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원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원군은 함경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팔봉산(1,055m)을 최고봉으로 하는 산악 지형을 보인다. 1914년 영흥군 운곡면이 편입되면서 고원군이 설치되었으며, 1952년 군면리 통폐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석회암 매장량을 바탕으로 광업 및 건설 자재 제조업도 이루어진다. 평라선과 강원선이 통과하며, 고원역에서 금야선이 분기된다. 행정 구역은 1읍, 7구, 32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원군 - 량천사
    량천사는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북청군과 리원군 지역에 1946년 신설되었다가 1952년 폐지된 량천군 지역에 있었던 사찰로 추정되며, 북한 지역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재조명되어야 한다.
  • 1413년 설치 - 괴산군
    괴산군은 충청북도 중앙 만곡부에 위치한 산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현재의 모습이 갖춰졌으며,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의 산업과 유기농 농업이 발달했고, 괴산 올갱이 축제와 산막이옛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413년 설치 - 평안도
    평안도는 한국 역사 속에서 여러 왕조의 지배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행정 체제 하에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으나, 농업 생산량 부족, 외세 침입 위협, 사회경제적 불균형 심화 등으로 갈등과 변화를 겪은 관서 지방이다.
  • 함경남도의 군 - 정평군
    정평군은 함경남도에 위치하며 함흥평야로 이어지는 정평평야를 중심으로 벼농사가 활발하고 평라선 철도와 선덕비행장이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사적으로 국방의 요충지였다.
  • 함경남도의 군 - 북청군
    함경남도에 위치한 북청군은 동해와 함경산맥을 끼고 있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농업이 활발한 지역이었으나, 해방 후 북한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북청사자놀음이라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원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함경남도 고원군 위치
함경남도에서 고원군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고원군
한자 표기高原郡
로마자 표기Gowon-gun
McCune-Reischauer 표기Kowŏn kun
위치북한 함경남도
통계 정보
면적255km²
인구 (2008년)94,963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구역
종류행정 구역
구성1개 읍, 1개 노동자구, 18개 리
고원읍
노동자구1개
18개

2. 지리

함경남도 남부에 위치한다. 북쪽에서 동쪽으로 금야군, 서쪽으로 수동군, 남쪽으로는 강원도 천내군과 접한다.[1]

전북 정읍시처럼 행정구역이 바다와 인접되지 못했지만 성산면 합탄리 동쪽 덕지강을 통해 영흥만과의 거리는 10km내외로 인제군을 제치고 한반도 동해안 내륙지역에서 동해안 바다간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으로 덕지강에서 뱃길로 통해 영흥만으로 진입이 가능하다.[2]

고원군에서 가장 높은 산은 팔봉산(1,055m)이다.[2] 서쪽 지역은 산이 높고 동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져 평야가 펼쳐지는 지형이다. 주요 강으로는 전탄강, 덕지강, 사박천, 구룡천 등이 흐른다.[2] 군 면적의 54%가 산림이다.[2]

내륙성 기후이나 서쪽의 산이 푄 현상을 일으켜 함경남도에서는 가장 따뜻한 편에 속한다.[2]

3. 역사


  • 1914년 4월 1일: 일제의 군면 통폐합에 따라, 영흥군 운곡면이 '''고원군'''에 편입되고, 하발면 일부가 덕원군에 편입되었다. 고원군에는 하발면, 군내면, 상산면, 산곡면, 수동면, 운곡면 등 6개 면이 설치되었다.[1]
  • 1939년: 하발면이 고원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 1943년 10월 1일: 고원면이 고원읍으로 승격되었다.[3]
  • 1946년: 고원읍이 다시 고원면으로 강등되었다.[1]
  • 1952년 12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함경남도 고원군 고원면, 상산면, 군내면 및 수동면의 일부, 강원도 문천군 명귀면, 천내면의 각 일부 지역을 가지고 함경남도 '''고원군'''을 설치하였다. 이때 고원읍과 16개 리가 설치되었다. (1읍 16리)[1]

읍/리내용
고원읍
상평리, 중평리, 하평리, 군내리, 다천리, 송흥리, 상산리, 남흥리, 미둔리, 신창리, 황송리, 송천리, 풍남리, 원봉리, 낙천리, 금수리


변경 사항내용
문하리 발족하평리 일부 분립
전탄리 발족풍남리, 원봉리 각 일부 합병
남흥리 편입하평리 일부
강원도 천내군 용루리 편입원봉리 일부
강원도 천내군 구포리 일부 편입하평리


  • 1954년: 풍남리 일부가 전탄리에 편입되었다.[1]
  • 1972년: 상평리가 부래산로동자구로 승격되었다. (1읍 1로동자구 17리)[1]
  • 1974년 1월: 수동군을 편입하여 수동읍이 수동로동자구로 개편되었다. (1읍 7로동자구 31리)[1]
  • 1974년 5월: 풍남리, 전탄리, 원봉리, 송흥리 및 낙천리 일부가 강원도 천내군에 편입되었다. (1읍 7로동자구 27리)[1]
  • 1981년 8월: 강원도 천내군 풍남리, 전탄리, 원봉리, 송흥리를 편입하였다. (1읍 7로동자구 31리)[1]
  • 1981년 말: 산곡로동자구가 산곡리로 강등되었다. (1읍 6로동자구 32리)[1]
  • 1983년: (1읍 7로동자구 32리)[1]

변경 사항내용
덕지리 개칭금수리
덕사로동자구 발족수동로동자구, 장동로동자구 각 일부 합병


  • 1986년 8월: 관평리가 요덕군에 편입되었다. (1읍 7로동자구 31리)[1]
  • 1990년: 수동로동자구, 장동로동자구, 덕사로동자구, 운곡로동자구, 원거로동자구, 팔흥로동자구와 수산리, 성남리, 죽전리, 산곡리, 운흥리, 천을리, 룡평리, 운산리, 천성리, 장량리, 성내리, 축전리, 삼평리, 회평리가 수동구로 분리되었다.[1]
  • 1995년 12월: 부래산로동자구의 일부가 분리되어, 상평리가 설치되었다. (1읍 1로동자구 18리)[1]
  • 2023년: 수동군을 재편입하여 수동로동자구로 변경되었다.

4. 행정 구역

2010년 고원읍


현재 고원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구, 32리로 구성되어 있다.

고원읍부래산로동자구상산리
수동로동자구락천리
장동로동자구남흥리
덕사로동자구중평리
운곡로동자구문하리
팔흥로동자구하평리
원거로동자구송천리
황송리
군내리
신창리
다천리
미둔리
덕지리
상평리
풍남리
원봉리
송흥리
전탄리
수산리
천을리
룡평리
운산리
천성리
장량리
성내리
축전리
삼평리
회평리
성남리
죽전리
산곡리
운흥리


5. 경제

고원군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과수원, 축산업, 양잠업도 이루어진다. 석회암 매장량이 있어 광업 및 건설 자재 제조업도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5. 1. 농업

고원군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과수원과 축산업도 이루어지고 양잠업도 행해진다.[1]

5. 2. 광업 및 제조업

고원군에는 석회암 매장량이 있으며, 광업 및 건설 자재 제조업 또한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6. 교통

고원군은 철도와 도로를 통해 북한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평라선강원선이 고원군을 통과한다.

평라선과 강원선의 분기점은 고원역이다.

참조

[1] 웹사이트 함경남도 고원군 역사 http://www.cybernk.n[...]
[2]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