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양이를 부탁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를 부탁해》는 2001년에 개봉한 정재은 감독의 영화이다. 인천의 한 여자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다섯 친구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서울로 간 친구가 겪는 어려움, 가난 속에서 고양이를 통해 위안을 얻는 친구, 그리고 갑작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소년원에 수감되는 친구의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는 친구들 간의 우정과 사회 경제적 격차, 그리고 고양이 티티를 통해 드러나는 상징성을 보여준다.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재은 감독 영화 - 여섯 개의 시선
    《여섯 개의 시선》은 여섯 명의 감독이 사회적 약자, 소수자, 인권 문제를 다룬 단편 영화들을 묶어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이다.
  • 정재은 감독 영화 - 태풍태양
    태풍태양은 인라인 스케이트를 통해 삶의 전환점을 맞이하는 고등학생과 주변 인물들의 청춘 방황과 고민을 감각적인 영상으로 담아낸 2005년 대한민국의 청춘 영화이다.
  • 인천광역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2020년에 개봉한 액션 느와르 영화로, 암살자 인남이 딸을 구하기 위해 태국으로 향하고, 형의 복수를 위해 그를 쫓는 야쿠자 레이와 대립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인천광역시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파이란
    2001년 개봉한 송해성 감독의 영화 파이란은 삼류 건달 강재와 위장결혼한 중국인 여성 파이란의 비극적인 만남과 엇갈린 삶을 그린 작품으로, 고독과 슬픔, 희망을 담아내어 개봉 당시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 대한민국의 성장 영화 - 발레교습소 (영화)
    2004년 개봉한 영화 《발레교습소》는 윤계상, 김민정, 도지원 등이 출연하여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고등학생 강민재가 발레를 통해 꿈을 찾아가는 성장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대한민국의 성장 영화 - 똥개 (영화)
    영화 《똥개》는 어린 시절의 상처와 폭력적인 환경 속에서 성장한 주인공 차철민이 고아 소녀 정애를 만나면서 사랑과 연대를 통해 변화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고양이를 부탁해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릴리스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고양이를 부탁해
로마자 표기Goyangireul Butakhae
감독정재은
제작오기민
각본정재은
촬영최영환
편집이현미
음악모임 별

박기현
김준석
김상현
출연배두나
이요원
옥지영
이은실
이은주
배급사시네마 서비스
개봉일2001년 10월 12일
상영 시간112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흥행 수익USD 9,866
관련 정보
관련 링크인터뷰 (재은 정): 세상을 가로지르는 길, 집을 떠나는 아이들
학술 정보Kim, Yaeri (2015-07-03). Desiring displacement: globalization, nationalism and gendered desires in Take Care of My Cat. Journal of Japanese and Korean Cinema. 7 (2): 149–166.

2. 줄거리

인천의 한 여자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다섯 친구 태희(배두나), 혜주(이요원), 지영(옥지영), 그리고 중국계 화교 후손인 쌍둥이 자매 비류(이은실)와 온조(이은주)는 각기 다른 현실과 마주한다.[21]

서울로 이사 간 혜주는 증권 회사에 취직하여 화려한 커리어우먼을 꿈꾸지만, 현실은 팩스 보내기나 커피 타기 같은 허드렛일을 하는 말단 사원일 뿐이다. 직장 내에서 자신의 가치를 높이려 애쓰며 상사의 환심을 사거나 외모를 가꾸는 데 몰두한다. 반면, 지영은 낡고 허름한 집에서 나이 든 조부모를 모시고 살아가며 가난과 씨름한다.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저임금 아르바이트를 전전하고, 곧 무너질 듯한 집 지붕을 수리해달라고 집주인에게 요구하는 등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다. 그녀는 길 잃은 아기 고양이 '티티'에게서 작은 위안을 얻는다.

태희는 비교적 안정적인 중산층 가정에서 자랐지만, 권위적인 아버지 밑에서 소외감을 느끼며 가족에게 겉돈다. 집안이 운영하는 사우나에서 무보수로 일하며, 뇌성마비를 앓는 시인의 글을 타이핑하는 자원봉사를 한다. 그녀는 고등학교 졸업 후 점차 소원해진 친구들의 관계를 회복시키려 애쓴다. 쌍둥이 자매 비류와 온조는 인천의 중국인 거주 지역에서 부모와 떨어져 독립적으로 살아가며, 거리에서 직접 만든 장신구를 팔아 생활한다.

한때 가장 친했던 혜주와 지영은 졸업 후 달라진 서로의 사회경제적 환경 때문에 점점 멀어진다. 태희의 노력으로 다섯 친구가 오랜만에 모여 밤샘 수다를 떨지만, 다음 날 아침 일찍 집으로 돌아간 지영은 집 지붕이 무너져 조부모님이 돌아가신 참혹한 현실과 마주한다. 경찰 수사에 비협조적이었고 가족의 도움도 받지 못한 지영은 결국 소년원에 수감된다.

지영과 더욱 가까워진 태희는 소년원으로 면회를 가 지영을 위로한다. 지영은 태희에게 풀려나도 돌아갈 곳이 없다고 털어놓는다. 지영이 소년원에서 풀려나는 날, 태희는 여행 가방을 들고 그녀를 기다린다. 태희는 지난 1년간 가족의 사우나에서 무보수로 일한 대가를 챙겨 집을 나왔다고 밝히며, 예전에 함께 이야기했던 것처럼 여행을 떠나자고 제안한다. 아마도 워킹 홀리데이를 갈 수도 있을 것이다.[4] 영화는 태희와 지영이 인천국제공항에서 미지의 목적지로 떠나기 직전의 모습으로 막을 내린다.

3. 등장인물

영화는 바닷가 부두 주차장으로 보이는 곳에서 군가를 부르거나 사진을 찍으며 즐겁게 노는 다섯 명의 여자 고등학생들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몇 달 후, 인천광역시의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이들은 각자 다른 현실에 놓인다. 집안의 사우나 일을 도우며 지체 장애인을 위한 구술 필기 봉사를 하는 태희(배두나), 외국에서 텍스타일 공부를 꿈꾸지만 부모 없이 무직 상태로 방에서 그림만 그리는 지영(옥지영), 연줄로 증권 회사에 취직했지만 차 심부름과 복사 등 잡무만 하며 동료들에게 무시당하는 혜주(이요원), 그리고 아르바이트인지 노점상인지 모를 일로 생활비를 버는 쌍둥이 자매 비류(이은실)와 온조(이은주)가 그들이다.[22][23][24][25][26]

스무 살이 된 후에도 이들은 휴대 전화를 이용해 연락을 주고받고, 클럽에 가거나 차를 마시는 등 어울려 지내지만, 각자 처한 환경과 심리 변화로 인해 고등학교 시절의 끈끈했던 우정은 점차 균열을 보이기 시작한다. 일, 가족, 연애, 우정 등 모든 것이 서서히 변해가면서 무미건조한 일상이 이어진다. 그러던 어느 날, 다섯 명이 함께 밤새 술을 마신 다음 날 아침, 먼저 집으로 돌아간 지영에게 예상치 못한 비극이 닥치면서 이들의 불안정한 관계는 조용한 종말을 향해 나아간다.

3. 1. 주연

3. 2. 조연

3. 3. 단역

4. 상징

고양이 '티티'는 친구들 사이의 관계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물이다. 처음 길 잃은 새끼 고양이 티티를 발견하고 집으로 데려온 것은 지영이다. 지영은 티티를 해주에게 생일 선물로 주지만, 해주는 말썽꾸러기 고양이를 키울 시간이 없다며 하룻밤 만에 돌려보낸다. 이는 점차 멀어지는 그들의 우정을 반영하는 듯 보인다. 이후 집을 잃은 지영은 태희에게 티티를 맡기고, 태희는 다시 쌍둥이 자매 비류와 온조에게 티티를 넘긴다. 고양이가 여러 친구의 손을 거치는 과정은 불안정하고 변화하는 그들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영화의 제목 '고양이를 부탁해' 역시 길에서 주운 한 마리의 고양이가 그녀들의 우정 관계에 개입하고, 그 보살핌을 서로에게 부탁하는 모습을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휴대 전화 역시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친구들은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서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영화 전반에 걸쳐 문자 메시지와 벨소리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는 각자의 현실 속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유일한 끈처럼 기능한다.[5] 특히, 화면 곳곳에 휴대폰 문자 메시지가 직접 나타나는 연출 기법은 등장인물 간의 소통 방식과 관계를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주인공 태희가 자원봉사로 참여하는 구술 필기 타이핑 내용 역시 같은 방식으로 화면에 문자로 표현되는데, 이는 문자(text) 자체가 영화 속 인물들의 중요한 소통 매개체임을 보여준다.

5. 영화 제작

여성 감독 정재은이 직접 쓴 오리지널 각본으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제목 '고양이를 부탁해'는 길에서 주운 고양이 한 마리가 주인공들의 우정 관계에 들어와, 서로 돌봐주는 모습을 상징한다.

당시 한국 영화계는 남성 배우 중심의 영웅 서사가 주류였으나, 이 작품은 인천광역시의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젊은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에서 차별화되었다. 특히 일본 이상으로 학력 사회라는 비판을 받는 한국 사회에서,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여성들이 겪는 현실과 섬세한 심리 변화를 유려한 영상으로 담아냈다.

영화 속 인물들은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러한 문자들이 화면 곳곳에 직접 나타나는 독특한 연출 기법을 사용했다. 주인공 태희가 자원봉사로 참여하는 구술 필기 내용의 문자 역시 같은 방식으로 표현된다.

개봉 초기에는 다른 대작 영화들에 밀려 흥행에 어려움을 겪고 조기 종영되었으나, 영화 평론가들의 높은 평가가 이어지면서 재상영 기회를 얻었다. 결국 2001년 한국 여성들이 뽑은 최고의 한국 영화 1위에 선정되었고, 이후 해외 영화제에서도 다수의 상을 받았다.

정재은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으며, 제작사 마술피리가 제작했다.

5. 1. 에피소드

정재은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으며, 오기만이 제작, 최영환이 촬영, M&F가 음악, 박종환이 조명을 담당했다. 제작은 마술피리에서 진행했다.

극중 태희의 어머니 역을 맡은 배우 김화영은 태희 역의 배우 배두나의 실제 어머니이다.[14]

일본의 영화 평론가 하스미 시게히코는 이 영화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렸다.

6. 평가

비록 상업적인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영화계 종사자들과 팬들의 열렬한 지지를 얻었다. 특히 인천 시민들을 중심으로 영화 상영 연장을 요구하는 "고양이를 구하라"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고, 2001년에는 극장 재상영을 위한 캠페인도 시작되었다.[7][8]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빈 토마스(Kevin Thomas)는 이 영화가 "설교조 없이 여성들의 관심사를 섬세하게 묘사했다"고 호평했다.

이 영화는 여성 감독이 직접 쓴 오리지널 각본으로 제작되었다. 제목 '고양이를 부탁해'는 길에서 주운 고양이 한 마리가 주인공들의 우정 관계에 들어오면서, 그 고양이를 돌보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관계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당시 한국 영화계는 남성 배우 중심의 영웅 서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 작품은 젊은 여성 감독이 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에 나온 젊은 여성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감각적인 영상으로 담아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특히 일본 이상으로 학력 중심 사회로 평가받는 한국 사회에서,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여성들이 학생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겪는 미묘한 심리 변화를 세심하게 포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영화 속 인물들은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러한 문자 내용이 화면 곳곳에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독특한 연출 기법을 사용했다. 주인공 태희가 자원봉사로 참여하는 구술 필기 타이핑 내용 역시 같은 방식으로 화면에 나타난다.

개봉 초기에는 다른 대작 영화들에 밀려 관객 동원에 어려움을 겪고 조기 종영되었으나, 이후 평론가들의 호평이 이어지면서 재상영 기회를 얻었다. 결국 2001년 한국 여성들이 뽑은 최고의 한국 영화 1위에 선정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예술적 가치를 지키면서도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해 주목받지 못하는 영화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영화 제작자들이 'WaRaNaGo'라는 이름의 영화제를 조직하기도 했다. 이 행사의 이름은 2001년에 개봉하여 흥행에 실패했던 네 편의 영화, 즉 와이키키 브라더스, 《라이방》, 나비, 그리고 《고양이를 부탁해》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9]

국제적으로도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주요 수상 및 초청 내역은 다음과 같다.

영화제상 이름비고
부산국제영화제NETPAC상 (넷팩상)수상
부산국제영화제뉴 커런츠상특별 언급
홍콩 국제 영화제FIPRESCI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수상
Cinema Jove Valencia 국제 영화제최우수 작품상 (발렌시아 황금 달)수상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KNF상특별 언급



이 외에도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영 포럼(Young Forum) 부문에 초청되었으며, 일본, 홍콩, 영국, 미국 등에서도 극장 개봉되었다.[10] 2020년에는 영국 《가디언》(The Guardian) 지가 선정한 한국 영화 고전 중 19위에 이름을 올렸다.[11]

7. 수상 내역

개봉 당시에는 주류 상업 영화에 밀려 흥행에 어려움을 겪고 조기 종영되기도 했으나, 평론가들의 호평과 관객들의 지지에 힘입어 재상영되었다.[28] 특히 2001년 한국 여성들이 뽑은 최고의 한국 영화 1위에 선정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국내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아시아영화진흥기구(NETPAC)상을 수상하고 뉴커런츠 부문에서 특별 언급되는 등[12] 주목을 받았으며,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대한민국 영화대상 등 주요 시상식에서 신인감독상(정재은), 신인여우상(이요원), 여자최우수연기상(배두나) 등을 수상했다. 춘사영화상과 디렉터스 컷 시상식에서도 여러 부문에 걸쳐 수상하며 작품의 완성도와 배우들의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해외에서도 홍콩 국제 영화제로테르담 국제 영화제에서 특별 언급되었고, 시네마 조베 발렌시아 국제 영화제에서는 최우수 작품상에 해당하는 발렌시아 황금 달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7. 1. 2001년

7. 2. 2002년

시상식부문수상자/내용
제1회 대한민국 영화대상신인감독상정재은
제38회 백상예술대상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배두나
영화 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이요원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여우주연상배두나
홍콩 국제 영화제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특별 언급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KNF상특별 언급
시네마 조베 발렌시아 국제 영화제발렌시아 황금 달 (최우수 작품상)수상


참조

[1] 웹사이트 Take Care of My Cat https://boxofficemoj[...] 2012-03-04
[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ae-eun Jeong: The Road that Crosses the World, Children Who Leave Home https://web.archive.[...] 2001-10
[3] 논문 Desiring displacement: globalization, nationalism and gendered desires in Take Care of My Cat 2015-07-03
[4] 논문 The racialised mobility of transnational working holidays 2014-09-03
[5] 뉴스 FILM IN REVIEW; 'Take Care of My Cat' https://www.nytimes.[...] 2002-10-18
[6] 웹사이트 Flashy, Rebellious and Ready for Stardom https://archive.toda[...] 2001-10-07
[7] 웹사이트 9 Lives? 'Cat' Lovers Want Just 2 https://archive.toda[...] 2001-11-11
[8] 웹사이트 Don't Let This Film Fade to Black https://archive.toda[...] 2001-11-08
[9] 웹사이트 New life for commercial orphan films https://archive.toda[...] 2002-01-04
[10] 웹사이트 Talking Architect https://web.archive.[...] 2012-09-01
[11] 웹사이트 Classics of modern South Korean cinema – ranked! https://www.theguard[...] 2020-03-16
[12] 웹사이트 Take Care of My Cat - Awards http://www.cinemasie[...] 2012-12-04
[13] 웹사이트 고양이를 부탁해 http://kmdb.or.kr/mo[...] 2011-08-04
[14] 웹사이트 子猫をお願い http://www.hf.rim.or[...] 2015-07-10
[15] 뉴스 젊은날의 방황 代案은 어디에... .. '고양이를 부탁해'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1-10-04
[16] 뉴스 인터뷰 '고양이를 부탁해' 정재은 감독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1-10-08
[17] 뉴스 "한국에서 온 매혹적 고양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04-22
[18] 뉴스 영화계 '와.라.나.고 살리기' 운동 확산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1-11-20
[19] 뉴스 연예가 '고양이를 부탁해' 재상영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1-11-22
[20] 뉴스 백상예술대상 영화 최우수여자연기상 배두나 신인 이요원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03-13
[21] 뉴스 (씨네21 리뷰) 고양이를 부탁해 http://cine21.com/ne[...] 씨네21 2001-10-09
[22] 문서 2000년 인천 소재 모 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출신
[23] 문서 유태희의 인천 소재 모 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동기 동창
[24] 문서 유태희의 인천 소재 모 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동기 동창
[25] 문서 유태희의 인천 소재 모 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동기 동창(서온조의 쌍둥이 언니로, 중국계 화교의 후손 출신.)
[26] 문서 유태희의 인천 소재 모 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동기 동창(서비류의 쌍둥이 누이동생으로, 중국계 화교의 후손 출신.)
[27] 문서 유태희의 서울 직장 시절 3년 선배였던 동료 여사원으로, 서은정도 유태희처럼 여자상업고등학교 고졸 출신인데, 단 서은정은 1997년 경기도 수원 소재 모 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출신
[28] 뉴스 제6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11-17
[29] 뉴스 ‘고양이를…’ 정재은 감독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수상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1-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