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궁도는 특정 시간과 장소의 하늘을 나타내는 도표로, 점성술에서 개인의 성격, 운명 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어원은 그리스어 '오로스코포스'에서 유래했으며, 서양 점성술에서는 출생인의 위치를 중심으로 천구, 황도대, 지평면 등의 개념을 활용한다. 천궁도는 상승점, 중천점, 하강점, 천저점 등 네 개의 모서리와 황도대의 12개 별자리, 12개의 하우스로 구성되며, 행성들의 위치와 각도를 통해 해석된다. 중국 점성술에서는 육십갑자에 따른 오행과 십이지를 기반으로 천궁도를 구성하며, 과학적, 심리학적, 종교적 비판을 받기도 한다.
영어 단어 하러스코프(horoscope)는 라틴어 '호로스코푸스'(''horoscopus'')에서 왔으며, 이 단어는 그리스어로 "시간"을 뜻하는 '오라'(ὥρα)와 "관찰자"를 뜻하는 '스코포스'(σκόπος)가 합쳐진 '오로스코포스'(ὡρόσκοπος)에서 유래했다. '오로스코포스'는 "(출생) 시간의 관찰자" 또는 "출생 천궁도"를 의미한다. 11세기 중세 영어 문헌에는 이 단어가 라틴어 형태로 나타나며, 초기 근대 영어에서 '하러스코프'(horoscope)로 영어화되었다. "천궁도를 그림"을 뜻하는 명사 '하라스카피'(horoscopy)는 17세기(OED)부터 사용되었다. 그리스어에서 프톨레마이오스 이후로 '오로스코포스'(ὡρόσκοπος)는 "상승점"을, '오로스코피아'(ὡροσκοπία)는 "상승점의 관찰자"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15]
천궁도는 특정 시점과 위치에서 하늘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태양중심적 점성술을 제외하고 대부분 지구중심적 관점에서 그려진다. 천궁도에는 태양과 달을 포함한 실제 행성들뿐만 아니라, 중천점, 상승점과 같은 하우스의 시작점, 달의 교점, 황도대 별자리, 항성, 그리고 가상점 등 계산으로 얻어지는 요소들도 표시된다. 각이라고 불리는 행성들과 다른 천체들 사이의 각도 관계도 함께 표시된다.
천궁도는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하늘의 모습을 나타내는 천문도이다. 대부분 지구 중심적 관점을 따르며(태양중심적 점성술은 예외), 태양과 달을 포함한 실제 행성들과 중천점, 상승점과 같은 하우스 시작점, 달의 교점, 황도대 별자리, 항성, 그리고 가상점 등 계산에 의한 요소들도 포함한다.[16] 또한, 각이라 불리는 행성 간 각도 관계도 표시된다.[16]
2. 어원
한글 단어 천궁도(天宮圖)는 한자어이며, 여기서 궁(宮)은 황도대의 12개 별자리를 뜻한다.
3. 서양 점성술의 개념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강조점과 해석은 전통에 따라 다르다.
3. 1. 기본 요소
천궁도는 특정 위치와 장소에 해당하는 양식화된 천체도이다. 대부분 지구 중심적 관점을 가지며, 태양과 달을 포함한 실제 행성들과 더불어, 중천점, 상승점 등과 같은 하우스의 시작선, 달의 교점, 황도대 별자리, 항성, 그리고 가상점과 같이 계산에 의한 요소들도 포함한다. 또한, 각이라 불리는 행성과 다른 객체 간의 각도 관계도 그려진다.
천궁도에는 네 개의 기본 모서리가 있으며, 중요도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상승점은 황도와 지평선이 교차하는 가장 동쪽의 점이며 태양이 떠오르는 점이다. 중천점과 함께 천궁도에서 가장 중요한 모서리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하우스 분할 체계에서 상승점은 1 하우스, 중천점은 10 하우스의 시작점이다. 상승점이 있는 별자리의 주인 행성은 천궁도의 주인 행성이라 불리며 중요하게 여겨진다. 상승점의 정반대편(서쪽)은 하강점이며 7 하우스의 시작점이다. M.C의 정반대편은 4 하우스의 시작점이며, 천저점 또는 I.C라고 불린다.
천궁도를 그릴 때, 전통적으로 상승점은 차트 원의 왼쪽 "9시 정각" 방향에 위치한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황도의 전체 원은 상승점을 지나가며, 한 번 자전할 때마다 약 1°씩 앞에 있게 된다. 이러한 운동은 출생 시 동쪽 지평선에서 떠오르는 황도대의 별자리인 '상승궁'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지평선에서 가장 멀리 있는 황도의 점은 중천점 또는 ''미디움 코엘리''(medium coeli, M.C.)라고 불리며, "12시 정각 위치"에 해당한다.
3. 2. 모서리 (Angles)
천궁도에는 네 개의 기본 '''모서리'''가 있으며, 힘의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상승점'''(上昇點, ascendant)은 황도와 지평선이 교차하는 가장 동쪽의 점이며 태양이 떠오르는 점이다. 거의 대부분의 점성가들에게 있어서 상승점과 '''중천점'''(中天點, midheaven)은 천궁도에서 가장 중요한 모서리들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하우스 분할 체계에서, 상승점은 1 하우스의 시작점이며, 중천점은 10 하우스의 시작점이다. 상승점이 있는 별자리의 주인 행성은 천궁도의 주인 행성이라 불리며 중요성이 부여된다. 상승점의 정반대편에 있는 서쪽의 점은 '''하강점'''(下降點, descendant)이라 불리며, 보통은 7 하우스의 시작점이다. 그리고, M.C의 정반대편의 점은 4 하우스의 시작점이며, 차트의 가장 북쪽에 있는 점으로 '''천저점'''(天底點)이나 I.C(''imum coeli'')로 불린다.
천궁도를 그릴 때, 전통적으로 상승점은 차트 원의 왼쪽의 "9시 정각"의 방향으로 위치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사각형 차트는 꼭 그러한 관례를 따르지는 않는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일주 운동 동안에, 황도의 전체 원은 상승점을 통해 지나게 될 것이며, 한 번의 자전을 마쳤을 때는 전보다 약 1° 더 앞에 있게 것이다. 그러한 운동은 출생의 순간에 동쪽 지평선에서 떠오르는 황도대의 별자리인 '''상승궁'''이라는 용어를 파생케 한다. 지평선에서 가장 멀리 있는 황도의 점은 중천점 또는 ''미디움 코엘리''(''medium coeli'', M.C.)라고 불리는데, 사실상 "12시 정각의 위치"에 있으며, 만일 출생 시간이 정오라면 태양이 있는 곳이된다.
상승점(ASC)은 일출 시 동쪽 지평선에서 떠오르는 황도 상의 지점으로,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변화한다. 상승점은 점성술 차트 해석에서 매우 중요하며, 탄생 차트의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태양, 달, 행성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한다.
상승점은 탄생 차트에서 에너지의 첫 번째 지점이며, 우리가 삶을 바라보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승점의 별자리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우리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과 일상적인 문제에 대처할 때의 초기 행동을 특징짓는다. 경도는 상승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필요하며, 이는 별자리가 현지 시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3. 3. 황도대 (Zodiac)
우리 관점에서 '''황도대'''(黃道帶, zodiac) 또는 "동물들의 원"은 천구로 투영되는 공간에 있으며, 행성이 이동하는 대(帶) 또는 띠이다. 태양의 중심선으로써의 외견상 경로인 황도는 각각 30도씩의 위도의 (모두 360도인) 12개의 '''별자리'''들로 분할된다. 대부분의 서양 점성가들이 사용하는 '''회귀 황도대'''는 태양이 천구의 적도를 가로지르며 양자리로 진입하는 정확한 순간에 그것의 시작이 있다. 어떤 서양 점성가들은 인도의 ("조티시") 점성가들에게 선호되는 항성 황도대를 사용하는데, 그것은 계절을 기준으로 이동되는 체계인 회귀 황도대와는 반대로 하늘의 실제 별자리의 위치에 꼭 맞게 근거한다.[29]
'''회귀 황도대'''(回歸 黃道帶, tropical zodiac)는 (북반구에서 봄의 첫날인) 춘분점을 양자리의 1도로 규정하지만, '''항성 황도대'''(恒星 黃道帶, sidereal zodiac)는 그것을 세차에 맞춰서 조정한다. 약 26,000년의 주기에 걸쳐서 지구 자전축에서 일어나는 "진동"으로 인하여, 하늘에서 춘분점의 선행하는 비율은 1년에 0도 0분 50.23초씩, 72년마다 1도씩이다. 그러므로, 분점의 세차운동은 6년마다 약 5각분씩의 비율로 일어나게 된다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2년 8월 28일에 태어난 한 사람은 서양 점성술에 따르면 그나 그녀의 태양궁은 처녀자리(전통적으로 매년 8월 23일부터 9월 22일까지)로 여겨지지만, 2002년의 같은 날짜에 태양은 사자자리 성좌에 있었다.(태양은 2002년 8월 10부터 그곳에 있다가 마지막으로 처녀자리와 교차하는 9월 15일까지 머물었다.)[29]
실제 황도대적 성좌는 황도의 정확히 30° 씩은 아닌 가시적인 항성 무리들을 기준으로 천구로 투영된 신화적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는데 반해, 항성 황도대와 회귀 황도대는 모두 각각 30°씩의 기하학적 분할을 따른다. 그렇게 천문학의 별자리와 점성술의 별자리는 같지 않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같은 이름을 지닌다.[30]
몇몇 점성가들은 황도대의 별자리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천궁도의 점성학적 각과 다른 요소들에 더 중점을 둔다.
3. 4. 하우스 (Houses)
천궁도에서 하우스는 황도면을 열두 구간으로 나눈 것이다. 점성가들은 여러 가지 하우스 분할 체계를 고안해왔다. 동분 하우스 체계에서는 황도를 각각 30°씩 열두 개의 동일한 하우스로 나눈다. 첫 번째 하우스는 상승점에서 시작하고, 나머지 하우스들은 상승점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순서가 매겨진다. 따라서 여섯 번째 하우스는 지평선 위에 위치한다. 별자리와 행성은 하루 동안 열두 하우스를 모두 지나며, 행성은 몇 달에서 몇 년에 걸쳐 별자리를 이동한다.
차트는 열두 하우스의 틀로 시작하며, 그 위에 황도대의 별자리가 겹쳐진다. 동분 하우스 체계에서 첫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이 사자자리 12°에 있다면, 두 번째 하우스는 처녀자리 12°에서 시작하고, 세 번째 하우스는 천칭자리 12°에서 시작하는 식이다. 황도와 지평면의 교차 각도를 고려하는 하우스 체계에서는 계산이 더 복잡해진다. 이러한 계산을 위해서는 사건이 일어난 장소의 위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계산을 위한 표가 있지만,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대부분의 점성술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여러 하우스 체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19]
상승점(ASC)은 해가 뜰 때 동쪽 지평선에서 떠오르는 황도상의 지점으로,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변한다. 상승점은 점성술 차트 해석에서 매우 중요한데, 이는 출생 차트의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태양, 달, 행성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진다.
상승점은 출생 차트에서 에너지의 첫 번째 지점이며, 우리가 삶을 바라보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승점의 별자리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우리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과 일상적인 문제에 대처할 때의 초기 행동을 특징짓는다. 경도는 상승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데, 이는 별자리가 현지 시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별자리를 구성한 후, 점성가는 차트를 해석하는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어떤 분야의 별자리 점성술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4. 천궁도의 구조 및 작성 (서양 점성술)
상승점은 점성술 차트에서 매우 중요하며, 출생 차트의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상승점의 별자리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일상 문제 대처 방식 등과 관련이 있다.[18]
4. 1. 작성 과정
점성가가 천궁도를 만들려면 당사자의 출생이나 사건 시작 시점의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나서 그 순간의 (일광 절약 시간제 또는 전시에 조정된) 지역 표준시를 그리니치 평균시나 세계시로 변환한다. 점성가는 상승점과 중천점을 계산할 수 있도록 그 시간을 출생 때의 지방 항성시로 변환한다. 점성가는 (사용되는 점성술 체계에 따라) 북반구의 춘분점이나 항성을 기준으로 하는 특정 연도와 날짜 그리고 항성시의 태양과 달 그리고 행성의 위치가 수록되어 있는 '''천체력'''(天體曆, ephemeris)이라 불리는 일련의 표를 참조하기도 한다. 그리고 나서, 점성가는 출생 장소의 실제 지방평균시(LMT)를 정하기 위해서 그리니치의 경도와 해당 위치의 경도 차이를 더하거나 뺀다. 그렇게 만들어진 정확한 시간과 좌표에 근거하여 천궁도가 생성되며, 지평선 위의 행성은 물론 아래의 행성도 표시된다.
천궁도는 황도의 원으로 된 상승점이나 상승궁이 있는 동쪽 지평선에서 시작하는 12 구간이 특징을 이룬다. 그러한 12 구간은 하우스라고 불리는데, 그러한 분할에 대해서는 수많은 체계가 있다. 19세기부터 출판되어오고 있는 하우스표를 참조하는 것도 하우스 분할의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4. 2. 점성술적 요소
천궁도는 특정 위치와 특정 장소에 해당하는 양식화된 천체도이다. 대부분 지구 중심적 관점(지구중심설)을 따른다. 차트에는 태양과 달을 포함한 실제 행성들뿐만 아니라, 하우스의 시작선과 달의 교점, 황도대 별자리, 항성, 그리고 가상점과 같이 순전히 계산에 의한 요소들도 표시된다. 일반적으로는 각이라 불리는 행성과 다른 객체 간의 각도 관계 역시 그려진다.[16] 그러한 요소들의 주안점과 해석은 전통에 따라 다르다.
하우스 안에서 별자리의 상대적 위치가 정립되었다면, 점성가는 태양과 달 그리고 행성을 그것들의 천구 경도에 따라 배치한다. 몇몇 점성가들은 항성과 왜행성, 소행성(예를 들면, 키론) 그리고 꼭짓점이나 적도의 상승점과 같은 수학적으로 계산된 점 등에도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점성가들은 '''아랍의 가상점'''(阿拉伯 假想點, Arabic parts)를 참조하는데, 행운의 가상점(Pars Fortunae)이 가장 일반적이다.
점성가는 천궁도의 생성을 완료하기 위해서 행성들 사이의 각 또는 상대적 각도를 고려해야 한다. 더 정확한 각은 더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정확한 각과 실제적 각의 차이는 범위(範圍, orb)라고 불린다. 점성술 공동체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각들은 다음과 같다.
각 | 설명 |
---|---|
합(合, conjunction, 0°) | 두 행성이 같은 위치에 있는 것 |
충(衝, opposition, 180°) | 두 행성이 정반대에 있는 것 |
사분위각(四分位角, square, 90°) | 두 행성이 90° 각도를 이루는 것 |
삼분위각(三分位角, trine, 120°) | 두 행성이 120° 각도를 이루는 것 |
육분위각(六分位角, sextile, 60°) | 두 행성이 60° 각도를 이루는 것 |
팔분위각(八分位角, semi-square, SSq, 45°) | 두 행성이 45° 각도를 이루는 것 |
삼배팔분위각(三倍八分位角, sesquiquadrate, 135°) | 두 행성이 135° 각도를 이루는 것 |
오엽각(五葉角, quincunx, 150°) | 두 행성이 150° 각도를 이루는 것 |
이 각들도 역시 더 정확할수록 더 중요하지만, 그것들은 각각의 각의 중요성에 따라 다른 효과의 '''범위''' 내에서 기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합에는 육분위각보다 더 큰 범위가 허용된다. 대부분의 현대 점성가들은 태양, 달 그리고 목성을 포함하는 각에는 8° 이하의 범위를 그리고 그 외에는 더 작은 범위를 사용한다. 우주 생명 상관론과 우라니아 점성술의 실천가들과 같은 몇몇 점성가들은 보조각(15°, 22.5°, 67.5°, 72°, 75°, 105°, 112.5°, 157.5°, 165°)을 훨씬 좁은 범위로 적용해서 사용한다.
천궁도를 만들 때 상승점은 전통적으로 차트 휠의 왼쪽 측면 "9시" 위치에 놓인다. 하루 동안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황도의 전체 원이 상승점을 통과하며 약 1° 전진한다. 점성술 차트에서 상승점은 약 두 시간마다 황도대 별자리를 전진하고 변경되며(약간의 차이 있음), 약 5분마다 1도씩 전진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에게 출생 시 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황도대 별자리인 "상승" 별자리라는 용어를 제공한다.
황도대는 우리 관점에서 행성이 움직이는 공간의 구역 또는 벨트이며, 이는 천구에 투영된다. 약 16도 너비의 상징적인 기하학적 구조로, 12개의 별자리로 나뉘며, 각 별자리는 경도 30도(총 360도, 완전한 원을 이룸)를 가지며, 태양의 겉보기 경로인 황도가 그 중심선이다.[16]
항성 별자리와 열대 별자리는 모두 각각 30°의 기하학적 관례인 반면, 황도대 별자리는 가시적인 별 무리의 패턴을 기반으로 천구에 투영된 신화적 인물의 그림 표현이며, 그 중 어느 것도 황도의 정확히 30°를 차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별자리와 별자리는 동일하지 않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동일한 이름을 가질 수 있다.[18]
5. 중국 점성술
중국 점성술에서 천궁도는 육십갑자에 따라 각각의 해에 해당되는 원소와 동물 체계로 된 중국 황도대 상징화의 근거가 된다. 하지만, 한 사람이 태어난 해에 해당되는 성격과 그러한 체계의 천궁도는 정확한 예측을 기대하기 보다는 재미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31] 중국 점성술의 천궁도는 종종 신문, 잡지, 포털 사이트에서 점성술 기고란에 게재되는데, 서양의 천궁도는 일반적으로 태양궁 점성술로써 "별자리 운세"로, 중국 천궁도는 목성궁 점성술로써 "띠별 운세"로 해석된다.
6. 비판
역사적으로나 오늘날에도 별자리와 십이궁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다. 유명인부터 일반 대중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점성술을 믿고 따르지만, 점성술은 과학적 증거에 근거하지 않은 유사과학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20]
6. 1. 과학적 비판
점성술은 지지자들도 있지만, 과학계에서는 거부되었다. 일부 별자리는 별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예언을 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별은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지만, 지구 자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더욱이 점성술에서 제공하는 답변 중 과학에 기반한 것은 없다. 미국의 천문학자에 따르면, 사람들이 별자리에 의존하는 이유는 "자기 선택 편향"이라는 심리적 현상으로 설명되는데, 이는 사람들이 이미 사실이라고 믿고 싶은 것에 대한 해석이나 확인을 찾으려는 경향을 말한다.[24] 따라서 점성술이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인간의 두뇌가 패턴을 찾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기 때문이며, 실제로 패턴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그렇게 한다. 많은 점성술 실무자들은 점성술이 과학이라고 주장하지만, 많은 시험과 실험에도 불구하고 점성술의 효과와 과학적 증거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점성술은 검증 가능한 메커니즘이 없으며, 점성술사들은 그 과정에서 어떤 종류의 과학적 방법론도 따르지 않으므로 과학으로 분류될 수 없다.[25]6. 2. 심리학적 비판
천궁도 또는 십이궁도는 종종 개인의 성격 특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천궁도를 사용하여 성격을 예측하는 것은 타당하거나 신뢰할 수 없다. 십이궁도의 성격 예측 신뢰성을 테스트하는 이중 맹검 연구에서 점성가는 개인의 십이궁도 별자리를 그들의 CPI(캘리포니아 심리 검사) 결과와 일치시켜야 했다. CPI는 개인의 성격을 결정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다.[20] 점성가들이 우연 배정을 넘어서 십이궁도 별자리를 CPI 결과와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21] 이는 점성술이 단순한 우연의 시험에 불과하며 성격을 예측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님을 의미한다.마찬가지로, 십이궁도는 개인의 삶에서 일어날 사건을 예측하는 운세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십이궁도를 성격 특성에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운세에 사용하는 것 또한 신뢰할 수 없다. 한 점성가의 운세 예측은 일반적으로 다른 점성가의 예측과 완전히 관련이 없다.[22]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자신의 운세가 자신의 삶의 사건과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믿는다. 이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이 있다. 운세는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며 일반적인 일상 활동을 기반으로 한다.[22] 이 때문에 사람들이 이러한 주장에 공감하고 그것이 실제 과학이라는 믿음을 높이기가 더 쉽다. 또한, 개인의 기대는 일반적으로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을 편향시키므로 자신의 기대를 확인하게 된다. 한 연구에서 참가자의 운세는 그들의 전날 사건과 짝을 이루었다. 운세가 참가자의 십이궁도 별자리와 함께 제시되었을 때, 다른 참가자들은 십이궁도 별자리가 없을 때보다 운세가 전날 사건과 일치한다고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23] 이는 개인이 자신의 기대에 따라 인식을 어떻게 편향시키는지 보여준다. 이것은 운세가 유효하지 않으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6. 3. 기독교적 비판
기독교에서는 성경의 신명기 4:19, 신명기 18:10-12, 이사야 47:13-14를 인용하며, 일반적으로 별자리를 사용하거나 점성술을 실천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26] 복음 전도사이자 목사인 빌리 그레이엄은 "하나님은 별(우주의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을 만드셨지만, 그 별은 우리를 인도하거나 미래를 예언하는 수단이 아니라, 그의 권능과 영광을 증거하기 위한 것이었다."라고 말했다.[27]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Horoscope?
https://astrosapient[...]
2024-10-21
[2]
서적
Esotericism and the Academy: Rejected Knowledge in Western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1-26
[2]
간행물
Astrology
https://www.encyclop[...]
Thomson/Gale
2003
[2]
기타
Thagard
1978
[3]
웹사이트
Why are horoscopes and media a match?
https://www.cjr.org/[...]
2016-03-03
[4]
웹사이트
How Horoscopes Work
http://people.howstu[...]
2005-01-29
[5]
논문
Why Astrology is a Pseudoscience
https://www.uio.no/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간행물
Astrology
https://www.britanni[...]
2022-06-23
[7]
간행물
Science and Pseudo-Science
http://plato.stanfor[...]
2012-07-06
[8]
웹사이트
Astronomical Pseudo-Science: A Skeptic's Resource List
http://www.astrosoci[...]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15-12-06
[9]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date of birth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general intelligence: A large-scale study
2006-05
[10]
서적
Proceedings of the Biennial Meeting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Association, vol. 1
http://www.cavehill.[...]
Reidel u.a.
2015-12-06
[11]
서적
Cosmic Perspectives: Essays Dedicated to the Memory of M.K.V. Bappu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논문
A double-blind test of astrology
http://muller.lbl.go[...]
[13]
논문
Astronomy and astrology
https://zenodo.org/r[...]
2019-09-12
[14]
기타
Assem, L. van (1993). The astrologer’s philosophy of life. Correlation, 12(1), p.52-54.
[14]
기타
Cornelius, G. (1994). The Moment of Astrology. Penguin Books, Arkana.
[14]
기타
Dean, G. (1985). Can astrology predict E and N? Correlation, 5(2), p.2-24.
[14]
기타
Dean, G. (1987). Does astrology need to be true? Skeptical Inquirer, 11(2), p.166-184.
[14]
기타
Dean, G. & Mather, A. (1994). Is the scientific approach relevant to astrology? Correlation, 13(1), p.11-18.
[14]
기타
Nienhuys, J.W. (1991). Astrologie faalt in Indiana. Skepter, 4(2), p.26-27.
[15]
서적
Tetrabiblos
[16]
웹사이트
zodiac
https://en.oxforddic[...]
2017-09-19
[17]
논문
Babylonian Horoscopes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88
[18]
웹사이트
Astrology on the Web: Stars and Signs
http://www.astrology[...]
2011-10-11
[19]
문서
The Modern Text-Book of Astrology
L. N. Fowler & Co.
1978
[20]
웹사이트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CPI) 434 Personality Test
https://www.psychome[...]
2023-06-03
[21]
논문
Double-blind test of astrology.
https://escholarship[...]
2020-05-21
[22]
논문
Popular horoscopes and the "barnum effect"
1983
[23]
논문
Using daily horoscopes to demonstrate expectancy confirmation.
2000
[24]
서적
Microeconometrics
Palgrave Macmillan UK
[25]
웹사이트
Where do Zodiac Signs Come From? Here's the True History Behind Your Horoscope
https://time.com/531[...]
2018-06-21
[26]
웹사이트
Addressing astrology and horoscopes
https://wels.net/faq[...]
2020-10-16
[27]
웹사이트
Billy Graham: Yes, God created the stars, but not as a means to predict the future
https://www.kansasci[...]
2020-10-16
[28]
Youtube
How Horoscopes Work
http://people.howstu[...]
[29]
웹인용
Yahoo! GeoCities
http://www.geocities[...]
2009-10-25
[30]
Youtube
Stars and Signs, by Kevin Burk
http://www.astrology[...]
[31]
Youtube
Chinese Culture Center: Chinese Zodiac Page
http://www.c-c-c.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