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선인장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작선인장속(Epiphyllum)은 선인장과의 한 속으로, 넓고 평평한 잎 모양의 줄기와 크고 화려한 꽃이 특징이다. 꽃은 밤에 피고 새벽에 시들며, 열매는 식용 가능하다. 주요 종으로는 월하미인(Epiphyllum oxypetalum) 등이 있으며, 멕시코,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착생식물 - 틸란드시아속
틸란드시아속은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약 650여 종의 착생 식물로, 트리콤을 통해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며 흙 없이 생존하는 특징을 지니고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하며 인테리어 및 공기 정화 효과로 사랑받고 일부 종은 CITES에 의해 보호받는다. - 착생식물 - 인도고무나무
인도고무나무는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의 상록 교목으로, 30~40m까지 자라며 두껍고 광택이 나는 잎을 가지고, 네팔에서 인도네시아에 걸쳐 자생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과거 천연 고무 원료로 쓰였으나 현재는 관상용, 인도 메갈라야 지역에서는 뿌리로 살아있는 다리를 만든다. - 영춘환선인장아과 - 멕시코울타리선인장
멕시코 원산의 멕시코울타리선인장은 기둥 모양 줄기가 최대 3.7미터까지 자라는 선인장으로, 붉은 꽃과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및 울타리 재료로 재배된다. - 영춘환선인장아과 - 메스칼린
메스칼린은 페네틸아민 계열 환각 물질로, 특정 선인장에서 발견되어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 종교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환각 등의 효과를 일으키고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나 현재 많은 국가에서 규제 물질로 지정되었다.
공작선인장속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Epiphyllum |
명명자 | Haw. |
하위 분류 계급 | 종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모식종 | Epiphyllum phyllanthus |
이명 | Phyllocereus Miq. Marniera Backeb. Phyllocactus Link |
2. 특징
공작선인장속은 줄기가 넓고 평평하며, 가장자리는 잎 모양으로 굴곡져 있다. 꽃은 크고 화려하며 주로 밤에 피고 새벽에 시든다. 열매는 식용 가능하며, 용과와 유사하지만 크기는 더 작다. 넓은 잎의 에피필럼(''Epiphyllum oxypetalum'')은 특히 잘 알려져 있으며, 각 꽃은 크고 향기가 강하며 보통 단 하룻밤만 핀다.[2]
2. 1. 형태
줄기는 넓고 평평하며 너비는 1~5cm, 두께는 3~5mm이며, 보통 잎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꽃은 크고 지름 8~16cm이며 흰색에서 붉은색까지 다양한 색을 띠며, 많은 꽃잎을 가지고 있다. 꽃은 밤에만 피고 새벽에 시든다. 열매는 식용 가능하며, 근연속인 Hylocereus속의 용과 열매와 매우 유사하지만, 길이 3~4cm로 그리 크지는 않다. 넓은 잎의 에피필럼(''Epiphyllum oxypetalum'')은 특히 잘 알려져 있다. 각 꽃은 크고 향기가 강하며 보통 단 하룻밤만 핀다.[2]2. 2. 생태
줄기는 넓고 평평하며 너비는 1~5cm, 두께는 3~5mm이고, 보통 잎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꽃은 크고 지름 8~16cm이며 흰색에서 붉은색까지 다양한 색을 띠고, 많은 꽃잎을 가지고 있다. 꽃은 밤에만 피고 새벽에 시든다.[2] 열매는 식용 가능하며, 근연속인 ''Hylocereus''속의 용과 열매와 매우 유사하지만, 길이는 3cm~4cm로 그리 크지는 않다. 넓은 잎의 에피필럼(''Epiphyllum oxypetalum'')은 특히 잘 알려져 있다. 각 꽃은 크고 향기가 강하며 보통 단 하룻밤만 핀다.[2]3. 분포
에피필룸 속( *Epiphyllum*) 식물은 주로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북부의 열대우림 지역에 분포한다.[4]
학명 | 분포 |
---|---|
Epiphyllum baueri | 콜롬비아, 파나마 |
Epiphyllum cartagense | 코스타리카, 파나마 |
Epiphyllum chrysocardium | 멕시코 |
Epiphyllum grandilobum | 코스타리카, 니카라과, 파나마 |
Epiphyllum hookeri |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베네수엘라; 플로리다에 도입됨 |
Epiphyllum laui | 멕시코 |
Epiphyllum oxypetalum | 벨리즈,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멕시코 |
Epiphyllum phyllanthus | 멕시코에서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남부 |
Epiphyllum pumilum | 과테말라, 멕시코 |
Epiphyllum thomasianum | 코스타리카, 에콰도르, 과테말라, 니카라과 |
4. 종
공작선인장속에는 다양한 종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4. 1. 현존하는 종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2020년 5월 기준으로 다음 10종을 인정한다:[4]
이미지 | 학명 | 분포 |
---|---|---|
Epiphyllum baueri Dorsch | 콜롬비아, 파나마 | |
Epiphyllum cartagense (F.A.C.Weber) Britton & Rose | 코스타리카, 파나마 | |
![]() | Epiphyllum chrysocardium Alexander | 멕시코 |
Epiphyllum grandilobum (F.A.C.Weber) Britton & Rose | 코스타리카, 니카라과, 파나마 | |
Epiphyllum hookeri Haw. | 멕시코, 중앙 아메리카, 베네수엘라, 플로리다 | |
Epiphyllum laui Kimnach | 멕시코 | |
Epiphyllum oxypetalum (DC.) Haw. | 벨리즈,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멕시코 | |
Epiphyllum phyllanthus (L.) Haw. | 멕시코에서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남부 | |
Epiphyllum pumilum Britton & Rose | 과테말라, 멕시코 | |
![]() | Epiphyllum thomasianum (K.Schum.) Britton & Rose | 코스타리카, 에콰도르, 과테말라, 니카라과 |
- 월하미인( ''Epiphyllum oxypetalum''): 밤에만 꽃이 핀다.
- 히메월하미인( ''Epiphyllum pumilum''): 월하미인과 비슷하지만 꽃이 작다.
4. 2. 주요 종 (일본어 위키백과)
월하미인(''Epiphyllum oxypetalum''): 밤에만 꽃이 핀다고 하여 월하미인이라고 불린다.히메월하미인(''Epiphyllum pumilum''): 월하미인과 비슷하지만 꽃이 작다.
4. 3. 과거에 속했었던 종
- 필란토이데스공작선인장Disocactus phyllanthoidesla (DC.) Barthlott (필란토이데스엽선인장 E. phyllanthoidesla (DC.) Sweet로 불렸음)[9][5]
- 크레나투스공작선인장 Disocactus crenatusla (Lindl.) M.Á.Cruz & S.Arias (크레나툼엽선인장 Epiphyllum crenatumla (Lindl.) G.Don로 불렸음)
- 레피도카르푸스공작선인장Disocactus lepidocarpusla (F.A.C.Weber) M.Á.Cruz & S.Arias (레피도카르펌엽선인장 Epiphyllum lepidocarpumla (F.A.C.Weber) Britton & Rose로 불렸음)
5. 재배
공작선인장속은 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잘 자란다. 꺾꽂이로 쉽게 번식할 수 있다. 다양한 교배종이 개발되어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5. 1. 에피필룸 잡종
에피필룸 잡종(에피)은 꽃을 위해 널리 재배되는 식물이며, Hylocereeae 족 내 종, 특히 ''Disocactus'' 종의 인공 잡종이다. 에피필룸 잡종의 부모로서 ''Epiphyllum'' 종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2][3]참조
[1]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2]
간행물
16 new nothogenera and 15 new combinations in Hylocereeae (Cactaceae)
https://zenodo.org/r[...]
2018-12-31
[3]
학회자료
Hybrids among the Amarylliae and Cactaceae, with some notes on variation in the Gesneriaceae and the genus ''Senecio''
https://www.biodiver[...]
Spottiswoode & Co.
[4]
웹사이트
"''Epiphyllum'' Haw."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5-15
[5]
웹사이트
GRIN Species Records of ''Epiphyllum''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4-14
[6]
웹인용
Genus: ''Epiphyllum'' Haw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4-02-13
[7]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1995
[8]
서적
The Cactus Family
Timber Press
[9]
웹인용
GRIN Species Records of ''Epiphyllum''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