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곤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드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 중부 지역의 곤드족이 사용한다. 곤드어는 명사의 성, 음운론적 특징,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데바나가리 문자나 텔루구 문자로 표기되다가, 1928년과 1750년경에 각각 곤드 문자가 만들어졌다. 2011년 조사에서 곤드족 인구는 약 1300만 명이었으나, 곤드어 화자는 298만 명에 불과하여, 힌디어 등 우세 언어의 영향으로 곤드어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언어 소생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어족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 브라후이어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에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로, 기원전 3천년 또는 기원후 1000년 이후 유입설이 있으며, 주변 이란어군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하고, 소멸 위기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곤드어
개요
언어 이름곤드어
자칭 이름,
사용 국가인도
사용 지역곤드와나
민족곤디
사용자 수 (2011년)298만 명
언어학적 분류
어족드라비다어족
어파남중부 드라비다어파
어군곤디-쿠이 어군
하위 어군곤디어군
문자 체계
문자텔루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오디아 문자, 군잘라 곤디 문자, 마사람 곤디 문자 (곤디 문자)
언어 코드
ISO 639-2gon
ISO 639-3gon
ISO 639-3 개별 코드lc1: gno (북부 곤드어)
lc2: esg (아헤리 곤드어)
lc3: wsg (아딜라바드 곤드어)
Glottolognort3258 (북서부 곤드어)
지도 정보
곤드어 사용 지역 지도
곤드어 사용 지역 (코야어 제외)
멸종 위기 언어 지도 - 곤드어 (취약)
}}
추가 정보
관련 민족곤디
관련 용어곤디르, 코이, 코이토르
관련 지역곤드와나

2. 역사

곤드어의 역사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외부인이 곤드족을 칭하는 '곤드'라는 이름은 드라비다어족의 'kond'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언덕'을 의미한다. 무굴 제국이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곤드족에게 이 이름을 붙였다는 설도 있다. 곤드족은 스스로를 코이투르(Kōītōr) 또는 코이(Kōī)라고 부른다.

2. 1. 어원

외부인들이 사용하는 '곤드(Gond)'라는 이름의 기원은 아직 불확실하다. 어떤 이들은 이 단어가 드라비다어의 'kond'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데, 이는 오디샤의 콘드족(Khonds)과 유사하게 '언덕'을 의미한다.[7]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무굴 제국(Mughal dynasty)이 곤드족에게 이 이름을 지어주었다는 또 다른 이론이 있다. "언덕 사람들"을 의미하는 "곤드(Gond)"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무굴 제국이었다.[8]

곤드족은 자신들을 코이투르(Kōītōr) 또는 코이(Kōī)라고 부르는데, 이 역시 명확한 기원이 없다.

3. 특징

곤드어는 명사이 남성과 비남성의 두 가지로 나뉜다. 드라비다조어의 어두 유성 파열음(g, j, ḍ, d, b)과 유성 유기 파열음(gh, jh, ḍh, dh, bh)을 무성음화했고, 유기음을 발달시켜 프로토드라비다어와 차별화했다.

3. 1. 음운론

곤드어의 명사는 남성과 비남성의 두 가지 을 가진다. 곤드어는 조상 언어인 드라비다조어의 어두 유성 파열음(g, j, ḍ, d, b)과 유성 유기 파열음(gh, jh, ḍh, dh, bh)을 무성음화했고, 유기음을 발달시켜 프로토드라비다어와 차별화되었다.

3. 1. 1. 자음

치경음치후음치경후음/
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비음()()파열음/
마찰파열음무성음유기음유성음숨소리내기마찰음()유사음중앙음()측음탄음

3. 1. 2. 모음

rowspan="2" |전설중설후설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3. 2. 문법

곤드어는 드라비다조어의 어두 유성 파열음(g, j, ḍ, d, b)과 유성 유기 파열음(gh, jh, ḍh, dh, bh)을 무성음화했다. 곤디어는 남성 또는 비남성의 두 가지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토드라비다어와 달리 유기음을 발달시켰다.

3. 2. 1. 명사

곤드어의 명사는 남성과 비남성의 두 가지 을 가진다. 곤드어에는 특정한 단어의 성을 나타내는 파생 접미사가 있다. 남성 명사에는 '-a:l'과 '-o:r', 여성 명사에는 '-a:r'을 사용한다. 복수 접미사 또한 남성과 여성으로 나뉜다. '-r'은 대부분의 남성 명사에 사용되고, '-ir'은 '-e'로 끝나는 남성 명사에, '-ur'은 '-o'나 '-or'로 끝나는 남성 명사에 사용된다.[9]

예시는 다음과 같다.

위의 예시는 모두 남성 명사이다.

비남성 명사에는 '-n', '-ik', '-k', 그리고 영접미사 '-ɸ' 등 더 많은 접미사가 있다.

격 조사가 추가되기 전에 모든 명사는 사격 접미사를 갖는다. 사격 접미사는 '-d-', '-t-', '-n-', '-ṭ-', 그리고 '-ɸ'이다. 예를 들어 ''kay-'''d'''-e'': "손 안에"와 같이 사용된다.

곤디어에는 여러 개의 격 조사가 있다.[9] 소유격 조사는 '-na', '-va', '-a'이다. '-na'는 '마을'을 뜻하는 ''na:r'' 뒤에 사용된다. '-va'는 인칭 대명사와 재귀 대명사 뒤에 사용된다. '-a'는 다른 곳에 사용된다.

3. 2. 2. 격

곤드어에는 특정한 단어의 성을 나타내는 파생 접미사가 있다. 남성은 '-a:l'과 '-o:r', 여성은 '-a:r'을 사용한다. 복수 접미사 또한 남성과 여성으로 나뉜다. '-r'은 대부분의 남성 명사에 사용되고, '-ir'은 '-e'로 끝나는 남성 명사에, '-ur'은 '-o'나 '-or'로 끝나는 명사에 사용된다.[9]

예를 들어,

은 모두 남성 명사이다.

비남성 명사에는 '-n', '-ik', '-k', 그리고 영접미사 '-ɸ' 등 더 많은 접미사가 있다.

격 조사가 추가되기 전에 모든 명사는 사격 접미사를 갖는다. 사격 접미사는 '-d-', '-t-', '-n-', '-ṭ-', 그리고 '-ɸ'이다.

예를 들어,

곤드어에는 여러 개의 격 조사가 있다.[9]

소유격 조사는 '-na', '-va', '-a'이다.

4. 방언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서 약 1300만 명이 자신을 곤드족으로 응답했지만, 곤드어 화자로 응답한 사람은 298만 명에 불과했다.[1] 현재 곤드어 화자들의 대규모 공동체는 마디아프라데시주 남동부, 마하라슈트라주 동부, 텔랑가나주 북부, 차티스가르주 바스타르 지역, 오디샤주 나바랑푸르 지역 등에서 발견된다.[1]

이는 대부분의 곤드족 인구, 특히 서식 범위 북부 지역 사람들이 곤드어에서 힌디어, 차티스가르히어, 마라티어, 오디아어 등 지역 언어로 언어 전환을 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까지 곤드족의 절반은 곤드어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3] 1970년대에 일부 곤드족 청년들은 곤드어를 낡은 시대의 유물로 여기며 곤드어 사용을 중단하기도 했다.[4]

그러나 최근 젊은 곤드족들은 곤드어를 사용하고 멸종으로부터 구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5] 곤드어 소생을 위한 일부 시도에는 어린이 책과 온라인 비디오 제작 등이 있다.[6]

4. 1. 방언 구분

대부분의 곤드어 방언은 아직 불충분하게 기록되고 묘사되어 있다. 보다 중요한 방언으로는 돌라어, 코야어, 마디야어, 무리아어, 그리고 라지 곤드어가 있다. 몇 가지 기본적인 음운론적 특징으로 북서부 방언과 남동부 방언을 구분한다. 그중 하나는 원래의 초기 's'의 처리 방식인데, 북부와 서부 곤드어에서는 보존되는 반면, 남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h'로 변했고, 다른 일부 방언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 곤드어의 다른 방언 변이에는 초기 'r'이 초기 'l'로 바뀌는 것과 'e'와 'o'가 'a'로 바뀌는 것이 있다.

2015년에 "남부 곤드어"의 ISO 639 코드인 "ggo"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아헤리 곤드어(Aheri Gondi, esg)와 아딜라바드 곤드어(Adilabad Gondi, wsg)의 두 코드로 분리되었다.[12][13]

방언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12][13]

구 방언코드신 방언코드비고
ggo-raj라주라
ggo-utn웃누르
ggo-nir니르말; 아딜라바드
ggo-eta에타팔리 곤디
ggo-ahe아헤리
ggo-bha밤라가르
ggo-sir시론차
gno-bet베툴
gno-seo세오니
gno-man만들라
gno-chh친드와라
gno-nag나그푸르
gno-yav야바트말
gno-amr암라바티
gno-bha반다라


4. 2. 주요 방언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1300만 명이 자신을 곤드족으로 응답했지만, 곤드어 화자는 298만 명에 불과했다.[1] 곤드어 화자들은 주로 마디아 프라데시주 남동부, 마하라슈트라주 동부, 텔랑가나주 북부, 샤티스가르주 바스타르 지역, 오디샤주 나바랑푸르 지역 등에 분포한다.[1]

대부분의 곤드족, 특히 북부 지역 사람들은 곤드어 대신 힌디어, 샤티스가르히어, 마라티어, 오디아어 등 지역 언어를 사용한다.[3] 1920년대까지 곤드족의 절반이 곤드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3] 1970년대에는 곤드족 청년들이 곤드어를 낡은 유물로 여기기도 했다.[4]

그러나 최근 곤드어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록 곤드어와 인도-아리아어 간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곤드어에 인도-아리아어 차용어가 많이 유입되었지만,[5] 젊은 곤드족들은 곤드어를 사용하고 멸종 위기에서 구하는 것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5] 비록 모국어 개발에 덜 적극적이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모국어 개발에 기여할 의향을 보였다.[6] 곤드어 소생을 위한 노력에는 어린이 책과 온라인 비디오 제작 등이 있다.[6]

곤드어의 주요 방언으로는 돌라어, 코야어, 마디야어, 무리아어, 라지 곤드 등이 있다. 북서부 방언과 남동부 방언은 음운론적 특징으로 구분되는데, 초기 's'의 처리 방식이 대표적이다. 북서부 방언에서는 's'가 보존되지만, 남동부 방언에서는 'h'로 변하거나 사라진다. 또한, 초기 'r'이 'l'로, 'e'와 'o'가 'a'로 바뀌는 현상도 나타난다.

북부 곤드어의 하위 방언은 다음과 같다.

방언명ISO 639 코드
베툴gno-bet
세오니gno-seo
만들라gno-man
친드와라gno-chh
나그푸르gno-nag
야바트말gno-yav
암라바티gno-amr
반다라gno-bha


4. 2. 1. 남부 곤드어

대부분의 곤디 방언은 아직 불충분하게 기록되고 묘사되어 있다. 보다 중요한 방언으로는 돌라(Dorla), 코야어(Koya language), 마디야어(Madiya language), 무리아어(Muria language), 라지 곤디(Raj Gond)가 있다. 북서부 방언과 남동부 방언을 구분하는 몇 가지 기본적인 음운론적(phonologic) 특징이 있다. 하나는 원래의 초기 's'의 처리 방식인데, 북부와 서부 곤디에서는 보존되는 반면, 남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h'로 변했고, 다른 일부 방언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 곤디어의 다른 방언 변이에는 초기 'r'이 초기 'l'로 바뀌는 것과 'e'와 'o'가 'a'로 바뀌는 것이 있다.

2015년에 "남부 곤드어(Southern Gondi language)"의 ISO 639 코드인 "ggo"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아헤리 곤드어(Aheri Gondi, esg)와 아딜라바드 곤드어(Adilabad Gondi, wsg) 두 개의 코드로 분리되었다.[12][13]

하위 방언은 다음과 같다.

방언명ISO 639 코드
라주라ggo-raj
웃누르ggo-utn
니르말; 아딜라바드ggo-nir
에타팔리 곤디ggo-eta
아헤리ggo-ahe
밤라가르ggo-bha
시론차ggo-sir


4. 2. 2. 북부 곤드어

대부분의 곤디어 방언은 아직 불충분하게 기록되고 묘사되어 있다. 보다 중요한 방언으로는 돌라어, 코야어, 마디야어, 무리아어, 그리고 라지 곤디가 있다. 몇 가지 기본적인 음운론적 특징이 북서부 방언과 남동부 방언을 구분한다. 하나는 원래의 초기 's'의 처리 방식인데, 북부와 서부 곤디어에서는 보존되는 반면, 남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h'로 변했고, 다른 일부 방언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 곤디어의 다른 방언 변이에는 초기 'r'이 초기 'l'로 바뀌는 것과 'e'와 'o'가 'a'로 바뀌는 것이 있다.

5. 문자

곤드어는 자체 문자 체계를 사용하는 경우와 다른 언어에도 사용되는 문자 체계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널리 보급된 고유 문자가 없기 때문에 곤드어는 종종 데바나가리 문자텔루구 문자로 쓰인다. 1928년, 문시 망갈 싱 마사람(Munshi Mangal Singh Masaram)은 브라흐미 문자를 기반으로 인도에서 널리 쓰이는 아부기다 체계의 고유 문자를 고안했다. 이 문자는 유니코드에 포함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대부분의 곤드족은 문맹이다. 하이데라바드 대학교 연구팀이 175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유 문자를 발견했는데, 이 문자는 발견된 장소의 이름을 따서 군잘라 곤드 리피(Gunjala Gondi Lipi)라고 불린다. 인도 마하라슈트라 동양 원고 도서관 및 연구 센터에 따르면, 이 문자로 쓰인 12개의 사본이 발견되었다. 곤드족 사이에서 이 문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홍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 단계에 있다. 군잘라 곤드 리피는 중요성이 급증했으며, 북부 안드라프라데시 마을에서는 이 문자의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지원되고 있다.

5. 1. 곤드 문자

곤드어는 전통적으로 널리 쓰이는 고유 문자가 없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텔루구 문자로 적었다.[17]

1928년에 문시 망갈 싱 마사람(Munshi Mangal Singh Masaram)이라는 곤드인이 브라흐미 문자를 바탕으로 인도에서 널리 쓰이는 아부기다 체계의 곤드 문자를 만들었다.[17] 그러나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최근 하이데라바드 대학교의 자야디르 티루말라 라오(Jayadheer Tirumala Rao)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텔랑가나주의 곤드인 마을인 군잘라에서 1750년경에 곤드어 고유 문자로 작성된 문서 10여 건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문서들에는 달력, 천궁도, 문법, 역사, 곤드인의 도덕과 문학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고 한다.[18] 2013년에는 단 4명의 마을 원로만이 여전히 군잘라 곤드 문자를 읽을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문자 체계에는 군잘라 곤드 문자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문자의 재발견은 안드라프라데시주 지방 정부 등 인도 각계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19] 현재 약 80명의 학생이 군잘라 곤드 문자를 읽고 쓸 줄 알며 원로 코트낙 장구(Kotnak Jangu)는 군잘라 곤드 문자로 자서전을 쓰고 있다고 한다. 2017년에는 텔루구어로 된 곤드 문자 교재가 출판되었다.[20]

마사람 곤드 문자와 군잘라 곤드 문자는 각각 유니코드 버전 10.0과 11.0부터 포함되었다.

5. 2. 군잘라 곤드 문자

곤드어는 전통적으로 널리 쓰이는 고유 문자가 없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텔루구 문자로 적었다.

최근 하이데라바드 대학교의 자야디르 티루말라 라오(Jayadheer Tirumala Rao)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텔랑가나주의 곤드인 마을인 군잘라에서 1750년경에 곤드어 고유 문자로 작성된 문서 10여 건을 확인하였다. 문서들에는 달력, 천궁도, 문법, 역사, 곤드인의 도덕과 문학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고 한다.[18] 2013년에는 단 4명의 마을 원로만이 여전히 군잘라 곤드 문자를 읽을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문자 체계에는 군잘라 곤드 문자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문자의 재발견은 안드라프라데시주 지방 정부 등 인도 각계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19] 현재 약 80명의 학생이 군잘라 곤드 문자를 읽고 쓸 수 있으며 원로 코트낙 장구(Kotnak Jangu)는 군잘라 곤드 문자로 자서전을 쓰고 있다고 한다. 2017년에는 텔루구어로 된 곤드 문자 교재가 출판되었다.[20]

마사람 곤드 문자와 군잘라 곤드 문자는 각각 유니코드 버전 10.0과 11.0부터 포함되었다.

5. 3. 유니코드

곤드어는 고유 문자가 널리 쓰이지 않아 데바나가리 문자텔루구 문자로 기록되었다. 1928년 문시 망갈 싱 마사람이 브라흐미 문자를 바탕으로 곤드 문자를 만들었으나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17]

최근 하이데라바드 대학교 연구진이 군잘라 마을에서 1750년경 곤드어 고유 문자로 작성된 문서를 발견하였다. 이 문자는 군잘라 곤드 문자라고 불린다.[18] 안드라프라데시주 지방 정부 등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19] 2017년에는 텔루구어 곤드 문자 교재도 출판되었다.[20]

마사람 곤드 문자와 군잘라 곤드 문자는 각각 유니코드 버전 10.0과 11.0부터 포함되었다.

6. 보존 노력

일부 곤드족 젊은이들은 곤드어를 보존하고 멸종으로부터 구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5], 곤드 지역 전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젊은 곤드족들이 모국어 개발의 중요성을 덜 느끼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모국어 개발에 기여할 의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곤드어 소생을 위한 노력에는 어린이 책과 온라인 비디오 제작 등이 있다.[6]

6. 1. 현황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서 약 1300만 명이 자신을 곤드족으로 응답했지만, 곤드어 화자로 응답한 사람은 298만 명에 불과했다. 현재 곤드어 화자들의 대규모 공동체는 마디아 프라데시주 남동부(베툴, 친드와라, 세오니, 발라가트, 만들라, 딘도리, 자발푸르 지역), 마하라슈트라주 동부(암라바티, 나그푸르, 야바트말, 찬드라푸르, 가드치롤리, 곤디아 지역), 텔랑가나주 북부(아딜라바드, 코마람 빔, 브하드라드리 코타구뎀 지역), 샤티스가르주 바스타르 지역, 그리고 오디샤주 나바랑푸르 지역 등에서 발견된다.[1]

이는 대부분의 곤드족 인구, 특히 그들의 서식 범위 북부 지역 사람들이 곤드어에서 지역 언어로 언어 전환을 한 결과이다. 1920년대까지 곤드족의 절반은 곤드어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3] 이 언어는 교육과 고용에서 사용되는 힌디어, 샤티스가르히어, 마라티어, 오디아어와 같은 우세한 언어로부터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곤드 가정은 더욱 권위 있는 우세 언어를 채택하고, 그들의 자녀들은 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게 된다. 이미 1970년대에 더 넓은 사회와의 접촉이 증가한 지역의 곤드족 청년들은 곤드어를 옛 시대의 유물로 여기며 곤드어 사용을 중단했다.[4] 곤드어 화자와 인도-아리아어 화자 간의 지속적인 접촉은 어휘, 문법, 구문에서 볼 수 있듯이 곤드어에 대규모의 인도-아리아어 차용어를 유발했다. 예를 들어, 아누푸르 지역의 한 조사에서는 그곳에서 사용되는 '데하티 바샤'(dehati bhasha|데하티 바샤hi, '시골 언어')로 알려진 곤드어 방언이 실제로 곤드어가 아닌 힌디어와 샤티스가르히어의 혼합체임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조사는 또한 젊은 곤드족들이 곤드어를 사용하고 멸종으로부터 구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5] 곤드 지역 전역의 지역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조사에서는 젊은 곤드족들이 모국어 개발의 중요성을 덜 느끼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모국어 개발에 기여할 의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소생을 위한 일부 시도에는 어린이 책과 온라인 비디오가 포함된다.[6]

6. 2. 보존 노력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서 약 1,300만 명이 자신을 곤드족으로 응답했지만, 곤드어 화자로 응답한 사람은 298만 명에 불과했다. 현재 곤드어 화자들의 대규모 공동체는 마디아 프라데시주 남동부(베툴, 친드와라, 세오니, 발라가트, 만들라, 딘도리, 자발푸르 지역), 마하라슈트라주 동부(암라바티, 나그푸르, 야바트말, 찬드라푸르, 가드치롤리, 곤디아 지역), 텔랑가나주 북부(아딜라바드, 코마람 빔, 브하드라드리 코타구뎀 지역), 샤티스가르주 바스타르 지역, 그리고 오디샤주 나바랑푸르 지역 등에서 발견된다.[1]

이는 대부분의 곤드족 인구, 특히 그들의 서식 범위 북부 지역 사람들이 곤드어에서 지역 언어로 언어를 전환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까지 곤드족의 절반은 곤드어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3] 이 언어는 교육과 고용에서 사용되는 힌디어, 샤티스가르히어, 마라티어, 오디아어와 같은 우세한 언어로부터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곤드 가정은 더욱 권위 있는 우세 언어를 채택하고, 그들의 자녀들은 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게 된다. 이미 1970년대에 더 넓은 사회와의 접촉이 증가한 지역의 곤드족 청년들은 곤드어를 옛 시대의 유물로 여기며 곤드어 사용을 중단했다.[4] 곤드어 화자와 인도-아리아어 화자 간의 지속적인 접촉은 곤드어에 대규모의 인도-아리아어 차용어를 유발했으며, 이는 어휘, 문법, 구문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누푸르 지역의 한 조사에서는 그곳에서 사용되는 '데하티 바샤'(dehati bhasha, '시골 언어')로 알려진 곤드어 방언이 실제로 곤드어가 아닌 힌디어와 샤티스가르히어의 혼합체임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조사는 또한 젊은 곤드족들이 곤드어를 사용하고 멸종으로부터 구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5] 곤드 지역 전역의 지역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조사에서는 젊은 곤드족들이 모국어 개발의 중요성을 덜 느끼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모국어 개발에 기여할 의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소생을 위한 일부 시도에는 어린이 책과 온라인 비디오가 포함된다.[6]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Website :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http://www.censusind[...] 2018-07-05
[2] 논문 A Sociolinguistic Survey of the Gondi-speaking Communities of Central India San Diego State University 1994
[3] 웹사이트 The Tribes and Castes of the Central Provinces of India—Volume III http://www.gutenberg[...] 2020-12-31
[4] 학술지 Directed and Spontaneous Social Change: A Study of Gonds of Chhindwara 1970
[5] 학술지 Language Loss and Revitalization of Gondi language: An Endangered Language of Central India http://www.languagei[...] 2020-12-15
[6] arXiv Learnings from Technological Interventions in a Low Resource Language: A Case-Study on Gondi 2021-01-26
[7] 학술지 Exploring the Central India Art of the Gond People: contemporary materials and cultural significance https://core.ac.uk/d[...] 2023-05-27
[8] 웹사이트 Gonds – Document – Gale in Context: World History https://go.gale.com/[...] Gale, part of Cengage Group 2023-05-27
[9]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Gondi Annamalainagar, India: Annamalainagar: Annamalai Univ.
[10]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1-29
[11] 웹사이트 मानेय अधिकार ता सार्वभैम घोषना https://www.ohchr.or[...]
[12] 웹사이트 2015-062 {{!}} ISO 639-3 https://iso639-3.sil[...] 2020-07-15
[13] 웹사이트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Request for Change toISO 639-3 Language CodeChange Request Number: 2015-062(completed by Registration authority) https://iso639-3.sil[...] 2020-07-15
[14]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the Gondi Script in the UCS http://std.dkuug.dk/[...] 2010-06-30
[15] 웹인용 Census of India Website :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http://www.censusind[...] 2018-07-05
[16] 논문 A Sociolinguistic Survey of the Gondi-speaking Communities of Central India San Diego State University 1994
[17] 웹인용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the Gondi Script in the UCS http://std.dkuug.dk/[...]
[18] 뉴스 Gondi manuscript translation to reveal Gondwana history http://www.thehindu.[...] 2017-01-12
[19] 뉴스 He Gave Colour to a Fading Script http://www.newindian[...] 2017-01-12
[20] 뉴스 Telugu reader for Gondi language released http://www.thehindu.[...] 2017-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