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산정원은 고산 식물을 재배하고 전시하기 위해 조성된 정원이다. 고산정원은 자연주의적 식재 방식을 통해 고원 초지의 건조한 환경을 모방하며, 식물과 암석의 조화, 자생지 환경 재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다양한 고산 식물, 판석과 같은 돌, 죽은 나무 등이 사용된다. 세계적으로는 큐 왕립 식물원, 쉬니게 플라테 고산정원 등이 유명하며, 한국에서는 평강식물원, 하이원리조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등에서 고산정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식물 - 돌꽃
돌꽃(Rhodiola rosea)은 세계 고산 지대에서 자생하는 다육질 식물로, 노란색 또는 연녹색 꽃을 피우며, 잎과 어린 순은 식용 가능하고, 뿌리에는 다양한 화학 물질이 함유되어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효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CITES 부록 II에 등재되어 거래가 통제된다. - 고산식물 - 명천봄맞이
명천봄맞이는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깃털 모양 잎과 흰색 꽃, 털 없는 줄기, 삭과 열매가 특징이며 습한 숲과 초원에서 발견된다. - 정원 종류 - 장미원
장미원은 오랜 역사를 지닌 정원으로, 다양한 장미 품종을 감상하고 연구하며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 감정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다. - 정원 종류 - 텃밭
텃밭은 채소 및 기타 식물을 재배하는 정원으로, 자가 소비, 레크리에이션, 시민 농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중세 시대부터 19세기 영국에서 대중화되었고, 다양한 종류와 재배 방식을 가진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고산정원 | |
---|---|
개요 | |
종류 | 특수 정원 |
특징 | 고산 식물 전문 재배 |
위치 | 고산 환경 모방 |
조성 목적 | 고산 식물 전시 및 보존 |
역사 | |
기원 | 19세기 영국 |
초기 목적 | 식물 수집 및 연구 |
발달 배경 | 고산 식물에 대한 관심 증가 |
현대적 의미 | 환경 교육 및 보존 |
조성 환경 | |
기후 | 서늘하고 습한 환경 |
토양 | 배수가 잘 되는 토양 |
햇빛 | 충분한 햇빛 |
위치 선정 | 경사면 또는 인공 암벽 |
식물 | |
일반적인 식물 종류 | 에델바이스 알파인 아네모네 용담 바위취 |
식물 선택 기준 | 내한성 건조에 강한 성질 토양 적응성 |
시설 | |
암석 | 자연석 또는 인공 암벽 |
배수 시설 | 지하 배수 시스템 |
관수 시설 | 스프링클러 또는 점적 관수 |
표지판 | 식물 이름 및 정보 제공 |
관리 | |
물주기 | 토양 건조 방지 |
비료 | 저농도 비료 사용 |
잡초 제거 | 정기적인 잡초 제거 |
병충해 관리 | 친환경적인 방법 사용 |
월동 준비 | 방한 대책 |
위치 (예시) | |
유럽 | 알프스 산맥 지역 |
북아메리카 | 로키 산맥 지역 |
아시아 | 히말라야 산맥 지역 |
기타 | 전 세계 고산 지대 |
추가 정보 | |
참고 서적 | W. F. W. 하딩의 "Alpine Gardening: A beginner's guide" 리처드 윌포드의 "Alpines: from Mountain to Garden" |
관련 단체 | 알파인 가든 소사이어티 |
기타 정보 | |
영어 명칭 | Alpine garden |
블라저 산 높이 | 2190 미터 |
오스트리아포럼 링크 | AEIOU/Blaser |
2. 고산정원의 구성 요소
고산정원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 '''돌''' : 고산정원에서는 암석원에서 사용하는 호박돌(물가에서 나는 둥글게 생긴 돌)은 사용하지 않는다. 판석(板石)은 나비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석재로 주로 바닥이나 도로를 까는데 이용된다.
- '''기타''' : 적당한 크기의 죽은 나무를 배치하면 기존의 암석과 잘 어울리는 고산지대를 재현할 수 있다.
2. 1. 식물
고산정원에서 주로 발견되는 식물은 다음과 같다.[4]식물명 |
---|
바위취속 |
알파인애기장대 |
초롱꽃속 - 고산 종 |
패랭이꽃속 - 고산 종 |
겐티아나속 |
달마티카 제라늄 |
구형초속 |
아이베리스 셈페르비렌스 |
솜다리속 |
바늘꽃속 |
할미꽃속 |
앵초속 - 고산 종 |
미나리아재비속 |
로덴테뭄 호스마리엔스 |
바위취속 - 고산 종 |
스쿠텔라리아 오리엔탈리스 |
세덤 스파툴리폴리움 |
붓꽃아재비속 |
백리향속 |
바람꽃, 산미나리아재비, 애기금매화, 월귤나무, 애기금낭화, 구름국화, 시로미, 돌매화나무, 담자리꽃나무, 장백제비꽃, 홑잎뱀무 등은 고산식물이다. 한국 자생 고산식물로는 월귤나무, 산진달래 등이 있다. 에델바이스는 알프스에서 자라는 고산식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중 일부는 그늘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고산정원의 그늘진 곳에 심을 수 있다.[5]
2. 2. 돌
고산정원에서는 암석원에서 사용하는 호박돌(물가에서 나는 둥글게 생긴 돌)은 사용하지 않는다.- 판석(板石): 나비에 비하여 두께가 대단히 얇은 석재로 주로 바닥이나 도로를 까는데 이용되는데 고산정원에도 사용 가능하다.
2. 3. 기타
적당한 크기의 죽은 나무를 배치하면 기존의 암석과 잘 어울리는 고산지대를 재현할 수 있다.3. 고산정원의 특징
- 고산 영감이라는 자연 모방의 한 형태로써 자연주의적 식재를 택한다(자연 모방의 다른 예는 해안 생존자, 숲 효과 등이다).
- 고원 초지의 자유 배수되는 건조 조건을 모방할 목적으로 디자인되었다.
- 식물과 암석의 조화 및 자생지의 생육 환경을 최대한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일반인이 쉽게 접하기 힘든 고산식물을 관찰하는 공간이다.
4. 세계의 고산정원
국가 | 정원 |
---|---|
오스트리아 | 인스브루크 대학교 식물원 |
벨기에 | 겐트 대학교 식물원 |
캐나다 | [https://espacepourlavie.ca/en/gardens-and-greenhouses/alpine-garden 몬트리올 식물원] |
[https://www.ualberta.ca/botanic-garden/gardens/patrick-seymour-alpine-garden.html 앨버타 대학교 식물원: 패트릭 세이무어 알파인 가든] | |
[https://botanicalgarden.ubc.ca/visit/garden-highlights/e-h-lohbrunner-alpine-garden/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E.H. 로브루너 알파인 가든] | |
[https://mlarochelle.net/ Alpinegium] | |
중국 | 리장 고산 식물원 |
프랑스 | 자르댕 데 플랑트 |
로타레 고산 식물원 | |
라 자이시니아 고산 식물원 | |
독일 | 알텐부르크 체험 식물원 |
베를린 식물원 | |
빌레펠트 식물원 | |
뒤셀도르프 식물원 | |
기센 식물원 | |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식물원 | |
뮌헨-님펜부르크 식물원 | |
뮌스터 식물원 | |
마르부르크 식물원 | |
포츠담 식물원, 루르 대학교 보훔 식물원 | |
이탈리아 | 파도바 식물원 |
슬로베니아 | 율리아나 고산 식물원 |
네덜란드 | 보타니셰 툰 포르트 호프다이크 |
호르투스 보타니쿠스 암스테르담 | |
영국 | 큐 왕립 식물원 |
RHS 위즐리 | |
에든버러 왕립 식물원 | |
미국 | 베티 포드 알파인 가든 |
덴버 식물원 |
참조
[1]
서적
Alpine Gardening: A beginner's guide
The Alpine Garden Society, L. Baker (Printers) Ltd.
[2]
서적
Alpines: from Mountain to Garden
Royal Botanic Gardens, Kew
[3]
Austriaforum
AEIOU/Blaser
[4]
서적
Collins complete garden manual
HarperCollins
[5]
보고서
국립생태원 고산정원 조성방안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