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룡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룡포는 군주, 태자, 친왕 등이 평상시에 입었던 단령의 일종으로, 고려, 조선, 대한제국에서 사용되었다. 곤룡포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색깔, 허리띠 재료, 흉배의 종류가 달랐으며, 붉은색은 군주, 아청색은 왕세자와 왕세손이 사용했다. 곤룡포는 중국에서 유래되어 한국, 베트남, 류큐 등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각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변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주 - 왕위 계승 방식
왕위 계승 방식은 국가 통치자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역사적으로 혈연, 정치적 역량, 법, 종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세습이 불평등을 야기하여 개선 노력이 필요합니다. - 베트남의 의상 - 아오자이
아오자이는 베트남의 전통 의상으로, 긴 셔츠를 의미하며 바지와 함께 입고 목에서 무릎까지 덮는 형태를 가지며, 현대에는 베트남 여성의 아름다움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옷이다. - 베트남의 의상 - 흉배
흉배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관리의 품계를 나타내기 위해 관복에 부착하던 장식으로, 문관은 새, 무관은 동물을 수놓아 품계를 나타냈으며 시대와 나라에 따라 디자인과 문양에 차이가 있었다. - 중국의 의상 - 한푸
한푸는 중국 전통 의상으로, 4천 년의 역사를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시대별로 다양한 스타일과 문화적 영향을 받아 변화해 왔다. - 중국의 의상 - 치파오
치파오는 만주족 기마복에서 유래되어 서양 의복의 영향을 받아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한 중국 여성의 대표적인 전통 의상으로, 몸에 꼭 맞는 실루엣과 옆트임이 특징이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해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중국 문화를 상징하는 의상으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고 있다.
곤룡포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예복 |
용도 | 황제, 황태자, 친왕, 군왕 등의 주요 행사 복장 |
착용 시기 | 중요한 의식, 축제, 종교 의례 |
문화권 | 동아시아 |
다른 이름 | 용의(龍衣) 황포(黃袍) 궁포(袞袍) |
명칭 | |
중국어 (병음) | Gǔn lóngpáo (군 롱파오) |
한국어 (한글) | 곤룡포 (衮龍袍) |
베트남어 | Long bào (롱 바오) |
한국어 (한자) | 衮龍袍 |
한국어 (로마자 표기) | Gollyongpo |
디자인 및 상징 | |
특징 | 용 무늬, 황색, 12장문 |
상징 | 권력, 권위, 행운 |
역사 | |
기원 | 수나라와 당나라 |
발전 | 송나라를 거쳐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에서 확립 |
영향 | 베트남, 대한민국 |
관련 용어 | |
보(補) | 계급장 |
익선관 | 조선시대 왕의 정복 |
2. 역사
곤룡포는 고려, 조선, 대한제국 시대에 군주, 태자, 친왕이 평상시에 입었던 옷으로 단령의 일종이다. 시대와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색깔, 허리띠 재료, 흉배의 종류에 차이가 있었다.
곤룡포는 중국에서 유래되었는데, 581년 수나라 수 문제가 처음으로 황룡포를 입었다고 전해진다. 《독통감론》(讀通鑑論)에 따르면 수나라 황제가 황제의 옷의 존귀함을 나타내기 위해 황색으로 정하여 영원한 제도로 삼았다고 한다. 당나라 고조 무덕 연간(618∼626)에는 황실 외에는 황색 복장 착용을 금지했다.
명나라 황제의 용포는 앞면 3개, 뒷면 3개, 총 6개의 보가 달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청나라 황제의 용포는 명황색(明黃色) 바탕에 목둘레와 소매는 석청색(石青色)을 사용하고 금테를 둘렀으며, 아홉 마리의 용을 수놓았는데 그중 한 마리는 옷자락 안쪽에 있었다.
베트남에서도 곤룡포를 롱바오(Long Bào)라고 하여 후 레 왕조 부흥기부터 착용하였다.
2. 1. 한국
고려와 조선, 대한제국 시대에 군주, 태자, 친왕이 평상시에 입었던 평상복으로 단령의 일종이다. 고려는 담황색 용포인 황룡포를 입었고, 조선 태조 이성계는 청색 용포인 청룡포를 입다가 다홍색 용포인 홍룡포를 입었고, 대한제국은 황룡포를 입었다.[41]조선의 곤룡포 재질은 겨울에는 붉은색 비단으로, 여름에는 얇은 비단인 사(紗)로 만들었다. 붉은색은 강한 생명력을 뜻하는 의미였다. 곤룡포를 입을 때는 익선관을 쓰고 허리에 옥대를 매었으며, 목화(木靴)를 신었다.[41]
곤룡포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그 색깔과 허리띠의 재료, 흉배(胸背)의 종류에 차등이 있었다. 군주는 다홍색을, 왕세자와 왕세손은 아청색(鴉靑, 검은빛을 띤 푸른빛)을 사용하였다. 허리띠도 옥대와 수정대의 구분이 있었고, 흉배는 용무늬를 사용하였는데 군주는 발가락이 5개인 원형의 오조룡보(五爪龍補)를, 왕세자는 발가락이 4개인 원형의 사조룡보(四爪龍補)를, 왕세손은 발가락이 3개인 사각형의 삼조룡보(三爪龍補)를 사용하였다.[41]
신라와 발해는 왕족과 정부 관료를 위한 공식 복장으로 남북국 시대에 중국 당나라에서 처음으로 둥근 칼라의 옷인 '달령(dallyeong)'을 채택했다.
고려사에 따르면, 1043년부터 송, 요, 금 황제는 고려에 황제의 의복을 하사했다.[5] 고려의 왕들은 처음에는 중국과 비슷한 의복 스타일을 공유하며 노란 용포를 사용했다.[32] 1043년, 고려 왕은 신하들에게 금, 봉황으로 수놓거나 자수한 용포를 입는 것을 금지했다.[5]
고려가 중국의 원나라(1271–1368 AD)에 복속된 후, 고려 왕, 왕실, 정부는 여러 칭호와 특권이 깎여 원나라 황제와 동등한 지위를 더 이상 갖지 못하게 되었다.[33] 고려 왕들은 스스로 왕국의 전통적인 황제 지위에서 속국의 낮은 지위의 왕으로 강등되었고;[33][34] 원나라 황제를 위해 비축된 노란 용포를 입는 것이 금지되었다.[32] 당시 그들은 노란색 대신 자주색 용포를 입어야 했다.[32] 당시 고려 왕들은 때때로 몽골 복장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몇몇 몽골 의복 요소가 고려 의복에 채택되었다.[32] 1368년 원나라가 멸망한 후, 고려 통치자들은 마침내 이전 원나라 이전의 지위를 되찾을 기회를 얻었다.[34] 그러나 고려는 곧 1392년에 조선에 의해 대체되었다.
조선은 다시 중국의 명나라에서 유래된 스타일을 채택했는데, 당시 중국에서는 '황룡포' (한글: 황룡포; 한자: 黃龍袍)로 알려졌으며, '곤룡포'로 불렸다. 1444년 세종 재위 기간에 명나라에서 처음 도입되었다.[35] 조선은 이념적으로 중국의 명나라에 조공국으로 복속되었고, 따라서 두 단계 낮은 의복을 착용하는 중국의 정책에 따라 붉은색 곤룡포가 사용되었다.[36] 붉은색 곤룡포는 황제를 상징하는 노란색과 왕을 상징하는 붉은색을 사용하여 용포에 노란색 대신 사용되었다.[36] 명나라가 멸망한 후, 이 옷은 고유한 한국 스타일을 디자인에 통합하여 한국의 관습이 되었다.[35] 고종이 1897년 황제를 칭했을 때 비로소 곤룡포의 색깔이 중국 황제와 같은 색이 되도록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었다.[35] 고종과 순종만이 노란색 곤룡포를 입을 수 있었다.[36]

일반적으로 '곤룡포'에는 원 안에 용이 수놓아져 있었다. 왕이나 왕족이 '곤룡포'를 입을 때는 익선관(翼善冠)(일종의 모자), 옥대, 목화(木靴) 신발도 착용했다. '곤룡포' 아래에는 한복을 입었다. 겨울에는 붉은색 비단을 사용했고, 여름에는 거즈를 사용했다. 붉은색은 강한 생명력을 나타냈다.[37]
'곤룡포'는 색깔과 허리띠 재료에 따라 등급이 다르며, 착용자의 지위를 반영하는 흉배가 있다. 왕은 주홍색 '곤룡포'를 입었고, 세자와 세손은 짙은 파란색을 입었다. 허리띠는 옥과 수정 두 종류로 나뉘었다. 흉배의 원형, 자수 용 문양은 왕은 다섯 발가락의 용인 '오조룡보'(五爪龍補)를 입었고, 세자는 네 발가락의 용인 '사조룡보'(四爪龍補)를 입었으며, 세손은 세 발가락의 용인 '삼조룡보'(三爪龍補)를 입었다.[37]
2. 2. 중국
수문제가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황룡포를 입은 황제이다. 《독통감론》(讀通鑑論)에 따르면 581년(개황 원년) 수나라 황제가 황포를 입었고 황제의 옷의 존귀함을 나타내기 위해 황색으로 정하여 영원한 제도로 삼았다고 한다.당고조 무덕 연간(武德: 618∼626)에는 신하와 백성들에게 황색 복장을 입는 것을 금지하였고 황포는 오직 황실에서만 입었다.
명나라 황제의 용포는 특이하게 보가 앞면 3개, 뒷면 3개로 총 6개가 달려있다.
청나라 황제의 용포는 명황색(明黃色)으로 목둘레와 소매는 석청색(石青色)을 사용했고 금으로 테두리를 둘렀다. 용포 위에는 자수로 아홉 마리의 용을 넣었는데 그중 한 마리의 용은 옷자락 이면에 있다.


황제의 의복에 용 문양을 사용한 초창기 사례는 상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의복에 착용할 수 있는 십이장(용 포함)의 수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9][3] 의복에 십이장을 사용하는 것은 서기 59년 후한 명제 재위 기간에 다시 명시되었다.[3]
원령산을 바탕으로 곤룡포는 처음 당나라(618–906 CE)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당나라 통치자와 고위 관리들이 사용했다.[10][11] 원형 칼라 로브에는 황제의 권력을 상징하기 위해 용이 장식되었다.[4][15][12] 694년 측천무후의 통치 기간 동안 그녀는 (꼬인[5]) 용이 세 개의 발톱을 가진 로브를 3품 이상의 고위 관료(궁정 관리와 제후)에게 수여했을 것이라고 기록되었다.[4][12] 곤룡포는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황제로부터 곤룡포를 하사받는 것은 큰 영광이었다.[4] 이러한 관행은 송나라까지 계속되었다.[11]
송나라는 결국 용을 황제의 상징으로 만들었다.[7] 송나라 황제의 의상(통천관부 등)에도 용이 장식 패턴으로 사용되었다.[13]
1111년, 황제의 모든 신하들이 용 문양을 착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이 내려져 용포 착용은 황제와 황후만의 특권이 되었으며, 특별한 은총의 상징으로 하사받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금지되었다.[5]
당나라와 송나라의 예술에서 용은 종종 세 개의 발톱과 위로 굽은 뿔로 묘사된다.[5]
요나라와 여진족이 이끄는 금나라의 통치자들은 모두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곤룡포에 용 문양을 사용했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곤룡포 유물은 요나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12][3] 요나라와 금나라는 모두 송나라 양식의 용 문양으로 장식된 황제 의복을 채택했다.[5]
서하의 통치자들 또한 곤룡포와 허리띠를 착용했는데, 이는 용 문양이 장식된 둥근 칼라의 예복이었다.[12][14]
원나라는 용포를 궁정 복식의 문장으로 사용하는 것을 처음으로 법제화했다.[15] 원나라 황실은 구름 속에서 불타는 구슬을 쫓는 다섯 발톱의 용을 사용했다.[12] 다섯 발톱을 가진 큰 용은 황제의 의복을 특징짓는 요소가 되었으며, 세 발톱을 가진 작은 용은 일반적인 경우에 사용되었다.[3] 원나라에서 용포를 사용한 결과, 이후의 명나라 황제들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용포를 멀리했다.[15]
명나라 이후, 중국 용은 다섯 개의 발톱을 갖게 되었다.[3] 그러나 오직 왕족만이 다섯 발톱을 가진 용을 입을 수 있었고, 명예로운 관료들은 용과 비슷한 생물이 그려진 옷을 입는 특권을 부여받을 수 있었는데, 이는 망푸(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과 같은 생물), 비이푸(비어, "나는 물고기", 네 개의 발톱, 몸통에 지느러미 모양의 날개, 물고기 모양의 꼬리를 가진 생물) 그리고 도우니우(두우; 3개 또는 4개의 발톱을 가질 수 있는 생물; 물소 같은 뿔) 등이 있었다.[4][16] 망푸, 비이 그리고 도우니우 옷은 명나라 조정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되었다.[4]
명나라 초기, 명나라 조정은 그들만의 용포를 위해 원나라의 장식 도안을 유지했다. 그러나 명나라 디자이너들은 또한 원나라의 용포를 수정하고 "장식된 가장자리의 하단에 바위에 부딪히는 파도"를 추가하여 개인화했다.[12] 명나라의 용포는 옷의 등과 가슴 부위에 큰 용이 있었고, 치마와 넓은 소매에 수평으로 배치된 용들이 있었다.[17]
- -|]]
- -|]]
- -|]]
- -|]]
청나라 시대에는 롱파오(곤룡포)는 황제, 황후, 그리고 황태자의 의복만을 지칭할 수 있었다. 롱파오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지위에 따라 다섯 발톱 용과 12개의 길상 문양으로 장식되었다.[18] 청나라에는 중국 용으로 장식된 다양한 종류의 예복이 있었다. 여기에는 지푸(吉服, "길상복"으로 특별하고 중요한 행사에 착용하는 반례복),[19] 차오푸(朝服, "조복"이라는 뜻으로 청나라 궁정의 가장 격식을 갖춘 예복),[20] 그리고 창푸가 포함되었다.
청나라는 명나라의 용포를 계승했다.[12] 초기 만주족은 원래 자체적으로 직물을 짜지 않았고, 만주족은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거나 교역을 할 때 명나라의 용포와 천을 얻어야 했다.[17] 1636년, 만주족이 마련한 복식 규정은 황제와 1급 친왕이 다섯 발톱 용이 새겨진 황색 예복을 입는 것을 허용했다.[7]
홍타이지 시대에 청나라의 첫 번째 황제는 한족의 의복만 입는 것을 원치 않았고, 의복을 포함하여 만주족의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했다.[12][17] 그는 또한 십이장(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십이장)의 사용을 거부했는데, 이 문양은 이전 중국 황제들의 의례복과 제례복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주나라부터 시작되었다.[12] 따라서 명나라의 용포는 매와 사냥, 말타기, 궁술에 적합하도록 소매와 허리를 좁히고 치마에 트임을 넣어 수정되었다.[21][17] 명나라의 용포는 넓은 소매와 허리 대신 소매와 허리를 좁게 만들고 소매에 새로운 좁은 커프스를 추가하여 만주족의 취향에 맞게 단순히 수정되고 변경되었다.[17][22] 새로운 커프스는 모피로 만들어졌다. 예복의 재킷 허리에는 허리에 헝겊 조각을 덧대고 예복의 치마 상단을 주름지게 하여 허리를 조였다.[17] 만주족은 명나라의 용포에 담비 모피 치마, 커프스, 칼라를 추가하고 그 위에 담비 모피로 장식하여 착용했다.[23]
17세기 말에 청나라 조정은 명나라의 용포를 재설계하기로 결정했고, 18세기 초부터 청나라 조정은 9마리의 용이 있는 용포를 제정했다. 4마리의 용은 가슴, 등, 어깨의 목에서 뻗어 나와 사방을 상징하고, 4마리의 용은 치마에 있으며(각각 뒤쪽에 2마리, 치마 앞쪽에 2마리), 마지막 용(9번째)은 예복의 안쪽 덮개에 숨겨져 있었다.[12]
1730년대에 건륭제는 해와 달의 상징을 착용하기 시작했는데, 둘 다 십이장(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십이장)의 일부였다.[12]
''황조례기도식''의 칙령을 통해, 아이러니하게도 청나라 초대 황제에 의해 처음 거부되었던 모든 십이장은 결국 1759년에 황제의 용포에 추가되었다.[12] ''황조례기도식''에 따르면, 건륭제의 겨울 조참례복은 밝은 노란색이었고, 12개의 상징으로 장식되었으며, 소매와 칼라에는 녹색의 바다 용이 장식되었고, 치마에는 5마리의 움직이는 용이 있었으며, 옷깃에는 1마리의 용이, 주름에는 9마리의 용이 있었다. 치마에는 2마리의 용과 4마리의 움직이는 용이 있었고 넓은 칼라에는 2마리의 움직이는 용이 있었고 각 소매 커프스에는 1마리의 용이 있었다.[17] 1759년의 칙령에서 다섯 발톱 용의 사용은 황실 가족(황제, 황제의 아들, 1급 및 2급 친왕)에게만 제한되었다.[7] 명황색(밝은 노란색) 용포는 황제와 황후만 착용할 수 있었고, 청나라 황제의 아들은 황태자를 위한 "살구색", 황자 및 황족을 위한 "금색"과 같은 다른 색상의 노란색을 착용할 수 있었으며, 다른 황제의 부인과 기타 왕자 및 아이신 교로 씨족의 구성원은 파란색 또는 청흑색 예복을 입어야 했다.[7][24]

스펜서 미술관에는 청나라 한족 귀족들이 소유했던 6개의 곤룡포가 있다.[25] 관료와 한족 귀족은 치마에 두 개의 트임을, 만주족 귀족과 황실 가족은 치마에 4개의 트임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1, 2, 3품 관료(한족 및 만주족 귀족 포함)는 청나라 《1759년 도례》에 따라 9마리의 용을 사용할 수 있었다.[25] 청나라 사치 금지법은 관료, 한족 귀족, 만주족 귀족에게 네 발톱 용(망)만을 허용했고, 청나라 황실 가족, 황제, 2등급 이하의 황족과 그들의 여성 가족은 다섯 발톱 용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관료들은 항상 이 법을 위반하여 다섯 발톱 용을 착용했으며, 스펜서 미술관의 한족 귀족이 착용한 6개의 곤룡포에는 다섯 발톱 용이 새겨져 있다.[25]
청나라 의복 발달에 대한 오해로, 청나라 의복은 만주족의 사냥 조상들이 입었던 가죽 옷에서 유래했다는 오해가 있었다. 이는 명나라 의복의 일자형 천의 형태와 청나라 곤룡포(龍袍)와 조복(朝服)의 특이한 모양의 조각들 간의 대조에서 비롯되었다.[25] 서양 학자들은 초기 만주족 통치자들이 그들의 전통과 의복을 유지하는 데 힘썼다는 여러 칙령을 썼기 때문에 이러한 의복이 순전히 만주족의 것이라고 잘못 추정했다.[25] 청나라의 사복인 곤룡포는 원나라 의복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는 반면, 청나라의 예복인 조복은 명나라의 조복과 유사한 의복과 유사점을 공유한다. 명나라는 송나라, 당나라, 한나라와 같은 이전 한족 왕조의 의복을 의식적으로 모방했다.[25]
한족의 궁정 의상 또한 만주족에 의해 수정되었는데, 대례복의 큰 칼라(大領) 또는 숄 칼라(피견령)가 추가되었다.[26]
청나라의 조복(c=朝服|p=chaofu중국어)에 나타나는 만주족 요소는 몸에 꼭 맞는 소매와 말굽 모양의 커프스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추운 날씨에 사냥을 할 때 입었던 만주족 의상의 흔적이다.[27] 조복의 첫 번째 원형은 실제로 몽골 털릭이었으며, 원나라의 몽골 털릭은 그 후의 명나라와 청나라에서 각기 고유한 특성을 개발하며 계속 발전했다.[28] 그러나 청나라 조복은 한족 궁정복을 만주족이 개조한 것이기도 하며, 의복의 개조는 1759년에 공식화되었다.[27]
명나라 묘(만력제의 묘 등)에서 조복과 유사한 옷이 발굴되었으며, 청나라 조복이 구조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옷에는 용과 같은 생물이 수 놓아져 있거나 직조되어 있었지만, 별개의 의복인 롱파오 용포와는 다르다.[25] 용 모양의 생물이 있기 때문에, 발굴 보고서에서는 이 의복을 "용포"라고 부르지만, 그 후 청나라에서 발견된 롱파오와는 다르다.[25]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은 오른쪽으로 여미는 플레어 또는 주름 치마와 꼭 맞는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용포는 북경, 산서, 강서, 강소, 산동의 명나라 관리와 명나라 황족 묘에서 발견되었다.[25] 몸통의 일체형 상단 소매에 다른 천을 부착하는 소매 연장(즉, 소매 연장)을 사용하는 이전 명나라 조복과 유사하게, 후기 청나라 조복도 동일한 특징을 공유한다.[25]
명나라 건국 이후, 명나라 통치자들은 의식적으로 의복을 송나라, 당나라, 한나라와 같은 이전 한족 왕조의 의복을 본떴다.[25] 이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은 구조 측면에서(예: 엇깃[25]) 도다이지 사의 쇼소인 보관에서 발견된 당나라 반비와 유사하지만 장식 측면에서는 그렇지 않다. 그러나 몇 가지 특징에서 서로 다르기도 하다. 청나라 조복은 또한 당나라 반비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당나라 반비는 또한 반비의 ''란''(몸통에 부착된 치마의 형태)과 몸통에 서로 다른 패턴의 서로 다른 직물을 사용한다.[25]
또한, 한나라와 진나라 (266–420) 시대의 잉반에 있는 묘, 신장의 남쪽 톈산 산맥에는 청나라 롱파오와 당나라 반비와 유사한 옷이 있다. 따라서 발굴된 묘의 증거는 청나라 조복으로 이어진 중국의 오랜 의복 전통이 있었으며, 청나라의 만주족이나 원나라의 몽골족이 발명하거나 도입한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청나라 조복이 유래된 명나라 의복은 초상화나 공식 그림에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묘에 묻힐 정도로 높은 지위로 여겨졌다. 어떤 경우에는 청나라는 중국 고전을 연구한 후 천명(天命)을 주장하기 위해 고대 중국 의례를 부활시켜 정통성을 과시하기 위해 명나라보다 더 나아갔다. 청나라 제사 의례 용기는 명나라 용기보다 고대 중국 용기와 더욱 유사하다.[29]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과 같은 아무르강의 퉁구스족은 중국 용이 새겨진 의례복, 두루마리 및 나선형 새와 괴물 가면 디자인, 중국 설날, 비단과 면 사용, 철 냄비, 중국에서 유입된 난방 주택 등 종교와 의복에 중국의 영향을 받아들였다.[30]
청나라 조복은 공식 초상화에 나타나는 반면, 그들이 유래한 이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은 그렇지 않다. 아마도 명나라 관리와 황족이 명나라 묘에는 나타나지만 초상화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공식 예복 아래에 조복을 입었을 것으로 보인다.[25]
청나라의 곤룡포는 산둥성 위안나라 이요안 무덤에서 발견된 예복과 같이 위안나라 의복과 유사하다.[25] 위안나라 예복은 자락이 넓게 퍼졌고, 팔과 몸통 주위는 꽉 조였다. 청나라 비공식 의복인 곤룡포는 위안나라 의복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는 반면, 청나라 공식 의복인 조복은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에서 유래되었다.
2. 3. 베트남
베트남에서 곤룡포는 롱바오(Long Bào)라고 불린다. 후 레 왕조 부흥기부터 베트남에서 착용되었으며, 판 휘 추는 《역조헌장 loại chí(Lịch triều hiến chương loại chí)》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38]《위빙 어 렐름(Weaving a Realm)》에 따르면, 레 왕조의 롱 바오 유물은 후 레 왕조 부흥기 레 주 통 황제의 장례복이 유일하다. 그러나 이 옷의 용 문양은 이미 "용-구름 [龍雲大會]" 스타일, 즉 명나라 말기의 일반적인 스타일을 따르고 있었다. 이 시대에는 용 문양이 가슴과 등에는 매우 크게, 어깨에는 작게 디자인되었으며, 구름과 불 문양이 옷 전체에 있었다. 이 패턴 스타일이 명나라 초기가 아닌 명나라 말기에 더 가까웠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레 주 통의 옷 패턴은 후 레 왕조 부흥기 시대에만 특정한 반면, 초기 레 왕조는 용 만다라 스타일을 따랐을 가능성이 있다.[38] 응우옌 왕조 황제들이 착용하는 평상복이다.


3. 문화적 의의
곤룡포는 고려, 조선, 대한제국 시대에 군주, 태자, 친왕이 평상시에 입었던 단령의 일종이다. 곤룡포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색깔, 허리띠의 재료, 흉배의 종류에 차등이 있었다.[41]
곤룡포의 색은 군주는 다홍색, 왕세자와 왕세손은 아청색(鴉靑色, 검은빛을 띤 푸른빛)을 사용하였다. 허리띠는 옥대와 수정대로 구분되었고, 흉배는 용무늬를 사용하였는데, 군주는 발가락이 5개인 원형의 오조룡보(五爪龍補), 왕세자는 발가락이 4개인 원형의 사조룡보(四爪龍補), 왕세손은 발가락이 3개인 사각형의 삼조룡보(三爪龍補)를 사용하였다.[41]
조선시대 곤룡포는 겨울에는 붉은색 비단으로, 여름에는 얇은 비단인 사(紗)로 만들었다. 붉은색은 강한 생명력을 뜻했다. 곤룡포를 입을 때는 익선관을 쓰고 허리에 옥대를 매었으며, 목화(木靴)를 신었다.[41]
중국에서는 수문제가 역사상 처음으로 황룡포를 입었다. 당고조 무덕 연간(618~626)에는 황실에서만 황포를 입을 수 있었다. 명나라 황제의 용포는 앞면 3개, 뒷면 3개, 총 6개의 보가 달려 있었다. 청나라 황제의 용포는 명황색(明黃色)으로 목둘레와 소매는 석청색(石青色)을 사용했고 금으로 테두리를 둘렀으며, 아홉 마리의 용을 수놓았는데 그중 한 마리는 옷자락 이면에 있었다.
베트남에서는 리 왕조나 응우옌 왕조 시대 황제나 황태자가 곤룡포를 입었다.
중국 용은 고대부터 중국 황제와 연관되어 왔으며,[5] 의복에 사용될 경우 착용자의 우월함 또는 포부를 나타냈다.[6] 송, 요, 금, 원나라 이후에는 황제의 허가 없이 용 문양이 있는 옷을 입는 것이 금지되었다.[7] 명나라 이후, 중국 용은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을 의미하며,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망'(蟒)으로 불리는 다른 생물로 간주되었다.[6]
4. 영향 및 파생
곤룡포는 고려, 조선, 대한제국 시대에 군주, 태자, 친왕이 입었던 평상복으로, 단령의 일종이다. 곤룡포는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색깔, 허리띠 재료, 흉배의 종류에 차이가 있었다. 군주는 다홍색, 왕세자와 왕세손은 검은빛을 띤 푸른색인 아청색을 사용했다. 허리띠는 옥대와 수정대로 구분되었고, 흉배는 용무늬를 사용했는데, 군주는 발가락이 5개인 오조룡보, 왕세자는 발가락이 4개인 사조룡보, 왕세손은 발가락이 3개인 삼조룡보를 사용했다.[41]
조선의 곤룡포는 겨울에는 붉은색 비단, 여름에는 얇은 비단인 사(紗)로 만들었다. 붉은색은 강한 생명력을 의미했다. 곤룡포를 입을 때는 익선관을 쓰고 옥대를 매었으며, 목화(木靴)를 신었다.
명나라 이후, 중국 용은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왕족만이 다섯 발톱 용을 입을 수 있었고, 명예로운 관료들은 용과 비슷한 생물이 그려진 옷을 입는 특권이 주어졌다. 여기에는 ''망푸''(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과 같은 생물), 비이푸(비어, "나는 물고기", 네 개의 발톱, 몸통에 지느러미 모양의 날개, 물고기 모양의 꼬리를 가진 생물), 도우니우(두우; 3개 또는 4개의 발톱을 가질 수 있는 생물; 물소 같은 뿔) 등이 있었다.[4][16]
청나라 시대에는 롱파오(곤룡포)는 황제, 황후, 황태자의 의복만을 지칭했다. 롱파오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지위에 따라 다섯 발톱 용과 12개의 길상 문양으로 장식되었다.[18]
신라와 발해는 남북국 시대에 중국 당나라에서 둥근 칼라의 옷인 '달령(dallyeong)'을 공식 복장으로 채택했다. 고려는 원나라에 복속된 후 노란색 대신 자주색 용포를 입어야 했다.[32] 조선은 명나라에 조공국으로 복속되어 붉은색 곤룡포를 사용했다.[36] 고종이 1897년 황제를 칭하면서 곤룡포 색깔이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었다.[35]
베트남에서 곤룡포는 롱 바오(Long Bào)라고 불리며, 후 레 왕조 부흥기부터 착용되었다. 류큐 국왕이 착용한 오조룡 비단 곤룡포는 우만툰(또는 우만샤)이라고 불렸으며, 명나라 황제의 의복과 유사했다.[39]
5. 유사 복식
청나라의 조복(朝服|chaofu중국어)은 만주족 의상의 특징인 몸에 꼭 맞는 소매와 말굽 모양 커프스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추운 날씨에 사냥할 때 입던 옷의 흔적이다.[27] 조복의 원형은 몽골 털릭이었으며, 원나라의 몽골 털릭은 이후 명나라와 청나라에서 발전했다.[28] 그러나 청나라 조복은 한족 궁정복을 만주족이 개조한 것이기도 하다.[27]
만력제의 묘와 같은 명나라 묘에서 발굴된 조복과 유사한 옷은 청나라 조복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이 옷에는 용과 같은 생물이 수 놓아져 있었지만, 롱파오 용포와는 다르다.[25]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은 오른쪽으로 여미는 주름 치마와 꼭 맞는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북경, 산서, 강서, 강소, 산동의 명나라 황족 묘에서 발견되었다.[25] 후기 청나라 조복은 이전 명나라 조복과 마찬가지로 몸통의 일체형 상단 소매에 다른 천을 부착하는 소매 연장(소매 연장)을 사용했다.[25]
명나라 통치자들은 의복을 송나라, 당나라, 한나라와 같은 이전 한족 왕조의 의복을 본떴다.[25]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은 도다이지 사의 쇼소인에 보관된 당나라 반비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엇깃[25]), 장식은 다르다. 청나라 조복은 당나라 반비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당나라 반비는 몸통에 서로 다른 직물을 사용한다.[25]
한나라와 진나라 시대의 잉반 묘, 신장 남쪽 톈산 산맥에는 청나라 롱파오와 당나라 반비와 유사한 옷이 있다. 따라서 청나라 조복은 오랜 중국 의복 전통을 따랐으며, 만주족이나 몽골족이 발명한 것이 아니다. 청나라 조복의 기원인 명나라 의복은 초상화에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묘에 묻힐 정도로 높은 지위로 여겨졌다. 청나라는 고대 중국 의례를 부활시켜 정통성을 과시하기도 했다. 청나라 제사 용기는 명나라 용기보다 고대 중국 용기와 더 유사하다.[29] 아무르강의 퉁구스족은 중국 용이 새겨진 의례복 등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30]
청나라 조복은 공식 초상화에 나타나지만,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은 그렇지 않다. 명나라 관리와 황족은 공식 예복 아래에 조복을 입었을 것으로 보인다.[25] 청나라의 곤룡포는 산둥성 위안나라 이요안 무덤에서 발견된 예복과 같이 위안나라 의복과 유사하다.[25] 위안나라 예복은 자락이 넓게 퍼졌고, 팔과 몸통은 꽉 조였다. 청나라 비공식 의복인 곤룡포는 위안나라 의복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는 반면, 청나라 공식 의복인 조복은 명나라 조복과 유사한 의복에서 유래되었다.
- 비익복
- 망포
참조
[1]
논문
Powerful Form and Potent Symbol: The Dragon in Asia
https://www.jstor.or[...]
1990
[2]
논문
The Making of Dragon Robes
https://www.jstor.or[...]
1951
[3]
서적
A history of Chinese science and techno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2014
[4]
웹사이트
Imperial dragons
https://www.kyohaku.[...]
2021-03-19
[5]
서적
Efficacious underworld : the evolution of Ten Kings paintings in medieval China and Korea
https://www.worldcat[...]
2019
[6]
서적
Ornament : a modern perspective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3
[7]
서적
The last emperors :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8]
논문
Dressing for power: Rite, costume, and state authority in Ming dynasty China
http://dx.doi.org/10[...]
2007
[9]
웹사이트
Shang Shu : Yu Shu : Yi and Ji – 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sh[...]
2021-03-19
[10]
간행물
Study on Danryung structure
2003
[11]
서적
All about Chinese dragons
https://www.worldcat[...]
China History Press
2007
[12]
서적
Dressed to rule : 18th century court attire in the Mactaggart Art Collec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07
[13]
서적
5000 years of Chinese costumes
https://www.worldcat[...]
China Books & Periodicals
1987
[14]
서적
A social history of middle-period China : the Song, Liao, Western Xia and Jin dynasties
https://www.worldcat[...]
2016
[15]
논문
The Gift of a Python Robe: The Circulation of Objects in "Jin Ping Mei"
2005-06
[16]
논문
The Gift of a Python Robe: The Circulation of Objects in "Jin Ping Mei"
2005-06
[17]
서적
The Board of Rites and the Making of Qi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9
[18]
웹사이트
Festival Rob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https://www.metmuseu[...]
2022-03-18
[19]
웹사이트
Semi-formal Court Robe (Jifu)
https://www.clevelan[...]
2022-03-18
[20]
웹사이트
Man's Audience Robe (Chaofu)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https://www.metmuseu[...]
2022-03-18
[21]
서적
The last emperors :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22]
서적
The Board of Rites and the Making of Qi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9
[23]
서적
A World Trimmed with Fur: Wild Things, Pristine Places, and the Natural Fringes of Qing Rul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7
[24]
웹사이트
Lucky Motifs on a Dragon Robe
https://www.kyohaku.[...]
2021-03-19
[25]
서적
Flowers, Dragons & Pine Trees: Asian Textiles in the Spencer Museum of Art
https://books.google[...]
Hudson Hills
[26]
서적
Silken threads: a history of embroidery in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2009-12-04
[27]
웹사이트
Robe of State19th century China
https://www.metmuseu[...]
2021-05-05
[28]
논문
The dress of the Mongol Empire: Genealogy and diaspora of theTerlig
http://dx.doi.org/10[...]
2015
[29]
서적
Flowers, Dragons & Pine Trees: Asian Textiles in the Spencer Museum of Art
https://books.google[...]
Hudson Hills
[30]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1]
웹사이트
Robe for Tibetan aristocrat (chuba) 18th century
https://www.metmuseu[...]
2021-03-31
[32]
서적
Soju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A history of Korea :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www.worldcat[...]
2012
[34]
서적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world : from the rediscovery of Aristotle to the conquest of Constantinople
https://books.google[...]
2013
[35]
웹사이트
King's Robe with Dragon Insignia – Heritage Search
http://english.cha.g[...]
2021-07-14
[36]
간행물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Dyeing : Unique features and understanding
https://www.koreasci[...]
2013-06-30
[37]
웹사이트
Hanbok's rebirth
http://koreana.kf.or[...]
2012-04-25
[38]
서적
Weaving a Realm (Dệt Nên Triều Đại)
Dân Trí Publisher
[39]
서적
The origins of banana-fibre cloth in the Ryukyus, Japan
https://www.worldcat[...]
Leuven University Press
2007
[40]
웹사이트
Okinawan Treasures Make U.S. Debut in New Exhibit at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Museum and The Textile Museum {{!}}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Museum and The Textile Museum {{!}}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https://museum.gwu.e[...]
2022-03-18
[41]
저널
http://koreana.kf.or[...]
2010-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