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의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의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은 흰색 털과 파란 눈을 가진 고양이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출생 시부터 청력을 상실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달팽이관 내 코르티 기관의 퇴화와 관련이 있으며, 유전적 요인, 특히 KIT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파란 눈을 가진 흰 고양이의 경우 난청 발생률이 높으며, 한쪽 눈이 파란색이고 다른 쪽 눈이 다른 색인 고양이(오드아이)의 경우 파란 눈 쪽 귀에 더 흔하게 영향을 미친다. 고양이의 청력 상실은 BAER 검사를 통해 테스트할 수 있으며, 인간의 와덴부르크 증후군과 유사한 유전적 연관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발 색상 - 적모
적모는 페오멜라닌 비율이 높아 붉은색을 띠는 머리카락으로, 북유럽, 서유럽, 영국 제도 등에서 주로 나타나며 MC1R 유전자와 관련 있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상징으로 여겨졌고 현대에는 차별에 맞서는 행사도 열린다. - 모발 색상 - 흑발
흑발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주로 나타나는 머리카락 색깔로, 짙은 색조부터 어두운 밤색까지 다양하며 유전적 요인과 관련 있고, 자연스러움과 개성 표현의 상징으로 인식된다. - 청각 장애 - 수화
수화는 손동작, 얼굴 표정 등을 활용하는 독립적인 언어이며, 각 나라마다 고유한 형태를 가지며, 농인들의 언어와 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청각 장애 - 클로즈드 캡션
클로즈드 캡션은 시청자가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는 자막 기술로, 청각 장애인과 외국어 학습자 등을 위해 대화 내용, 화자 정보, 음향 효과 등을 텍스트로 제공하며, 텔레비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미디어에서 활용된다. - 고양이학 - 검은 고양이
검은 고양이는 털 색깔이 검은색인 고양이를 통칭하며, 털 색깔, 태비 무늬, 햇빛 노출에 따른 색 변화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여러 문화권에서 행운 또는 불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거나 무정부주의 및 노동 운동의 상징, 대중문화 캐릭터로 활용된다. - 고양이학 - 얼룩 고양이
얼룩 고양이는 다양한 색상의 반점을 가진 얼룩무늬 털을 가지며, 유전적 요인과 X 염색체 비활성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암컷에게 주로 나타나고, 문화권에 따라 행운을 상징하기도 한다.
고양이의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 |
---|---|
질병 정보 | |
![]() | |
질병 명칭 | 고양이의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
원인 | 유전적 요인 (W 유전자) |
관련 품종 | 흰색 털을 가진 고양이 특히 파란 눈을 가진 흰 고양이 |
증상 | 청력 상실 또는 청력 저하 |
진단 방법 | 청력 검사 (뇌파 유발 반응 청력 검사) |
치료 방법 | 현재 치료법 없음 (보조 기기 또는 훈련 고려) |
예방 방법 | 유전자 검사를 통한 선별 교배 |
유전적 요인 | |
유전자 | W (White) 유전자 |
유전자형 | 우성 유전자 (W)가 하나 이상 존재할 경우 발현 |
표현형 | 흰색 털, 푸른 눈 (일부) |
작용 기전 | 멜라닌 세포의 이동 억제, 내이 발달 저해 |
역학 | |
발병률 | 흰색 털을 가진 고양이: 20~80% 양쪽 눈이 푸른 흰색 고양이: 더 높은 발병률 한쪽 눈만 푸른 흰색 고양이: 낮은 발병률 |
품종별 차이 | 품종에 따라 발병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병태생리학 | |
퇴행성 변화 | 와우 내 혈관줄의 퇴행 |
발달 과정 | 출생 후 몇 주 내에 퇴행성 변화 시작 |
참고 문헌 및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Bosher and Hallpike (1965) 등의 초기 연구 |
추가 정보 링크 | 코넬 대학교 수의과대학: 흰 고양이와 실명/난청 관련 정보 |
2. 발생
흰 털과 파란 눈을 가진 집고양이는 종종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지고 태어난다. 찰스 다윈은 자신의 저서 ''종의 기원''에서 이 현상을 언급했다.[3] 1997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흰 고양이의 달팽이관 내 코르티 기관은 출생 후 처음 몇 주 동안 퇴화하며, 이로 인해 청각 감각을 경험하지 못한다. 코르티 기관 퇴화 후 몇 달 뒤에는 달팽이관의 나선 신경절도 퇴화한다.[7]
2. 1. 발생률
흰 털과 파란 눈을 가진 집고양이는 종종 완전히 귀가 먹는 경우가 있다.[2] 찰스 다윈은 자신의 저서 ''종의 기원''에서 이 현상을 연관 변이의 예로 설명했다.[3] 귀머거리는 노란색, 녹색, 파란색 홍채를 가진 흰 고양이에게서 나타날 수 있지만, 파란색 홍채를 가진 경우에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4] 오드아이 고양이처럼 한쪽 눈은 파란색이고 다른 쪽 눈은 다른 색인 흰 고양이의 경우, 귀머거리는 파란색 눈 쪽 귀에 더 자주 나타난다.[1] 흰 고양이의 약 50%는 한쪽 또는 두 눈이 파란색이다.[5]ASPCA Complete Guide to Cats에 따르면, 파란색이 아닌 눈을 가진 흰 고양이의 17~20%가 귀가 먹고, 파란색 눈이 하나 있는 '오드아이' 흰 고양이의 40%가 귀가 먹으며, 파란 눈을 가진 흰 고양이의 65~85%가 귀가 먹는다고 한다.[6]
1997년의 한 연구에서는 흰 고양이의 72%가 완전히 귀가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달팽이관 내의 전체 코르티 기관은 출생 후 처음 몇 주 동안 퇴화하지만, 이 기간 동안에도 청각 자극에 의한 뇌간 반응은 유발되지 않아, 이 고양이들이 어떤 청각 감각도 경험한 적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코르티 기관이 퇴화한 지 몇 달 후에는 달팽이관의 나선 신경절도 퇴화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
고양이의 청력 상실은 BAER 검사(뇌간 유발 반응 청력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8]
2. 2. 진단
흰 털과 파란 눈을 가진 집고양이는 종종 완전히 귀가 먹는다.[2] 찰스 다윈은 자신의 저서 ''종의 기원''에서 이 현상을 연관 변이를 설명하기 위해 언급했다.[3] 귀머거리는 노란색, 녹색 또는 파란색 홍채를 가진 흰 고양이에게서 발생할 수 있지만, 파란색 홍채를 가진 흰 고양이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4] 한쪽 눈은 파란색이고 다른 쪽 눈은 다른 색인 흰 고양이(오드아이 고양이)의 경우, 귀머거리는 파란색 눈 쪽 귀에 더 흔하게 영향을 미친다.[1] 흰 고양이의 약 50%는 한쪽 또는 두 눈이 파란색이다.[5]ASPCA Complete Guide to Cats에 따르면, "파란색이 아닌 눈을 가진 흰 고양이의 17~20%가 귀가 먹고, 파란색 눈이 하나 있는 '오드아이' 흰 고양이의 40%가 귀가 먹으며, 파란 눈을 가진 흰 고양이의 65~85%가 귀가 먹는다."[6]
1997년의 한 연구에서 흰 고양이의 72%가 완전히 귀가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달팽이관 내의 전체 코르티 기관이 출생 후 처음 몇 주 동안 퇴화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 기간 동안에도 청각 자극에 의해 뇌간 반응이 유발되지 않아, 이 동물들이 어떤 청각 감각도 경험한 적이 없음을 시사했다. 코르티 기관이 퇴화한 지 몇 달 후, 달팽이관의 나선 신경절도 퇴화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
BAER 검사(뇌간 유발 반응 청력 검사)는 고양이의 청력 상실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8]
3. 유전학
고양이의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은 사람의 와덴부르크 증후군과 관련된 유전자와 연관되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신경능선 세포 발달의 유전적 문제로 발생하는 난청 및 색소 침착 감소 증후군은 고양이에게도 비슷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9] 와덴부르크 증후군 2A형은 ''MITF''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개, 밍크, 쥐 등 다른 포유류에서도 발견된다. 이들은 부분적인 백색 색소 침착 감소와 함께 달팽이관 및 구형낭의 퇴화를 보인다.[10][11]
고양이가 흰색 털을 갖게 하는 주요 유전자는 ''KIT''의 대립 유전자인 우성 마스킹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색소 침착과 청력을 억제한다. 우성 흰색 유전자가 있으면 기저 털 색상과 패턴이 발현되지 않아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 동형 접합체(WW) 또는 이형 접합체(Ww)인 고양이는 흰색 털을 가지며, 이 유전자가 없는 고양이(ww)는 털 색상/패턴을 나타낸다.[12] ''KIT'' 유전자 변이는 사람에게도 부분적인 색소 침착 감소와 서로 다른 색깔의 홍채를 유발하며, ''MITF'' 발현을 증가시킨다.[13][14]
3. 1. 흰색 털 유전자
고양이의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과 관련된 연구는 인간의 와덴부르크 증후군과 관련된 유전자와 연관되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신경능선 세포 발달의 유전적 교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청 및 색소 침착 감소 증후군은 고양이에게도 이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9] 와덴부르크 증후군 2A형(''MITF''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은 개, 밍크, 쥐를 포함한 다른 많은 작은 포유류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부분적인 백색 색소 침착 감소와 흰색 고양이의 난청과 마찬가지로 달팽이관 및 구형낭의 퇴화를 나타낸다.[10][11]고양이가 흰색 털을 갖게 하는 주요 유전자는 우성 마스킹 유전자, 즉 색소 침착과 청력을 억제하는 ''KIT''의 대립 유전자이다. 고양이는 기저 털 색상과 패턴을 가지고 있지만, 우성 흰색 유전자가 존재하면 해당 패턴이 발현되지 않아 고양이는 난청을 겪게 된다. 이 유전자에 대해 동형 접합체(WW) 또는 이형 접합체(Ww)인 고양이는 기저 패턴/색상에 관계없이 흰색 털을 갖게 된다. 이 우성 마스킹 유전자가 없는 고양이(ww)는 털 색상/패턴을 나타낸다.[12] ''KIT'' 유전자 변이는 인간에게도 부분적인 색소 침착 감소와 서로 다른 색깔의 홍채를 유발하며,[13] ''KIT''는 인간의 와덴부르크 증후군 2A형과 관련된 유전자인 ''MITF''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14]
3. 2. 난청이 없는 푸른 눈 흰 고양이
귀와 파란 눈 사이의 확립된 연관성은 난청, 파란 눈, 그리고 순백색 털 사이의 연관성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파란 눈을 가진 모든 흰 고양이가 귀가 먹었다는 것은 흔한 오해이다.[15] 극단적인 형태의 흰색 반점으로 인해 이 유전자가 없는 흰색 털을 가진 고양이를 가질 수 있지만, 이는 드물다. 보통은 작고 흰색이 아닌 반점이 남아있다.더욱이, 파란 눈을 담당하는 유전자는 여러 개가 있으며, 이 유전자들 중 일부는 흰색 털이나 난청과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오호스 아줄레스가 가진 우성 파란 눈(DBE) 유전자가 있다. 또 다른 예는 TYR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포인트 색상이 발생하는 경우인데, 이는 샴 고양이와 관련된 품종에서 보이는 부분적인 알비노증의 한 형태이다. 샴 고양이의 흰색 변종인 포린 화이트 고양이 또한 난청에 걸리기 쉽지 않다.
4. 대중문화
전사들 시리즈의 책 ''위험한 길''에 등장하는 캐릭터 스노우킷은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을 겪고 있다.[16] 스노우킷은 이 병 때문에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 어머니의 경고를 듣지 못하고 죽게 된다.[17]
참조
[1]
논문
Observations on the histological features, development and pathogenesis of the inner ear degeneration of the deaf white cat
1965-04-13
[2]
논문
Coat color and coat color pattern-related neurologic and neuro-ophthalmic diseases
2010-06
[3]
서적
On the Origins of Species
https://books.google[...]
1909
[4]
웹사이트
Ask Elizabeth: White Cats and Blindness/Deafness
http://www.vet.corne[...]
Cornell Universit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thaca, New York
2016-12-03
[5]
논문
White fur, blue eyes, and deafness in the domestic cat
1971-05
[6]
서적
ASPCA Complete Guide to Cat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Choosing and Caring for Your Pet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1999
[7]
논문
A model for prelingual deafness, the congenitally deaf white cat—population statistics and degenerative changes
1998-01
[8]
논문
Brainstem auditory evoked response (BAER) testing in animals
https://pmc.ncbi.nlm[...]
2009-03
[9]
논문
The association of Waardenburg syndrome and Hirschsprung megacolon
1979
[10]
논문
Association of MITF gene with hearing and pigmentation phenotype in Hedlund white American mink (Neovison vison)
2014-08-01
[11]
논문
The Genetics of Deafness in Domestic Animals
2015
[12]
논문
Endogenous Retrovirus Insertion in the KIT Oncogene Determines White and White spotting in Domestic Cats
2014-10-01
[13]
논문
A novel KIT mutation in a family with expanded syndrome of piebaldism
2019-07-13
[14]
논문
KIT signaling regulates MITF expression through miRNAs in normal and malignant mast cell proliferation
2011-03-31
[15]
서적
Deafness in Dogs and Cats
https://books.google[...]
CAB International
2011
[16]
서적
A Dangerous Path
Harper Children's
2015-03-17
[17]
서적
A Dangerous Path
Harper Children's
2015-03-17
[18]
논문
Observations on the histological features, development and pathogenesis of the inner ear degeneration of the deaf white cat
1965-04-13
[19]
서적
ASPCA Complete Guide to Cat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Choosing and Caring for Your Pet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1999
[20]
논문
Coat color and coat color pattern-related neurologic and neuro-ophthalmic diseases
2010-06
[21]
웹인용
Ask Elizabeth: White Cats and Blindness/Deafness
http://www.vet.corne[...]
Cornell Universit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Ithaca, New York
2016-12-03
[22]
논문
A model for prelingual deafness, the congenitally deaf white cat—population statistics and degenerative changes
199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