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막은 사람의 청각 기관인 가운데귀에 위치하며, 소리 진동을 전달하는 얇은 막이다. 고막은 외이도에 면해 있으며, 직경 약 10mm, 두께 60-100μm의 원뿔형 막으로, 고막 이완부와 고막 긴장부로 나뉜다. 고막은 소리 전달, 기압 변화 감지, 그리고 다양한 질환과 관련되어 있으며, 파열, 천공, 중이염 등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바자우족과 같은 특정 문화 집단에서는 고막 파열이 관찰되며, 다른 동물에서도 고막이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 - 귓바퀴
귓바퀴는 머리 양쪽에 위치하며 연골과 피부로 구성되어 소리를 모으는 집음기 역할을 하지만, 움직이는 근육이 퇴화하여 의도적으로 움직일 수 없고, 태아의 임신 6주경에 발달이 시작되며 다양한 질환과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 귀 - 달팽이관
달팽이관관은 달팽이관의 일부로서 혈관선과 코르티 기관을 포함하여 청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정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되고, 임상적으로 약물 투여 경로로 활용되거나 선천적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 - 이비인후과 - 구강암
구강암은 구강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흡연, 음주,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등이 주요 원인이며,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이비인후과 - 벨 마비
벨 마비는 얼굴 신경의 기능 장애로 얼굴 한쪽이 처지는 질환으로, 바이러스 감염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스테로이드 투여, 눈 보호, 물리치료 등으로 회복을 도울 수 있고 뇌졸중 등 유사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 청각계 - 골전도
골전도는 두개골 뼈를 통해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여 청력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청력 손실 환자에게 도움을 주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골전도 헤드폰 등 관련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 청각계 - 청각학
청각학은 청력, 이명, 평형 문제와 같은 청각 및 전정 계통 장애를 진단, 관리, 치료하며, 보청기 및 인공 와우와 같은 청각 임플란트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학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전하여 국제적인 학술 및 실무 정보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막 |
---|
2. 구조
사람의 청각 기관은 귓바퀴와 외이도로 이루어진 바깥귀, 고막과 이소골 연쇄, 고실 등으로 이루어진 가운데귀, 달팽이관과 반고리관으로 이루어진 속귀로 구성되어 있다.[24] 고막은 외이도에 면해 있으며, 직경은 10mm 정도, 두께는 60um~100um 정도의 중앙부가 움푹 들어간 원뿔형 막이다.[24]
고막은 크게 고막 이완부와 고막 긴장부로 나뉜다.[25]
2. 1. 위치 및 관계
고막은 전후면, 중간면, 상하면에서 비스듬히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고막의 위쪽 뒤쪽 끝은 아래쪽 앞쪽 끝보다 바깥쪽에 위치한다.해부학적으로 고막은 위쪽으로는 중간 두개 오목과, 뒤쪽으로는 귓속뼈와 안면 신경과, 아래쪽으로는 귀밑샘과, 앞쪽으로는 관자 아래턱 관절과 관련이 있다. 사람의 청각 기관은 귓바퀴와 외이도로 이루어진 바깥귀, 고막과 이소골 연쇄, 고실 등으로 이루어진 가운데귀, 달팽이관과 반고리관으로 이루어진 속귀로 구성되어 있다[24]. 고막은 외이도에 면해 있으며, 직경은 10mm 정도, 두께는 60μm~100μm 정도의 중앙부가 움푹 들어간 원뿔형 막이다[24].
고막은 고막 이완부(pars flaccida)와 고막 긴장부(pars tensa)로 크게 나뉜다[25]. 고막 긴장부는 바깥귀 쪽에서부터 피부층, 섬유층, 점막층의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26]. 고막 긴장부의 주변부는 두꺼워져서 섬유연골륜을 형성하며, 고막륜 또는 게르라흐 인대라고 불린다[27].
2. 2. 구성
사람의 청각 기관은 귓바퀴와 외이도로 이루어진 바깥귀, 고막과 이소골 연쇄, 고실 등으로 이루어진 가운데귀, 달팽이관과 반고리관으로 이루어진 속귀로 구성되어 있다.[24] 고막은 외이도에 면해 있으며, 직경은 10mm 정도, 두께는 60~100μm 정도의 중앙부가 움푹 들어간 원뿔형 막이다.[24]고막은 크게 고막 이완부(pars flaccida)와 고막 긴장부(pars tensa)로 나뉜다.[25]
2. 2. 1. 이완부 (Pars flaccida)
고막은 크게 이완부와 긴장부 두 부분으로 나뉜다.[3] 비교적 연약한 이완부는 망치뼈의 가쪽 돌기 위, 리비누스 절흔과 앞뒤 망치 주름 사이에 위치한다. 두 층으로 구성되어 약간 분홍빛을 띠며, 이관 기능 장애 및 진주종과 관련이 있다.[4]2. 2. 2. 긴장부 (Pars tensa)
고막은 크게 이완부와 긴장부로 나뉜다.[3] 긴장부는 피부, 섬유 조직, 점막의 세 층으로 구성된다.[5] 긴장부의 두꺼운 가장자리는 섬유연골환을 형성하며, 이를 고리 또는 게르라흐 인대라고 한다.[5] 중앙의 배꼽은 망치뼈 끝 부분에서 안쪽으로 텐트를 친다. 방사형, 원형 및 포물선 섬유를 포함하는 중간 섬유층은 망치뼈의 자루를 둘러싼다. 긴장부는 비교적 튼튼하지만, 천공과 더 흔하게 관련된다.[6]고막 긴장부는 바깥귀 쪽에서부터 피부층, 섬유층, 점막층의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26] 고막 긴장부의 주변부는 두꺼워져서 섬유연골륜을 형성하며, 고막륜 또는 게르라흐 인대라고 불린다.[27]
2. 3. 배꼽 (Umbo)
망치뼈의 자루(manubrium)는 고막의 안쪽 면에 중심부까지 단단히 부착되어 있어, 고막을 고실 쪽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고막의 바깥쪽 면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다. 이 오목한 부분 중 가장 움푹 들어간 부분을 배꼽(umbo, umbo|움보la)이라고 한다.[7]2. 4. 신경 분포
고막 바깥 표면의 감각은 주로 이개측두신경이 담당하며, 이는 하악 신경의 가지이자 삼차 신경(뇌신경 V3)의 일부이다. 미주 신경의 귀 분지(뇌신경 X), 안면 신경(뇌신경 VII), 설인두 신경(뇌신경 IX)도 일부 관여한다. 고막 안쪽 표면은 설인두 신경이 지배한다.[8]3. 기능
고막은 소리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음파는 귓바퀴에서 모여 외이도를 통해 고막에 도달한다. 고막은 음파에 의해 진동하고, 이 진동은 귓속뼈를 통해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 달팽이관은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뇌로 보내고, 뇌는 이 신호를 소리로 인식한다.
3. 1. 고막 변위
항공기 이착륙 시나 터널 내부 등 외부 기압이 급격하게 변화하면 고막 안팎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여 고막이 변위되어 귀 먹먹함과 같은 이물감을 느낄 수 있다.[28]4. 임상적 중요성
만성 중이염은 넓게는 중이의 만성 염증 질환 전체를, 좁게는 중이강의 만성 염증이 지속되어 고막 긴장부에 천공이 생긴 질환을 가리킨다. 후자는 '만성 천공성 중이염'이라고도 부른다.[29]
고막이 얇아져 이소골이나 고실 내측벽과 접착되는 현상을 아테렉타시스라고 하며, 넓게는 고막 긴장부가 고실 내측벽이나 이소골에 유착되는 유착성 중이염도 포함한다.[29]
4. 1. 검사
의학 검사 시 고막에 조명이 비춰지면, 광원뿔이 추골의 끝에서 전하방 사분면의 주변부로 방사되며, 임상적으로는 5시 방향이라고 알려져 있다.4. 2. 파열 (천공)
의도하지 않은 고막 천공(파열)은 폭발 부상[9]과 항공 여행 시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도 감염으로 코막힘을 경험하거나 이관 기능 부전으로 인해 중이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환자에게서 나타난다.[10] 또한 수영, 잠수 (스쿠버 다이빙 포함),[11] 및 무술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12]고막 파열 환자는 출혈, 이명, 청력 손실 또는 평형 감각 이상(현기증)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파열의 80~95%가 2~4주 이내에 완전히 회복되므로 의료적 개입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13][14][15] 부상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예후는 악화된다.[15]
4. 3. 중이염 치료를 위한 외과적 천공
어떤 경우에는 감염된 중이의 압력이 너무 커져서 고막이 자연적으로 파열될 수 있다. 보통, 이것은 작은 구멍(천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해 체액이 중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자연적으로 일어나지 않을 경우, 고막 절개술(고실 절개술, 고실 조루술)을 시행할 수 있다. 고막 절개술은 과도한 체액 축적으로 인한 압력을 완화하거나, 고름을 중이에서 배출하기 위해 고막에 작은 절개를 가하는 수술이다. 체액 또는 고름은 소아에게 흔한 문제인 중이염에서 발생한다. 고실 조루관은 중이를 오랫동안 통기시키고 체액이 재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고막에 삽입된다. 튜브를 삽입하지 않으면, 절개 부위는 보통 2~3주 안에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튜브의 종류에 따라, 6~12개월 안에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간단한 시술을 통해 제거된다.고막 절개술이 필요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배액이나 환기를 수행할 수 없는 폐쇄되거나 기능 장애가 있는 유스타키오관을 가지고 있다. 항생제가 발명되기 전에는 튜브 삽입이 없는 고막 절개술이 심각한 급성 중이염의 주요 치료법으로도 사용되었다.
4. 4. 만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은 넓은 의미로 중이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질환 전체를 가리키며, 고막에 구멍(천공)이 없는 경우도 포함한다. 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중이강에 만성 염증이 지속되어 고막 긴장부에 천공이 생긴 질환을 말하며, '만성 천공성 중이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9]고막이 얇아져 이소골이나 고실 내측벽과 고막이 붙는 상태를 아테렉타시스라고 하며, 넓은 의미로는 고막 긴장부가 고실 내측벽이나 이소골에 유착되는 유착성 중이염도 포함한다.[29]
4. 5. 아테렉타시스 (고막 유착)
만성 중이염으로 인해 고막이 얇아져 이소골이나 고실 내측벽과 고막이 접착되는 병태를 아테렉타시스라고 하며, 넓은 의미로는 고막 긴장부가 고실 내측벽이나 이소골에 유착되는 유착성 중이염도 포함한다.[29]5. 사회와 문화
바자우족은 태평양에서 다이빙과 해상 사냥을 쉽게 하기 위해 어린 나이에 고의로 고막을 파열시킨다. 그래서 나이든 바자우족은 청력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17]
6. 다른 동물
고막은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에서 발견된다.[19] 양서류는 외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고막은 체표에 직접 노출된다.[20] 현생 양막류의 고막은 외이와 중이를 가르는 얇은 막 구조로 존재하지만,[18] 포유류와 현생 파충류·조류의 진화적 기원은 다르며, 양쪽 그룹에서 고막은 독립적으로 획득된 것으로 생각된다.[21][22]
또한, 곤충의 일부도 "고막"을 가지고 있다. 이 고막은 체표의 큐티클이 얇아진 부분이며, 고막 기관의 일부를 구성한다.[23]
참조
[1]
논문
Autoincudotomy as an uncommon etiology of conductive hearing loss: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2023-04-01
[2]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012
[3]
논문
"''Pars tensa'' and tympanicomalleal joint: proposal for a new anatomic classification"
2019-08
[4]
논문
Role of Eustachian Dysfunction and Primary Sclerotic Mastoid Pneumatisation Pattern in Aetiology of Squamous Chronic Otitis Media: A Correlative Study
[5]
서적
Comprehensive and Clinical Anatomy of the Middle Ea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6]
논문
Endoscopic Anatomy of the Middle Ear
2011-02
[7]
문서
Gray's Anatomy
1918
[8]
문서
Gray's Anatomy For Students
Churchill Livingstone
2015
[9]
논문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and hearing loss from blast overpressure in Operation Enduring Freedom and Operation Iraqi Freedom wounded
2008-02
[10]
논문
Otic barotrauma from air travel
2005-05
[11]
논문
Tympanometric evaluation of middle ear barotrauma during recreational scuba diving
1993-10
[12]
논문
Traumatic tympanic membrane rupture in a mixed martial arts competition
2008-02
[13]
논문
Spontaneous healing of traumat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in man: a century of experience
1992-12
[14]
논문
Acute traumat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s. Cover or observe?
1987-12
[15]
논문
Blast injury of the ear: an overview and guide to management
1995-07
[16]
논문
To tube or not to tube: indications for myringotomy with tube placement
[17]
뉴스
The last of the sea nomads
https://www.theguard[...]
2016-02-15
[18]
논문
ヒトの聴覚器官における振動伝達
https://doi.org/10.3[...]
日本比較生理生化学会
[19]
논문
音を聴く聴覚の仕組み(<小特集>誌上ビギナーズセミナー)
https://doi.org/10.2[...]
日本音響学会
[20]
논문
カエルの鼓膜とその周辺
https://doi.org/10.1[...]
日本耳科学会
[21]
논문
耳小骨の系統発生
https://doi.org/10.1[...]
耳鼻咽喉科展望会
[22]
웹사이트
哺乳類と爬虫類-鳥類は、独自に鼓膜を獲得
http://www.riken.jp/[...]
理化学研究所
2015-11-11
[23]
논문
昆虫の聴覚器官 : その進化
https://doi.org/10.3[...]
日本比較生理生化学会
[24]
논문
ヒトの聴覚器官における振動伝達
https://doi.org/10.3[...]
日本比較生理生化学会
2007
[25]
논문
Pars tensa and tympanicomalleal joint: proposal for a new anatomic classification
https://pubmed.ncbi.[...]
2019-08
[26]
서적
聴覚障害学
医学書院
2010
[27]
서적
Comprehensive and Clinical Anatomy of the Middle Ea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7-04
[28]
논문
外耳道圧負荷に対する鼓膜変位と聴力変動
https://doi.org/10.1[...]
日本比較生理生化学会
2000
[29]
논문
中耳の慢性炎症性疾患の概念と用語について
https://www.otology.[...]
2022
[30]
웹인용
고막천공
http://anam.kumc.or.[...]
2014-07-09
[31]
웹인용
고막 천공
http://www.kormedi.c[...]
2014-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