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형렬은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1954년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났다. 1979년 현대문학에 작품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으며, 이후 시집 『대청봉 수박밭』, 『사진리 대설』 등을 간행했다. 동아시아 시 운동에 기여했으며, 창비 편집부 부장과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지훈문학상, 백석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석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백석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명지전문대학 교수 - 서수남
1962년 데뷔한 가수 서수남은 하청일과 듀엣으로 '팔도유람', '수다쟁이', '과수원 길' 등의 히트곡을 내며 1960~7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고, '가족오락관' 최다 출연, 솔로 활동과 방송, 광고 출연 등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방송인이다. - 명지전문대학 교수 - 함중아
함중아는 1971년 데뷔하여 《내게도 사랑이》, 《풍문으로 들었소》 등의 히트곡을 남긴 대한민국의 록 음악 가수로, 2019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속초시 출신 - 이양수
이양수는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기업 대표를 거쳐 보수정당의 당직 및 정부직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강원도 속초시 등 지역구에서 제20대, 제21대, 제2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속초시 출신 - 신창현 (정치인)
신창현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과 더불어민주당 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한 환경 전문가 출신으로, 제20대 국회의원과 의왕시장을 지냈으며 국회에서 에너지특별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미세먼지 대책 특별위원회 간사 및 가습기살균제 피해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으로도 참여했다.
고형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형렬 |
로마자 표기 | Go Hyeong-ryeol |
출생일 | 1954년 11월 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강원도 속초시 |
직업 | 시인 |
2. 생애
1954년 11월 8일 강원도속초시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에는 선친의 고향인 해남군 삼산면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다. 십대 후반에는 대구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진도, 구례 등지를 떠돌아다니는 방황의 시간을 보냈다.
고형렬은 첫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1985)을 간행한 이후, 《해청海靑》, 《사진리 대설(大雪)》, 《서울은 안녕한가》, 《바닷가의 한 아이에게》, 《성에꽃 눈부처》, 《김포운호가든집에서》, 《밤 미시령(彌矢嶺)》,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유리체(琉璃體)를 통과하다》, 《지구를 이승이라 불러줄까》,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거울이다》, 《오래된 것들을 생각할 때에는》 등의 개인 시집을 간행하였다. 아시아 11인 시 앤솔러지 《얼마나 분명한 작은 존재들인가》, 하종오 및 김정환 시인과 함께 3인 시집 《포옹》 등을 간행했다.[4]
2000년에 계간 《시평(詩評) SIPYUNG》을 창간하여 2013년까지 일본, 중국, 베트남, 몽골 등과 동남아시아, 러시아, 아랍 등의 340여 명 시인의 작품을 한국에 소개하는 등 아시아 시운동에 앞장섰다.
1974년에 군사분계선이 지나가는 고성군 현내면에서 지방행정공무원 생활을 하며 설악문우회『갈뫼』 동인활동을 하며 습작을 했고, 1979년 ''현대문학''에 "장자" 등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3] 속초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등학교 졸업 후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여 읍사무소에서 서기로 근무했다.[3]
첫 시집 『대청봉 수박밭』(1985) 이후, 시집 『사진리 대설』(1993)부터 『밤 미시령』(2006)에 이르기까지, 인생의 현실을 초월한 이상 세계를 일관되게 추구하였다. 시어에 대한 관심, 현실에 대한 절망감을 나타낸 특유의 정서는 그의 시의 변함없는 특징이다. 초기 시부터 종종 등장하는 '소년'이라는 장치는 순수한 감수성을 지키려는 시인의 노력을 보여준다.
장자의 영향을 받아, 데뷔 초부터 무위(無爲)의 세계를 추구해 왔지만, 『붕새』(2010)에서는 시공을 초월한 초월적인 세계를 시적으로 형상화하려는 시인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특히 민족 분단으로 인한 고통을 정신적으로 끌어안으면서 분단의 현실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시적 상상력을 통해 그려낸 작품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창비 편집부 부장으로 근무했으며,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겸임교수이다.
3. 작품 세계
그 외 장시(長詩) 《리틀 보이》, 《붕(鵬)새》, 장편산문 《은빛 물고기》, 《에세이 장자》(전7권), 산문집 《시 속에 꽃이 피었네》, 시경(詩經) 에세이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동시집 《빵 들고 자는 언니》, 고형렬 문학앨범 《등대와 뿔》 등을 간행했다. 일본에서 《리틀 보이》(한성례), 《아시아 시행(詩行)-오늘 아침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이미자), 《유리체를 통과하다》(권택명), 미국에서 《여치의 눈》(안선재/이형진), 베트남에서 《태양의 폭포》(응웬티투번) 등을 간행했다.[4]
고형렬은 "독특한" 목소리를 가진 시인으로 평가받는다.[4] 대한민국 분단사나 시인의 한반도 통일 염원을 이야기할 때조차 차분하며, 그의 시적 언어는 중얼거리는 독백이나 어렵게 시작된 대화와 같은 끊어질 듯한 어조를 띤다. 고형렬의 시는 과장되지 않지만, 시인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비롯된 연민과 따뜻함의 강인함을 발산하며, 이는 멀리서 관찰하는 자의 시각이 아닌, 마치 자신의 삶의 일부인 것처럼 사색하는 가까운 이웃의 시각이다. 그의 작품은 나이가 들면서 더욱 겸손하고 순수한 어조를 띠게 되었다. 세상을 슬픔과 고통으로 가득 찬 곳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의 시는 또한 연민과 이해를 담아 삶을 표현한다.[5]
4. 활동
중국의 슈팅, 일본의 혼다 히사시, 사가와 아키, 몽골의 을찌터그스, 타이완의 옌아이린 등의 시인을 한국에 초청하여 시낭송회를 개최했으며, 2010년에 한아세안시인문학축전(Korea-ASEAN Poets Literature Festival)을 서울과 속초, 인도네시아 페칸바루에서 개최했다. 최근에 중국의 린망, 일본의 시바타 산키치, 스즈키 히사오, 김기택 등 15인 시인과 함께 《몬순 MONSOON)》 국제시동인을 결성했으며 현재 아시아시인들(The Poet Society of Asia)을 기획하고 있다.
4. 1. 문단 활동
2000년에 계간 《시평(詩評) SIPYUNG》을 창간하여 2013년까지 일본, 중국, 베트남, 몽골 등과 동남아시아, 러시아, 아랍 등의 340여 명 시인의 작품을 한국에 소개하는 등 아시아 시운동에 앞장섰다.
중국의 슈팅, 일본의 혼다 히사시, 사가와 아키, 몽골의 을찌터그스, 타이완의 옌아이린 등의 시인을 한국에 초청하여 시낭송회를 개최했으며, 2010년에 한아세안시인문학축전(Korea-ASEAN Poets Literature Festival)을 서울과 속초, 인도네시아 페칸바루에서 개최했다. 최근에 중국의 린망, 일본의 시바타 산키치, 스즈키 히사오, 김기택 등 15인 시인과 함께 《몬순 MONSOON)》 국제시동인을 결성했으며 현재 아시아시인들(The Poet Society of Asia)을 기획하고 있다.
창작과비평사 편집부장(1985-2005), 명지전문대학 문창과 겸임교수, 한아세안시인문학축전 조직위원장, 《현대시학》 주간 등을 역임했다.
4. 2. 아시아 시단과의 교류
2000년에 계간 《시평(詩評) SIPYUNG》을 창간하여 2013년까지 일본, 중국, 베트남, 몽골 등과 동남아시아, 러시아, 아랍 등의 340여 명 시인의 작품을 한국에 소개하는 등 아시아 시운동에 앞장섰다.
중국의 슈팅, 일본의 혼다 히사시, 사가와 아키, 몽골의 을찌터그스, 타이완의 옌아이린 등의 시인을 한국에 초청하여 시낭송회를 개최했으며, 2010년에 한아세안시인문학축전(Korea-ASEAN Poets Literature Festival)을 서울과 속초, 인도네시아 페칸바루에서 개최했다. 최근에 중국의 린망, 일본의 시바타 산키치, 스즈키 히사오, 김기택 등 15인 시인과 함께 《몬순 MONSOON)》 국제시동인을 결성했으며 현재 아시아시인들(The Poet Society of Asia)을 기획하고 있다.
창작과비평사 편집부장(1985-2005), 명지전문대학 문창과 겸임교수, 한아세안시인문학축전 조직위원장, 《현대시학》 주간 등을 역임했다.
5. 수상 내역
지훈문학상(2003), 일연문학상(2006)[6], 백석문학상(2006)[7], 대한민국 문화예술상(2006)[8], 현대문학상(2009)[9], 대한민국인물대상(문예), 시와의식작품상, 매계문학상, 형평문학상, 유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6. 작품 목록
wikitext
; 시집
- ''장자(莊子)'' (1979)
- ''대청봉 수박밭'' (1985)
- ''해청(海淸)'' (1987)
- ''해가 떠올라 풀이슬을 두드리고'' (1988)
- ''서울은 안녕한가'' (1991)
- ''사진리 대설'' (1993)
- ''바닷가의 한 아이에게'' (1994)
- ''마당 식사가 그립다'' (1995)
- ''리틀 보이'' (1995)
- ''성애꽃 눈부처'' (1998)
- ''김포 운호가든집에서'' (2001)
- ''빵 들고 자는 언니'' (2001)
- ''밤 미시령'' (2006)
-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2010)
- 『유리체를 통과하다』(2012)
; 장시집
- 『리틀 보이』(1995) 한국어판
- 『붕(鵬)새』(2010)
; 산문집
- ''시 속에 꽃이 피어네'' (2002)
- ''은빛 물고기'' (2003)
-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2005)
- 『장자의 하늘, 시인의 하늘』(2011)
; 기타
- ''빵들고 자는 언니'' (2001) 동시
-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2005) 「시경」의 21편의 시 소개
; 아시아 11인 시 앤솔러지
- 『얼마나 분명한 작은 존재들인가』
; 3인 시집
- 하종오, 김정환 시인과 함께 3인 시집 『포옹』
; 번역 출간
- 일본: 리토루 보이/リトルボーイ일본어 (한성례 번역), 『아시아 시행(詩行)-오늘 아침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이미자 번역), 『유리체를 통과하다』(권택명 번역)
- 미국: 여치의 눈영어 (안선재/이형진 번역)
- 베트남: 태양의 폭포vi (응웬티투번 번역)
6. 1. 시집
고형렬은 첫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1985년, 청사)을 간행한 이후, 『해청海靑』, 『사진리 대설(大雪)』, 『서울은 안녕한가』, 『바닷가의 한 아이에게』, 『성에꽃 눈부처』, 『김포운호가든집에서』, 『밤 미시령(彌矢嶺)』,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유리체(琉璃體)를 통과하다』, 『지구를 이승이라 불러줄까』,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거울이다』, 『오래된 것들을 생각할 때에는』 등의 개인시집을 간행했다. 또한, 아시아 11인 시 앤솔러지 『얼마나 분명한 작은 존재들인가』, 하종오/김정환 시인과 함께 3인시집 『포옹』 등을 간행했다.그 외 장시(長詩)로는 『리틀 보이』, 『붕(鵬)새』가 있다. 일본에서 『리틀 보이』(한성례), 『아시아 시행(詩行)-오늘 아침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이미자), 『유리체를 통과하다』(권택명)가 간행되었고, 미국에서 『여치의 눈』(안선재/이형진), 베트남에서 『태양의 폭포』(응웬티투번) 등이 간행되었다.
6. 2. 3인 시집
하종오·김정환 시인과 함께 3인 시집 《포옹》을 간행했다.6. 3. 아시아 11인 시 앤솔러지
고형렬은 첫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1985)을 간행한 이후, 여러 권의 개인 시집을 발표하였다. 하종오, 김정환 시인과 함께 3인 시집 『포옹』을 펴냈고, 아시아 11인 시 앤솔러지 『얼마나 분명한 작은 존재들인가』를 간행했다.6. 4. 장시(長詩)
고형렬은 장시(長詩) 《리틀 보이》, 《붕(鵬)새》 등을 간행했다. 《리틀 보이》는 일본에서 리토루 보이/リトルボーイ일본어(한성례 번역)로 간행되기도 했다.6. 5. 산문집
고형렬은 장편산문 『은빛 물고기』, 『에세이 장자』(전7권), 산문집 『시 속에 꽃이 피었네』, 시경(詩經) 에세이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등을 간행했다. 『은빛 물고기』는 1999년 한울에서,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는 2005년 보림에서 출간되었으며, 「시경」의 21편의 시를 소개한다. 2002년에는 에세이집 ''시 속에 꽃이 피어네''를 출간했다.6. 6. 동시집
고형렬은 첫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1985)을 간행한 이후, 여러 권의 시집을 발표하였다. 『해청』, 『사진리 대설』, 『서울은 안녕한가』, 『바닷가의 한 아이에게』, 『성에꽃 눈부처』, 『김포운호가든집에서』, 『밤 미시령』,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유리체를 통과하다』, 『지구를 이승이라 불러줄까』,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거울이다』, 『오래된 것들을 생각할 때에는』 등의 개인 시집을 간행하였다. 또한, 아시아 11인 시 앤솔러지 『얼마나 분명한 작은 존재들인가』와 하종오, 김정환 시인과 함께 3인 시집 『포옹』 등을 간행했다.그 외 장시 『리틀 보이』, 『붕새』를 발표했고, 장편산문 『은빛 물고기』, 『에세이 장자』(전7권), 산문집 『시 속에 꽃이 피었네』, 시경 에세이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등을 간행했다. 일본, 미국, 베트남 등에서 번역 시집이 출간되기도 했다.
6. 7. 기타
고형렬은 첫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1985)을 간행한 이후, 여러 권의 개인 시집과 앤솔러지, 3인 시집 등을 간행했다. 장시(長詩) 『리틀 보이』, 『붕(鵬)새』, 장편산문 『은빛 물고기』, 『에세이 장자』(전7권), 산문집 『시 속에 꽃이 피었네』, 시경(詩經) 에세이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동시집 『빵 들고 자는 언니』, 고형렬 문학앨범 『등대와 뿔』 등을 간행했다.일본에서 『리틀 보이』(한성례), 『아시아 시행(詩行)-오늘 아침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이미자), 『유리체를 통과하다』(권택명), 미국에서 『여치의 눈』(안선재/이형진), 베트남에서 『태양의 폭포』(응웬티투번) 등이 간행되었다.
6. 8. 번역 출간
첫 시집 『대청봉大靑峯 수박밭』(1985년, 청사)을 간행한 이후, 여러 개인 시집과 앤솔러지, 장시, 산문집 등을 간행했다. 일본에서 『리틀 보이』(한성례), 『아시아 시행(詩行)-오늘 아침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이미자), 『유리체를 통과하다』(권택명)가 번역 출간되었고, 미국에서 『여치의 눈』(안선재/이형진), 베트남에서 『태양의 폭포』(응웬티투번) 등이 번역 출간되었다. 『장시 리틀 보이』는 콜사크사에서 한성례 번역으로 2006년에 출간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Authors Name Authority Database - LTI Korea Library - LibGuides at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ttp://klti.libguide[...]
2015-01-13
[2]
웹사이트
고형렬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3]
웹사이트
Ko Hyeong-ryeol bio
http://klti.or.kr/ke[...]
2013-09-21
[4]
웹사이트
고형렬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5]
웹사이트
고형렬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6]
웹사이트
제2회 일연문학상에 시인 고형렬씨
http://www.jjan.kr/n[...]
2006-07-19
[7]
웹사이트
제8회 백석문학상에 고형렬 시인
http://news.naver.co[...]
[8]
웹사이트
속초출신 고형렬시인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http://news.naver.co[...]
[9]
웹사이트
현대문학상 박성원-고형렬-심진경 씨
http://news.donga.co[...]
2009-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