서울 이랜드 FC, 강원 FC)
2020년 9월, 카타르 스타스 리그의 알코르로 이적했다.[2][32]2021년 7월 1일, K리그2의 서울 이랜드 FC에 입단했다.[33] 당시 등록명은 '유우키'였다. 같은 해 12월, 시즌 종료 후 상호 합의 하에 팀을 떠났다.[34]
2022년 2월 18일, K리그1의 강원 FC로 이적했으며,[35] 등록명을 '고바야시'로 변경했다.[36]
2. 4. J리그 복귀 (비셀 고베,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2022년 7월 27일, K리그1의 강원 FC에서 J1리그의 비셀 고베로 완전 이적했다.[37][38] 등번호는 49번이다. 7월 30일 J1리그 23라운드 가시와 레이솔전에서 데뷔했다. 9월 14일 J1리그 26라운드 FC 도쿄전부터 공격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하기 시작했으며, 10월 29일 J1리그 33라운드 가와사키 프론탈레전에서는 직접 프리킥으로 골을 성공시켜 J1리그 이달의 베스트 골에 선정되기도 했다. 시즌 종료까지 총 3골을 기록하며 팀의 J1리그 잔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2023년에는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로 완전 이적했다.[39]
3. 국가대표 경력
J리그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16년 5월 26일, 2016년 기린컵 축구에 참가할 일본 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었다.[40] 같은 해 6월 7일, 기린컵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경기(일본 1-2 패)에서 후반 30분 우사미 타카시와 교체 투입되어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3][41] 이후 2016년 11월 11일에 열린 기린 챌린지컵 오만과의 경기에서 국가대표팀 데뷔 골을 기록했다.
3. 1. 주요 국제대회 참가
연령대 | 참가 대회 |
---|---|
U-15 일본 대표 | 2008년 AFC U-16 선수권 예선 (2007년) |
U-16 일본 대표 | 2008년 AFC U-16 선수권 (2008년) |
U-17 일본 대표 | - |
U-19 일본 대표 | 2010년 AFC U-19 선수권 (2010년) |
U-23 일본 대표 | - |
일본 대표 | 2016년 기린 컵 축구 (2016년) 기린 챌린지 컵 (2016년) 기린 챌린지 컵 (2017년) |
4. 개인적인 면모
- JACPA 도쿄 FC 소속이던 초등학교 6학년(2004년) 시절, 연고지와 가까운 FC 도쿄로부터 U-15팀 입단 제의를 받았다. 하지만 당시 베르디 주니어 유스 감독이었던 스가사와 다이가는 고바야시 영입을 강력히 원했고, 베르디가 주최한 초등학생 연습회에 당시 1군에서 활약하던 모리모토 타카유키를 불러 고바야시에게 "(미래에 프로가 되어 베르디) 1군에서 나에게 패스해 달라"고 설득하도록 했다. 이 설득이 주효하여 고바야시는 베르디 주니어 유스에 입단하게 되었다.[42]
- 왼발잡이, 특징적인 헤어스타일, 단호한 말투 등 혼다 케이스케와 닮은 점이 많아 일부 언론에서는 고바야시를 "포스트 혼다", "혼다 2세"라고 부르기도 한다.[15] 고바야시가 주빌로 이와타에서 4번을 달았던 것처럼, 혼다 역시 대표팀에서 4번을 달았다. 등번호에 대해 고바야시는 "4번과 6번이 비어 있어서 젊은 번호를 선택했을 뿐이다. 사실 10번이 좋았다"고 밝혔다.[11] "혼다 2세"라는 별명에 대해서는 "플레이 스타일이 비슷하다고들 하는데, 나는 별로 닮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혼다 케이스케는 혼다 케이스케고, 고바야시 유키는 고바야시 유키다. 그 부분을 겹쳐서 보는 것은 별로... 혼다 씨에게도 실례일 것"이라고 말하며 선을 그었다.[43]
- 2016년 1월에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혼다와 직접 만나 식사를 하기도 했다.[44] 혼다는 당시 만남에 대해 "처음 만났는데도 매우 자신감이 넘치고,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고 확실하게 자기 생각을 말하는 모습이 내 젊은 시절과 조금 겹쳐 보였다. 그런 정신력을 가진 선수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매우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45]
- 왼팔 안쪽에는 어머니와 두 여동생의 이름을, 바깥쪽에는 소속팀 SC 헤이렌베인의 로고인 수련 꽃잎과 등번호 "21", 클럽 입단 날짜, 그리고 "I choose my own fate"(내 운명은 내가 선택한다)라는 문구를 타투로 새겼다.[46]
- 도쿄 베르디 유스 시절 팀 동료로 배우 타케우치 료마가 있다. 타케우치는 2017년 10월 10일 열린 일본 대표팀과 아이티의 경기를 중계하면서 "내 위 세대는 플래티넘 세대라고 불렸는데, (고바야시 선수는) 베르디 유스의 절대적인 존재였다. 신 같은 존재였다"며 고바야시에 대한 존경심을 드러냈다.[47]
- 2018년 1월, [https://ameblo.jp/iamyuuki4424/ 오피셜 블로그]를 개설하고 "축구는 물론, 네덜란드에서의 생활과 그때그때의 심경을 전해나갈 생각이다"라고 밝혔다.
수상 연도 | 수상 내역 |
---|---|
2010년 | 일본 클럽 유스 축구 선수권 (U-18) 대회 MVP |
2022년 | J1리그 월간 베스트 골 (10월·11월) |
5. 경력 통계
'''기타 공식전'''
- 2014년: J1 승격 플레이오프 1경기 0득점
- 2017년: 에레디비시 EL 플레이오프 1경기 0득점
- 2021년: 카타르 리그 컵 플레이오프 1경기 1득점, 아미르 컵 1경기 0득점
'''AFC 챔피언스 리그'''
시즌 | 클럽 | 등번호 | 출장 | 득점 |
---|---|---|---|---|
2022 | 빗셀 고베 | 49 | 1 | 0 |
통산 | 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