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실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실막은 양서류, 포유류, 곤충 등 다양한 동물에서 발견되는 소리 감지 기관이다. 개구리와 두꺼비의 고실막은 외부 타원형 막으로, 음파를 내부 귀로 전달하고 외부 물질 유입을 막는다. 포유류의 고막은 소리를 감지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곤충의 고실 기관은 얇은 막과 감각 뉴런으로 구성되어 진동을 감지한다. 곤충의 고실 기관은 짝짓기, 포식자 감지, 먹이 찾기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서류해부학 - 신경배돌기
신경배돌기는 척추에서 솟아 돛 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성적 선택, 먹이 저장, 위장, 소리 전시 등 다양한 기능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돛을 가진 생물로는 에다포사우루스, 스페나코돈, 아크로칸토사우루스, 스피노사우루스 등이 있다. - 양서류해부학 - 측두선
- 청각계 - 골전도
골전도는 두개골 뼈를 통해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여 청력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청력 손실 환자에게 도움을 주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골전도 헤드폰 등 관련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 청각계 - 고막
고막은 외이도에서 들어온 음파에 반응하여 이소골을 거쳐 속귀로 소리를 전달하는 얇은 막으로, 긴장부와 이완부로 나뉘며 파열이나 중이염 등의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고실막 | |
---|---|
개요 | |
명칭 | 고막 |
라틴어 | Membrana tympani |
영어 | Tympanic membrane, eardrum |
회색 목록 | A15.3.02.085 |
고실의 벽 | 외벽 |
상세 정보 | |
위치 | 중이 |
기능 | 소리 진동을 이소골로 전달 |
신경 분포 | 미주신경 (CN X) 삼차신경 (CN V) |
임상 정보 | |
질병 | 고막 천공 중이염 |
식별 | |
![]() |
2. 양서류의 고실 기관
개구리와 두꺼비에서 고실막은 비샘성 피부로 구성된 크고 외부의 타원형 막이다.[2] 눈 바로 뒤에 위치해 있으며, 음파를 처리하지 않고 양서류 귀의 내부로 전달하며, 물과 기타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한다.[3]
개구리의 고막은 인간의 고막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고막은 스네어 드럼처럼 연골 고리에 걸쳐 팽팽하게 당겨져 진동하는 막이다. 중이강을 가로지르는 이소골 중 고실막과 연결된 추골(columella)이 있고, 이를 타원형 막과 연결하는 또 다른 추골인 덮개뼈(operculum)가 있다. 이는 중이를 내이와 분리하며, 이의 움직임은 내이의 액체 내 진동으로 반영된다. 이러한 진동은 미세한 털을 움직이게 하여 개구리의 뇌로 신호를 보낸다. 개구리의 폐도 소리 수신에 관여하지만, 개구리 고막보다 덜 민감하다.[3]
2. 1. 무미목 (Anura)
개구리와 두꺼비에서 고실막은 비샘성 피부로 구성된 크고 외부의 타원형 막이다.[2] 눈 바로 뒤에 위치해 있으며, 음파를 처리하지 않고 양서류 귀의 내부로 전달하며, 물과 기타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한다.[3]개구리의 고막은 인간의 고막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고막은 스네어 드럼처럼 연골 고리에 걸쳐 팽팽하게 당겨져 진동하는 막이다. 중이강을 가로지르는 이소골 중 고실막과 연결된 추골(columella)이 있고, 이를 타원형 막과 연결하는 또 다른 추골인 덮개뼈(operculum)가 있다. 이는 중이를 내이와 분리하며, 이의 움직임은 내이의 액체 내 진동으로 반영된다. 이러한 진동은 미세한 털을 움직이게 하여 개구리의 뇌로 신호를 보낸다. 개구리의 폐도 소리 수신에 관여하지만, 개구리 고막보다 덜 민감하다.[3]
3. 사지동물의 고실 기관
고막은 소리를 감지하는 포유류의 중요한 기관이다.
3. 1. 포유류의 고실 기관 (고막)
포유류의 고막은 소리를 감지하는 중요한 기관이다.4. 곤충의 고실 기관
곤충은 진동을 감지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고실 기관이다. 고실 기관은 얇은 막(고막)과 그에 부착된 감각 뉴런으로 구성되어, 공기 중의 진동을 감지한다. 고실 기관은 곤충의 다리, 배, 가슴, 또는 날개 등 다양한 부위에 위치하며, 종에 따라 그 구조와 기능이 다양하다.
곤충의 고실 기관은 짝짓기 상대를 찾거나, 포식자를 감지하거나, 먹이를 찾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메뚜기는 다리에 있는 고실 기관을 이용하여 다른 메뚜기의 소리를 듣고 짝을 찾는다. 나방의 일부 종은 가슴에 있는 고실 기관을 이용하여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하고 회피 행동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http://online-field-[...]
The Online Field Guide
2012-03-08
[2]
웹사이트
What is the function of the tympanum on a frog?
http://www.ask.com/p[...]
2017-03-04
[3]
서적
A Natural History of Amphibi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