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드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 중부 지역의 곤드족이 사용한다. 곤드어는 명사의 성, 음운론적 특징,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데바나가리 문자나 텔루구 문자로 표기되다가, 1928년과 1750년경에 각각 곤드 문자가 만들어졌다. 2011년 조사에서 곤드족 인구는 약 1300만 명이었으나, 곤드어 화자는 298만 명에 불과하여, 힌디어 등 우세 언어의 영향으로 곤드어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언어 소생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어족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 브라후이어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에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로, 기원전 3천년 또는 기원후 1000년 이후 유입설이 있으며, 주변 이란어군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하고, 소멸 위기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곤드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곤드어 |
자칭 이름 | , |
사용 국가 | 인도 |
사용 지역 | 곤드와나 |
민족 | 곤디 |
사용자 수 (2011년) | 298만 명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드라비다어족 |
어파 | 남중부 드라비다어파 |
어군 | 곤디-쿠이 어군 |
하위 어군 | 곤디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텔루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 군잘라 곤디 문자, 마사람 곤디 문자 (곤디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2 | gon |
ISO 639-3 | gon |
ISO 639-3 개별 코드 | lc1: gno (북부 곤드어) lc2: esg (아헤리 곤드어) lc3: wsg (아딜라바드 곤드어) |
Glottolog | nort3258 (북서부 곤드어) |
지도 정보 | |
![]() | |
추가 정보 | |
관련 민족 | 곤디 |
관련 용어 | 곤디르, 코이, 코이토르 |
관련 지역 | 곤드와나 |
2. 역사
곤드어의 역사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외부인이 곤드족을 칭하는 '곤드'라는 이름은 드라비다어족의 'kond'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언덕'을 의미한다. 무굴 제국이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곤드족에게 이 이름을 붙였다는 설도 있다. 곤드족은 스스로를 코이투르(Kōītōr) 또는 코이(Kōī)라고 부른다.
2. 1. 어원
외부인들이 사용하는 '곤드(Gond)'라는 이름의 기원은 아직 불확실하다. 어떤 이들은 이 단어가 드라비다어의 'kond'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데, 이는 오디샤의 콘드족(Khonds)과 유사하게 '언덕'을 의미한다.[7]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무굴 제국(Mughal dynasty)이 곤드족에게 이 이름을 지어주었다는 또 다른 이론이 있다. "언덕 사람들"을 의미하는 "곤드(Gond)"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무굴 제국이었다.[8]
곤드족은 자신들을 코이투르(Kōītōr) 또는 코이(Kōī)라고 부르는데, 이 역시 명확한 기원이 없다.
3. 특징
곤드어는 명사의 성이 남성과 비남성의 두 가지로 나뉜다. 드라비다조어의 어두 유성 파열음(g, j, ḍ, d, b)과 유성 유기 파열음(gh, jh, ḍh, dh, bh)을 무성음화했고, 유기음을 발달시켜 프로토드라비다어와 차별화했다.
3. 1. 음운론
곤드어의 명사는 남성과 비남성의 두 가지 성을 가진다. 곤드어는 조상 언어인 드라비다조어의 어두 유성 파열음(g, j, ḍ, d, b)과 유성 유기 파열음(gh, jh, ḍh, dh, bh)을 무성음화했고, 유기음을 발달시켜 프로토드라비다어와 차별화되었다.3. 1. 1. 자음
치경음경구개음
마찰파열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